KR20090087950A -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950A
KR20090087950A KR20097014043A KR20097014043A KR20090087950A KR 20090087950 A KR20090087950 A KR 20090087950A KR 20097014043 A KR20097014043 A KR 20097014043A KR 20097014043 A KR20097014043 A KR 20097014043A KR 20090087950 A KR20090087950 A KR 2009008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mobile terminal
connec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929B1 (ko
Inventor
가쓰토시 니시다
가즈유키 고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886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79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8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60)는,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GW)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부(61)를 구비하고, 액세스 장치(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60)로부터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취득부(23)와,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60)로부터 취득한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 GW(20B)와 이동 단말기(10)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처리부(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CCESS DEVICE, AND GATEWAY INFORMATION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이하, GW)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모바일 네트워크)의 예로서, 3GPP GPRS 네트워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의 "Figure 64: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for Iu mode" 참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RS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개시 시에, 이동 단말기(MS)가, 메시지 1을 사용하여, 접속처 네트워크를 나타낸 "Access Point Name(APN)"을, 교환기(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에 대해서 통지한다.
이 결과, 교환기(SGSN)가, DNS(Domain Name Sewer) 등의 GW 해결 장치에 질의함으로써, 게이트웨이인 교환기(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특정한다.
그리고, 교환기(SGSN)가, 메시지 4 및 9의 교환을 통해, 교환기(게이트웨이)(GGSN)와의 사이에서 경로 설정을 행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MS)가, 통신 중에, 교환기(SGSN)를 거쳐서 이동을 행한 경우에는, 핸드오버 준비 단계에서, 핸드오버 전의 교환기(SGSN)(구 SGSN)로부터 핸드오버 후의 교환기(SGSN)(신 SGSN)에 대해서, 메시지 3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MS)에 관한 Context 정보(GGSN 정보를 포함함)가 통지된다.
그리고, 핸드오버 후의 교환기(SGSN)(신 SGSN)가, 이동 단말기(MS)가 핸드오버 전에 이용하고 있던 교환기(GGSN)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되고, 메시지 13의 교환을 통해, 교환기(GGSN)와의 사이에서 경로 설정을 행한다.
그 결과, 이동 단말기(MS)의 핸드오버 후에도, 동일한 교환기(GGSN)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MS)에 대해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비특허 문헌 1의 "Figure 42: Combined Hard Handover and SRNS Relocation Procedure" 참조).
전술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핸드오버 전후에서, 이동 단말기의 이동에 수반하는 네트워크 내의 라우팅 경로의 변경 처리를 실시하는 액세스 장치[전술한 예에서는, 교환기(SGSN)] 사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한 Context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전술한 Context 정보의 전송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핸드오버 시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 사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용하는 GW[전술한 예에서는, 교환기(GGSN)]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핸드오버 전후에서, 동일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비특허 문헌 1]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Service description: Stage2", 3GPP TR23.060 V7.2.0, 2006년 9월
[비특허 문헌 2] "3GPP System Architecture Evoluation: Report on Technical Options and Conclusions", 3GPP TR23.882 V1.4.0, 2006년 9월
[비특허 문헌 3] "Numbering,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 3GPP TS23.003 V7.1.0, 2006년 9월
그러나,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에 나타낸 3GPP-Non 3GPP 사이의 핸드오버와 같이, 액세스 장치(비특허 문헌 2에 있어서의 "MME/UPE" 및 "ePDG")에 있어서, 전술한 Context 정보의 전송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후에, 액세스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핸드오버 전에 이용하고 있던 GW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장치(20A)(비특허 문헌 2의 "MME/UPE"에 대응)에 대해서 초기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초기 접속 요구를 사용하여, 접속처 네트워크를 특정하는 정보(APN)를,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통지한다(단계 S5001).
액세스 장치(20A)는, 단계 S5002에 있어서, 인증 처리(40)와 협동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단계 S5003 및 S5004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40)로부터, 상기 APN에 대응하는 복수의 GW에 대한 정보(SAE-A IP add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 때, 액세스 장치(20A)는, 단계 S5004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40)로부터, 복수 개의 GW[GW(30A)/GW(30B)/GW(30C)]에 대한 정보(SAE-A IP add 리스트)를 취득하고, 단계 S5005에 있어서, 상기 접속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폴리쉬 등으로부터, GW(30A)를 우선 접속처로서 선택한다(접속 SAE-A 선택을 행한다).
