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553A -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 Google Patents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553A
KR20090087553A KR1020080012864A KR20080012864A KR20090087553A KR 20090087553 A KR20090087553 A KR 20090087553A KR 1020080012864 A KR1020080012864 A KR 1020080012864A KR 20080012864 A KR20080012864 A KR 20080012864A KR 20090087553 A KR20090087553 A KR 2009008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ion
rare tree
seed
rare
s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888B1 (ko
Inventor
김명석
박화식
오득실
정남철
이석면
박가은
박세은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8001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9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eeds f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수나무 종자 발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정 농도의 성장호르몬 처리, 발아 동안 적정 온도 유지 및 적절한 저장조건 조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처치를 통하여 희수나무 종자를 발아시킴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Germinating Method for Camptotheca acuminate}
본 발명은 희수나무 종자 발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정 농도의 성장호르몬 처리, 발아 동안 적정 온도 유지 및 적절한 저장조건 조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처치를 통하여 희수나무 종자를 발아시킴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희수나무는 쌍떡잎 식물이며, 중국 원산의 Nyssaceae과 희수나무속에 속하는 난대성 낙엽활엽수로서, 약 25m까지 자라는 교목과 식물이다. 희수나무의 가지는 하부에는 없고 주로 정단부에 달리며, 6월에 개화하여 11월에 황갈색 열매를 맺는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열매와 잎을 다려먹으면 나쁜 병을 치유할 수 있고 회복이 빠르며, 열매를 먹으면 독성을 제거하고 항암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쁠희(喜) 나무수(樹)라고 칭하여 약리적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잎, 줄기, 가지, 껍질 등에 항암제인 캄토테신 (Camptothec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약리적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희수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으로, 토질과 기후가 다른 우리나라에서는 발아율이 낮아서 희수나무의 약리학적 이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희수나무의 낮은 발아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처치와 조건하에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희수나무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발아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희수나무 종자를 식물성장호르몬을 적정 농도로 처리하여 발아시킴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종 온도를 적정범위로 조절하여 희수나무 종자를 파종 및 발아시킴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희수나무 종자를 적절한 온도에서 적당한 방법으로 저장한 후 이를 파종하여 발아시킴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희수나무는 주로 온화한 기후에서 자라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대략 11월에서 12월에 채종되고, 대개 익년 3월경에 파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희수나무는 항암제로서 매우 유용한 캄토테신의 중요한 공급원이기 때문에, 제약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희수나무는 아열대성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온대 기후를 나타내는 우리나라에서는 기후가 맞지 않을 뿐 아니라, 가을이 빨리 찾아와서 종자의 충분한 결실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아율이 매우 낮다. 이와 같이 낮은 발아율은 희수나무로부터의 캄토테신 등의 약리적 활성을 갖는 물질의 생산에 제한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희수나무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처리 조건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의 발아율보다 최소 2배 이상의 발아율을 얻을 수 있는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조건을 찾아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희수나무 종자를 식물성장호르몬을 적정 농도로 처리하여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장호르몬으로 알려진 지베렐린(GA3)과 옥신의 일종인 나프탈렌아세트산(NAA)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희수나무 종자를 발아시킨 결과, 두 호르몬 모두에서 무처리시보다 증가된 종자 발아율을 보이며, 특히 GA3의 경우에는 NAA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종자 발아율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에 사용 가능한 식물성장 호르몬은 지베렐린류 호르몬 (예컨대, GA1, GA2, GA3, GA4, GA5, GA7, GA8, GA12, 등) 및 옥신류 호르몬 [예컨데, 인돌아세트산(IAA), 인돌부틸산(IBA), 나프탈렌아세트산(NAA),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베렐린 계열 호르몬, 보다 바람직하게는 GA3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식물성장 호르몬 처리 농도는 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식물성장 호르몬의 농도 범위는 실험적으로 얻어진 것이며, 호르몬의 특성상 그 작용 효과가 농도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므로 상기 농도 범위에서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와 