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439A -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439A
KR20130135439A KR1020120058990A KR20120058990A KR20130135439A KR 20130135439 A KR20130135439 A KR 20130135439A KR 1020120058990 A KR1020120058990 A KR 1020120058990A KR 20120058990 A KR20120058990 A KR 20120058990A KR 20130135439 A KR20130135439 A KR 2013013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le
central hole
nozzle unit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국
채덕수
Original Assignee
이진국
채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채덕수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102012005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439A/ko
Publication of KR2013013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581Devices for influencing the material flow, e.g. "torpedo constructions" or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융 실린더에서 금형의 캐비티(Cavity) 속으로 용융수지를 주입할 때, 상기 용융수지를 충분히 혼합 및 교반하여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와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Nozzle unit of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융 실린더에서 금형의 캐비티(Cavity) 속으로 용융수지를 주입할 때, 상기 용융수지를 충분히 혼합 및 교반하여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와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는 합성수지 원료를 용융하는 실린더와, 성형하고자 하는 물품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캐비티(Cavity)를 갖는 금형과, 상기 실린더에서 용융된 수지를 상기 금형의 캐비티 속으로 주입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은 예컨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캐비티 속에 주입된 수지가 고화되면 상부 및 하부금형을 서로 분리하여 성형품을 취출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사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합성수지 원료에는 다소간의 습기가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합성수지 원료는 실린더 내에서 용융될 때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는 용융수지와 함께 금형 캐비티 속으로 주입되어 결국 성형품의 표면에 손상이나 균열 또는 얼룩무늬를 형성하는 등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원료는 용융 실린더에 투입하기 전에 건조기나 드라이 호퍼(Dry hopper)를 이용하여 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나일론 수지나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등과 같은 일부 합성수지 원료의 경우, 진공 건조를 하지 않으면 완전한 건조를 기대할 수 없고, 진공 건조를 마친 경우에도 이를 사출성형기에 투입할 때에는 드라이 호퍼 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건조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기는 합성수지 원료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장치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운전 비용 및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1988-19414호(1988년 11월 28일)에는 실린더에서 금형으로 용융수지를 주입할 때 상기 용융수지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사출기용 노즐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노즐은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에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1)와; 선단에는 상기 헤드(1)가 결합되고 후단에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는 바디(2)와; 상기 바디(2) 속에 장착되는 토피도(3; Torpedo); 그리고 상기 바디(2)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토피도(3)를 둘러싸는 다수개의 와셔(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피도(3)의 외경부에는 용융수지가 이동하는 다수개의 나선홈(4)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셔(5)들은 그 일면에 돌출된 돌기(6)에 의해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겹겹이 배치되며, 상기 바디(2)에는 가스배출공(8)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실린더에서 밀려나온 용융수지는 토피도(3)의 외경부에 형성된 나선홈(4)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스를 방출하게 되고, 이 가스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와셔(5)들 사이를 통과한 후 가스배출공(8)을 통해서 바디(3)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노즐에서는 용융수지가 이동하는 나선홈(4)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나선홈(4)을 통과하는 용융수지가 서로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특히 용융수지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들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고 그대로 금형 속으로 주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0631267호(2006년 09월 26일)에는 실린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바디부재(100)와; 선단에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은 상기 바디부재(100)에 결합되는 헤드부재(200)와; 양단에 원뿔형 콘(310,320)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 콘(310)에는 상기 바디부재(100)의 내경에 밀착되는 가스배출링(330)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의 콘(32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축(340)이 결합되어 있는 포페트(Poppet)부재(300)와; 상기 연결축(340)에 나란히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벤트링부재(400)와; 상기 제1 벤트링부재(400)의 외경부에 나란히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벤트링부재(500);로 이루어진 노즐 어셈블리가 소개되어 있다.
