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310A - 사출기 - Google Patents

사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310A
KR20090085310A KR1020080011134A KR20080011134A KR20090085310A KR 20090085310 A KR20090085310 A KR 20090085310A KR 1020080011134 A KR1020080011134 A KR 1020080011134A KR 20080011134 A KR20080011134 A KR 20080011134A KR 20090085310 A KR20090085310 A KR 20090085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resin
gas
resin
protrusion
mo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999B1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08001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99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811 priority patent/WO2009099261A1/en
Publication of KR2009008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5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 B29C48/76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in screw extruders
    • B29C48/767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in screw extruders through a degassing opening of a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7Raw material pre-treatment whil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3Vent constructions, e.g. venting means avoiding melt esc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는, 예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건조하고 건조된 원료를 공급하는 조절기; 상기 조절기로부터 건조된 원료를 공급 받고 이를 용융하여 용융 수지로 만드는 히팅 실린더; 그리고 상기 히팅 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 받고, 상기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며, 가스가 추출된 용융 수지를 제1,2다이 사이의 공동에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11134
사출기, 용융 수지, 공동

Description

사출기{EXTRUDER}
본 발명은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은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사출 성형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여 제품을 만든다. 따라서, 사출기에는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된다.
사출기 노즐은 용융된 수지를 스크류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송시키면서 사출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종래의 사출기 노즐은 사출기의 실린더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는 바디, 상기 바디의 용융된 수지를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는 헤드,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용융된 수지 내의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벤트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기 노즐에 따르면, 용융된 수지가 상기 포페트의 외주면을 지나갈 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가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구성은 없었다. 따라서, 사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용융 수 지에는 다량의 가스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가스 성분들에 의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 벤트링이 가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므로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들을 건조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건조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설비가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제거된 가스에는 다량의 유기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게 되면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사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추출된 가스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낮은 사출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는, 예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건조하고 건조된 원료를 공급하는 조절기; 상기 조절기로부터 건조된 원료를 공급 받고 이를 용융하여 용융 수지로 만드는 히팅 실린더; 그리고 상기 히팅 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 받고, 상기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며, 가스가 추출된 용융 수지를 제1,2다이 사이의 공동에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예열하는 예열기; 그리고 상기 예열된 공기를 상기 원료에 공급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하는 공기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 실린더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히팅 실린더에는 상기 원료를 용융하도록 가열 수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첫 번째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에 끼워지며, 상기 추출된 가스를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벤트링;을 포함하되,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는, 축; 상기 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된 벤트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콘; 그리고 상기 축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2수지 이동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트링은,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벤트링은 소결금속(sintered met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통; 상기 지지통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있는 벤트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홈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통 돌출턱은 상기 제1,2수지 이동 홈 사이에 형성된 포페트 돌출턱과 교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벤트링 부재는,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벤트링 부재는 소결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상기 보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스 포집기에 연결되어 가스는 상기 가스 포집기에 모인 후 가스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관에는 상기 가스 포집기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 펌프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관에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가스 내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 내의 용융된 수지가 응고되지 않도록 가열하는 가열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를 제2수지 이동 홈에서 제1수지 이동홈으로 넘어간 후 분출하도록 하여 용융 수지를 얇고 고르게 펴며,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가스를 제1벤트링 사이의 틈뿐만 아니라 제1벤트링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효과적으로 용융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융된 수지가 제2수지 이동홈에서 제1수지 이동홈으로 넘어가므로 염료 혼합률을 높여 플라스틱 제품의 색깔 성형에 유리하다.
또한, 가스와 타르를 수지로부터 분리하므로 금형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보디 내 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키므로 가스를 보다 완벽하게 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가스 내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므로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는 조절기(90), 히팅 실린더(40), 그리고 노즐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조절기(90)는 예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건조하고 건조된 원료를 상기히팅 실린더(40)에 공급하는 것으로, 조절기 몸체(10), 송풍기(20), 예열기(25), 그리고 공기 분배기(30)를 포함한다.
