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513A -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513A
KR20090085513A KR1020080120969A KR20080120969A KR20090085513A KR 20090085513 A KR20090085513 A KR 20090085513A KR 1020080120969 A KR1020080120969 A KR 1020080120969A KR 20080120969 A KR20080120969 A KR 20080120969A KR 20090085513 A KR20090085513 A KR 2009008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workpiece
frame
outer frame
res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나카니시
다이고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13Auxiliary support including a cavity for storing a finished device, e.g. IC package, or a partly finished device, e.g. die, during manufacturing or mounting

Abstract

단(段)적층 트레이의 반입반출이 용이해지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1)는, 기판(S)을 반송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가로대(4)와 직사각형상의 외측 프레임(2)과 지지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대(4)는, 기판(S)을 올려놓는 작업물 재치면을 가진다. 지지부(14b)는, 외측 프레임(2)에 설치되어 가로대(4)를 지지한다. 외측 프레임(2)은, 지지부(14b)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며 하단부가 작업물 재치면보다 낮은 경사부(13)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TRAY FOR TRANSPORTING WORKPIECE}
본 발명은, 박판 형상의 작업물을 올려놓고 반송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트레이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박형 표시장치의 제조공정 등에 있어서는, 유리기판으로 대표되는 박판 형상의 물품을 반송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판 형상의 물품은 비틀림이나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 반송중에 변형으로 인해 주위에 접촉하여 표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반송에는, 박판 형상의 물품을 변형시키지 않고 올려놓을 수 있는 전용의 용기가 이용된다.
박판 형상의 물품을 1장씩 개별 용기에 올려놓고 반송함으로써, 반송중의 물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용기를 이용하게 되면, 반송 도중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경우, 보관 스페이스를 넓게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장소에 용기를 모아서 이송하고 싶은 경우에도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박판 형상의 물품을 개별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 시 보관이나 다른 장소로의 이송시에 용기들을 적층할 수 있는 용기가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용기에는, 용기내에 먼지가 축적되거나, 적층될 때에 자체적으로 먼지가 발생하여 올려놓은 물품을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복수의 용기를 적층한 경우에 전체 중량이 무거워져 보관이나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4개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상의 외측 프레임과, 프레임 부재간에 걸쳐진 복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가 고안되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
도 22는 이러한 트레이(201)가 단(段)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또한, 이하, 복수의 트레이(201)가 쌓여진 상태를 「단적층 트레이」라 함). 트레이(201)는, 주로 프레임(202)과 복수의 가로대(crosspiece, 204)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02)은, 복수의 가로대(204)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212)와, 지지부(212)로부터 외측을 향해 높아지는 경사부(213)와, 경사부(213)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평탄부(211)를 가지고 있다. 가로대(204) 위에는, 예컨대, 유리기판(S)이 올려진다. 외측 평탄부(211)에는, 복수의 수지블록(208)이 설치되어 있다. 수지블록(208)은, 외측 평탄부(211)에 형성된 구멍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쌓여진 다른 트레이(201)의 수지블록(208)에 걸림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트레이(201)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 수지블록(208)은, 스스로가 고정된 트레이(201)의 중량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측에 있는 다른 트레이(201)의 중량도 지지한다. 수지블록(208)의 높이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각 트레이(201)들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201)의 경사부(213) 내측의 수용공간 내에, 상측에 있는 다른 트레이(201)의 경사부(213)가 들어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35761호
종래의 트레이(201)에서는, 수지블록(208)은 가로대(20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크레인이 단적층 트레이를 반입반출할 때에, 크레인의 클로(301)가 트레이(201)의 외측 프레임의 경사부(213)에 접촉하지 않도록 회피하여, 단적층 트레이의 하측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었다. 도 22의 (a)는, 크레인의 포크의 클로(301)가 단적층 트레이의 하측으로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클로(301)의 선단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0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의 (b)는 클로(301)가 상승하여 수지블록(208)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클로(301)의 지지부(301a)가 수지블록(208)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 및 동작에서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22의 (a)의 l(프레임(202)의 최하면과 수지블록(208)의 하면과의 상하방향 간격) 이상의 스트로크(L)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202)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경사부(213)를 높게 하면, 도면의 l, H(지지부(301a)의 높이), L이 각각 높아진다. 즉, 유리기판(S)이 대형화되면, 상기의 문제는 보다 현저해진다.
