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586A -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586A
KR20090086586A KR1020097011794A KR20097011794A KR20090086586A KR 20090086586 A KR20090086586 A KR 20090086586A KR 1020097011794 A KR1020097011794 A KR 1020097011794A KR 20097011794 A KR20097011794 A KR 20097011794A KR 20090086586 A KR20090086586 A KR 2009008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mbient light
light
vari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츠 크레베르만
군나르 크링훌트
레네 닐슨
마르틴 에크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9008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02F1/13476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in which at least one liquid crystal cell or layer assumes a scattering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reflection or variable-refrac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4Metal hydrides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장치는 광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 1 상태에 기반하여 투과 상태에 있고 제 2 상태에 기반하여 반사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 전환 가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1020097011794
가변 반사율, 액정 디스플레이, 백 라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Description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DISPLAY WITH VARIABLE REFLECTIVIT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들은 반사형,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반투과형 LCD에서, LCD의 후면에 위치한 광원에서의 빛은 LCD를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투과형 LCD는 어두운 또는 보통의 주변 조명 상태에서 양호하게 작용하지만, 주변 조명이 밝을 때 불량하게 작용한다.
반사형 LCD에서, 주변 조명은 디스플레이(display)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의 후면에 위치되어 있는 반사기는 LCD를 통과하는 주변의 빛을 반사하여 LCD를 조명한다. 그러나, 반사형 LCD는 어두운 주변 빛 상태들에서 양호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2개의 모드들로 동작한다. 제 1 모드는 어두운 또는 보통의 주변 빛 상태에서 이상적인 투과 모드이다. 투과 모드에서, LCD의 후면에 위치된 예를 들어 백색광원에서의 빛은 광 가이드(light guide)를 통해 다양한 LCD 층들을 통하도록 지향된다. 제 2 모드는 밝은 주변 빛 조전들에 이상적인 반사 모드이다. 반사 모드에서, LCD의 전면 측으로 진입하는 주변 빛은 하나 이 상의 LCD 층들을 가로지른 이후에 LCD 및 LCD의 후면 상의 광 가이드 사이에 위치된 반사막에 의해서 역으로 반사된다.
이 장치가 갖는 주 단점은 반사막이 백 라이트(back light)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즉, 반사막은 어두운 주변 빛 상태 동안에 LCD를 백라이팅(backlighting)하도록 동작하는 광 가이드를 통해서 지향되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반사막과 관련된 고반사율은 낮은 투과율을 의미하고 그 역도 마찬가지다.
반사막에 의한 투과율 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해, 증가된 백라이트 강도가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사막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 비해 더 높은 전력 소비가 발생된다. 이 높은 전력 소비로 인해서 배터리 전력이 조명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서의 전력 관련 문제들, 예를 들어 배터리 재충전의 시간 간격이 더 짧아지는 것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한 양상에 따르면, 이동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또는 광 가이드 및 상기 광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배치되는 가변 반사 컴포넌트(component)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제 1 상태에 기반하여 투과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2 상태에 기반하여 반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주변 빛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소정의 레벨보다 더 어두운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은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power suppl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 1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으로의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어두울 때 상기 광 가이드를 통해 지향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조명되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클 때 주변 빛에 의해 조명되도록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막은 전이 금속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소정의 레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 대한 설정점보다 어두운 하나 이상의 주변 빛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소정의 레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 대한 설정점보다 밝은 하나 이상의 상기 주변 빛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로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상태는 제 1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레벨보다 밝은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주변 빛 레벨들과 관련될 수 있고 상기 가변 반사 장치는 상기 주변 빛 레벨들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 모드 및 상기 반사 모드 간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주변 빛 상태들에 기반하여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의 상기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제 1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거나 턴오프(turn-off)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주변 빛 상태들에 기반하여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를 상기 투과 모드 및 상기 반사 모드 간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방법은 디스플레이 및 가변 반사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외부 빛 레벨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1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변 반사기를 투과 상태에서 반사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 2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변 반사기를 상기 반사 상태로부터 상기 투과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은 상기 제 1 감지된 빛 레벨보다 어둡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반사기를 투과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반사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반사기를 상기 반사 상태로부터 상기 투과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반사기에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가변 반사기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과원을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장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조명 수단 위에 위치된 반사기 수단 및 상기 장치와 관련된 주변 빛 레벨 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반사기 수단의 반사량을 변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반사량을 변화하는 수단은 상기 주변 빛 레벨들에 기반하여 전력을 상기 반사기 수단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광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상태에 기반하여 투과 상태에 있고 제 2 상태에 기반하여 반사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전환 가능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주변 빛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 및 소정의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환 가능 장치를 상기 투과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은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환 가능 장치를 상기 반사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환 가능 장치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환 가능 장치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환 가능 장치는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환 가능 장치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전력을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주변 빛이 소정의 레벨보다 어두울 때 지향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조명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을 때 주변 빛에 의해 조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상태는 제 1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레벨보다 밝은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하나 이상의 빛을 턴오프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장치는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걸쳐 배치된 가변 반사 소자. 및 입력 메커니즘(mechamism)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밝게 하거나 또는 어둡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관련된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입력 메커니즘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 소자가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모드에 기반하여 투과 상태 또는 반사 상태에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바로 이해될 것이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예상되는 가장 양호한 모드의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모두, 여러 명백한 점들에 있어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면들은 사실상 설명적으로서 고려되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고려되지 말아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할 때, 동일한 참조 번호가 지정된 요소들은 전체에 걸 쳐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 단말기의 도;
도 2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컴포넌트들을 설명하는 도;
도 3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설명하는 도;
도 4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을 도시한 도;
도 5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4의 가변 반사기의 부분들을 도시한 도;
도 6은 이동 단말기에 의한 예시적인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을 도시한 도; 및
도 8은 도 7의 구현예에 부합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예시적인 프로세싱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다.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임을 나타낸다. 또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대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다.