여기서, GW(30A)가, 장애 등의 이유에 의해 액세스 불가능한 상황에 빠져 있는 경우, GW(30A)와의 사이의 접속 처리가 실패하여 에러로 되고(단계 S5006), 액세스 장치(20A)는, 단계 S5007 및 S5008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GW(30B)와의 사이의 접속 처리를 개시한다(접속 SAE-A 재선택을 행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는, 단계 S5009A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비특허 문헌 2의 "ePDG"에 대응) 배하(配下)로 이동한 경우, 재차, 접속처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접속 처리를 개시하지만(단계 S5010), 액세스 장치(20A)와 액세스 장치(20B)와의 사이에서 Context 정보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액세스 장치(20B)는, 이동 단말기(10)와 GW(30A)와의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할 수 없다는 것을 파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액세스 장치(20B)는, 단계 S5013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50)로부터 취득한 복수 개의 GW에 대한 정보(SAE-A IP add리스트) 중에서 가장 우선도가 높은 GW(30A)를 선택하고(단계 S5014), 선택된 GW(30A)와 이동국(10)과의 사이의 접속 처리를 재차 실시하며(단계 S5015), 전술한 접속 처리에 대한 에러를 검출한 후에, 단계 S5017에 있어서, 재차 GW(30B)에 대해서 접속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밟을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이동 단말기(10)가 경험하는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GW에 장애 등이 발생하는 케이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부하 분산을 목적으로 하여, 각 액세스 장치 단위로, 랜덤하게, 접속처 GW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Context 정보의 전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액세스 장치 사이를 이동 단말기가 이동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 전에 이용하고 있던 GW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것,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제로 되어 있던 GW의 선택 폴리쉬나 GW의 폭주 또는 고장 등에 의해 핸드오버 시에 발생하는 GW 오선택에 의한 접속 시간의 지연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 및 핸드오버 처리 지연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와 액세스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접속중인 액세스 장치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시도되고 있지 않은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관련시키는 정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는, 1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확립할만한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의해 지시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의 기능은, 상기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와 액세스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가,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액세스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확립할만한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의해 지시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액세스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접속중인 액세스 장치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시도되고 있지 않은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관련시키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부와, 액세스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송신부와, 상기 액세스 장치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갱신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는, 1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ontext 정보의 전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액세스 장치 사이를 이동 단말기가 이동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 전에 이용하고 있던 GW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것,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제로 되어 있던 GW의 선택 폴리쉬나 GW의 폭주 또는 고장 등에 의해 핸드오버 시에 발생하는 GW 오선택에 의한 접속 시간의 지연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 및 핸드오버 처리의 지연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3GPP GPRS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MS)와 교환기(GGSN)와의 사이에서 경로 설정을 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2는, 종래의 3GPP GPRS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MS)가 핸드오버를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3은, 종래의3GPP GPRS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GW 정보 기억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GW 정보 기억 장치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GW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상 시의 접속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GW(30A)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GW(30A)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접속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절단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GW 정보 기억 장치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GW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GW 정보 기억 장치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GW 정보로 사용되는 식별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경예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경예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상 시의 접속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액세스 장치(20A 및 20B)와, 복수 개의 GW(30A 내지 30C)와, 인증 장치(40)와, GW 해결 장치(50)와, GW 정보 기억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액세스 장치(20)는, 액세스 네트워크(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1)를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장치(20A 및 20B)는 각각 인증 처리부(21)와, 접속 처리부(22)와, GW 정보 취득부(23)와, GW 정보 등록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액세스 장치(20A)의 기능 및 액세스 장치(20B)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필요에 따라, "액세스 장치(20)"라고 표현하여, 양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증 처리부(21)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인증 장치(40)에 대해서 인증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GW 정보 취득부(23)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GW 정보 기억 장치(6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나타내는 GW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 처리부(22)는, 이동 단말기(10)와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처리부(22)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초기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GW 해결 장치(50)로부터 취득한 GW에 대하여 정보(GW 리스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GW를 선택하고, 선택된 GW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선택된 GW와 이동 단말기(10)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처리부(22)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GW 정보 취득부(23)에 의해 GW 정보 기억 장치(60)로부터 취득된 GW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GW와 이동 단말기(10)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가 "초기 접속 요구" 또는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 중 어느 하나인지에 대한 판정은, 인증 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요구 응답에 포함되는 "플래그(flag)(초기 접속 플래그 또는 HO 플래그)"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제공하는 GW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접속 처리부(22)는, 네트워크 폴리쉬 등에 의해, 복수 개의 GW 중에서 우선적으로 접속 처리를 행할 GW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진다.