또한, 2개의 단적층 트레이 사이, 혹은 단적층 트레이와 이것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터 사이에 포크(301)가 들어가는 경우에, H가 크면 보다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적층 트레이를 바닥면에 직접 두는 경우에는, 수지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준비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단적층 트레이의 반입반출이 용이해지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는, 박판 형상의 작업물을 반송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작업물 재치부와 직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물 재치부는, 작업물을 올려놓는 작업물 재치(載置)면을 가진다. 지지부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작업물 재치부를 지지한다. 프레임은, 지지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며 하단부가 작업물 재치면보다 낮은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트레이에서는, 프레임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더욱이, 프레임의 경사부가 하향 구배이기 때문에, 경사부의 하단부가 작업물 재치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단적층 트레이의 반입반출시에 크레인의 포크가 경사부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적층 트레이의 반입반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지부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다른 부재여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물 재치부의 작업물 재치면의 주위를 덮는 주위보다 높은 벽을 가지는 덮개부재(enclosure member)를 더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와 같이 프레임의 경사부가 외측을 향해 상향 구배일 경우에는, 경사부가 작업물 재치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물이 튀어 나오는 문제가 잘 생기지 않는다. 한편,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와 같이 프레임의 경사부가 외측을 향해 하향 구배일 경우에는, 작업물이 튀어 나오는 문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트레이에서는, 덮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장치의 급정지로 인해 작업물이 이동하더라도, 작업물이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로부터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서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덮개부재는, 프레임의 경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에서는, 덮개부재가 경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업물 재치부는, 프레임에 걸쳐져 작업물 재치면을 상면에 가지는 가늘고 긴 복수의 재치부재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는, 프레임에 고정되며 재치부재의 단부(端部)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가진다.
상기 트레이에서는, 복수의 재치부재가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가 경량화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서는,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프레임은,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가지고 있다. 트레이는, 연장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 겹쳐진 상태로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의 내측에는, 아래에 쌓여진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덮개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에서는, 복수의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가 쌓여진 상태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각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는 서로 스페이스를 확보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에는, 아래에 쌓여진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덮개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위에 쌓여진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경사부의 내측에 있는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쌓여 올려진 트레이 사이의 피치가 작아져 단적층 트레이의 높이가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서는, 프레임의 경사부가 외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기 때문에, 단적층 트레이의 반입반출이 용이해진다.
(1.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전체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1; 이하, 「트레이(1)」라 함)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트레이(1)의 상면도이다.
트레이(1)에는 박판 형상의 물품이 올려져 물품의 반송에 이용된다. 트레이(1)는, 주로 직사각형상의 외측 프레임(2)과, 외측 프레임(2)의 대향하는 장변 프레임부재(2a)의 사이에 걸쳐진 복수의 가로대(4; 작업물 재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박판 형상의 물품으로서 유리기판(S)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2) 외측 프레임의 구조
외측 프레임(2)은, 2개의 장변 프레임부재(2a)와 2개의 단변 프레임부재(2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부재(2a, 2b)에는 일정한 판 두께의 알루미늄 압출(押出)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단적층된 트레이(1)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단적층된 트레이(1)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프레임부재(2a, 2b)는, 도 5의 단면형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측 평탄부(11)와, 외측 평탄부(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내측 평탄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 평탄부(11)와 내측 평탄부(12)의 사이에 경사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평탄부(12)는 경사부(13)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 평탄부(11)는 경사부(13)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평탄부(11)에는, 수지블록(8)(후술)을 부착하기 위한 블록 부착구멍(17)이 복수 군데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3)는, 외측 프레임(2)이 형성되었을 때에 하측을 향해 벌 어진 형상이 되도록 각도가 부여되어 있다.
