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992A -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992A
KR20090085992A KR1020080011974A KR20080011974A KR20090085992A KR 20090085992 A KR20090085992 A KR 20090085992A KR 1020080011974 A KR1020080011974 A KR 1020080011974A KR 20080011974 A KR20080011974 A KR 20080011974A KR 20090085992 A KR20090085992 A KR 2009008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camera
lev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은
이창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992A/ko
Publication of KR2009008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6Lens caps for exposure m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빛이 관통하도록 전후가 개구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Camera lens,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란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말한다.
여기서, 일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안식(二眼式)이다. 따라서,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달라서 센서에 전달되는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서 보면서 찍을 수 있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바디(body)에 카메라 렌즈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원하는 카메라 렌즈로 교체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할 경우, 카메라 렌즈 후면이 개구되어 있어 렌즈의 경통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렌즈에 흠집이 생기거나 또는 이물질이 경통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후면 렌즈 캡을 구비하여,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한 후 수동으로 카메라 렌즈 후면에 후면 렌즈 캡을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결합할 때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면 렌즈 캡을 장착/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폐쇄되는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빛이 관통하도록 전후가 개구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하고,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버(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에는 레버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레버 관통홀에 관통 삽입됨 으로써,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레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에는 보스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스가 상기 보스 관통홀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보스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제 1 항의 구조를 가진 카메라 렌즈; 및 상기카메라 렌즈가 일 측에 결합하는 카메라 바디(body)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하고, 일 단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레버(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돌출부의 일 측에는 제1 경사부가 형성 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경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제2 경사부가 상기 제1 경사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body)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상기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상기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바디(200)에는 셔터-릴리스 버튼(201), 모드 다이얼(203) 및 카메라 렌즈(10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 바디(200)의 셔터-릴리스 버튼(20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스 버튼(20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 바디(2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영상 촬영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모드 다이얼(203)은 촬영 모드 선택을 위해 입력된다. 카메라 바디(200)에서, 모드 다이얼(203)에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 지 않는다.
카메라 렌즈(10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렌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렌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카메라 렌즈의 레버의 확대 사시도이다.
종래의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할 경우, 카메라 렌즈 후면이 개구되어 있어 렌즈의 경통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렌즈에 흠집이 생기거나 또는 이물질이 경통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후면 렌즈 캡을 구비하여,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한 후 수동으로 카메라 렌즈 후면에 후면 렌즈 캡을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결합할 때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면 렌즈 캡을 장착/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렌즈 및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개구부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개구부가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렌즈(100)는 렌즈 모듈(110)과, 렌즈 마운트(120)와, 레버(130)와, 제1 개폐 부재(140)와, 제2 개폐 부재(150)와, 제3 개폐 부재(160)와, 제4 개폐 부재(170)를 포함한다.
렌즈 모듈(11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물체로부터 나오는 광선을 모아서 카메라 바디의 필름이나 CCD에 상을 만들어 투영시키는 역할을 한다.
렌즈 마운트(120)는 카메라 바디(200)와 카메라 렌즈(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카메라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120)와, 카메라 바디의 바디 마운트(미도시)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마운트(120)의 중심 부분에는 렌즈 모듈(100)을 통과한 빛이 카메라 바디로 투영되도록 개구부(122)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개구부(122)의 상측에는 다수 개의 보스(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보스(123)는 각각 후술할 개폐 부재(140)(150)(160)(170)의 보스 관통홀(142b)(152b)(162b)(172b)에 끼워져서, 개폐 부재(140)(150)(160)(170)의 회전 축 역할을 수행한다.
레버(130)는 후술할 개폐 부재(140)(150)(160)(170)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레버(130)는 막대 형상의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레버(1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32)과, 탄성 부재(190)가 끼워지는 후크(133)와, 베이스(131)의 타 단부에서 카메라 바디 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134)를 구비한다.
회전축(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렌즈 마운트(120)에 끼워질 수도 있고, 또는 베이스(131)의 일 단부에 홀이 형성되 고 렌즈 마운트(120)에서 회전축이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레버(130)가 그 일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그 구성은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돌출부(134)는 베이스(131)의 타 단부에서 카메라 바디 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34)에 후술할 개폐 부재(140)(150)(160)(170)들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 돌출부(134)에 끼워져 있는 개폐 부재(140)(150)(160)(170)들이 레버(130)에 의하여 회전하고, 따라서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개폐되는 것이다.