GW 정보 등록부(24)는, 전술한 GW와 이동 단말기(10)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한 후,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GW 정보 등록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기억되어 있는 GW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GW(30A 내지 30C)는, 각각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원하는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증 장치(40)는, 액세스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증 장치(40)는, 이동 단말기(10)와 GW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즉,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액세스 장치(20)에 대해서 송신된 접속 요구가 "초기 접속 요구" 또는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 중 어느 하나인지에 대한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처리의 결과 및 판정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인증 요구 응답을, 액세스 장치(20)에 대해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GW 해결 장치(50)는,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을 확립할만한 GW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GW 해결 장치(50)는, 다른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API)에 대응하는 GW에 대한 정보(GW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고, 액세스 장치(20)로부터의 API 해결 요구에 따라, 액세스 장치(20)에 대해서 상기 GW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GW 해결 장치(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을 확립할만한 GW에 대해서 우선도를 부여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이동 단말기(10)가 다른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통 신을 행하기 위해 현재 이용하고 있는 GW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GW 정보 기억부(61)와, GW 정보 수신부(62)와, GW 정보 송신부(63)를 구비하고 있다.
GW 정보 기억부(61)는, 이동 단말기(10)가 다른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통신을 행하기 위해 현재 이용하고 있는 GW[즉,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나타내는 GW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GW 정보 기억부(6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식별자(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접속중인 GW(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GW의 식별 정보)"와, "API 식별자(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GW를 통하여 접속중인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엔트리 유효 기한"을 관련시킨 GW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엔트리 유효 기한"은, 각 GW 정보의 엔트리의 유효 기한을 나타내다.
또한, GW 정보 기억부(61)는, "엔트리 유효 기한"이 만료한 엔트리에 대하여 자율적으로 삭제하고, 다른 노드에의 통지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GW 정보 기억부(61)는, "엔트리 유효 기한"이 무기한으로 되어 있는 엔트리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처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완전히 종료하는, 즉 액세스 장치(20)로부터 "UEID"만을 포함하는 절단 요구를 수신하고, 모든 접속처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에만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트리 유효 기한"은, 오퍼레이터 폴리쉬 등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GW 정보 등록 요구에 부여되는 유효 기한 정보 등에 의해 설 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GW 정보 수신부(62)는, 액세스 장치(20)로부터의 통지(GW 정보 등록 요구)에 따라, GW 정보 기억부(61)에 기억되는 GW 정보를 갱신(등록, 변경,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GW 정보 송신부(63)는, 액세스 장치(20)로부터의 요구(GW 정보 요구)에 따라, 액세스 장치(20)에 대해서, 해당하는 GW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상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액세스 장치(20A)에 대한 접속 처리를 개시할 것을 결정하면, 단계 S100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UEID" 및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 "API"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상기 "UEID"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구를 인증 장치(4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03에 있어서, 인증 장치(40)는, 액세스 장치(20A)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에 따라, 상기 인증 요구에 포함되는 "UEID"에 의해 식별되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인증 장치(40)는, 인증 결과가 OK인 경우,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 상태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와 GW와의 사이의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결과와 함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초기 접속 플래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는, 초기 접속 플래그에 의해, 이동 단말기(10)와 GW와의 사이의 접속은 아직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통지된다.