식물성장호르몬의 처리 시간은 처리 농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30초 내지 30분 범위에서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처리 시간을 짧게 하고, 처리농도가 낮을수록 처리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물성장 호르몬의 처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침지, 산포, 도포, 밀폐, 휘발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종자 파종 온도를 조절하여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른 파종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저온 파종 (18 ℃), 중온 파종 (22 ℃) 및 고온 파종 (26 ℃)하여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저온 파종보다는 중온 또는 고온 파종시에 발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발견하여, 높은 발아율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파종 온도를 밝혔다.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에 있어서의 파종 온도는 20 내지 28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 ℃인 것이 좋다. 파종 온도가 상기 범위이어야 종자의 수분 팽윤이 충분히 일어난 후 종자가 발아되어 높은 발아율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희수나무 종자의 저장 온도를 조절하여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를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보다 저온에서 저장하는 경우가 발아율이 보다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의 저장 온도는 우리나라 11월에서 익년 4월까지의 지면 아래의 토양 온도 정도가 적절하며, 약 -7 ℃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4 ℃ 정도일 수 있다. 저장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종자가 결빙하여 발아율이 낮아질 수 있고, 저장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저장 기간 중 불완전한 환경에서 발아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종자의 저장 온도는 상기 범위와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종자 저장 환경은 종자가 충분히 호흡하고 적절한 수분에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종자의 생명력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하여, 노지의 토양 환경과 유사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예컨대, 종자의 충분한 호흡과 적당한 수분 제공을 위하여, 수분 함량이 10 내지 30중량%로 유지된 습윤한 모래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좋으며, 희수나무 종자가 저장되는 습윤한 모래는 희수나무 종자 중량의 약 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2.5배 내지 4배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저장 기간은 희수나무 종자의 채종시부터 파종시까지의 기간으로, 보통 채종시기는 11월 내지 12월이고, 파종시기는 이듬해 3월 내지 4월 정도이다. 구체적인 채종 시기와 파종 시기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180일을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60일 내지 180일, 바람직하게는 90일 내지 150일인 것이 좋다.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채종 직후 바로 저장될 수도 있지만, 채종 후 적정 온도에서 적정 기간동안 음건된 후 저장되는 것이 저장성 개선에 보다 유리하다. 상기 음건 온도는 5 내지 15 ℃인 것이 좋고, 음건 기간은 3 내지 10일인 것이 좋다. 또한 저장 시 온도 조건은 가급적 낮게 유지하되, -4℃ 이하에서 연속하여 48시간 이상 두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온도 조건 및 모래 내 수분 함량은 인위적으로 조절 및 유지되거나, 희수나무 종자와 모래가 상기 혼합비율로 혼합된 것을 채종 후 파종시까지, 즉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중의 60 내지 180일의 기간 동안 노천의 토양에 지면에서 약 5 내지 20 cm 깊이에 매장하여 저장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충족될 수도 있다. 특히, 노천 매장에 의한 저장의 경우, 충분한 공기와 적정한 수분을 자연적으로 공급해주고, 이 외의 환경적 조건이 자연스럽게 맞춰질 수 있어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은 상기의 3 가지 방법, 즉,
1) 파종시 희수나무 종자에 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 농도의 지베렐린류 호르몬 및/또는 옥신류 호르몬의 처리;
2) 20 내지 28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 ℃에서의 파종; 및
3)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를 파종시까지 -7 ℃ 내지 10 ℃의 온도 범위에서 180일 이하의 기간 동안의 종자 저장
중에서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3 가지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조건들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상기 3 가지 방법 중 2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경우, 그 수행 순서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은 희수나무 종자를 가운데 선 모양의 배 부분을 제외한 외부의 종피 부분을 제거한 후 파종함으로써 종자 발아율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희수나무 종자는 갸름한 타원형이며 배 부분은 타원의 긴 지름이 되는 가운데 선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희수나무 종자는 상기 배가 위치하는 긴 지름 방향의 가운데 선을 포함하여 약 1 내지 3 mm 너비의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피 부분이 제거된 경우, 수피부의 납질이 제거되어 수분과 산소의 공급이 원활해지므로 종자 발아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자 발아 단계를 포함하는 희수나무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배 방법에 있어서, 종자 발아 단계를 제외한 단계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한다.