레버(130)의 확대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4)의 일 단부에는 제1 경사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바디(20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돌출부(211)에는 상기 제1 경사부(134a)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경사부(21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카메라 바디(200)가 카메라 렌즈(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카메라 바디(200)의 제2 경사부(211a)와 카메라 렌즈(100)의 제1 경사부(134a)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카메라 바디(200)와 카메라 렌즈(100)가 결합하게 되면, 카메라 바디(200)의 제2 경사부(211a)가, 카메라 렌즈(100)의 제1 경사부(134a)를 밀어올리게 되고, 따라서 레버(130)가 회전하게 된다.(도 4b의 화살표 참조) 그리고,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 돌출부(134)에 끼워져 있는 개폐 부재(140)(150)(160)(170)들이 레버(130)에 의하여 회전하고, 따라서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개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카메라 바디(200)가 카메라 렌즈(100)로부터 분리되면, 도 4a와 같이 카메라 바디(200)의 제2 경사부(211a)와 카메라 렌즈(100)의 제1 경사부(134a)가 다시 서로 이격된다. 그러면,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130)는 도 4a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개폐 부재 (140)(150)(160)(170)들이 레버(130)에 의하여 회전하고, 따라서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폐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14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22)를 차폐하는 차폐부(141)와, 차폐부(141)의 일 측에 형성되는 베이스(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42)에는 레버 관통홀(142a)과 보스 관통홀(14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 관통홀(142a)은 다소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 관통홀(142a)에 끼워진 돌출부(134)가 상대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30)의 돌출부(134)가 베이스(142)의 레버 관통홀(142a)에 끼워지고, 렌즈 마운 트(120)의 보스(123)가 베이스(142)의 보스 관통홀(142b)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1 개폐 부재(140)는 레버(130)가 회전하면, 보스(12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를 개폐한다.
제2 개폐 부재(15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22)를 차폐하는 차폐부(151)와, 차폐부(151)의 일 측에 형성되는 베이스(152)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52)에는 레버 관통홀(152a)과 보스 관통홀(15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 관통홀(152a)은 다소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 관통홀(152a)에 끼워진 돌출부(134)가 상대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30)의 돌출부(134)가 베이스(152)의 레버 관통홀(152a)에 끼워지고, 렌즈 마운트(120)의 보스(123)가 베이스(152)의 보스 관통홀(152b)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2 개폐 부재(150)는 레버(130)가 회전하면, 보스(12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를 개폐한다.
제3 개폐 부재(160) 및 제4 개폐 부재(170)는 상기 제1 개폐 부재(140) 및 제2 개폐 부재(150)와 대략 좌우가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개폐 부재(140) 및 제2 개폐 부재(150)는 도 2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122)의 우측면의 개폐를 담당하고, 제3 개폐 부재(160) 및 제4 개폐 부재(170)는 도 2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122)의 좌측면의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도 2 및 도 3 등에는 개폐 부재가 네 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카메라 렌즈(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개구부(122)를 개폐하기에 충분하다면, 개폐 부재의 개수 및 형상에 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카메라 렌즈(100)의 조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 마운트(120)에 레버(130)가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130)의 회전축(132)은 베이스(13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렌즈 마운트(120)에 끼워질 수도 있고, 또는 베이스(131)의 일 단부에 홀이 형성되고 렌즈 마운트(120)에서 회전축이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렌즈 마운트(120)와 레버(130) 사이에 탄성 부재(190)가 배치된다. 상세히, 탄성 부재(190)의 일 측은 렌즈 마운트(120)에 고정 결합되고, 탄성 부재(190)의 타 측은 레버(130)의 후크(133)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130)의 돌출부(134)가 제4 결합 부재(170)의 레버 관통홀(172a)에 끼워지고, 렌즈 마운트(120)의 보스(123)가 제4 결합 부재(170)의 보스 관통홀(172b)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3 결합 부재(160), 제2 결합 부재(150) 및 제1 결합 부재(140)가 차례로 레버(130) 및 렌즈 마운트(12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렌즈(100)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제1 개폐 부재(140)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바디와 카메라 렌즈가 결합하게 되면, 카메라 바디의 제2 경사부(도 4의 211a 참조)가, 카메라 렌즈의 제1 경사부(도 4의 134a)를 밀어올리게 되고, 따라서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도 5a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개폐 부재(140)의 레버 관통홀(142a)에 끼워져 있는 레버(130)의 돌출부(134)가 제1 개폐 부재(140)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제1 개폐 부재(140)는 보스(12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개방된다.