단계 S1004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인증 장치(40)로부터, 긍정적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하면,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제공하는 GW를 검색하기 위한 API 해결 요구를, GW 해결 장치(50)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API 해결 요구에는,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50)는, 수신한 API 해결 요구에 포함되는 "API"에 대응하는 GW 리스트[예를 들면, GW(30A, 30B, 30C…)]를 검색하고, 검색한 GW 리스트를 포함하는 API 해결 응답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0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수신한 API 해결 응답에 포함되는 GW 리스트 중에서, 네트워크 폴리쉬 등에 의해, 접속 처리를 행할 GW(30A)를 선택하고, 선택된 GW(3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007에 있어서, GW(30A)는, 액세스 장치(2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 에 대하여 접수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 앞으로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행하고,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접속 요구 응답(OK)을 돌려준다.
단계 S1008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와 GW(30A)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접속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S1009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와, GW(30A)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GW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10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수신한 GW 정보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GW 정보를 등록하고, 전술한 등록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GW 정보 등록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는, 상이한 액세스 장치(20B) 배하로 핸드오버하면, 단계 S1011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 및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12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상기 "UEID"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구를 인증 장치(4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1013에 있어서, 인증 장치(40)는, 액세스 장치(20B)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에 따라, 상기 인증 요구에 포함되는 "UEID"에 의해 식별되는 이동 단말 기(10)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결과가 OK인 경우,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 상태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와 GW와의 사이의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결과와 함께, 전술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HO 플래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는, HO 플래그에 의해, 이동 단말기(10)와 GW(30A)와의 사이의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통지된다.
단계 S1014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인증 장치(40)로부터, 긍정적인 인증 결과 및 HO 플래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하면, API 해결 요구를 GW 해결 장치(40)에 송신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질의하기 위한 GW 정보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API 해결 요구에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 및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1015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수신한 GW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UEID" 및 "API"에 따라,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나타내는 GW 정보를,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GW 정보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와, GW(30A)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정보이다.
단계 S101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수신한 GW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GW(3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017에 있어서, GW(30A)는, 액세스 장치(20B)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접수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 앞으로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행하고,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접속 요구 응답(OK)을 돌려준다.
단계 S1018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와 GW(30A)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접속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둘째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GW(30A)가 고장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01 내지 S2005의 동작은, 도 8에 나타낸 단계 S1001 내지 S1005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0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수신한 API 해결 응답에 포함되는 GW 리스트 중에서, 네트워크 폴리쉬 등에 의해, 접속 처리를 행할 GW(30A)를 선택하고, 선택된 GW(3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그러나, GW(30A)는 고장나 있으므로, 단계 S2007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GW(30A)에 대한 접속 처리가 실패한 것을 통지하는 접속 요구 응답(에러)을 수신하거나, 또는, 접속 요구 응답(OK)을 수신하지 않고, 응답 대기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된다.
단계 S2008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수신한 API 해결 응답에 포함되는 GW 리스트 중에서, 그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GW(30B)를 선택하고, 선택된 GW(30B)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2009에 있어서, GW(30B)는, 액세스 장치(2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접수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 앞으로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행하고,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접속 요구 응답(OK)을 돌려준다.
단계 S2010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와 GW(30B)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접속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S2011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와, GW(30B)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GW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2012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수신한 GW 정보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GW 정보를 등록하고, 전술한 등록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GW 정보 등록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는, 상이한 액세스 장치(20B) 배하로 핸드오버하면, 단계 S2013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 및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2014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상기 "UEID"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구를 인증 장치(4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2015에 있어서, 인증 장치(40)는, 액세스 장치(20B)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에 따라, 상기 인증 요구에 포함되는 "UEID"에 의해 식별되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결과가 OK인 경우,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 상태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와 GW와의 사이의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인증 장치(40)는, 전술한 인증 결과와 함께, 전술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HO 플래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는, HO 플래그에 의해, 이동 단말기(10)와 GW(30B)와의 사이의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통지된다.
단계 S201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인증 장치(40)로부터, 긍정적인 인증 결과 및 HO 플래그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하면, API 해결 요구를 GW 해결 장치(40)에 송신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질의하기 위한 GW 정보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API 해결 요구에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 및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2017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수신한 GW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UEID" 및 "API"에 따라,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중인 GW를 나타내는 GW 정보를,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GW 정보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 와, GW(30B)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정보이다.
단계 S2018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수신한 GW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GW(30B)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2019에 있어서, GW(30B)는, 액세스 장치(20B)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접수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 앞으로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행하고,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접속 요구 응답(OK)을 돌려준다.
