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492A - 고대비 백라이트 - Google Patents

고대비 백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492A
KR20100132492A KR1020107019115A KR20107019115A KR20100132492A KR 20100132492 A KR20100132492 A KR 20100132492A KR 1020107019115 A KR1020107019115 A KR 1020107019115A KR 20107019115 A KR20107019115 A KR 20107019115A KR 20100132492 A KR20100132492 A KR 2010013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layer
electrochromic
state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에이치. 톨버트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13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023Images formed with electrophoretic technology, e.g. by charged pigment particles rearranged by applied electric field, e.g. electronic paper or e-paper, active 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8Light emitting elements ambient light depend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44Edge lighting of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시성(viewability)이 증가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백라이트층, 백라이트층 위에 형성된 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 위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그 위에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전기변색층은 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스위칭 전압의 인가시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간에서 스위칭가능하고, 선택되는 상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명 조건에 기초한다.

Description

고대비 백라이트{HIGH-CONTRAST BACKLIGHT}
모바일 단말기 또는 모바일 전화기의 인기와 사용은 지난 20년 동안 급등해왔다. 변형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 중 다수는 키패드, 쿼티(QWERTY) 자판 등과 같은 소정 형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은 백열 또는 형광 조명 하에서의 실내; 직사광선 하에서의 실외; 어두움 등과 같은 다양한 서로 다른 조명 환경들에서 사용 또는 작동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장치가 사용될 조명 조건에 따라, 키들 또는 키 식별자들의 가시성(visibility)이 달라질 수 있다.
알려진 키보드 또는 키패드들은 전형적으로 인쇄된 키 식별자 또는 백라이트 키(backlit key)들을 포함한다. 인쇄된 키 식별자들의 경우에는, 어두운 환경에서 키들을 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떠한 광원도 이용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백라이트 키 또는 키패드들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키 식별자들을 환하게 하는 소정 형태의 광원을 이용한다. 불행하게도, 기존의 백라이트 시스템들은 키 식별자들이 매우 밝은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보기에 충분한 대비를 갖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백라이트층, 백라이트층 위에 형성된 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 위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그 위에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은 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스위칭 전압의 인가시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간에서 스위칭가능할 수 있고, 선택되는 상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명 조건에 기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고, 로직은 표면층 상의 그래픽 소자를 시인(視認)하는 것이 백라이트층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향상되도록,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두는 것과 광원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로직은 표면층 상의 그래픽 소자를 시인하는 것이 전기변색층으로부터 반사된 주변 광에 의해 향상되도록,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두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동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직은 제2 동작 모드에서 백라이트층을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주변 조명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명 조건은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한다.
또한, 표면층은 키패드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소자는 키패드 표면층 상의 다수의 키에 대응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컨택트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판(PCB)층, 및 PCB층 위에 형성되고, 다수의 컨택트 및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키 중 선택된 키를 누르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스위치 소자와 컨택트 간에 물리적 접촉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층 또는 표면층 중 하나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 다수의 컨택트 및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돌출부는 다수의 키와 다수의 스위치 소자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표면층은 다수의 구별되는 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은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은 망간 니켈 합금을 포함한다.
또한, 전기변색층은 제1 투명 도전체층, 제1 투명 도전체층 위에 형성된 이온 저장층, 이온 저장층 위에 형성된 이온 도전층, 이온 도전층 위에 형성된 반사성 전기변색층, 및 반사성 전기변색층 위에 형성된 제2 투명 도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저장층 및 반사성 전기변색층은 전력 공급장치로부터 스위칭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변색층 및 제2 전기변색층 각각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키패드 어셈블리, 프로세서, 및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그 위에 포함하는 표면층, 표면층 아래에 형성된 전기변색층, 및 전기변색층 아래에 형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은 전력 공급장치로부터 전기변색층으로 스위칭 전압을 인가하라는 프로세서로부터의 명령시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가능할 수 있고, 상태는 장치의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기변색층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에 있을 때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활성화하고, 전기변색층이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에 있을 때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은 적어도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장치의 주변 조명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은 주변 광을 감지할 때,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높은 주변 광을 감지할 때,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조명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가 그 위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함 -, 및 식별된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표면층 아래에 형성된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 또는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중 하나로 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조명 조건은 밝은 조명 조건 및 밝지 않은 조명 