경사부(13)의 높이는, 프레임부재(2a, 2b)들이 직사각형의 외측 프레임(2)으로서 조합된 경우에, 외측 프레임(2)의 평면도를 소정량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경사부(13)의 높이가 1장의 기판(S)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수용높이를 초과한 높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안전하게 수용한다」란, 트레이가 단적층된 상태에 있어서, 유리기판이 전부, 혹은 일부의 트레이에 탑재되어 있고, 전체가 소정의 이동에 의해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유리기판이나 가로대의 상면이 상측의 가로대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측 프레임(2)의 형상이 대형화된 경우에는 요구되는 강도가 커지고, 외측 프레임(2)을 강화하기 위하여 경사부(13)의 높이는 더욱 높아진다. 소형의 외측 프레임(2)에서 요구되는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경사부(13)를 낮게 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2a, 2b)들을 접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외측 프레임(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외측 프레임(2)은 그 단면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평탄부(11), 외측 평탄부(11)의 내측단으로부터 연속해서 상승하는 경사부(13), 상기 경사부(13)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하는 내측 평탄부(12)로 형성된다. 형성된 외측 프레임(2)의 단일체로서의 높이는 경사부(13)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지만, 복수의 트레이(1)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경사부(13)로 둘러싸인 부분의 일부가, 다른 트레이가 들어가기 위한 수용공간(13a; 도 5)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보다 작은 피치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장변 프레임부재(2a)와 단변 프레임부재(2b)는 양단들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합부재(28)와 제 2 접합부재(29)에 의해 접합된다. 제 1 접합부재(28)는, “L”자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프레임부재(2a, 2b)의 내측 평탄부(12)들을 리벳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 제 2 접합부재(29)는, “L”자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프레임부재(2a, 2b)의 외측 평탄부(11)들을 리벳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
(3) 가로대의 구조
외측 프레임(2)의 대향하는 장변 프레임부재(2a)의 사이에, 복수의 가로대(4)가 걸쳐져 유리기판(S)의 재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로대(4)에는 일정한 판 두께의 알루미늄 압출재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프레임(2)의 장변 프레임부재(2a)에는, 가로대(4)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로서, 외측 프레임(2)의 경사부(13)의 내측에 접하며 도시하지 않은 리벳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a)와, 그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4b)를 가지고 있다.
도 10은 가로대(4)의 일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가로대(4)는, 작업물 재치면으로서의 평탄부(41)와, 그 양측에 형성되며 단면이 “コ”자형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42)와, 각 측벽부(4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가로대(4)는, 평판의 부재를 이용한 경우보다 빔(梁)강도가 향상되어 있으므로, 가로대(4)에는 판 두께가 보다 얇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가로대(4)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평탄부(41)의 상면에는, 유리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재치용 핀(44)이 고정되어 있다. 재치용 핀(44)은 내(耐)마모성이 높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등록상표))이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PE)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기판(S)을 반복해서 탑재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먼지의 발생이 거의 없어 유리기판(S)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평탄부(41)의 양단에는, 단면 “コ”자형상의 내부에 지지부재(14)의 지지부(14b)가 배치되어 있고, 양자는 도시하지 않은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평탄부(41)는, 지지부재(14)를 통해 외측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1)에서는, 외측 프레임(2)의 프레임부재(2a, 2b)의 경사부(13)의 상부와 내측 평탄부(12)가, 가로대(4)의 평탄부(41)의 주위를 덮는 덮개부재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는, 가로대(4)의 평탄부(41)보다 높은 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기판(S)의 외주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장치의 급정지로 인해 유리기판(S)이 이동하더라도, 유리기판(S)이 트레이(1)로부터 튀어 나오거나, 혹은, 만일 파손되었을 경우라도 파편이 주위로 비산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4) 수지블록의 구조
수지블록(8)은, 프레임부재(2a, 2b)의 외측 평탄부(11)에 부착된 부재로서, 각 트레이(1)들의 높이 방향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또한 각 트레이(1)들의 위치 편차를 방지하기 위한 트레이 위치 규제 부재이다.