단계 S2020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와 GW(30B)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접속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셋째,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가, 통신을 종료하고, 특정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접속을 절단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장치(20N) 및 GW(30B)를 통하여 다른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0)는, 전술한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결정하면, 단계 S3001에 있어서, 절단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 및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를 포함하는 절단 요구를, 액세스 장치에 송신한다.
단계 S3002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자신이 유지하는 GW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한 절단 요구에 포함되는 "API" 및 "UEID"에 대응하는 GW(30B)를 특정하여, 전술한 "API 및 "UEID"를 포함하는 절단 요구를, GW(30B)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3003에 있어서, GW(30B)는, 수신한 절단 요구에 대응하는 접속을 절단하여, 이를 통지하는 절단 요구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하는
단계 S3004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GE(30B)로부터의 절단 요구 응답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접속 상태(통신 상태(9)를 관리하는 인증 장치(40)에 대해서, 절단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 및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를 포함하는 절단 통지를 송신한다.
단계 S3005에 있어서, 인증 장치(40)는, 수신한 절단 통지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기(10)의 접속 상태를 갱신하고, 이를 통지하는 절단 통지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300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전술한 절단 요구에 대응하는 접속을 절단한 것을 통지하는 절단 요구 응답(OK)을,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3007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B)는,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해당하는 GW 정보의 엔트리를 삭제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절단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 및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를 포함하는 GW 정보 개방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3008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수신한 GW 정보 개방 요구에 따라 GW 정보의 갱신을 행하고, 이를 통지하는 GW 정보 요구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B)에 대해서 송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가, "UEID" 만을 포함하는 절단 요구를 송신하는 경 우에는,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요구하기로 하고, 액세스 장치(20B)는, 해당하는 모든 GW에 대해서 동시에 절단 요구를 송신하고, GW 정보 기억 장치(50)는, 전술한 "UEID"에 관련된 GW 정보의 엔트리를 모두 삭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액세스 장치(20B)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GW 해결 장치(50)에 대해서 API 해결 요구를 송신하지 않고, GW 정보 기억 장치(60)로부터 접속 처리를 행할 GW를 나타내는 GW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적은 신호의 교환에 의해, 고장중인 GW(3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불필요한 통신을 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핸드오버 시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12를 참조하여, 변경예 1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의해 유지되는 GW 정보는, 도 7에 나타낸 GW 정보의 요소에 더하여, "미접속 리스트(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시도되고 있지 않은 GW의 식별 정보)"나, "접속 에러 리스트(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GW의 식별 정보)" 등을 관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경예 1에서는, 액세스 장치(20)는,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성공한 GW의 식별 정보나, 이동 단말기 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GW의 식별 정보나,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시도되고 있지 않은 GW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유지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GW 정보의 엔트리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A)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GW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이면서, 또한 액세스 장치(20)가, 새롭게 접속을 개시하는 이동 단말기(10A)에 대하여, 상기 GW의 식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A)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GW의 식별 정보"로서 포함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송신한 경우,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상기 GW의 식별 정보를 "접속 에러 리스트"로서 GW 정보의 엔트리에 등록해도 된다.
이 결과, 이동 단말기(10A)가 접속중인 GW가, 통신 중에 접속 불가능하게 되고, 이동 단말기(10A)가, 새로운 GW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A)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GW를 선택하지 않게 되고, 재접속 시의 접속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경예 2)
도 13을 참조하여, 변경예 2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변경예 2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UEID) 및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API)는 1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장치(20)는, "API" 및 "UEID"로부터, 1개의 식별 정 보(예를 들면, NAI: Network Access Identifier 등)를 작성해도 되고, 작성한 식별 정보(NAI)와 GW의 IP 어드레스를 쌍으로 하여,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에, 전술한 식별 정보의 요소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의 예로서, 비특허 문헌 3에 있어서의 "API"를 상정(想定)한다[도 13의 (a) 참조].
"API"는,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S에 의해 해결 가능한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의 포맷을 따르고 있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이용되는 탑 레벨 도메인 명의 "GPRS"와,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와, GW를 통하여 외부의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할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Labe1"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의 예로서, 비특허 문헌 3에 있어서의 "IMSI"를 상정한다[도 13의 (b) 참조].