도 1은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 단말기(100)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이동 단말기의 맥락으로 기술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멀티라인(multi-line) 디스플레이를 구비 또는 구비하지 않은 셀룰러 무선전화기; 셀룰러 무선전화기를 데이터 프로세싱,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케이퍼빌리티(capability)와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전화기, 페이저(pager),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전자 수첩, 달력 및/또는 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및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탑(palmtop) 수신기 또는 무선전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어플라이언스(applian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들은 또한 "편재형 컴퓨팅(pervasive computing)" 장치로서 칭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또한 미디어 재생 케이퍼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다른 통신 기능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PDA, 미디어 재생 장치(예를 들어 MPEG 오디오 레이어 3(MP3) 재생기, 비디오 게임 재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하우징(110), 스피커(120), 디스플레이(130), 제어 버튼들(140), 키패드(150), 및 마이크로폰(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부 요소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을 보호할 수 있다. 스피커(120)는 가청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인입하거나 발신하는 전화 호출들 및/또는 발신한 전자 메일(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들, 단문 문자 서비스(SMS) 메시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컨택(contact) 목록, 현재 시각, 사용자에 의해 플레잉되는 비디오 게임들, 다운로드된 콘텐츠(예를 들어 뉴스 또는 다른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광 가이드 및 디스플레이(130)의 후면에 위치된 조정 가능 또는 전환 가능 반사기를 포함한 반투과형 LCD일 수 있다. 조정 가능 반사기는 디스플레이(130)가 어두운 조명 상태들 동안,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을 때 효율적으로 후방 조명되도록 한다. 조정 가능 반사기는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 관한 주변 또는 외부 빛이 LCD를 조명하는 밝은 주변 조명 상태들 동안 LCD를 통하여 후방으로 효율적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조정 가능 반사기의 반사/투과량은 아래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특정 환경에 기반하여 조정되거나 전환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130)를 조명하는데(예를 들어 백라이팅)에 관한 전력 요건들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빛 상태들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용이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버튼들(140)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전화 호출을 행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것 과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들(140)은 다이얼 버튼, 종료 버튼, 재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버튼들(140)은 디스플레이(130)에 관련된 다양한 조명 설정들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버튼들(140) 중 하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조정 가능 반사기와 관련된 반사 모드 및 조정 가능 반사기용 투과 모드 사이를 토글(toggle)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버튼들(140) 중 하나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설정들을 보도록 하는 메뉴 버튼일 수 있다. 메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또한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 사이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조정 가능한 반사기를 토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키패드(150)는 표준 전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0)은 사용자로부터 가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버스(210), 프로세싱 로직(220), 메모리(230), 입력 장치(240), 출력 장치(250), 전력 공급원(260) 및 통신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는 이동 단말기(100)가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또는 상이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데 하나 이상의 모듈레이터(modulator)들,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들, 인코더(encoder)들, 디코더(decoder)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로직(220)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r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로직(220)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명령들/프로그램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싱 로직(220)에 의한 실행을 위한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램(RAM) 또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장치; 프로세싱 로직(220)에 의한 사용을 위한 정적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롬(ROM) 또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장치;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장치; 및/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마그네틱 또는 광학 기록 매체 및 이의 대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또한 프로세싱 로직(220)에 의한 명령들의 실행 동안 임시 변수들 또는 다른 매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로직(220)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들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로직(220)에 의해 접근 가능한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 및/또는 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40)는 동작자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하도록 하는 메커니즘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0), 키패드(150), 제어 버튼들(140),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인식 및/또는 생체 인식 메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40)는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다양한 외부 상태들을 식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40)는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고 있는 환경에서 주변 빛 상태들을 검출하고/하거나 측정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출력 장치(25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130)와 같은 디스플레이, 프린터, 스피커(1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 등을 포함한다. 