수지블록(8)은, 상하로 적층되는 트레이(1)와의 접촉부가 되기 때문에, 먼지 의 발생이 억제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지블록(8)은, 내마모성이 높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PEEK나 UPE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블록(8)은, 블록들이 접촉하더라도 마모가 매우 적으며, 먼지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반송되는 유리기판(S)을 잘 오염시키지 않는다.
(5) 제 1 수지블록과 제 2 수지블록의 구조 및 배치
수지블록(8)은, 2종류의 블록, 제 1 수지블록(8A)과 제 2 수지블록(8B)을 가지고 있다. 이하, 각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고, 다음에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공통 구조
도 6의 (a)는 제 1 수지블록(8A)의 상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 1 수지블록(8A)의 정면도이며, 도 6의 (c)는 제 1 수지블록(8A)의 저면도이고, 도 6의 (d)는 제 1 수지블록(8A)의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제 2 수지블록(8B)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 2 수지블록(8B)의 저면도이며, 도 8의 (c)는 제 2 수지블록(8B)의 측면도이다.
최초로, 제 1 수지블록(8A)과 제 2 수지블록(8B)의 공통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지블록(8A, 8B)은, 주로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부(20)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0)는,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본체부(20)의 높이는, 1장의 기판(S)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높이(H1; 도 5 참조)와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상면에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는, 대략 원뿔형 또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양측부에는, 트레이의 단적층, 단분해시에 지지를 위한 접촉부가 되는 피(被)지지부(23)가 연장되어 있다. 피지지부(23)에는, 프레임부재(2a, 2b)에 수지블록(8)을 고정하기 위한 외측 프레임 부착구멍(24)이 관통되어 있으며, 수지블록(8A, 8B)은, 외측 프레임(2)에, 부착구멍(24)을 관통하는 볼트·너트(19; 도 13) 혹은 리벳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는, 수지블록(8A, 8B)이 프레임부재(2a, 2b)에 볼트·너트 혹은 리벳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지블록(8A, 8B)은, 피지지부(23)의 상면이 프레임부재(2a, 2b)의 외측 평탄부(11)의 하면에 맞닿아, 블록 부착구멍(17)으로부터 볼록부(21)와 본체부(20)의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수지블록(8A, 8B)은, 본체부(20)의 상면이, 프레임부재(2a, 2b)의 외측 평탄부(11)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하면(후술하는 볼록부(25)의 하면)은, 외측 평탄부(11)의 하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트레이(1)를 다단으로 적층하면, 각각의 트레이(1)의 수지블록(8A, 8B)의 본체부(20)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하게 되며, 트레이(1)는, 수지블록(8A, 8B)의 본체부(20)의 높이를 피치로 하여 적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1)는, 접촉부인 수지블록(8A, 8B)과 외측 프레임(2)을 다른 소재로 각각 형성한 후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에만 먼지의 발생이 억제된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접촉부를 용이하게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측 프레임(2)의 다른 부분은, 다른 트레이(1)나 설비 등과 거의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먼지의 억제보다 강 도를 중시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외측 프레임(2)의 소재를 선택하는 자유도를 넓힐 수가 있다.
(b) 다른 구조
다음으로, 제 1 수지블록(8A)과 제 2 수지블록(8B)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수지블록(8A)의 본체부(20)의 하면에는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는, 본체부(20)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볼록부(2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된 홈이다. 오목부(22)는, 상면의 볼록부(21)에 대응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2개의 제 1 수지블록(8A)이 서로 걸림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수지블록(8A)은 본체부(20)의 장변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수지블록(8A)은 볼록부(21)의 중심 축 주위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수지블록(8B)의 본체부(20)의 하면에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6)는, 본체부(20)의 장변방향으로 떨어진 한 쌍의 볼록부(27)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20)의 단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9는 2개의 제 2 수지블록(8B)이 서로 걸림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볼록부(21)는, 오목부(26)에 대하여 좌우 · 전후로 틈새를 확보하고 있다. 이상, 제 2 수지블록(8B)은, 상측에 있는 트레이(1)의 중량은 지지하지만, 트레이(1)들을 위치 결정하고 있지는 않다.