조절기 몸체(10)는 원료 저장소(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으며 그 하단은 원료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다.
송풍기(20)는 팬(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분배기(30)에 장착되어 팬을 회전시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예열기(25)는 상기 공기 분배기(30)에 장착되어 있으며 흡입된 공기를 예열한다. 상기 예열기(25)는 전기 저항이 높은 코일일 수 있다.
공기 분배기(30)는 긴 파이프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조절기 몸체(10)의 일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조절기 몸체(10) 내에 위치한다. 상기 공기 분배기(30)의 일단에는 필터(15)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대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걸러 준다. 미세 먼지가 걸러지지 않은 공기를 원료에 분사하면 미세 먼지가 원료에 붙게 되고 이는 사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기(30)의 타단은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어 흡입된 공기를 원료에 고르게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기 분배기(30)에는 송풍기(20)와 예열기(25)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 서, 송풍기(2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예열기(25)에 의하여 예열된다. 그 후, 예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 분배기(30)의 타단을 통해 원료에 분사되어 원료를 건조시킨다.
히팅 실린더(40)는 원료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조절기 몸체(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기(90)에서 건조된 원료는 원료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히팅 실린더(40)에 공급된다.
상기 히팅 실린더(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료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는 원료 투입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히팅 실린더(40)의 내부에는 스크류(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팅 실린더(40)에는 건조된 원료를 용융하기 위한 가열 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히팅 실린더(40)에 공급된 원료는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하여 용융 수지로 용융되고, 상기 용융 수지는 스크류(45)가 회전함에 따라 노즐 어셈블리(50)에 공급된다. 상기 가열 수단은 전기 저항이 높은 코일일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50)의 일측면은 상기 히팅 실린더(4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용융 수지를 공급 받아 상기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한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의 타측면은 제1,2다이(55, 60)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다이(55, 60) 사이에 형성된 공동(cavity; C)에 가스가 추출된 용융 수지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동(C)에 공급된 용융 수지는 그 안에서 냉각되어 제품으로 생산된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의 외주면에는 용융된 수지가 응고되지 않도록 가열하는 가열기(6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에서 추출된 가스를 모으는 가스 포집기(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기(65)는 전기 저항이 높은 코 일일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기(70)는 가스 배출관(75)에 연결되어 모인 가스를 외부에 배출한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관(75)에는 상기 가스 포집기(70)의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진공 펌프(80)와 음이온을 발생시켜 가스 내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8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기(85)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가스 내의 냄새를 제거하고,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진공 펌프(80)와 음이온 발생기(85)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바디(100), 헤드(200), 포페트(300), 그리고 제1벤트링(400, 410, 4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이다. 상기 바디(100)는 그 일단이 히팅 실린더(40)에 연결되어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으며, 그 타단은 상기 헤드(20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는 용융 수지 통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의 일단을 통해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를 통해 상기 헤드(20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후단부에는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벤트링(42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에는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은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은 상기 가스 포집기(70)에 연결되어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상기 가스 포집기(70)로 배출한다.
상기 헤드(200)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100)와 결합하고 그 타단에는 사출구(210)가 형성되어 있어, 용융된 수지를 제1,2다이(55, 60) 사이에 형성된 공동(C)으로 분출한다.
상기 바디(100)와 헤드(200)의 결합은 나사결합일 수 있다. 즉, 상기 헤드(200)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100)의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00)와 헤드(200)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0)는 필요로 하는 직경을 가진 용융된 수지를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100)측 단부로부터 상기 사출구(210)로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0)에는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벤트링(41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제2가스 배기 구 멍(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스 배기 구멍(220)은 상기 가스 포집기(70)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성분을 상기 가스 포집기(70)로 배출한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에서 가스 성분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어 사출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 포페트(300)는 양 단부에 콘(350, 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로, 상기 포페트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포페트의 하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포페트(300)는 양단에 콘들(350, 3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페트(300)의 일측부에 벤트링 받침(3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트링 받침(330)에는 복수개의 연결 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이동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지 이동홈(31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제2수지 이 동홈(320)을 통하여 헤드(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용융된 수지는 막혀있는 제2수지 이동홈(320)에 의해 그 이동을 제한 받게 되고, 주위에 형성된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라 헤드(2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사출구(210)를 통해 제1,2금형(55, 60) 사이의 공동(C)으로 분출되게 된다.