전력 공급원(260)은 이동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또는 다른 전력 공급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260)은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공급원(260)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로의 전력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장치들 및/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하도록 하는 임의의 송수신기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모뎀 또는 LAN으로의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송신기, 수신기 또는/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또한 RF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전화 호출을 행하고 수신하며, 전자 메일, 텍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며, 음악 파일들, 비디오 파일들, 멀티미디어 파 일들, 게임들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들을 재생하고, 그리고 다양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또한 디스플레이(130)의 컴포넌트들과 관련된 반사율을 바꾸거나 변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230)와 같은 컴퓨터 판독 매체에 포함된 명령들의 시퀀스(sequence)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로직(220)에 응답하여 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령들은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다른 컴퓨터 판독 매체로부터 메모리(230)로 판독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 및/또는 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내장 회로 소자는 본 발명에 부합하는 프로세스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명령들 대신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들은 하드웨어 회로 소자 및 소프트웨어의 어떤 특정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컴포넌트들의 기능 관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 로직(310), 광센서(320), 디스플레이(130) 및 전력 공급원(26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프로세싱 로직(220)에 포함될 수 있고 광센서(320)는 입력 장치(240)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고 있는 특정한 환경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130)의 반사율의 정도를 바꾸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광센서(320)는 주변 조명 상태들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 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특정 환경에 대응하는 빛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130)의 컴포넌트들의 반사율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디스플레이(130)와 관련된 반사/투과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감지된 주변 또는 외부 빛 상태들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원(260)에 자동으로 신호를 보내거나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제어 버튼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30)의 반사/투과량에 관련된 모드를 조정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의 반사/투과량에 관련된 모드를 변경 또는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디스플레이(130) 및/또는 전력 공급원(260)을 제어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1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더 양호한 반사모드에서 더 양호한 투과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다.
광센서(320)는 주변 빛을 수용하여 주변 빛 상태들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320)는 주변 빛 상태들을 연속해서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고 이 신호/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는 반투과형 LC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130)가 자체의 반사/투과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막들/층들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일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광 가이드(410), 가변 반사기(420), LCD(430), 및 광원(4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410)은 빛을 광원(440)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상향하여 가변 반사기(420) 및 LCD(430)를 통하도록 지향하는 종래의 광 가이드일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변 반사기(420)는 반사/투과량이 예를 들어 전력의 인가에 기반하여 변화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막들 또는 층들을 나타낸다. 이런 유형의 전환은 전기변색(electrochromic) 전환으로서 칭해질 수 있다.
LCD(430)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임의의 유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광원(440)은 발광 다이오드(LED), 형광(fluorescent) 광원, 백열 광원 등과 같은 종래의 광원일 수 있다. 간소화를 위해 단지 하나의 광원만이 도시된다. 광원(440)은 다수의 LED들과 같이, 다수의 개별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낮은 또는 정상 레벨 빛 상태들 동안, 도 4에서 점선(452)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440)으로부터의 빛은 광 가이드(410)를 통하여 지향되어 가변 반사기(420) 및 LCD(430)를 통과할 수 있다. 높은 레벨 빛 상태들 동안, LCD(430)의 노출면에 입사하는 주변 빛은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LCD(430)를 조명하기 위해서, 도 4에서 점선(46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LCD(430)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가변 반사기(420)에서 반사하여 다시 역으로 실질적으로 LCD(430)를 통하여 투과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가변 반사기(20)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 서, 가변 반사기(420)는 전이 금속 전환 가능 거울(transsition metal switchable mirror: TMSM) 기반 막/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TMSM 막들은 예를 들어 전력의 인가, 수소 가스와 같은 특정 가스에 대한 노출에 기반하거나, 또는 다른 요인들에 기반하여 투명 및 반사 상태들 사이를 교호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막(510)은 가변 반사기(420)에 인가되는 전력에 기반하여 반사 및 투명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기(420)는 전력 공급원(260)에 접속된 막(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260)은 막(510)에 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막(510)은 철, 니켈, 구리, 코발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전이 금속들과 같은 전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막(510)은 다양한 전이 금속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이 금속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합금들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이 금속들을 포함하는 막, 예를 들어 막(510)에 전력을 인가하면 그 막의 투과/반사량이 변화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막(510)에 전력이 인가되면, 막(510)은 현저한 투과 또는 투명 상태로부터 현저한 반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막(510)은 통상적으로 빛이 거의 반사 또는 굴절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하는 투과 또는 투명막일 수 있다. 전력이 인가되면, 막(510)은 현저한 반사 상태로 전이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전력이 제거되면, 막(510)은 투과 상태에 다시 복귀 또는 원래대로 변환될 수 있다. 투과 상태에서 반사 상태로의 전환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양상들을 제어하여 넓은 범위의 조명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0)의 가시도(visibility)를 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에 의한 프로세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싱은 이동 단말기(100)가 작동할 때 시작할 것이다. 광센서(320)는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환경에서 주변 조명 상태들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동작 610). 광센서(320)는 또한 주변 조명 상태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상기 주변 조명 상태들이 소정의 조명 임계치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동작 620). 예를 들어, 상기 임계치는는 디스플레이(130)의 정상적인 백라이팅이 주변 빛으로부터의 시각에 대한 역효과들이 거의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를 용이하게 보게 하는 적합한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상의 실내 조명을 갖는 환경에서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고 광원(3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에 제공된 정보는 상기 조명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임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가변 반사기(420)의 투과/반사량을 조정하는 것에 관하여 어떠한 동작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가동 시에, 가변 반사기(420)는 투과 모드에 있다(예를 들어 전력이 막(510)에 공급되지 않고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가변 반사기(42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어서, 가변 반사기(420)가 투과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동작 630).