조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식별된 조명 조건이 밝지 않은 조명 조건을 포함할 때는,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두는 단계, 및 식별된 조명 조건이 밝은 조명 조건을 포함할 때는,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다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조명하기 위해, 전기변색층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된 때, 전기변색층 아래에 형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전기변색층이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될 때,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 지정을 갖는 구성요소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표현할 수 있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양자택일적인 동작 모드들에서의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a 내지 도 6의 전기변색층의 예시적인 구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내에 스위칭가능한 키패드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처리의 예시적인 일 구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한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치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단말기 장치(100)의 전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사용될 때,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멀티라인 디스플레이를 갖거나 갖지 않는 셀룰러 무선 전화기; 셀룰러 무선 전화기를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기능과 결합할 수 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단말기; 무선 전화기, 페이저,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오거나이저, 캘린더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전화기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기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편재형 컴퓨팅(pervasive computing)" 장치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선택적으로 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캔디바, 클램셸(clamshell), 플립, 슬라이더 및 스위블(swivel) 또는 피벗(pivot) 스타일을 포함하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폼 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은 폼 팩터에 무관하게 모바일 단말기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하우징 또는 커버(105), 키패드 어셈블리(120), 컨트롤 키(125), 디스플레이(130), 마이크로폰(135), 스피커(140), 및 광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5)은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용되는 장치들 및 컴포넌트들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하우징(105)은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성물로 형성될 수 있고, 키패드 어셈블리(120), 컨트롤 키(125), 디스플레이(130), 마이크로폰(135), 스피커(140) 및 광 센서(145)와, 재충전가능 배터리 또는 전원,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기,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로 또는 프로세서 구성요소들과 같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들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스타일러스를 통하는 것과 같이 기타 장치들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들은 키패드 어셈블리(120) 내의 키들을 활성화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키들은 숫자, 문자, 기호 등과 같이 그에 연관된 키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를 걸고, 숫자, 명령 및 텍스트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어셈블리(120) 내의 키들을 조작할 수 있다. 키들의 지정된 기능들은 디스플레이(들)(13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이미지들을 형성 및/또는 조작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키 정보는 키들 상에 제공될 수 있는 한편, 다른 구현들에서는 키 정보가 관련 키들에 인접하여 또는 근방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키(125)는 통신 장치(100)가 디스플레이(130)와 상호작용하는 것 등과 같은 지정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통신 장치(10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125)의 사용자 조작은 디스플레이(130)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들이 강조(highlighted) 또는 선택되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선택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후속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키패드 어셈블리(120) 및/또는 제어 키(125)는 용량성 터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용량성 터치 키패드들은 표면 영역에 걸친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는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용량성 터치 키패드들은 그 위에 다양한 구성의 사용자-선택가능한 키들, 아이콘들 또는 기타 그래픽 소자들을 제공하는, 구성가능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그래픽 소자들의 선택은 스위치 어셈블리 또는 기타 버튼형 요소들의 물리적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일 구현에 따르면, 키패드 어셈블리(120) 및/또는 제어 키(125)는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향상된 백라이트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120) 및 제어 키(125)에 관련된 추가의 구성요소들은 도 3a 내지 도 5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제시될 것이다.
디스플레이(130)는 시각적 이미지 또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인입/인출 호출, 텍스트 메시지, 게임, 전화번호부, 현재의 날짜/시간, 볼륨 세팅 등에 관한 그래픽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구현은 액정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흑백 또는 컬러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5)은 음성 또는 기타 음향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5)은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5)은 모바일 단말기(100) 상의 어디에라도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화된(spoken) 단어 또는 구문을 모바일 단말기(100)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140)는 가청 정보 또는 경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모바일 단말기(100) 상의 어디에라도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신할 때 수화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모바일 단말기(100)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서 제공된 수개의 스피커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40)는 인입 호출이 통신 장치(100)에 의해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링잉 신호를 위한 출력 장치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40)는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가청 경보들과, 리마인더(reminder) 또는 기타 유사한 것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보들을 위한 출력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광 센서(145)는 주변 광, 또는 광 센서(145)를 향해 지향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광 센서(145)는 포토다이오드 또는 기티 광전기 컴포넌트들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이용하여, 검출된 광에서의 변동에 민감할 수 있다.