희수나무는 캄토테신 등의 약학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여 제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식물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종자 발아율이 매우 낮아서, 이를 이용한 캄토테신의 생산에 큰 제약이 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 따른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법은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율
적정한 희수나무 종자 파종 조건을 찾기 위하여 채종(2005.12.10일) 직후 파종하는 경우(직파)와 이듬해 봄(2006.3.20, 또는 2006.4.10) 파종의 경우(춘파)의 종자 발아율을 비교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하여 천리포 수목원에서 중국 원산의 생육중인 30년생 내외의 희수나무 3주에서 종자를 2005.12.10일자로 채취하였다. 이듬해 봄에 사용된 종자는 실온(5 내지 15℃)에서 기건 저장 후 상기 파종일자에 파종하였다. 파종 용기로는 지피 포트를 사용하였고, 한 포트당 파종 립수는 2 내지 3립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5년 12월 10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였다.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1개 블록 당 30개씩 들어가는 파종용 트레이를 채종 직후(2005.12.10)부터 익년 봄(2006.3.20, 또는 2006.4.10)까지 폿트당 2 내지 3립씩 3반복으로 반복당 30포트씩 처리구당 90 포트씩을 파종하여 파종 일자별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규모: 3처리 × 3반복 × 반복당 30개 = 270 폿트
상기 실험에서의 파종 개수와 발아한 개수 및 상기 파종 개수에 대한 발아한 개수의 비율(발아율, 단위: %)을 보여주는 발아율을 아래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파종 시기 반복군 I 반복군 II 반복군 III 계 (평균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12.10 30 11 37 30 10 33 30 9 30 90 30 33
3.20 30 7 23 30 8 27 30 9 30 90 24 27
4.10 30 8 27 30 7 23 30 8 30 90 23 26
평균 30 8.7 29 30 8.3 27.6 30 8.7 30 90 25.7 28.6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파의 경우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 춘파의 경우보다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 이후 겨울을 거치며 성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성장 조건이 적절하지 못하여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직파하여 재배하는 것은 우리나라 기후 여건상 적절하지 못하다. 춘파의 경우 낮은 발아율은 채종된 종자의 저장 기간 동안의 종자 호흡에 따른 체내 양분 손실 등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종자 기간 동안의 이러한 손실을 줄이거나 보상하기 위한 새로운 종자 발아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식물성장 호르몬 처리에 따른 종자 발아율
2006.12.10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에 대하여 지베렐린 GA3와 NAA를 각각 무처 리, 3%, 및 5%의 농도별로 처리하였으며, 각 처리당 100립씩 (20립/파종접시, 파종접시 5개) 3회 반복으로 2007.3.10부터 2007.4.30까지 50일간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지베렐린 GA3와 NAA처리는 상기 농도가 되도록 지베렐린 GA3와 NA를 멸균수에 녹여 종자가 충분히 침지될수 있도록 5-30분간 침적후 걷어내어 멸균수로 씻고 종자를 바람 잘 통하는 음지에 두어 수행하였다. 
파종 용기로서 파종용 접시(패트리 디쉬)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증류수를 적신 탈지면을 깔고 매일 수분을 공급하면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3.10부터 2007.4.30까지의 50일간으로 하였으며, 시험 규모는 100립/처리×2호르몬 종처리×3호르몬 농도처리×3반복=1,800립으로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의 파종 개수, 발아 개수 및 상기 파종 개수에 대한 발아 개수의 비율로서 나타낸 발아율 (%)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호르몬 반복군 I 반복군 II 반복군 III 계 (평균발아율)
종류 농도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GA3 0% 100 6 6 100 5 5 100 7 7 300 18 6
3% 100 45 45 100 44 44 100 42 42 300 131 43
5% 100 44 44 100 43 43 100 39 39 300 112 37
NAA 0% 100 6 6 100 7 7 100 6 6 300 19 6
3% 100 12 12 100 15 15 100 13 13 300 40 13
5% 100 10 10 100 11 11 100 12 12 300 33 1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성장 호르몬을 처리한 경우 무처리 경우보다 발아율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GA3를 처리한 경우 발아율 증가 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실시예 3: 파종 온도별 발아율
2006.12.10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를 노천 매장으로 저장한 후 파종온도별(18℃, 22℃, 및 26℃)로 각 처리당 100립씩 (20립/파종접시, 파종접시 5개) 3회 반복으로 2007.3.10부터 2007.4.30까지 50일간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파종 용기로서 파종용 접시(패트리 디쉬)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증류수를 적신 탈지면을 깔고 매일 수분을 공급하면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3.10부터 2007.4.30까지의 50일간으로 하였으며, 시험 규모는 100립/처리×3온도 처리×3반복=900립으로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의 파종 개수, 발아 개수 및 상기 파종 개수에 대한 발아 개수의 비율로서 나타낸 발아율 (%)을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파종 온도 반복군 I 반복군 II 반복군 III 계 (평균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18℃ (저온파종) 100 5 5 100 3 3 100 4 4 300 12 4