그러나,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주변 조명 상태들이 상기 소정의 임계 치 이하가 아니라고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적으로 맑은 날에 밖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광센서(320)로부터의 주변 조명 정보는 주변 빛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임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그리고 나서 가변 반사기(420)가 반사 상태로 변환하도록 한다(동작 6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전력을 막(510)에 제공하기 위해 전력 공급원(260)과 관련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막(510)에 전력의 인가 시에, 막(510)은 투과 또는 투명 상태에서 반사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반사 상태에서, LCD(430)(도 4)를 통과하여 투과된 주변 빛은 LCD(430)를 조명하기 위해 막(510)에 의해 효율적으로 LCD(430)를 통하여 역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또한 주변 빛이 LCD(430)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이 상태 동안 자동으로 광원(440)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거나 광원(440)을 턴오프할 수 있다. 즉, 막(510)이 반사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주변 빛이 LCD(430)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이 상태 동안 광원(440)을 턴오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광원(440)을 통하여 제공되는 백라이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높은 주변 빛 상태들 동안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 조명 상태들에서의 변화가 발생할 때까지 반사 상태에 있는 가변 반사기(420)에 의해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실내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하자. 광원(320)은 주변 조명 상태들을 검출하고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으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그리고 나서 상기 빛 상태들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동작 620). 이 경우에, 조명 상태들은 소정의 임계치 이하라고 가정하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그리고 나서 상기 반사 상태로부터 다시 원래의 투과 상태로 가변 반사기(420)를 전환할 수 있다(동작 63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막(51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기 위해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지시하고 또는 전력 공급원(260)과 관련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막(510)으로의 전력의 제거 시에, 막(510)은 투과 상태로 복귀하거나 다시 변환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광원(440)은 가변 저항기(420)(예를 들어 막(510))가 투과 상태에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LCD(430)를 백라이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 방식으로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가변 저항기(420)는 주변 조명 상태들에 기반하여 자신의 투과/저항성 또는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반사 상태에서 투과 상태 그리고 그 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광 가이드(710),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PNLCD)(720), 박막 트랜지스터(TFT)(730) 및 광원(7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710)는 빛을 광원(740)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PNLCD(720) 및 TFT(730)를 상향하여 통과할 때까지 지향하는 광 가이드(410)와 유사한 종래의 광 가이드일 수 있다.
PNLCD(720)는 임의의 PNLCD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NLCD(720)는 하나 이상의 액체 크리스탈/중합체 복합 층들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들과 결합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크리스탈/중합체 층(들)은 PNLCD(72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리 기반 층들(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반 층들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PNLCD(720)의 반사/투과성은 전력 인가에 기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PNLCD(720)는 전압이 PNLCD(720)에 공급되지 않을 때 매우 투과적인/투명할 수 있다. 그러나, PNLCD(720)에 전력이 공급되면, PNLCD(720)는 아래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반사적으로 될 수 있다.
TFT(730)는 디스플레이(130)의 픽셀들과 관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어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픽셀 형성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13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기반하여 작동할 수 있는 그러한 픽셀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TFT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특정 컬러와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단색 픽셀일 수 있다. 광원(740)은 LED, 형광성 광원, 백열성 광원 등과 같은 종래의 광원(상술한 광원(440)과 유사한)일 수 있다. 간소화하기 위해 단 하나의 광원(740)만이 도시된다. 광원(740)은 다수의 LED들과 같이, 다수의 개별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낮은 또는 정상 레벨의 빛 상태 동안, 광원(740)으로부터의 빛은 도 7에서 점선(752)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 가이드(710)를 지향하여 통하고 PNLCD(720) 및 TFT(730)를 통과할 수 있다. 높은 레벨의 빛 상태 동안, 디스플레이(130)의 노출된 면으로 입사되는 주변 빛은 도 7에서 점선(76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TFT(730)를 통과하고 실질적으로 PNLCD(720)에서 반사하여 나가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PNLCD(720)를 통해서 역으로 회귀 투과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130)를 조명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의한 프로세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싱은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켤 때 시작될 수 있다. 광 센서(320)는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환경에서 주변 조명 상태들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동작 810). 광 센서(320)는 또한 주변 조명 상태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주변 조명 상태들이 소정의 조명 임계치보다 어두운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동작 820). 예를 들어, 상기 임계치는 디스플레이(130)의 정상적인 백라이팅이 주변 빛으로부터의 시각에 대한 역효과들이 거의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를 용이하게 보게 하는 적합한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상의 실내 조명을 갖는 환경에서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고 광원(3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에 제공된 정보는 상기 조명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임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PNLCD(720)의 투과/반사량을 조정하는 것에 관하여 어떠한 동작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전원이 켜질 때, PNLCD(720)는 투과 모드(예를 들어 PNLCD(7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전력을 PNLCD(720)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어서, PNLCD(720)가 투과 상태에 있도록 한다(동작 830).