(c) 배치
제 1 수지블록(8A)과 제 2 수지블록(8B)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블록(8A, 8B)은, 각 프레임부재(2a, 2b)에 3군데씩 합계 12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지블록(8A)은, 도 2의 A위치, B위치, C위치의 3군데에 배치되어 있다. A위치, B위치는, 도면 하측의 단변 프레임부재(2b)의 양단측이다. C위치는, 도면 좌측의 장변 프레임부재(2a) 위의 도면 하측의 단변 프레임부재(2b)로부터 떨어진 쪽이다. 이와 같이, A위치의 제 1 수지블록(8A)과 B위치의 제 1 수지블록(8A)은 같은 단변 프레임부재(2b)에 배치되어 있으며, 오목부(22)의 방향도 같다. 이에 반해, C위치의 제 1 수지블록(8A)은, A위치의 제 1 수지블록(8A)과 B위치의 제 1 수지블록(8A)을 연결하는 직선위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오목부(22)의 방향이 양자의 오목부(22)의 방향과 다르다. 나머지 9군데에는 제 2 수지블록(8B)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부품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편차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단적층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적층 후에도 최소한의 틈새에서 제 1 수지블록(8A)들이 서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단적층된 상태에서 반송중에 급제동이 작용한 경우라도, 트레이(1)의 어긋남의 누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의 치수가 클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위해 외측 프레임(2)의 강도를 충분히 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2의 위치(D)의 제 2 수지블록(8B)은, 제 1 수지블록(8A)으로 바꾸어도 된다. D위치는, 도면 좌측의 장변 프레임부재(2a) 위의 도면 하측의 단변 프레임부재(2b)에 가까운 측이다. 이 경우에는, 외측 프레 임의 탄성변형에 의한 수지블록(8) 사이의 위치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6) 기판 위치결정부재의 구조
다음으로, 트레이(1)에 탑재되는 유리기판(S)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판 위치결정부재(30)를 설명한다.
도 11은 기판 위치결정부재(3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외측 프레임(2)의 프레임부재(2a, 2b)의 코너부의 부분 상면도이고, 도 13은 기판 위치결정부재(30)를 포함하는 외측 프레임(2) 주변의 트레이(1)의 단면도이다.
기판 위치결정부재(30)는, 외측 프레임(2)의 코너부에 고정되며 유리기판(S)이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기판 위치결정부재(30)는, 수지제이며, 평탄부(31)와, 여기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2)와, 평탄부(3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부(34)와, 그 상단으로부터 완만하게 계속해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5)와, 그 하단부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평탄부(36)를 가지고 있다. 평탄부(36)에는, 구형 볼록형상의 기판 재치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31) 및 기둥부(32)에는 나사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 위치결정부재(3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2)의 각 코너부의 2군데에 설치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프레임부재(2a, 2b)의 양단 위치부터 프레임부재의 장변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기판위치 결정 부재(30)의 평탄부(31)의 상면은, 외측 프레임(2)의 내측 평탄부(12)의 하면에 접해 있으며, 벽부(34)는 내측 평탄부(12)의 선단면에 접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컨대 볼트가 나사 구멍(33)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기판위치 결정 부재(30)는 내측 평탄부(12)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평탄부(36)는 내측 평탄부(12) 보다 내측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판 재치부(37)에는 유리기판(S)이 올려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사부(35)가 기판(S)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고 있다. 경사부(35)는, 실제 유리기판(S)의 치수에 대하여 한쪽에서 예컨대 1 ~ 3mm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유리기판(S)을 트레이(1) 위에 탑재할 때, 경사부(35)에 의해 유리기판(S) 단면이 유도되어, 위치 편차를 보정한다.