"IMSI"는,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C + MCC + MSIN(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의 (a) 및 (b)에 있어서의 "xxx" 및 "yyy"는, 실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예를 들면, "123"이나 "456" 등).
상기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1개의 식별 정보로서 "NAI"의 형식으로 하는 경우, "MSIN@<Labe1>.<MNCxxx>.<MCCyyy>.GPRS"의 포맷으로 된다.
이 결과, "IMSI@APN"의 형태를 취했을 때, 중복되는 정보로 되는 "MNC + MCC"의 부분을 삭감하고, 식별 정보의 길이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변경예 2에서는,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NAI"형식의 포맷으로부터, 필요한 요소를 인출하고, 각 GW 정보의 엔트리의 등록에 이용해도 되고, 또는 "NAL 단위를, "API"와 "UEID"의 조합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변경예 3)
변경예 3에서는, GW 정보 기억 장치(60)의 기능은, GW 해결 장치(5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GW 정보 기억 장치(60)를 단독으로 도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변경예 2에서는,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기억되어 있는 GW 정보의 특정한 엔트리가 유효 기한이 초과되어 삭제되고, 그 후, 액세스 장치(20)에 의해, 상기 엔트리에 대한 GW 정보 요구가 송신된 경우, GW 해결 장치(50)는, API 해결 응답을 액세스 장치(20)에 대해서 송신한 후, 상기 엔트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의 GW 정보 기억부(61)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결과, 1 왕복 분의 메시지(GW 정보 등록 응답 및 API 해결 요구)의 교환(시그널링)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경예 4)
변경예 4에서는,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한 GW 정보 등록 요구 또는 GW 정보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통지되는 "UEID"는, 인증 처리 시에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되는 임시 UEID(T-UEID)이다.
이러한 경우, 액세스 장치(20)는, "UEID"와 "T-UEID"의 맵핑을 유지하고, 이 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구 등의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UEID"로부터 "T-UEID"로 변환하고, 다른 실시예(또는, 변경예)에 있어서의 "UEID"대신, 변환한 "T-UEID"를, GW(30)나 인증 장치(40)나 GW 정보 기억 장치(60) 등으로의 메시지에 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변경예 5)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변경예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장치(20)와 GW30과의 사이에 있어서 계층 모빌리티 제어를 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모델을 예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변경예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층화 모빌리티 제어를 행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의 기능 및 GW의 기능을, 각 계층의 노드의 기능으로서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장치(20)와 GW30와의 사이에, MAP(Mobi1ity Anchor Point)(70A)가 배치되어 MAP(70A) 배하의 액세스 장치(20) 사이라면,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에 수반하는 경로 제어를, 액세스 장치(20)와 MAP(70A)와의 사이에 폐쇄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MAP(70A)가, 액세스 장치(20)에 대한 GW의 기능 및 GW에 대한 액세스 장치의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변경예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상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4001 내지 S4004의 동작은, 도 8에 나타낸 단계 S1001 내지 S1004의 동작과 동일하다.
단계 S4005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50)는, 수신한 API 해결 요구에 포함되는 "API"에 대응하는 GW의 기능을 구비하는 MAP 리스트(예를 들면, MAP(70A/70B/70C…)를 검색하고, 검색한 MAP 리스트를 포함하는 API 해결 응답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4006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수신한 API 해결 응답에 포함되는 MAP 리스트 중에서, 네트워크 폴리쉬 등에 의해, 접속 처리를 행할 MAP(70A)를 선택하고, 선택된 MAP(7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4007에 있어서, MAP(70A)는, 수신한 접속 요구에 포함되는 "API" 및 "UEID"에 대응하는 GW를 검색하기 위한 API 해결 요구를, GW 해결 장치(50)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API 해결 요구에는,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4008에 있어서, GW 해결 장치(50)는, 수신한 API 해결 요구에 포함되는 "API"에 대응하는 GW 리스트[예를 들면, GW(30A/30B/30C…)]를 검색하고, 검색한 GW 리스트를 포함하는 API 해결 응답을, MAP(7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4009에 있어서, MAP(70A)는, 수신한 API 해결 응답에 포함되는 GW 리스트 중에서, 네트워크 폴리쉬 등에 의해, 접속 처리를 행할 GW(30A)를 선택하고, 선택된 GW(30A)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4010에 있어서, GW(30A)는, MAP(7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대하 여 접수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 앞으로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행하고, MAP(70A)에 대해서 접속 요구 응답(OK)을 돌려준다.