도 2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부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처리 로직(210), 메모리(220), 입력 장치(230), 전력 공급장치(240)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모바일 단말기(100)가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 안테나, 송수신기, 변조기/복조기, 인코더/디코더, 스피커 등과 같은 기타의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처리 로직(210)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로직(21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모리(220)는 처리 로직(210)에 의한 실행을 위해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장치; 처리 로직(210)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정적인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장치; 및/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자기 또는 광 기록 매체 및 그 대응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처리 로직(210)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어들은 처리 로직(2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또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30)는,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35)), 키보드, 키패드(예를 들어, 키패드(120) 및 제어 키(125)), 마우스, 펜, 스타일러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및/또는 생체측정 메커니즘 등과 같이, 조작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30)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에 관련된 옵션들의 메뉴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230)는 투과형 백라이트와 반사형 백라이트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예시적인 일 구현에서, 입력 장치(230)는 상이한 조명 환경들에서 키패드,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의 향상된 가시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230)의 특수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력 공급장치(24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 입력 장치(230)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는 디스플레이(130)에 관련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는 예를 들어 전화 통화 정보,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50)는 인터랙티브 메뉴, 웹 브라우저, 사진 등을 보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해상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입력 장치(230)(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키패드 어셈블리(120) 및/또는 제어 키(125))의 백라이팅 구성을 동적으로 수정하는 것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모리(220)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실행하는 처리 로직(210)에 응답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입력 장치(230)를 통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이러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메모리(220)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시퀀스의 실행은 처리 로직(210) 및/또는 입력 장치(230)가 이하에 설명될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 배선 회로(hard-wired circuitry)가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대신하여, 또는 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구현들은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의 어떠한 특정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는 일 구현에 따른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제1 동작 모드 동안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일 구현에 따른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제2 동작 모드 동안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키패드 표면층(305), 전기변색층(310), 도광층(light guide layer)(315), 광원(320), 스위치층(325) 및 키패드 인쇄 회로판(PCB)(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105) 내에 포함 또는 통합될 수 있다.
키패드 표면층(305)은 도광층(315) 및 전기변색층(3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촉각(tactile) 키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 또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키패드 표면층(305)은 개별 키들이 키패드 표면층(305)의 상부 표면에 그래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얇고 균일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키패드 어셈블리(120) 상의 개별 키들은 키패드 표면층(305)에서 물리적으로는 서로로부터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키패드 표면층(305)의 적절한 영역을 누르는 것은 스위치층(325)의 적절한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키패드 표면층(305)은 전기변색층(310) 및/또는 도광층(315)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구별되는 키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키패드 표면층(305) 상에서의 키들 간의 물리적인 구별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105)의 부분들이 키패드 표면층(305)의 키 소자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키패드 표면층(305)의 각각의 키 영역 또는 키 소자는 그 위에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그래픽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그 예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음). 예를 들어, 키패드 표면층(305)은 모바일 단말기(100)와의 인터페이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숫자 또는 기호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소자들은 키패드 표면층(305)의 적절한 영역들 내의 투명 또는 반투명 인서트(insert)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광원(320)으로부터 도광층(315)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광이 그래픽 소자들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고, 그에 의해 어두운 환경(low-light environment)에서 그래픽 소자들을 조명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영숫자의 재료는 키패드 표면층(305)의 나머지 부분(즉, 그래픽 소자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키패드 표면층(305)의 부분들)의 색상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 표면층(305)의 대다수는 검정 또는 어두운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한편, 그래픽 소자들은 반투명한 백색 또는 밝은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에서, 도광층(315)은 광원(320)으로부터의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광 분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층(315)은 프리즘형의 광 분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광원(320)은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형광 또는 전계발광 광원을 포함하는 사이드 에지형 백라이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320)은 도광층(315)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층(315)은 키 표면층(305) 상의 각각의 키 영역/버튼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출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층(325)은 돌출부(335)들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금속 또는 다른 도전체 돔(340) 또는 기타 적절한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PCB층(330)은 또한 돌출부(335)들 및 돔(340)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컨택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표면층(305) 상의 키 영역/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키 영역/버튼에 대응하는 돌출부(335)가 스위치층(325) 상의 대응하는 돔(340)을 향해 아래로 편향될 수 있다. 