그러나,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주변 조명 상태들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를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적으로 맑은 날에 밖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광 센서(320)로부터의 주변 조명 정보는 주변 빛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PNLCD(720)가 반사 상태로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전력을 PNLCD(7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전력 공급원(260)에 관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PNLCD(720)로의 전력 인가 시에, PNLCD(720)는 투과 또는 투명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반사 상태에서, TFT(730)(도 7)를 통해 송신된 주변 빛은 디스플레이(130)를 조명하기 위해 PNLCD(720)에 의해 TFT(730)를 통해서 역으로 효율적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또한 주변 빛이 디스플레이(130)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이 상태 동안 광원(740)으로부터의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광원(740)을 턴오프할 수 있다. 즉, PNLCD(720)가 반사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주변 빛이 디스플레이(130)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광원(740)을 턴오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광 원(740)을 통해 제공되는 백라이팅이 요구되지 않는 높은 주변 조명 상태들 동안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 빛 상태의 변화가 발생할 때까지 반사 상태에 있는 PNLCD(720)에 의해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실내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광 센서(320)는 주변 조명 상태들을 검출하고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에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조명 상태들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동작 820). 이 경우에, 조명 상태들은 소정의 임계치 이하에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PNLCD(720)를 반사 상태에서 투과 상태로 원래대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PNLCD(72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기 위해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명령을 하거나 전력 공급원(260)과 관련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NLCD(720)로의 전력 제거 시에, PNLCD(720)는 투과 상태로 복귀 또는 원래대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광원(740)은 PNLCD(720)가 투과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30)를 효율적으로 백라이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계속해서 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 조명 상태들에 기반하여 투과/반사성 또는 PNLCD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들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 빛 레벨들에 기반하여 가변 반사기(420)/PNLCD(720)의 투과/반사성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어 버튼들(140) 중 하나 및/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옵션 메뉴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여 가변 반사기(420) 또는 PNLCD(720)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밝은 주변 조명 상태와 같이, 디스플레이(130)를 명확히 볼 수 없을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와 관련된 실외/반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막(510)/PNLCD(720)를 반사 상태로 만들기 위해 막(510) 또는 PNLCD(72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실내로 이동할 때 사용자는 실외/반사 모드를 돌려서 실내/투과로 설정하여 막(510)/PNLCD(720)에 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막(510)/PNLCD(720)이 투과 상태로 회귀하여 광원(440/740)에 의한 디스플레이(130)의 효율적인 백라이팅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구현예들에서, 단일 가변 반사기 장치(즉, 가변 반사기(420) 또는 PNLCD(720))는 가변 반사/투과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다수의 가변 반사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가변 반사기(420) 또는 PNLCD(720)는 광 가이드(410) 및/또는 LCD(430)/TFT(730)의 후면의 전체 표면과는 달리, 특정 요건들에 기반하여 단지 광 가이드(410/710)의 일부 및/또는 LCD(430)/TFT(730)의 후면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가변 반사기(420) 또는 PNLCD(720)와 같은, 가변 반사기 장치는 관심있는 특정 아이템들을 하이라이트(highlight)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에들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장치의 키보드/키 패드는 타이핑 모드 또는 카메라 모드와 같은 2가지 모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가변 반사기(420) 또는 PNLCD(720)는 특정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키보드/키패드의 특정 에어리어(area)들을 선택적으로 암전(blacken out)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고 키패드(150) 상의 어떤 키들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즉, 카메라 모드에서 기능을 갖지 않는). 이 시나리오에서, 다수의 막들(510)은 선택된 에어리어들에서 키패드(15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키패드(150)에서의 특정 키들이 어두워지거나 암전되도록 할 때,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키패드(150)의 일부가 어두워지거나 암전되어야 하는 에어리어들에 위치된 막(들)(5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하지 않기 위해서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빛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다)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전력 공급원(260)에 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명령을 해서 선택된 에어리어들에 위치된 다수의 막들(51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그 막들(510)이 반사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광원(440)으로의 빛은 그 선택된 에어리어들에서 되돌아서 반사되어, 그 막들(510) 위에 위치된 키패드(150)의 키들이 어두워지거나 암전되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광원(440)으로부터의 빛은 막들(510)이 반사 상태에 있지 않은 다른 에어리어들을 통과하므로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드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이 키들이 조명될 것이다. 이는 조명 LCD(430)에 대해 상술한 바와는 반대 경우이다. 즉, 디스플레이의 어떤 에어리어들을 어둡게 하거나 암전하기 위해 전력은 막(510)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유사하게, 주변 빛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즉, 이동 단말기(100)가 맑은 알에 외부에서 사용되고 있는)일 때, 디스플레이 제어 로직(310)은 막(510)의 일부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키패드(150)의 선택된 부분들이 보이지 않을 것이며(예를 들어 어두워지거나 암전될 것이다), 반면에 다른 키들은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특정 모드에 기반하여, 조명될 것이다.