상술한 과정은 제2 개폐 부재(1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b는 제3 개폐 부재(160)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바디와 카메라 렌즈가 결합하게 되면, 카메라 바디의 제2 경사부(도 4의 211a 참조)가, 카메라 렌즈의 제1 경사부(도 4의 134a)를 밀어올리게 되고, 따라서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도 5b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개폐 부재(160)의 레버 관통홀(162a)에 끼워져 있는 레버(130)의 돌출부(134)가 제3 개폐 부재(160)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제3 개폐 부재(160)는 보스(123)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개방된다.
도 3은 카메라 바디(200)와 카메라 렌즈(100)가 결합하여,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카메라 바디(200)와 카메라 렌즈(100)가 분리되어, 카메라 렌즈(100)의 개구부(122)가 폐쇄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카메 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카메라 렌즈가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렌즈의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렌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렌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카메라 렌즈의 레버의 확대 사시도로서, 레버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카메라 렌즈의 개폐 부재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카메라 바디와 카메라 렌즈가 분리되어 카메라 렌즈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메라 렌즈 110: 렌즈 모듈
120: 렌즈 마운트 130: 레버
140: 제1 개폐 부재 150: 제2 개폐 부재
160: 제3 개폐 부재 170: 제4 개폐 부재

Claims (12)

  1. 빛이 관통하도록 전후가 개구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하고,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버(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에는 레버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레버 관통홀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레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에는 보스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스가 상기 보스 관통홀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보스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
  7. 제 1 항의 구조를 가진 카메라 렌즈; 및
    상기 카메라 렌즈가 일 측에 결합하는 카메라 바디(body)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하고, 일 단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레버(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돌출부의 일 측에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경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제2 경사부가 상기 제1 경사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2. 착탈 가능한 카메라 렌즈를 카메라 바디(body)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상기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카메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상기 카메라 바디와 결합하는 측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80011974A 2008-02-05 2008-02-05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90085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74A KR20090085992A (ko) 2008-02-05 2008-02-05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74A KR20090085992A (ko) 2008-02-05 2008-02-05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92A true KR20090085992A (ko) 2009-08-10

Family

ID=4120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974A KR20090085992A (ko) 2008-02-05 2008-02-05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9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941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통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941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통 조립체
US8308380B2 (en) 2010-08-13 2012-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barrel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8221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7628550B2 (en) Single-lens reflex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live view
JP527405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WO2022176255A1 (ja) フィルムカメラ用スマートフォン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90085992A (ko) 카메라 렌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0028328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
JP2006317710A (ja) デジタルカメラ
US8279327B2 (en) Dual camera apparatus
JP7021729B1 (ja) フィルムカメラ用スマートフォンのアタッチメント
US20030138248A1 (en) Parallax correction for close focus
KR100903655B1 (ko)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와 결합이 가능한 뷰카메라용 백패널
JP2005260949A (ja) 撮像装置の前面ケース
JP5360341B2 (ja) 測光装置及びカメラ
JP2006352637A (ja) 撮像装置
KR20090072503A (ko)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421729B2 (ja) 撮像装置
KR201000562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S58215872A (ja) 電子カメラ
JPH0125946Y2 (ko)
JPH0943718A (ja) 画像撮影装置
JP4299053B2 (ja) カメラ
KR101590867B1 (ko) 카메라의 플래시 개폐 장치
JP2005157130A (ja) レンズキャップ
JP2007072132A (ja) ソフトフォーカス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