스위치층(325) 상의 돔(340)의 편향은, 돔(340)의 상부 표면이 PCB(330) 상의 대응하는 컨택트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하여, 선택된 키가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처리 로직(210)으로의 신호를 만든다.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다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여, 전기변색층(310)은 (예를 들어, 전력 공급장치(240)로부터) 층(310)에 적절한 전압(또는 전류)이 인가되면,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와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에서 교대하여 천이하도록 구성된 구조들 및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구현에서, 전기변색층(310)은 도광층(315) 위에, 및 키 표면층(305)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한 상태인 동안, 도광층(315)으로부터 이동하는 광은 전기변색층(310)을 통과하여 지나가고, 키 표면층(305) 상의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들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반사성 상태인 동안, 키 표면층(305)으로 입사하여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들을 통과하여 지나간 주변 광은 전기변색층(310)에서 반사되어, 다시 키 표면층(305)을 지나가게 되고, 그에 의해 키 표면층(305)의 그래픽 소자들의 백라이트로 된다. 전기변색층(310)에 관한 특수성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제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제1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광 센서(135)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은 주변 광 레벨을 감시한 경우), 전기변색층(310)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제공되거나, 그러한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러한 구성이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관된 디폴트 구성이어서, 어두운 조명 조건인 동안에, 처리 로직(210)으로부터의 상태 수정 명령 또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외측 디스플레이(150)의 최대의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천이를 촉발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광 센서(135)를 통해 수신된 정보인 주변 조건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a에 도시된 제1 동작 모드에서, 광원(320)으로부터 나와서 도광층(315)을 통해 분산된 광(도 3a에서 화살표 (LB)로 표시됨)은 전기변색층(310)과 키패드 표면층(305) 상의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들을 통과하여 지나가서, 그래픽 소자들을 조명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제2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광 센서(135)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높은 주변 광 레벨을 감지한 경우), 전기변색층(310)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제공되거나 그러한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키 표면층(305)에 입사한 주변 광(도 3b에서 화살표(LI)로 표시됨)은 키 표면층(305) 상의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들을 통과하여 지나가고 전기변색층(310)에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광(도 3b에서 화살표(LR)로 표시됨)은 키패드 표면층(305) 상의 그래픽 소자들을 다시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고, 그에 의해 밝은 주변 광(예를 들어, 밝은 햇빛) 조건에서 그래픽 소자들의 가시성을 증가시킨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에 일치하는 일 구현에서, 처리 로직(210)은 제2 동작 모드로 천이할 때에 광원(320)을 턴오프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키 표면층(305) 상의 그래픽 소자들을 적절하게 조명할 수 있을 정도로 주변 광이 충분한 시간 동안에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력을 절약한다.
도 4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다른 구현에 따른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키패드 표면층(305), 전기변색층(310), 도광층(315), 광원(320), 스위치층(325) 및 키패드 인쇄 회로판(PCB)(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105) 내에 포함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위의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비교할 때, 도 4의 실시예는 스위치 작동 돌출부(335)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도광층(31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신에, 각각의 도전성 돔(340)은 키 표면층(305)의 키 영역/버튼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제공된 작동기 소자(405)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표면층(305) 상의 키 영역/버튼을 누르면, 전기변색층(310) 및 도광층(315)의 대응하는 부분들이 아래로 편향될 수 있고, 대응하는 작동기 소자(405)가 스위치층(325) 상의 대응하는 돔(340)을 향해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스위치층(325) 상의 돔(340)의 편향은 돔(340)의 상부 표면이 PCB(330) 상의 대응하는 컨택트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선택된 키가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처리 로직(210)으로의 신호를 만든다.
도 5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또 다른 구현에 따른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키패드 표면층(305), 전기변색층(310), 도광층(315), 광원(320), 스위치층(325), 및 키패드 인쇄 회로판(PCB)(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105) 내에 포함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위에서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비교할 때, 도 5의 실시예는 스위치 작동 돌출부(335)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도광층(31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신에, 키 표면층(305)은 키 표면층(305) 상의 키 영역/버튼들에 대응하는 작동 돌출부(505)를 구비할 수 있다.
키 표면층(305) 상의 키 영역/버튼을 누르면, 대응하는 돌출부(505)가 전기변색층(310) 및 도광층(315)의 부분들을 아래로 편향시킨다. 이러한 편향은 스위치층(325) 상의 대응하는 돔(340)이 마찬가지로 아래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스위치층(325) 상의 돔(340)의 편향은 돔(340)의 상부 표면이 PCB(330) 상의 대응하는 컨택트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선택된 키가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처리 로직(210)으로의 신호를 만든다.