기판위치 결정 부재(30)가 종래의 탈락 방지 부재와 재치용 핀을 일체화한 구조이기 때문에, 유리기판(S)과 외측 프레임(2) 사이의 틈새가 종래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 결과, 종래의 트레이에 비해 외측 프레임의 소형화가 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 위치결정부재(30)는, 내마모성이 높은 PEEK나 UPE로 형성되어 있어, 기판(S)이 위치 결정 때문에 반복해서 접촉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먼지의 발생이 거의 없어 기판(S)을 쉽게 오염시키지 않는다.
(7) 단적층 트레이의 구조
도 3 및 도 4는 트레이(1)를 상하방향으로 복수장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5장 겹쳐진 트레이(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위에서 얹어진 다른 트레이(1)의 경사부(13)가 하측의 트레이(1)의 경사부(13)를 덮어 적층된다. 바꿔 말하면, 상측 트레이(1)의 경사부(13) 내측의 수용공간(13a) 내에 하측 트레이(1)의 덮개부재(외측 프레임(2)의 프레임부재(2a, 2b)의 경사부(13)의 상부와 내측 평탄부(12))가 들어간다. 이 때문에, 적층하였을 때에 작은 스페이스에서 많은 트레이(1)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1)는, 외측 프레임(2)에 고정된 수지블록(8)의 본체부(20)의 상면과 하면만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된다. 수지블록(8)의 높이가, 1장의 유리기판(S)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높이(H1)로 되어 있으며, 트레이(1)의 외측 프레임(2)의 다른 부분 및 가로대(4)는, 적층되었을 때에 상하의 트레이(1)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트레이(1)는, 수지블록(8)에 의해 규정되는 높이, 즉 수용높이(H1)를 피치로 하여 적층된다. 트레이(1)가 수지블록(8)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높이(H1)의 피치로 적층될 때, 상측 트레이(1)의 외측 프레임(2) 내에, 하측 트레이(1)의 외측 프레임(2)이 들어간다. 설사, 외측 프레임(2)의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하여 경사부(13)의 높이를 높게 한 트레이(1)를 적층하였다고 하더라도, 경사부(13)가 상측 트레이(1)의 경사부(13)의 수용공간(13a)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한, 전체의 높이에 대한 영향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1)는, 상측 트레이(1)의 경사부(13)에, 하측의 다른 트레이(1)의 경사부(13)가 들어가는 수용공간(13a)이 형성됨으로써, 비록 경사부(13)의 높이를 변경한 경우라도, 항상 보다 작은 피치로 적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1)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을 때, 상하의 트레이(1) 사이에서, 수지블록(8)만 접촉되어 있고, 외측 프레임(2)과 가로대(4)는 다른 트레이(1)와 전혀 접촉되지 않는다. 수지블록(8)은 PEEK나 UPE 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에 의해서도 먼지가 대부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측 프레임(2)과 가로대(4)는 다른 트레이(1)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먼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1)는 적층하더라도 먼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기판(S)이 거의 오염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1)는, 위에 쌓여진 트레이(1)의 중량을 수지블록(8)이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외측 프레임(2)에는, 상측 트레이(1)의 중량이 가해지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외측 프레임(2)은, 자체 중량과, 올려진 기판(S)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무방하고, 외측 프레임(2)에 의해 위에 쌓여진 트레이(1)를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요구되는 강도는 작다. 이로써, 외측 프레임(2)에 요구되는 강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8) 단적층 트레이를 반송하는 동작
다음으로, 단적층 트레이를 포크로 반송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단적층 트레이의 하부에 포크(101)의 한 쌍의 클로부(101a)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측면도이며, 도 16은 정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이다.