단계 S4011에 있어서, MAP(70A)는,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수신한 접속 요구 응답(OK)을 송신한다.
단계 S4012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와 GW(30A)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접속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S4013에 있어서, MAP(70A)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와, GW(30A)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GW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4014에 있어서, 액세스 장치(20A)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인 "UEID"와, 원하는 접속처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인 "API"와, MAP(70A)의 식별 정보를 관련시킨 GW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GW 정보 등록 요구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4015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MAP(70A)로부터 수신한 GW 정보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GW 정보를 등록하고, 전술한 등록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GW 정보 등록 응답(OK)을, MAP(7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단계 S4016에 있어서, GW 정보 기억 장치(60)는, 액세스 장치(20A)로부터 수신한 GW 정보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GW 정보를 등록하고, 전술한 등록 처리가 완료 한 것을 나타내는 GW 정보 등록 응답(OK)을, 액세스 장치(20A)에 대해서 송신한다.
(변경예 6)
전술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증 장치(40)가,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액세스 장치(20)로부터의 인증 요구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가 핸드오버 중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초기 접속 플래그 또는 HO 플래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변경예 6에서는, 전술한 기능은, 인증 장치(40)와는 독립된 장치에 설치되고, 인증 처리 후에, 인증 장치(40)와 상기 장치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이, GW 정보 기억 장치(60)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GW 정보 기억 장치(60)의 일부 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술한 기능 자체를 GW 정보 기억 장치(60) 내부에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GW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엔트리 유효 기한"이 "무기한"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GW 정보 기억 장치(60)가,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경예 7)
전술한 실시예 및 변경예에서는, GW 해결 장치(50)가, 단독 장치로서 존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변경예 7에서는, 이동 단말기(10)가, GW 해결 장 치(50)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경예 7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다른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API)에 대응하는 GW에 대한 정보(GW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고, 접속 요구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을 확립할 GW를, 액세스 장치(20)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가 접속을 확립할 GW에 대해서 우선도를 부여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전술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떤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본 특허 출원 제2007-000796호(2007년 1월 5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에 의하면, Context 정보의 전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액세스 장치 사이를 이동 단말기가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 전에 이용하고 있던 GW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것,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 템에서 과제로 되어 있던 GW의 선택 폴리쉬나 GW의 폭주 또는 고장 등에 의해 핸드오버 시에 발생하는 GW 오선택에 의한 접속 시간의 지연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 및 핸드오버 처리의 지연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Claims (9)

  1.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와 액세스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취득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접속중인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 의 확립이 시도되지 않은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관련시킨 정보인,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는, 1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확립할만한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의해 지시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의 기능은 상기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와 액세스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가,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방법은,
    상기 액세스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6.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시의 접속 요구에 따라,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취득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처리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확립할만 한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해결 장치에 의해 지시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세스 장치.