도 6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또 다른 구현에 따른 도 1의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하우징 표면층(605), 키 소자(610)들, 전기변색층(310), 도광층(315), 광원(320), 스위치층(325), 및 키패드 인쇄 회로판(PCB)(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105) 내에 포함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하우징 표면층(605)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개별 키 소자(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각각의 키 소자(610)에 연관된 그래픽 소자들 또는 식별자들이, 각각의 키 소자(610)에 연관된 하우징 표면층(605)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표면층(605)은 모바일 단말기(100)와의 인터페이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숫자 또는 기호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소자들은 인접한 키 소자(610)들에 대응하는 하우징 표면층(605)의 적절한 영역들 내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인서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키 소자(610)들을 누르면 대응하는 컨택트 돔(340)이 아래로 편향되도록, 키 소자(610)들은 대응하는 컨택트 돔(34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층(325) 상의 돔(340)의 편향은 돔(340)의 상부 표면이 PCB(330) 상의 대응하는 컨택트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하고, 그에 의해 선택된 키가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처리 로직(210)으로의 신호를 만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소자(610)들에 인접하거나 키 소자(610)들을 둘러싸고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영역들은 고정형(non-moving) 소자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표면층(605), 전기변색층(310) 및 도광층(315)은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비편향(non-deflecting) 영역들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에서, 키패드 어셈블리(120)의 그러한 소자들을 위해서는 편향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키패드 어셈블리(120)는 PCB 층(330)과 하우징 표면층(605)의 상부 표면 사이의 최소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여기에 설명된 구현들에 일치하는 전기변색층(310)의 예시적인 일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층(310)은 기판(705), 제1 투명 도전체층(710), 이온 저장층(715), 이온 도전/전해질층(720), 전기변색층(730), 제2 투명 도전체층(735), 및 투명 기판(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판(705)은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고, 도광층(315)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층들(710-740)은 도광층(315) 상에 하나 이상의 막으로서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도전체층(710 및 735)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투명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층(710 및 735)은 각각 층(705 및 730) 상에 스퍼터링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온 저장층(715)은 이온들이 주입된 니켈 수산화물(hydrated nickel oxide), 바나듐 오산화물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전기변색층(730)에서의 이온들의 존재는 광학적 특성의 원하는 변화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이온 저장층(715)에는 리튬, 나트륨, 은, 칼륨, 마그네슘 또는 수소와 같은 재료들의 원자가 주입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730)은 니켈 망간 합금 등과 같은 반사성 전이 금속 수소화물 재료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 상태에서, 층(730)의 반사성 전이 금속 수소화물 재료는 반사성의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온 저장층(715)과 전기변색층(730)에 걸쳐서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이온 저장층(715)에 처음에 존재하던 이온들의 적어도 일부가 이온 도전/전해질층(720)을 건너서 전기변색층(7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저장층(715)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H+) 또는 리튬 이온(L+)이 이온 도전/전해질층(720)을 지나 전기변색층(730)으로 몰아넣어질 수 있다. 적절한 수의 이러한 이온들이 주입되면, 전기변색층(730)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반전은 이온들이 이온 저장층(715)으로 다시 흘러 되돌아가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변색층(730)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복귀한다. 어느 방향으로든 이온들의 주입이 완료되고 나면, 전기변색층(730)을 그것의 현재의 동작 상태(즉, 반사성 또는 투명)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전압은 필요하지 않다. 즉, 천이는 비휘발성이다.
따라서, 적절한 전압의 인가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층(31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에 의존하여 각각의 반사성 또는 투명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층(310)은 반사성의 전이 금속 수소화물층(예를 들어, 전기변색층(730))을 포함할 수 있고, 약 500 내지 250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310)은 반사성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결과적인 반사율을 가질 수 있고, 투명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결과적인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시간은 50 밀리초 내지 2000 밀리초 정도일 수 있고, 스위칭 전압은 0.25-3.0 볼트 정도일 수 있다.
도 8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내에 스위칭가능한 키패드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의 예시적인 일 구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처리는 예를 들어 광 센서(135)를 통해 수신된 주변 광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을 만족시키거나 초과하는지에 관한 주기적인 판정을 가질 수 있다(블록(800)). 예를 들어, 일 구현에서, 처리 로직(210)은 입사하는 주변 광의 현재 레벨에 대응하는 값에 관하여, 광 센서(135)를 주기적으로 폴링할 수 있다. 그 다음, 처리 로직(210)은 수신된 값을 밝은 조명 조건에 대응하는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짧은 섬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키패드 백라이트로의 동작 모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 로직(210)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밝은 조명 조건의 판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밝은 조명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00) - 아니오), 처리 로직(210)은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1 (투명한) 동작 모드(즉, 밝지 않은 조명 모드)에 있는지, 제2 (반사성) 동작 모드(즉, 밝은 조명 모드)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블록(810)). 일 구현에서, 키 어셈블리(12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메모리(220)에 저장된 테이블 또는 레지스터 내의 값으로서 유지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1 (투명한)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10)-제1 모드), 아무런 동작도 취해지지 않고, 처리는 다음의 폴링 싸이클을 위해 블록(800)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2 (반사성)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10)-제2 모드), 처리 로직(210)은 적합한 전압이 전기변색층(310)에 인가되게 하여, 전기변색층(310)을 투명한 상태로 둘 수 있다(블록(820)). 