포크(101)의 한 쌍의 클로부(101a)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선단과 근원에 지지부(101b)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101b)는, 각 프레임부재(2a, 2b)의 양단측에 설치된 수지블록(8)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101b)는, 수지블록(8)의 하단부의 외주를 지지할 수 있는 2쌍의 사면과, 수 지블록(8)의 하면에 접하며 하중을 받는 평탄부를 가지고 있다.
이 트레이(1)에서는, 수지블록(8)은 가로대(4)의 평탄부(41; 작업물 재치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지지부(101b)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클로부의 상방향에 대한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서는, 크레인의 포크의 조작이 용이해져,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문제(예컨대 외측 프레임의 하면에 포크의 클로(301)가 충돌할 우려)가 적어져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트레이(1)로 이루어진 단적층 트레이 전용의 받침대가 필요없게 된다.
(2. 다른 실시형태)
이상,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각 부재의 접합
외측 프레임의 변 부재들의 접합 방법이나 접합 부분, 외측 프레임과 가로대의 접합 방법이나 접합 부분은, 탑재되는 박판 형상의 물품의 크기나 중량에 맞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2) 각 부재의 구조
외측 프레임의 형상이나, 수지블록의 형상이나 배치를, 작용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3) 외측 프레임의 변형예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프레임의 단면형상이다. 외측 프레임(2’)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조에 더하여, 외측 평탄부(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와, 그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6)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단면이 2차 모멘트를 가지는 구조에 의해, 외측 프레임(2’)의 강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외측 프레임(2)의 강성보다 높아지게 된다.
(4) 수지블록의 변형예
도 19의 (a)는 다른 실시형태의 제 3 수지블록(108)의 상면도이며, 도 19의 (b)는 제 3 수지블록(108)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3 수지블록(108)의 측면도이다.
제 3 수지블록(108)은, 주로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부(120)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20)의 높이는, 1장의 기판(S)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높이(H1)와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0)의 상면에는 볼록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1)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0)의 양측부에는, 트레이의 단적층, 단분해시에 지지를 위한 접촉부가 되는 피지지부(123)가 연장되어 있다. 피지지부(123)에는, 프레임부재에 수지블록(8)을 고정하기 위한 외측 프레임 부착구멍(124)이 관통되어 있다.
제 3 수지블록(108)은, 외측 프레임에 리벳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제 3 수지블록(108)은, 피지지부(123)의 상면이 프레임부재의 외측 평탄부의 하면에 맞닿아, 블록 부착구멍으로부터 볼록부(121)와 본체부(120)의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를 다단으로 적층하면, 각각의 트레이의 제 3 수지블록(108)의 본체부(120)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하게 되며,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는, 제 3 수지블록(108)의 본체부(120)의 높이를 피치로 하여 적층된다.
제 3 수지블록(108)의 본체부(120)의 하면에는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2)는, 볼록부(121)와 거의 같은 형상 및 치수의 구멍이며, 오목부와 볼록부의 틈새가 필요 최소한으로 확보되어 있는 도 21은 2개의 제 3 수지블록(108)이 서로 걸림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 3 수지블록(108)은 좌우·전후 방향으로는 거의 이동할 수 없지만, 회전 방향으로는 제한없이 이동할 수 있다.
제 3 수지블록(108)은, 트레이의 모든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수지블록(8A)이나 제 2 수지블록(8B)과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5) 덮개부재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로대(4)의 주위를 둘러싸는 덮개부재는 프레임부재(2a, 2b)의 경사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다른 부재여도 되고, 프레임부재(2a, 2b)가 아닌 수지블록(8)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재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평탄부를 가지고 있었으나, 반드시 이렇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필요는 없다.
(6) 외측 프레임 및 가로대의 재료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부재는 알루미늄의 압출가공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일정한 판 두께의 강재(鋼材, 예컨대, SUS 304)를 판금 가공에 의해 동일한 단면형상이 되도록 가공해도 된다.