PNLCD(720)는 막(510)으로써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디스플레이(130)의 특정 에어리어들을 선택적으로 어둡게 하거나 암전할 수 있다. 즉, PNLCD(720)의 일부분에 전력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특정 모드에 기반하여 특정 키들을 어둡게 하거나 보이는 것을 저지한다.
이 방식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기들(420) 또는 PNLCD(720)들은 키패드, 키보드 또는 다른 입력 장치의 측정 부분들을 하이라이트하고/하거나 어둡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동작 모드들만이 이 구현예들에서 상술되었을지라도(즉, 타이핑 모드 및 카메라 모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관한 추가 모드들이 존재할 수 있음이(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모드, 전화 모드 등) 이해되어야 한다. 각각의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기들은 입력 장치의 특정 부분들을 하이라이트하고/하거나 어둡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기들(420) 또는 PNLCD(720)들은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호출을 행하거나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실제로 수행하지 않는 대기 모드 중에 디스플레 이(130)의 특정 부분들이 보이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주변 빛 상태들에서의 대기 모드 중에, 주변 빛은 현재 시각, 배터리 수명 등과 같은 특정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디스플레이(130)의 부분에 대해 조명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변 반사기(420)/PNLCD(720) 부분들은 특정 에어리어에서만 반사하도록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주변 조명으로 하여금 현재 시각, 배터리 수명 등과 같은 희망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디스플레이(130) 부분을 하이라이트하는데 반사되도록 한다. 이 방식으로, 막(510) 및/또는 PNLCD(720)과 같은 가변 반사 장치 부분들은 희망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선택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결론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들은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투과/반사성 또는 상태가 특정 환경에 기반하여 조정되거나 전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유용하게도, 이는 어떤 주변 조명 상태들에서도 디스플레이를 보는 사용자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투과/반사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구현예들에서, 입력 메커니즘의 부분들은 입력 메커니즘을 통해 입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는 특정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앞서의 기술은 실례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철저히 규명하거나 개시된 바로 그러한 형식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 변형 및 변경이 상술한 내용의 관점에서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행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상들은 주로 이동 단말기의 맥락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임의의 유형의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투과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그리고 그 역으로 컴포넌트들을 변화시키는 것에 관해 기술되었다. 용어 투과 및 반사는 상대적이며 당업자 중 누구라도 투과 상태가 현저하게 투과하는 상태에 대응할 수 있고 반사 상태가 현저하게 반사하는 상태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다양한 정도의 투과성/반사성이 획득될 수 있다.
더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양상들은 막/PNLCD의 상태가 자신의 투과/반사성을 변화시키는 전이 금속 막 또는 PNLCD와 같은 막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었다. 다른 유형의 가변 반사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들에서, 간섭계식 모듈레이터(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기술, 마이크로 전기기계적 시스템들(MEMS), 또는 다른 기술이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구현예들에서, 반사 장치는 주변 빛 레벨에 기반하여 광학 경로로 그리고 광학 경로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기는 높은 주변 빛 상태들 동안 LCD(430) 뒤로 이동되고 낮은 또는 정상의 조명 상태 동안 광원(440)으로부터 빛의 광학 경로로부터 나올 수 있다.
더욱이, 일련의 동작들이 도 6 및 도 8에 대해서 기술되었을지라도, 동작들의 순서는 본 발명에 부합하는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달라질 수 있다. 게다가, 비종속 동작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양상은 방법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 중 누구에게도 명확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상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레지던트 소프트웨어(resident software), 마이크로-코드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 기술된 양상들은 명령 실행 시스템에 의한 또는 이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매체에서 구현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사용 가능,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본 발명의 원리와 부합하는 양상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전문 제어 하드웨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양상들의 동작 및 가동은 특정 소프트웨어 토드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계의 누구라도 본원에서의 설명에 기반하여 상기 양상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및 제어 하드웨어를 설계살 수 있음이 이해된다.