그 다음, 처리는 다음 폴링 싸이클을 위해 블록(80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블록(800)으로 되돌아가서, 밝은 조명 조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00)-예), 처리 로직(210)은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1 (투명한) 동작 모드(즉, 밝지 않은 조명 모드)에 있는지, 제2 (반사성) 동작 모드(즉, 밝은 조명 모드)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블록(830)).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2 (반사성)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30)-제2 모드), 아무런 동작도 취해지지 않고, 처리는 다음의 폴링 싸이클을 위해 블록(800)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키패드 어셈블리(120)가 현재 제1 (투명한)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블록(830)-제1 모드), 처리 로직(210)은 적합한 전압이 전기변색층(310)에 인가되게 하여, 전기변색층(310)을 반사성의 상태로 둘 수 있다(블록(840)). 그 다음, 처리는 다음 폴링 싸이클을 위해 블록(80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 설명되는 양태들에 일치하는 일 구현에서, 광원(320)은 전기변색층(310)이 제1 (투명한) 동작 모드로 가거나 제1 동작 모드로 유지될 때 활성화될 수 있고, 전기변색층(310)이 제2 (반사성) 동작 모드로 가거나 제2 동작 모드로 유지될 때 비활성화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키패드 어셈블리(120)를 조명하기 위해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을 때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결론>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구현들은 입력 장치에 연관된 전기변색 반사층의 전자적 스위칭을 제공함으로써, 키패드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 장치들의 가시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 장치에 대해 최대한의 정도 및 유형의 백라이트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조명 조건들에서의 입력 장치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키고, 밝은 주변 광이 증가된 백라이트 밝기에 의해 대항되는 실시예들의 경우, 그러한 환경에서는 인공적인 백라이트가 꺼지거나 다르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낮은 전류 소비를 필요로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변색 반사층의 전자적 스위칭의 제어는 동작 모드, 물리적 구성, 또는 입력 장치에 연관된 조명 조건들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모든 것을 철저하게 기술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수정 및 변경들이 상기 교시의 견지에서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주로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여기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가변적으로 조명되는 환경들에 적합한 다른 기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신호체계(signage)은 높은 레벨의 주변 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그러한 신호체계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반투과형(transflective)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등)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일련의 블록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블록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의 순서가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셀룰러 통신 장치/시스템, 방법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에 의해, 또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되도록 컴퓨터 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내부에 구현되어 있는 컴퓨터 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일치하는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실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특수화된 컨트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양태들의 동작 및 거동은 구체적인 소프트웨어 코드를 참조하지 않고서 설명되었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컨트롤 하드웨어를 설계할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정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로직은 ASIC 또는 FPGA와 같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한다(comprises/comprising)"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해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요소, 동작 또는 명령어도 그와 같이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핵심적이거나 본질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될 때, 관사 "a"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단 하나의 항목만이 의도되는 경우에는 "하나"라는 용어 또는 유사한 언어가 사용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될 때, "기초한다"는 문구는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백라이트층;
    상기 백라이트층 위에 형성된 전기변색층(electrochromic layer);
    상기 전기변색층 위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그 위에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전력 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스위칭 전압의 인가시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간에서 스위칭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명 조건(lighting condition)에 기초하여 상태가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직은 상기 표면층 상의 상기 그래픽 소자를 시인(視認)하는 것이 상기 백라이트층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향상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층을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두는 것과 광원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상기 표면층 상의 상기 그래픽 소자를 시인하는 것이 상기 전기변색층으로부터 반사된 주변 광에 의해 향상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두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동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층을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주변 조명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조명 조건은 상기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키패드 표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소자는 상기 키패드 표면층 상의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컨택트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층; 및
    상기 PCB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컨택트 및 상기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키 중 선택된 키를 누르면,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소자와 상기 컨택트 간에 물리적 접촉이 생기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층 또는 상기 표면층 중 하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 소자, 상기 다수의 컨택트 및 상기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다수의 키와 상기 다수의 스위치 소자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다수의 구별되는 키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은 망간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제1 투명 도전체층;
    상기 제1 투명 도전체층 위에 형성된 이온 저장층;
    상기 이온 저장층 위에 형성된 이온 도전층;