(7) 지지부재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는 프레임부재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지지부재가, 내측 평탄부와 같이, 경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지부재와 가로대를 고정하는 리벳의 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벳은 복수개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단적층 트레이의 코너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단적층 트레이의 코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적층 트레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수지블록의 각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수지블록들의 재치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2 수지블록의 각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수지블록들의 재치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가로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위치결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위치결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단적층 트레이를 하부에 포크의 클로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단적층 트레이를 하부에 포크의 클로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단적층 트레이를 하부에 포크의 클로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외측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수지블록의 각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수지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수지블록들의 걸림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기술의 단적층 트레이를 포크의 클로로 들어 올릴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2 : 외측 프레임
2a : 장변 프레임부재 2b : 단변 프레임부재
4 : 가로대 8 : 수지블록
11 : 외측 평탄부 12 : 내측 평탄부
13 : 경사부 13a : 수용공간
20 : 본체부 21 : 볼록부
22 : 오목부 23 : 피지지부

Claims (5)

  1. 박판 형상의 작업물을 반송하는 데 이용되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로서,
    상기 작업물을 올려놓는 작업물 재치면을 가지는 작업물 재치부와,
    직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 재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며 하단부가 상기 작업물 재치면보다 낮은 경사부를 가지고 있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 재치부의 상기 작업물 재치면의 주위를 덮는 상기 주위보다 높은 벽을 가지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경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 재치부는, 상기 프레임에 걸쳐져 상기 작업물 재치면을 상면에 가지는 가늘고 긴 복수의 재치부재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재치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가지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경사부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에 겹쳐진 상태로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의 내측에는, 아래에 쌓여진 다른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의 덮개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KR1020080120969A 2008-02-04 2008-12-02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KR20090085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4434A JP2009184687A (ja) 2008-02-04 2008-02-04 ワーク搬送用トレイ
JPJP-P-2008-00024434 2008-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13A true KR20090085513A (ko) 2009-08-07

Family

ID=4097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969A KR20090085513A (ko) 2008-02-04 2008-12-02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84687A (ko)
KR (1) KR20090085513A (ko)
CN (1) CN101503130A (ko)
TW (1) TW200935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523B1 (ko) 2011-01-17 2012-10-10 유상채 태양전지 패널 적층용 파렛트
JP6575925B2 (ja) * 2015-04-28 2019-09-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トレイ
CN105173429B (zh) * 2015-06-05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存储卡匣
DE102016010378A1 (de) * 2016-08-30 2018-03-01 Feurer Febra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tückgütern
CN110712980A (zh) * 2019-11-13 2020-01-21 山东大学 一种自适应高度升降托盘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5544A (en) 2009-08-16
JP2009184687A (ja) 2009-08-20
CN101503130A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6094A1 (en) Glass cassette for loading glass substrates of display panels
KR20090085513A (ko) 작업물 반송용 트레이
US10283394B2 (en) Article transport device
JP5061321B2 (ja) 搬送パレット
JP4893579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JP2019011179A (ja) 物品支持棚
TW201134733A (en) Storage container of sheet-like article
JP4941224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WO2011141966A1 (ja) 移載装置
JP4667855B2 (ja) 積載棚のパレットの横ずれ防止装置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2007035762A (ja) 枚葉搬送用トレイ
CN217171721U (zh) 玻璃板捆包体
JP4407586B2 (ja) 枚葉搬送用トレイ
JP4407587B2 (ja) 枚葉搬送用トレイ
JP6011658B2 (ja) インナーパレット
JP7408745B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倉庫
JP2007201341A (ja) 枚葉搬送用トレイ
JP2009188057A (ja) ワーク搬送用トレイおよびトレイ群遮蔽用トレイ
JP2009184685A (ja) ワーク搬送用トレイ
JP5708195B2 (ja) インナーパレット
JP2007035765A (ja) 枚葉搬送用トレイおよびトレイマガジン
KR20070013190A (ko) 매엽반송용 트레이
JP5429257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JP2007191240A (ja) トレイの搬送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