22℃ (중온파종) 100 35 35 100 38 38 100 42 42 300 115 38
26℃ (고온파종) 100 36 36 100 37 37 100 39 39 300 112 3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온 파종의 경우보다, 중온 또는 고온 파종의 경우 발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 이하의 저온 조건에서는 발아율이 4%로 종자의 수분 팽윤이 충분하였으나 대부분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2℃와 26℃의 파종온도에서는 약 1달간의 수분 팽윤 후 발아가 시작되었 으며 발아율도 38%와 37%로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희수나무 종자의 파종 온도는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4: 저장 조건별 발아율
2005.12.10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를 5일간 음지에서 5 내지 15℃의 온도 조건하에서 건조시킨 후, 아래의 3 가지 방법으로 저장 한 후, 2006.3.20에 파종하고 (저장기간: 205.12.10~2006.3.20), 파종일로부터 60일 후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1) 기건 저장: 상기 음지에서 건조된 희수나무 종자를 비닐봉지에 넣어 실온 (5 내지 15℃)에 보관,
2) 저온 저장: 수분 함량이 70%인 습윤한 모래와 희수나무 종자를 중량 기준으로 3:1로 섞은 후 0 내지 4℃의 저온 냉장고에 저장,
3) 노천 저장: 모래와 종자를 3:1로 하여 노천에 매장 (토양이 경사지고 배수와 관리가 간편한 양파망에 넣고 다시 플라스틱 화분에 온실 옆에 구덩이를 파고 설치류 피해가 없도록 철망을 위 아래로 덮고 약간 볼록하게 흙을 덮어 매장하였다.)
파종 용기로서 파종용 지피 포트를 사용하였고, 파종 립수는 포트당 2 내지 3립으로 하였다. 시험규모는 3 저장 처리 × 3반복 × 반복당 30개 = 270 포트로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의 파종 개수, 발아 개수 및 상기 파종 개수에 대한 발아 개 수의 비율로서 나타낸 발아율 (%)을 아래의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4]
저장방법 반복군 I 반복군 II 반복군 III 계 (평균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파종 발아 발아율
기건저장 30 9 30 30 8 27 30 6 20 90 23 26
노천 매장 30 16 53 30 13 43 30 12 40 90 41 46
저온 저장 30 13 43 30 11 37 30 11 37 90 35 39
상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희수나무 종자의 저장방법별 발아율은 기건저장에서 26%, 노천 매장 처리에서 46%, 저온저장에서 39%로 평균 37.0%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기건저장에 비해 저온저장 및 노천매장 방법의 경우 발아율이 보다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3:1로 섞인 습윤한 모래가 충분한 수분을 유지해 주고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주어 저장기간 동안 종자의 생명력을 유지시켜 발아하는데 유리하도록 층화를 촉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희수나무 종자의 파종 시기별 발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희수나무 종자의 저장 방법별 발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1)

  1.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에 있어서,
    희수나무 종자의 파종시 지베렐린류 호르몬 및 옥신류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성장 호르몬을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 호르몬은 지베렐린 GA3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배가 위치하는 긴 지름 방향의 가운데 선을 포함하여 1 내지 3 mm 너비의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거된 것인 방법.
  4.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에 있어서,
    희수나무 종자의 파종시 온도를 20 내지 28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시 온도가 22 내지 26 ℃인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배가 위치하는 긴 지름 방향의 가운데 선을 포함하여 1 내지 3 mm 너비의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거된 것인 방법.
  7.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에 있어서,
    희수나무 종자를 -7 ℃ 내지 10 ℃에서 60 내지 180일 동안 저장한 후, 파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수분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으로 유지되고 상기 희수나무 종자 중량의 2 내지 5배인 모래와 혼합되어 저장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희수나무 종자 중량의 2 내지 5배인 모래와 혼합되어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중의 60 내지 180일의 기간 동안 노천의 토양에 지면에서 5 내지 20 cm 깊이에 매장되어 저장된 것인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수나무 종자는 배가 위치하는 긴 지름 방향의 가운데 선을 포함하여 1 내지 3 mm 너비의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거된 것인 방법.