    상기 이온 도전층 위에 형성된 반사성 전기변색층; 및
    상기 반사성 전기변색층 위에 형성된 제2 투명 도전체층
    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 저장층 및 상기 반사성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력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칭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2 전기변색층 각각은 상기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약 80-100%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4. 장치로서,
    키패드 어셈블리;
    프로세서; 및
    전력 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그 위에 포함하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 아래에 형성된 전기변색층;
    상기 전기변색층 아래에 형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력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으로 스위칭 전압을 인가하라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명령시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가능하며, 상기 장치의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상태가 선택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활성화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적어도 반사성 전이금속 수소화물층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주변 조명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은 주변 광을 감지할 때, 상기 전기변색층을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 센서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높은 주변 광을 감지할 때, 상기 전기변색층을 상기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조명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가 그 위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함 -; 및
    상기 식별된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표면층 아래에 형성된 전기변색층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 또는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 중 하나로 두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조명 조건은 밝은 조명 조건 및 밝지 않은 조명 조건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조명 조건이 상기 밝지 않은 조명 조건을 포함할 때는, 상기 전기변색층을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두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조명 조건이 상기 밝은 조명 조건을 포함할 때는, 상기 전기변색층을 상기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그래픽 소자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상기 전기변색층 아래에 형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실질적으로 반사성인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19115A 2008-03-05 2008-09-03 고대비 백라이트 KR201001324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42,926 2008-03-05
US12/042,926 US8232958B2 (en) 2008-03-05 2008-03-05 High-contrast back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492A true KR20100132492A (ko) 2010-12-17

Family

ID=4013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115A KR20100132492A (ko) 2008-03-05 2008-09-03 고대비 백라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2958B2 (ko)
EP (1) EP2248143B1 (ko)
JP (1) JP2011514984A (ko)
KR (1) KR20100132492A (ko)
CN (1) CN101971278A (ko)
TW (1) TW200948024A (ko)
WO (1) WO2009109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36A (ko) * 2017-06-02 201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속성에 기반한 센서의 감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2261A (ja) * 2009-03-27 2012-09-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前に配置するデバイス
US8378972B2 (en) * 2009-06-01 2013-02-19 Apple Inc. Keyboard with increased control of backlit keys
US8282261B2 (en) * 2009-06-01 2012-10-09 Apple, Inc. White point adjustment for multicolor keyboard backlight
US9247611B2 (en) * 2009-06-01 2016-01-26 Apple Inc. Light source with light sensor
US20100306683A1 (en) * 2009-06-01 2010-12-02 Apple Inc. User interface behaviors for input device with individually controlled illuminated input elements
CN102176728B (zh) * 2009-10-24 2013-12-11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依据背景光源变色的电子装置及电致变色层的颜色修正方法
US8303151B2 (en) 2010-05-12 2012-11-06 Apple Inc. Microperforation illumination
US20110279483A1 (en) * 2010-05-17 2011-11-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ling single-picture element (pixel) displays
US8451146B2 (en) 2010-06-11 2013-05-28 Apple Inc. Legend highlighting
US9275810B2 (en) 2010-07-19 2016-03-01 Apple Inc. Keyboard illumination
US8378857B2 (en) 2010-07-19 2013-02-19 Apple Inc. Illumination of input device
US9082566B2 (en) * 2010-09-02 2015-07-14 Blackberry Limited Backlighting assembly for a keypad
CN102694885A (zh) * 2011-03-21 2012-09-26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电子装置及其按键变换方法
CN202110359U (zh) * 2011-05-25 2012-01-11 王麒 纳米智能玻璃
WO2013048443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Convertible computing device
EP2856484A4 (en) 2012-05-31 2016-02-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USED IN DIFFERENT AMBIENT LIGHTING CONDITIONS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449772B2 (en) 2012-10-30 2016-09-20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EP2954384B1 (en) 2013-02-06 2023-08-02 Apple Inc. Input/output device with a dynamically adjustable appearance and function
US9064642B2 (en) 2013-03-10 2015-06-23 Apple Inc. Rattle-free keyswitch mechanism
WO2014193850A1 (en) 2013-05-27 2014-12-04 Apple Inc. Low travel switch assembly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WO2015047661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with reduced thickness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FR3012656A1 (fr) 2013-10-30 2015-05-01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Dispositif optoelectronique, en particulier dispositif de memoire
EP2879019B1 (en) * 2013-12-02 2019-01-23 Sony Corporation Dynamic hardware controls with haptic and visual feedback
US9793066B1 (en) 2014-01-31 2017-10-17 Apple Inc. Keyboard hinge mechanism
US9779889B2 (en) 2014-03-24 2017-10-03 Apple Inc. Scissor mechanism features for a keyboard