더욱이, 본원에 기술된 특정한 양상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로직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는 진술된 특징, 완전성,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기하는데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성,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사용된 어떠한 요소, 동작 또는 명령도 명확하게 그와 같이 기술되지 않으면 결정적이거나 필수적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관사 "a"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단 하나의 항목을 의도하는 경우, 용어 "one" 또는 유사한 어구가 사용된다. 더욱이,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절 "기반하는"은 명시적으로 달리 진술되지 않으면 "적어도 부분으로, 기반하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 또한 그의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29)

  1.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하나 이상의 광원;
    광 가이드; 및
    상기 광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배치되는 가변 반사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제 1 상태에 기반하여 투과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2 상태에 기반하여 반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빛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및
    로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직은
    소정의 레벨보다 더 어두운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은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 1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으로의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에 걸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어두울 때 상기 광 가이드를 통해 지향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조명되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을 때 주변 빛에 의해 조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막은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는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소정의 레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 대한 설정점보다 어두운 하나 이상의 주변 빛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소정의 레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 대한 설정점보다 밝은 하나 이상의 상기 주변 빛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로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제 1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레벨보다 밝은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주변 빛 레벨들과 관련될 수 있고 상기 가변 반사 장치는 상기 주변 빛 레벨들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 모드 및 상기 반사 모드 간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빛 상태들에 기반하여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의 상기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거나 턴오프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빛 상태들에 기반하여 상기 가변 반사 컴포넌트를 상기 투과 모드 및 상기 반사 모드 간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14. 디스플레이 및 가변 반사기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외부 빛 레벨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1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변 반사기를 투과 상태에서 반사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변 반사기를 상기 반사 상태로부터 상기 투과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된 외부 빛 레벨은 상기 제 1 감지된 빛 레벨보다 어두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기를 투과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반사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기를 상기 반사 상태로부터 상기 투과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반사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반사기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광원을 턴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 및
    상기 조명 수단 위에 위치된 반사기 수단; 및
    상기 장치와 관련된 주변 빛 레벨 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반사기 수단의 반사량을 변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량을 변화하는 수단은 상기 주변 빛 레벨들에 기반하여 전력을 상기 반사기 수단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하나 이상의 광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상태에 기반하여 투과 상태에 있고 제 2 상태에 기반하여 반사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전환 가능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주변 빛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 및
    로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직은
    소정의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환 가능 장치를 상기 투과 상태로 전환하고, 그리고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은 주변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환 가능 장치를 상기 반사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가능 장치는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환 가능 장치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막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가능 장치는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환 가능 장치가 상기 반사 상태에 있을 때 전력을 상기 중합체 네트워크 액정 디스플레이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주변 빛이 소정의 레벨보다 어두울 때 지향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조명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 빛이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더 밝을 때 주변 빛에 의해 조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제 1 레벨보다 어두운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레벨보다 밝은 주변 빛 상태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가 존재할 때 하나 이상의 빛을 턴오프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걸쳐 배치된 가변 반사 소자;
    입력 메커니즘; 및
    상기 입력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밝게 하거나 또는 어둡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관련된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커니즘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반사 소자가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모드에 기반하여 투과 상태 또는 반사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7011794A 2006-11-09 2007-05-09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KR20090086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58,204 2006-11-09
US11/558,204 US7859617B2 (en) 2006-11-09 2006-11-09 Display with variable reflecti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586A true KR20090086586A (ko) 2009-08-13

Family

ID=3852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794A KR20090086586A (ko) 2006-11-09 2007-05-09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59617B2 (ko)
EP (1) EP2080056A1 (ko)
JP (1) JP5114491B2 (ko)
KR (1) KR20090086586A (ko)
CN (1) CN101600986A (ko)
TW (1) TW200822034A (ko)
WO (1) WO2008056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2770B2 (en) 2008-05-21 2013-10-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rame seal methods for LCD
US8232958B2 (en) 2008-03-05 2012-07-3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High-contrast backlight
US9573346B2 (en) 2008-05-21 2017-02-2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hotoinitiated optical adhesiv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125163B2 (en) 2008-05-21 2012-02-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9812047B2 (en) 2010-02-25 2017-11-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the operating life of electronic displays