  8.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중인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접속중인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실패한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이 시도되고 있지 않은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관련시킨 게이트웨이 정보를 기억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부;
    액세스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송신부; 및
    상기 액세스 장치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를 갱신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는 1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KR20097014043A 2007-01-05 2007-12-28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KR101053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96 2007-01-05
JP2007000796A JP4718496B2 (ja) 2007-01-05 2007-01-05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アクセス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情報記憶装置
PCT/JP2007/075267 WO2008081924A1 (ja) 2007-01-05 2007-12-28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アクセス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情報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950A true KR20090087950A (ko) 2009-08-18
KR101053929B1 KR101053929B1 (ko) 2011-08-04

Family

ID=3958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4043A KR101053929B1 (ko) 2007-01-05 2007-12-28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1012B2 (ko)
EP (1) EP2117240B1 (ko)
JP (1) JP4718496B2 (ko)
KR (1) KR101053929B1 (ko)
CN (1) CN101574006B (ko)
WO (1) WO20080819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597A (ko) * 2018-06-26 2021-03-0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라우팅 식별자(들)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0174B (zh) * 2009-07-29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及通用无线分组业务服务支持节点
JP4648479B1 (ja) * 2009-10-16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用ノード及びパケット交換機
CN102056321B (zh) * 2009-10-30 2014-07-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本地接入的方法及系统
JP4647720B1 (ja) * 2010-09-30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用ノード及びパケット交換機
CN102137487B (zh) * 2010-12-31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服务网关实体的方法及设备
CN102595534B (zh) 2011-01-10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上下文相关资源的释放方法和设备
CN106921967A (zh) * 2015-12-25 2017-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业务处理方法及装置
JP6801543B2 (ja) * 2017-03-22 2020-12-1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6997586B2 (ja) * 2017-10-20 2022-01-17 株式会社Nttドコモ 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084B1 (fi) 1997-01-20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JP3092662B2 (ja) * 1998-04-10 2000-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ンドオフ制御方式
JP2001069176A (ja) 1999-08-27 2001-03-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体通信網
US6904025B1 (en) * 1999-10-12 2005-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de area network mobility for IP based networks
AU7694000A (en) * 1999-10-08 2001-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de area network mobility for ip based networks
JP2001333188A (ja) * 2000-05-19 2001-11-30 Fujitsu Ltd 通信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
JP3656245B2 (ja) * 2000-12-11 2005-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とその迂回ルート解決方法、及び迂回ルート解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95258B2 (ja) 2001-04-03 2008-06-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関門交換機選択サーバ及び関門交換機選択方法
US6545992B2 (en) * 2001-04-30 2003-04-08 Winphori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GGS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0247204Y1 (ko) 2001-06-07 2001-10-22 김경원 휴대용 물주머니
JP3738737B2 (ja) 2002-03-04 2006-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間通信方法
US7085570B2 (en) * 2002-12-23 2006-08-01 Nokia Corporation Handover method,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US20050025164A1 (en) 2003-07-16 200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of mobile nod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KR20050054663A (ko) * 2003-12-05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패킷 서비스 망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및 이를이용한 호 설정 방법
CN101049036A (zh) * 2004-10-20 2007-10-03 富士通株式会社 移动电话终端间的数据传送路径建立系统
GB0520254D0 (en) * 2005-10-05 2005-11-16 Vodafone Pl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509786B2 (en) * 2006-08-04 2013-08-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alls in a wireless enabled PBX system using mobile switching protocols
US20100046477A1 (en) * 2008-08-19 2010-02-25 Motorola, Inc. Method for Hand-Over In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597A (ko) * 2018-06-26 2021-03-0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라우팅 식별자(들)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70626B2 (en) 2018-06-26 2023-01-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updating routing ident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7240B1 (en) 2014-04-23
US20100002633A1 (en) 2010-01-07
EP2117240A1 (en) 2009-11-11
CN101574006B (zh) 2013-03-20
EP2117240A4 (en) 2013-05-15
KR101053929B1 (ko) 2011-08-04
JP4718496B2 (ja) 2011-07-06
CN101574006A (zh) 2009-11-04
WO2008081924A1 (ja) 2008-07-10
US8311012B2 (en) 2012-11-13
JP2008172294A (ja)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92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액세스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정보 기억 장치
US11115919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5383822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装置
US9456410B2 (en)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US20120207137A1 (en) Method for Managing Local IP Access Connection
JP622249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AU2015213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management nodes, and serving gateways
WO2010052918A1 (ja) ハンドオーバ制御システム、ユーザ端末、シグナリング中継装置並びにセッション制御装置
AU2011266176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413880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WO2012108396A1 (ja) 移動通信方法
CN101217795B (zh) 一种终端在ip多媒体子系统中本地转出的解决方法
EP2457393B1 (en) Distributed network register
RU2738801C1 (ru) Способы и узл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дключения к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5g
KR101511439B1 (ko) Ims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호제어 기능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ims 프로파일 동기화 방법
KR100447412B1 (ko)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가입자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JP522395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交換局および移動局の位置登録方法
JP2012227664A (ja)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ノード及びパケット交換機
CN102595372A (zh) 用户漫游方法及ics增强网络
WO2013004435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or ran based lgw selection
JP2013158050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交換局および移動局の位置登録方法
JP2013110774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交換局および移動局の位置登録方法
EP2730129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or ran based lgw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819

Effective date: 201111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