도 5를 참조로, 상기 포페트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포페트의 다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페트(300)는 축(370), 콘들(350, 360),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을 포함한다.
콘들(350, 360)은 상기 축(370)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콘들(350, 360)은 상기 축(370)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콘(360)에는 벤트링 받침대(3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330)에는 연결 구멍(34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은 통상적인 벤트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벤트링(380)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은 상기 축(370)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2벤트링(380) 중 헤드(200)쪽에 가장 가까운 제2벤트링(380)에 는 제1수지 이동홈(310)만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제2벤트링(380)에 형성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 전체로서 용융된 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그 중 제2수지 이동홈(320)이 형성하는 이동 통로는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용융된 수지는 제2수지 이동홈(320)을 통해 이동하다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며 가스 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헤드(200)의 사출구(210)를 통해 제1,2금형(55, 60) 사이의 공동(C)으로 분출되게 된다.
제1벤트링(400)은 상기 포페트(300)에 끼워지며, 추출된 가스를 가스 포집기(70)로 배출시킨다.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제1벤트링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벤트링(400)은 제1돌출부(430), 제2돌출부(440), 그리고 가스 수집 공간(40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1벤트링(400)의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440)는 상기 제1벤트링(400)의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은 상기 제1돌출부(430)와 상기 제2돌출부(4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2돌출부(440)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0.001~0.1mm일 수 있다.
제1벤트링(400)들이 밀착된 경우, 그 내주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지만 그 외주면은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로부터 추출된 가스는 상기 미세한 틈을 통하여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 내로 수집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은 방사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조각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존재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조각들의 개수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에서 상기 제1돌출부(430)에는 방사상으로 가스 이동 홈(4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이동 홈(450)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벤트링(400)의 외주면에 상기 가스 이동 홈(450)에 연결되는 가스 홈(45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가 상기 가스 홈(452)을 통해 이동하며 배출되므로 배출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가스 이동 구멍(4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이동 구멍(460)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한편, 제1벤트링(400)에 제1,2돌출부(430, 440)를 형성하는 대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벤트링(4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미세 홈(424)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압력에 의하여 상기 미세 홈(424)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미세 홈(424)의 깊이는 당업자가 바람직한 값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홈(424)의 깊이는 0.001~0.01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홈(424)의 형상은 직선형 또는 나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벤트링(400)을 소결금속(sintered metal)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제1벤트링(400)을 구성하는 소결금속의 입자 사이의 틈을 통해 가스 포집기(70)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 수지는 연결 구멍(340)을 통하여 제2수지 이동홈(320)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그 끝이 막혀 있으므로 상기 용융 수지는 이동을 제한받게 되어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간 후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 라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게 되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또한, 추출된 가스 성분은 제1벤트링(400)들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가스 수집 공간(405)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제1벤트링(400)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도 가스 수집 공간(405)에 수집된다. 그 후, 수집된 가스는 제1벤트링(400)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 바디(100)의 내주면으로 이동되고,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을 통하여 가스 포집기(70)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구성과 동일한 것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바디(100), 헤드(200), 지지통(500), 포페트(300), 그리고 벤트링 부재(4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그 일단이 히팅 실린더(40)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헤드(20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는 용융 수지 통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200)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100)와 결합하고, 타단에는 사출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지지통의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통(500)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삽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500)의 내주면은 복수개의 