  11.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3 가지 처리 중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수나무 종자의 발아 방법:
    1) 파종시 희수나무 종자에 지베렐린류 호르몬 및 옥신류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식물성장 호르몬을 0.1 내지 10중량%의 농도로 처리;
    2) 20 내지 28 ℃의 온도 조건에서의 파종; 및
    3) 채종된 희수나무 종자를 파종시까지 -7 ℃ 내지 10 ℃의 온도 범위에서 60 내지 180일 이하의 기간 동안의 저장.
KR1020080012864A 2008-02-13 2008-02-13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KR10097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64A KR100978888B1 (ko) 2008-02-13 2008-02-13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64A KR100978888B1 (ko) 2008-02-13 2008-02-13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553A true KR20090087553A (ko) 2009-08-18
KR100978888B1 KR100978888B1 (ko) 2010-08-30

Family

ID=4120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864A KR100978888B1 (ko) 2008-02-13 2008-02-13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8767A (zh) * 2012-05-08 2012-09-19 杨达宇 一种促进凤丹种子萌发的方法
KR101412055B1 (ko) * 2013-05-30 2014-06-26 대한민국 액체질소를 사용한 왕벚나무 종자 발아 방법
KR101412052B1 (ko) * 2012-06-27 2014-06-27 대한민국 왕벚나무 종자 발아 유도 방법
CN104206070A (zh) * 2014-08-21 2014-12-17 山东胜伟园林科技有限公司 一种解除单叶蔓荆种子在改造盐碱地时休眠的方法
CN105638028A (zh) * 2016-02-02 2016-06-0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一种促进海菜花种子成熟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87B1 (ko) * 1994-10-10 1997-01-28 흥농종묘 주식회사 종자의 펠렛코팅 처리방법
KR200340882Y1 (ko) * 2003-07-03 2004-02-11 이강수 돌꽃속의 입묘율 향상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8767A (zh) * 2012-05-08 2012-09-19 杨达宇 一种促进凤丹种子萌发的方法
KR101412052B1 (ko) * 2012-06-27 2014-06-27 대한민국 왕벚나무 종자 발아 유도 방법
KR101412055B1 (ko) * 2013-05-30 2014-06-26 대한민국 액체질소를 사용한 왕벚나무 종자 발아 방법
CN104206070A (zh) * 2014-08-21 2014-12-17 山东胜伟园林科技有限公司 一种解除单叶蔓荆种子在改造盐碱地时休眠的方法
CN105638028A (zh) * 2016-02-02 2016-06-0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一种促进海菜花种子成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88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2563A (zh) 薄壳山核桃硬枝同期扦插嫁接复合育苗方法
KR100978888B1 (ko) 희수나무 종자 발아 방법
CN106613274B (zh) 一种草乌头种子育苗方法
CN106359087A (zh) 一种天门冬组培快繁育苗方法
CN113951140B (zh) 一种促进华重楼幼嫩植株快速繁殖种苗的方法
CN108934679B (zh) 一种棘茎楤木的根插育苗与幼苗管养方法
CN112753393B (zh) 一种构树根繁方法
KR101195243B1 (ko) 우산고로쇠나무 실생 번식방법
CN111685127B (zh) 一种促使植物无性繁殖的诱导剂及其应用
Singh Effect of auxins and rooting media on rooting in stem cutting of mulberry (Morus nigra L.)
KR101893753B1 (ko) 빌레나무의 실생번식 방법
CN110463455B (zh) 一种鲁中地区无花果硬枝扦插繁殖育苗的方法
CN109511534B (zh) 浆果种子播种繁殖方法
CN107258141B (zh) 一种梅花种子的萌发方法
CN113142058B (zh) 一种绣球荚蒾扦插繁殖的方法
KR101064947B1 (ko) 새우난초 엽절편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대량생산방법
CN112470902B (zh) 一种花椒芽苗菜的生产方法
CN108718739A (zh) 金槐扦插育苗方法
CN114793828A (zh) 一种烟草育苗基质及其制备和使用方法
GB2609995A (en) Cultivation method of seedling from seed of wild ancient tea tree and method for preparing seedling tea
JP6789612B2 (ja) 植物用発育向上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製造方法
CN113597844A (zh) 四翅滨藜种子处理方法及育苗方法
CN111616040A (zh) 一种应用穴盘培育番木瓜苗的方法
CN105532401A (zh) 以沼液为肥料和杀虫剂的钩藤大棚漂浮育苗方法
CN110214563A (zh) 一种利用iba处理促进景天科多肉植物叶插生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