US9423665B2 (en) 2014-03-24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mbient light adjust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704665B2 (en) 2014-05-19 2017-07-11 Apple Inc. Backlit keyboard including reflective component
US9715978B2 (en) 2014-05-27 2017-07-25 Apple Inc. Low travel switch assembly
WO2016017110A1 (ja) * 2014-07-31 2016-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6025890A1 (en) 2014-08-15 2016-02-18 Apple Inc. Fabric keyboard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WO2016053898A1 (en) 2014-09-30 2016-04-07 Apple Inc. Light-emitting assembly for keyboard
CN205595253U (zh) 2015-05-13 2016-09-21 苹果公司 电子装置、铰接结构和键机构
WO2016183488A1 (en) 2015-05-13 2016-11-17 Apple Inc. Keyboard assemblies having reduced thicknesses and method of forming keyboard assemblies
JP6637070B2 (ja) 2015-05-13 2020-01-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用のキーボード
US9997304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US9934915B2 (en)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CN105740852B (zh) * 2016-03-28 2022-04-05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指纹识别模组及电子装置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CN106353947A (zh) * 2016-10-26 2017-01-25 南京华东电子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能同时用于虚拟现实显示和增强现实显示的显示装置
CN117270637A (zh) 2017-07-26 2023-12-22 苹果公司 具有键盘的计算机
CN108628037A (zh) * 2018-05-14 2018-10-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0991524B2 (en) 2019-04-10 2021-04-2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eyboard discrete row illumination
CN111090172A (zh) * 2020-01-09 2020-05-01 深圳珑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电致色变材料调节透明度的近眼显示系统及设备
CN112305756A (zh) * 2020-10-30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3671738A (zh) * 2021-08-26 2021-11-19 苏州清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663A (en) *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JP3873156B2 (ja) * 1996-11-08 2007-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操作パネル
JPH10253948A (ja) * 1997-03-12 1998-09-25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制御方法
EP1142272A1 (en) 1998-12-31 2001-10-10 Nokia Mobile Phones Ltd. Backlight for a portable device
CN1375075A (zh) * 1999-04-20 2002-10-1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透反式显示器
JP2001167655A (ja) * 1999-12-09 2001-06-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押ボタンスイッチの照明装置
US6515787B1 (en) * 2000-03-07 2003-02-04 Eclipse Energy Systems, Inc. Electrochromic layer
CN1392967A (zh) * 2000-09-28 2003-01-22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半透半反转换显示器装置
JP2003050406A (ja) * 2001-04-24 2003-02-21 Schott Donnelly Llc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安全性ガラス品
KR100384993B1 (ko) * 2001-05-22 2003-05-23 주식회사 유일전자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US6647366B2 (en) * 2001-12-28 2003-11-11 Microsoft Corporation Rate control strategies for speech and music coding
JP4412528B2 (ja) * 2003-05-15 2010-02-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US7053799B2 (en) * 2003-08-28 2006-05-30 Motorola, Inc. Keypad with illumination structure
WO2005017931A1 (en) 2004-02-16 2005-02-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keypad,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appearance of one or more keys
JP2006162680A (ja) * 2004-12-02 2006-06-22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EP1696259B1 (en) * 2005-02-28 2007-07-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function light guide for LCD backlight
JP5105140B2 (ja) * 2005-09-12 2012-12-1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全固体型反射調光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調光部材
US7859617B2 (en) 2006-11-09 2010-1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with variable reflecti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36A (ko) * 2017-06-02 201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속성에 기반한 센서의 감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8143A1 (en) 2010-11-10
CN101971278A (zh) 2011-02-09
JP2011514984A (ja) 2011-05-12
WO2009109813A1 (en) 2009-09-11
US20090225022A1 (en) 2009-09-10
US8232958B2 (en) 2012-07-31
EP2248143B1 (en) 2014-07-16
TW200948024A (en) 200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958B2 (en) High-contrast backlight
US8174489B2 (en) Dual-sided display for mobile device
US2016034999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reconfigurable keypad
KR101533850B1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US7859617B2 (en) Display with variable reflectivity
KR101535486B1 (ko) 휴대 단말기
CA2862464C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S87261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S20080204417A1 (en)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4418A1 (en)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113371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모드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50277448A1 (en) Soft buttons on LCD module with tactile feedback
WO2011078935A1 (en) Transflective display
CA2733624C (en) Mobile device with a flip-around keyboard
US20090201253A1 (en) Data input device with variable-colour illumination
KR20090125071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메커니즘
JP2006065611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US20110175817A1 (en) Mobile terminal
CN108737656B (zh) 悬浮按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01265463A (ja) 情報機器
JP3733373B2 (ja) 携帯端末装置のキー構造
JP5321098B2 (ja) キー入力装置、小型電子機器、キートップ表示方法、キートップ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4045498A (ja) 携帯端末
CA2653851A1 (en) Data input device with variable-colour illu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