지지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510)들 사이에는 지지통 돌출턱(5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510)에는 제3가스 배기 구멍(5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홈(510)으로 이동한 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포페트(300)는 양 단부에 콘(350, 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300)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330)에는 복수개의 연결 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지 이동홈(310)은 상기 헤드(200) 방향 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제1,2수지 이동 홈(310, 320) 사이에는 포페트 돌출턱(3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 돌출턱(390)은 교대로 상기 지지통 돌출턱(530)과 설정된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거리(d)는 0.1~1m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통하여 헤드(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용융된 수지는 막혀 있는 제2수지 이동홈(320)에 의해 그 이동을 제한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융된 수지는 이격되어 있는 상기 포페트 돌출턱(390)과 상기 지지통 돌출턱(5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라 헤드(2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사출구(210)를 통해 제1,2금형(55, 60) 사이의 공동(C)으로 분출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벤트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링 부재(470)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5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각 조각들은 내주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 으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에 일정 부분 삽입되어 용융된 수지가 고르게 퍼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의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벤트링 부재(470)는 제1돌출부(430), 제2돌출부(440), 그리고 가스 수집 공간(4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430)은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440)는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는 상기 제1돌출부(430)와 상기 제2돌출부(4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2돌출부(440)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0.001~0.1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상기 벤트링 부재(470)를 소결금속(sintered metal)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벤트링 부재(470)을 구성하는 소결금속의 입자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는 가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진공 펌프(80)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펌프(80)는 상기 가스 배출관(75)을 통하여 가스 포집기(7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80)는 바디(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0)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첫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포페트의 하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포페트의 다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서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에 사용되는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 는 벤트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지지통의 정면도이다.

Claims (24)

  1. 예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건조하고 건조된 원료를 공급하는 조절기;
    상기 조절기로부터 건조된 원료를 공급 받고 이를 용융하여 용융 수지로 만드는 히팅 실린더; 그리고
    상기 히팅 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 받고, 상기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며, 가스가 추출된 용융 수지를 제1,2다이 사이의 공동에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사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예열하는 예열기; 그리고
    상기 예열된 공기를 상기 원료에 공급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하는 공기 분배기;
    를 포함하는 사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실린더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 기 히팅 실린더에는 상기 원료를 용융하도록 가열 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에 끼워지며, 상기 추출된 가스를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벤트링;
    을 포함하되,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는,
    축;
    상기 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된 벤트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콘; 그리고
    상기 축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2수지 이동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벤트링;
    을 포함하는 사출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
    을 포함하는 사출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소결금속(sintered meta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통;
    상기 지지통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있는 벤트링 부재;
    를 포함하는 사출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통 돌출턱은 상기 제1,2수지 이동홈 사이에 형성된 포페트 돌출턱과 교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링 부재는,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
    을 포함하는 사출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19. 제 12항에 있어서,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20. 제 11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상기 보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스 포집기에 연결되어 가스는 상기 가스 포집기에 모인 후 가스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관에는 상기 가스 포집기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관에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가스 내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링 부재는 소결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24. 제 4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 내의 용융된 수지가 응고되지 않도록 가열하는 가열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KR1020080011134A 2008-02-04 2008-02-04 사출기 KR10097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34A KR100971999B1 (ko) 2008-02-04 2008-02-04 사출기