US20100225640A1 (en) * 2009-03-03 2010-09-09 Vieri Carlin J Switching Operating Modes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20100309412A1 (en) * 2009-06-05 2010-12-0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mbient light backlight for transmissive displays
CN101776821B (zh) * 2010-01-28 2011-11-23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使用该显示装置的电子设备
CN102947874B (zh) 2010-03-11 2016-08-17 皮克斯特罗尼克斯公司 反射和透射反射操作模式
US8659611B2 (en) * 2010-03-17 2014-02-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rame buffer storage and retrieval in alternating orientations
TW201207535A (en) * 2010-05-27 2012-02-16 E Ink Corp Dual mode electro-optic displays
US8363301B2 (en) 2010-06-16 2013-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smart light source capable of adjusting illumination direction
US20120050646A1 (en) * 2010-08-31 2012-03-01 Jiandong Huang Scattering Tunable Display Using Reflective and Transmissive Modes of Illumination
US9007277B2 (en) * 2010-10-28 2015-04-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US8770813B2 (en) 2010-12-23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backlight assembly
US8698940B2 (en) 2011-05-09 2014-04-15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Switchable imaging apparatus for viewing and capture
US8446514B2 (en) 2011-05-09 2013-05-21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Capturing images using a switchable imaging apparatus
US8610814B2 (en) * 2011-05-09 2013-12-17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Switchable imaging apparatus for display and capture
US9799306B2 (en) 2011-09-23 2017-10-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WO2013093672A1 (en) * 2011-12-23 2013-06-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gh power efficiency lcd
US8933916B1 (en) 2012-06-26 2015-01-13 Jeffrey B. Doar Ambient light sensing for display
US9483981B2 (en) 2012-06-27 2016-11-01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isplay adjustment
US20150338715A1 (en) * 2012-07-09 2015-11-26 Red Bull Gmbh Transparent display device
CN103309103B (zh) * 2013-06-13 2017-05-3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和半透半反液晶显示面板
JP6235841B2 (ja) * 2013-09-13 2017-1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10587219B1 (en) 2014-06-11 2020-03-10 Trinity A. Sandoval Solar panel defroster cover
WO2016017110A1 (ja) * 2014-07-31 2016-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5100977A1 (de) * 2015-01-23 2016-07-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Gerät zur Bearbeitung einer Oberfläche
US9466246B1 (en) 2015-03-16 2016-10-11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stacks with integrated ambient light sensors
US10607520B2 (en) 2015-05-14 2020-03-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10593255B2 (en) 2015-05-14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9924583B2 (en) 2015-05-14 2018-03-20 Mna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CN104914592B (zh) * 2015-05-18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6639653B2 (ja) 2015-09-10 2020-02-05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リソーシ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エラーのシステム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8009917A1 (en) 2016-07-08 2018-01-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image capture device data
US9964827B1 (en) * 2017-07-18 2018-05-08 A.U. Vista, Inc. Light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E112018005192T5 (de) * 2017-11-01 2020-06-18 Murakami Corporation Bildanzeigesystem
US10578658B2 (en) 2018-05-07 2020-03-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US10782276B2 (en) 2018-06-14 2020-09-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US11645029B2 (en) 2018-07-12 2023-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electronic displays
US10908863B2 (en) 2018-07-12 2021-02-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co-located operations data for an electronic display
CN109375447A (zh) * 2018-12-18 2019-02-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及电子设备
US11402940B2 (en) 2019-02-25 2022-08-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WO2020176416A1 (en) 2019-02-25 2020-09-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CN110299085B (zh) * 2019-06-28 2021-08-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221060B (zh) * 2020-03-11 2020-12-2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装置
US11526044B2 (en) 2020-03-27 2022-12-1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US11921010B2 (en) 2021-07-28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US11965804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CN113671738A (zh) * 2021-08-26 2021-11-19 苏州清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显示屏
US11972672B1 (en) 2022-10-26 2024-04-3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providing open and unlatched alert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948A (ja) * 1997-03-12 1998-09-25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制御方法
CN1375075A (zh) * 1999-04-20 2002-10-1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透反式显示器
US6647166B2 (en) 2000-08-17 2003-11-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ochromic materials, devices and process of making
US6759945B2 (en) * 2001-03-29 2004-07-06 Vtec Technologies, Inc. Variable transmittance birefringent device
JP2004061907A (ja) 2002-07-30 2004-02-2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4279669A (ja) * 2003-03-14 2004-10-07 Sharp Corp 表示システム
GB0322229D0 (en) 2003-09-23 2003-10-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display
US7218364B2 (en) 2003-10-31 2007-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ual mo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with electromechanical reflective array
JP2006162680A (ja) 2004-12-02 2006-06-22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0056A1 (en) 2009-07-22
CN101600986A (zh) 2009-12-09
US20080111958A1 (en) 2008-05-15
US7859617B2 (en) 2010-12-28
WO2008056276A1 (en) 2008-05-15
TW200822034A (en) 2008-05-16
JP2010509627A (ja) 2010-03-25
JP5114491B2 (ja)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586A (ko) 가변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US8289271B2 (en) Dual-function light guide for LCD backlight
US8289248B2 (en) Light sensor within display
EP2273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acklight intensit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ing detected intensity of ambient light
US8363015B2 (en) Automatic keypad backlight adjustment on a mobi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395880B2 (ja) 携帯コンピュータ機器用のバックライトの制御
US20110148832A1 (en) Transflective display
JP2011517345A (ja) 携帯機器の両面ディスプレイ
EP2316115B1 (en) Improved display for conditions of high ambient brightness
KR20100132492A (ko) 고대비 백라이트
JP2004096593A (ja) 通信端末装置
CA2692998C (en) Automatic keypad backlight adjustment on a mobi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