PCT/KR2008/000811 WO2009099261A1 (en) 2008-02-04 2008-02-12 Extru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34A KR100971999B1 (ko) 2008-02-04 2008-02-04 사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42A Division KR20100055371A (ko) 2010-04-14 2010-04-14 사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10A true KR20090085310A (ko) 2009-08-07
KR100971999B1 KR100971999B1 (ko) 2010-07-22

Family

ID=4095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34A KR100971999B1 (ko) 2008-02-04 2008-02-04 사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1999B1 (ko)
WO (1) WO200909926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0B1 (ko) *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1252465B1 (ko) * 2010-05-04 2013-04-16 박희원 사출 성형기 내부의 수지 주입 및 가스 배출 장치
KR101277191B1 (ko) * 2011-11-10 2013-06-21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KR101383088B1 (ko) * 2013-02-15 2014-04-08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WO2014133207A1 (ko) * 2013-02-28 2014-09-04 주식회사 지브랜드 3차원 성형 상호 접속 모듈,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4133206A1 (ko) * 2013-02-28 2014-09-04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KR101870540B1 (ko) * 2016-12-16 2018-06-22 주식회사 제로벡 가스배출 증폭기능과 용융수지 리턴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용 가스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98B1 (ko) 2011-07-29 2013-08-01 이준현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JP6396071B2 (ja) * 2014-05-02 2018-09-26 兵神装備株式会社 流動体供給システム、及び成型システム
CN108973008B (zh) * 2018-06-30 2020-10-27 嘉兴市金鹭喷织有限公司 一种防止产生气泡的塑料产品注塑装置
KR102133560B1 (ko) * 2018-10-26 2020-07-13 주식회사 유림테크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블로우 성형을 위한 hdpe 원료의 공급장치
US11428467B2 (en) 2020-04-08 2022-08-30 Next-Gen Graphene Polymers Co., Ltd Facility for forming wood plastic composite with microwave and degassing device
KR102379514B1 (ko) * 2021-04-21 2022-03-29 원일유압 주식회사 가스 제거 기능이 구비된 사출성형기
CN116691039B (zh) * 2023-08-03 2023-09-29 携晟挤出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eva材料用的双螺杆挤出压片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764A (ja) * 1991-10-08 1994-03-22 Tsugami Corp 射出成形機の射出成形部用温度制御装置
JP2004243337A (ja) * 2003-02-12 2004-09-02 Toshiba Mach Co Ltd 成形装置
KR100535915B1 (ko) * 2004-03-19 2005-12-12 신상오 사출성형기 호퍼용 합성수지원료 건조장치
KR100631267B1 (ko) * 2005-06-01 2006-10-09 (주) 한텍코리아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0B1 (ko) *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1252465B1 (ko) * 2010-05-04 2013-04-16 박희원 사출 성형기 내부의 수지 주입 및 가스 배출 장치
KR101277191B1 (ko) * 2011-11-10 2013-06-21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KR101383088B1 (ko) * 2013-02-15 2014-04-08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WO2014133207A1 (ko) * 2013-02-28 2014-09-04 주식회사 지브랜드 3차원 성형 상호 접속 모듈,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4133206A1 (ko) * 2013-02-28 2014-09-04 주식회사 지브랜드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KR101870540B1 (ko) * 2016-12-16 2018-06-22 주식회사 제로벡 가스배출 증폭기능과 용융수지 리턴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용 가스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999B1 (ko) 2010-07-22
WO2009099261A1 (en)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999B1 (ko) 사출기
KR100822479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AU714434B2 (en) Valve-gate bushing for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JP4705016B2 (ja) 噴霧器に関するプッシュボタン
KR20100088383A (ko) 벤트링, 이를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생산 방법
KR101292498B1 (ko)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JPH09174604A (ja) 射出成形用トーピード
EP0709173A1 (en) 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1687681B1 (ko)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20100055371A (ko) 사출기
TW201723245A (zh) 用於製造缸筒式活性碳濾芯過濾器的噴絲嘴元件、包含該噴絲嘴元件的缸筒式活性碳濾芯過濾器製造裝置、及使用該製造裝置與噴絲嘴元件製造之缸筒式活性碳濾芯過濾器
KR20130135439A (ko)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KR101575574B1 (ko) 가스배출 시스템이 탑재된 사출성형기
CN212603262U (zh) 一种可拆卸的螺杆挤出机的热嘴喷头
KR101277191B1 (ko) 전사 인몰드 사출 성형방법
KR102179745B1 (ko) 가스 제거용 사출기 노즐 어셈블리
JPH08197592A (ja) 突き出しピン
JP2004322438A (ja) 樹脂材料の可塑化方法及びそのための可塑化装置
KR100631267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0972810B1 (ko)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CN100427216C (zh) 流体制品喷雾头
CN218736895U (zh) 一种食品加工模具脱模油喷枪
KR20100079051A (ko) 플라스틱 성형시 노즐에서의 가스 배기장치
TWM654588U (zh) 射出成型機之射嘴結構
KR102221674B1 (ko)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