그래서 용융수지가 상기 가스배출링(330)에 형성된 스루홀(331; Through holl)을 지나 제1 벤트링부재(400)와 제2 벤트링부재(50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스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가스는 상기 제1 벤트링부재(400)와 제2 벤트링부재(500)에 각각 구비된 가스 벤트홈과 바디부재(100)에 형성된 벤트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노즐 아셈블리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구성부품의 개수가 너무 많아서 이들을 가공 및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사용 과정에서 고장이 발생할 우려도 높다. 특히, 제1 벤트링부재(400)와 제2 벤트링부재(500)에는 수지는 통과하지 않으면서 가스만 배출하는 미세한 가스 벤트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공 또는 조립과정에서 상기 벤트홈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오차가 발생할 경우,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공개 제20-1988-19414호(1988년 11월 28일) 특허등록 제10-0631267호(2006년 09월 26일)
이상 살핀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는 가스 배출기능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전체적 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수지에서 빠져나온 가스를 강제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기통로와 함께 흡기통로도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노즐유니트에는 배기통로만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가스를 강제 배출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출성형기의 실린더에서 용융수지를 금형 속으로 주입할 때 상기 용융수지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주고, 나아가 수지 속에 포함된 가스를 강제로 배출함으로써 사출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노즐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성 부품의 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해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나아가 사용 과정에서 고장 발생의 우려가 적은 노즐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로 소개한 도 1 및 도 2와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새로운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용융수지의 이동방향을 따라 노즐헤드 쪽을 ‘전방’이라 하고, 실린더 쪽을 ‘후방’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는, 금형 내부로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노즐헤드와, 흡기통로, 그리고 깔때기 형상의 입구를 갖는 중앙홀(H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지지체와; 상기 용융수지를 공급하는 실린더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기통로와, 깔때기 형상의 출구를 갖는 중앙홀(H2)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의 중앙홀(H1) 입구에 삽입되는 전방콘과 상기 후방지지체의 중앙홀(H2) 출구에 삽입되는 후방콘을 가지며, 원주형 몸통부의 표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나선형 수지통로(P1)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믹싱코어와; 상기 전방지지체와 후방지지체 사이에 겹겹이 배치되는 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믹싱코어의 몸통부가 삽입되는 중앙홀(H3)과, 상기 중앙홀(H3)의 주변에 관통된 제1 배기공과, 상기 제1 배기공과 중앙홀(H3)을 서로 연결하도록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홈을 갖는 배기판과; 상기 배기판들 사이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믹싱코어의 몸통부가 삽입되는 중앙홀(H4)을 가지며, 상기 제1 배기공에 연결되는 제2 배기공이 관통되어 있는 격리판과; 상기 배기판과 격리판의 중앙홀(H3,H4) 내벽에 상기 믹싱코어의 몸통부 외벽이 밀착되고, 상기 흡기통로와 제1 배기공, 제2 배기공 및 배기통로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방지지체와 배기판, 격리판 및 후방지지체를 일체로 결합해주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체의 배기통로에는 배기펌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는 상기 믹싱코어의 몸통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통로(P1)들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 수지통로(P1)를 따라 이동하는 용융수지가 서로 합쳐졌다가 다시 갈라지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는 동시에, 용융수지 내에 포함되어 있던 가스들은 모두 휘발하여 수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는 상기 후방지지체에 구비된 배기통로에다 배기펌프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하면, 전방지지체의 흡기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배기공과 제2 배기공을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용융수지 밖으로 빠져나온 가스를 용이하게 강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전방지지체와 믹싱코어, 배기판 및 격리판을 한꺼번에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어서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의 결합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의 믹싱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니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발명자에 의해서 적절히 정의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 믹싱코어(30), 배기판(40), 격리판(50) 및 체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방지지체(10)는 금형 내부로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노즐헤드(11)가 결합되어 있고, 일측으로 흡기통로(12)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노즐헤드(11)로 연결되는 중앙홀(H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홀(H1)의 후방측 입구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후방지지체(20)는 상기 용융수지를 공급하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배기통로(21)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용융수지를 공급받는 중앙홀(H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홀(H2)의 전방측 출구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믹싱코어(3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체(10)의 중앙홀(H1) 입구에 삽입되는 전방콘(31)과, 상기 후방지지체(20)의 중앙홀(H2) 출구에 삽입되는 후방콘(32), 그리고 상기 전방콘(31)과 후방콘(32) 사이의 원주형 몸통부(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33)의 표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나선형 수지통로(P1)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믹싱코어(30)의 전방콘(31) 및 후방콘(32)의 표면에는 각각 지지돌기(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돌기(34)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의 중앙홀(H1,H2) 입구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전방콘(31)과 후방콘(32)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전방콘(31)은 후방콘(32)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 상기 수지통로(P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 표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마름모꼴 형상의 교반돌기(34)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돌기(34)의 상면이 다음에 설명하는 배기판(40)과 격리판(50)의 중앙홀(H3,H4)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교반돌기(34)들 사이로 용융수지가 통과하는 나선형 수지통로(P1)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배기판(40)은 상기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 사이에 겹겹이 배치되는 원판 형상으로써,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가 삽입되는 중앙홀(H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H3)의 주변에는 제1 배기공(41)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기공(41)과 중앙홀(H3)은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홈(4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배기공(41)과 배기홈(42)의 개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중앙홀(H3) 둘레의 동심원 상에 3 ~ 8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기판(40)에는 중앙홀(H3)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배기공(4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43)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홈(43)은 상기 중앙홀(H3)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판(40)는 예컨대 5 ~ 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리판(50)은 상기 배기판(40)들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가 삽입되는 중앙홀(H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상기 배기판(40)의 제1 배기공(41)에 연결되는 제2 배기공(51)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격리판(50)은 상기 배기판(4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두께는 상기 배기판(40)의 20 ~ 30%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격리판(150)은 와셔(Washer) 또는 가스켓(gasket)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음에 설명하는 체결부재(60)를 체결했을 때 상기 격리판(50)이 임의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체결부재(60)는 상기 전방지지체(10)와 배기판(40), 격리판(50) 및 후방지지체(20)을 일체로 결합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결부재(60)의 구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3와 같은‘나사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전방지지체(10)와 배기판(40), 격리판(50) 및 후방지지체(20)에는 각각 상기 나사봉이 삽입되는 나사공(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체결부재(60)를 체결하면, 도 6과 같이 상기 배기판(40)과 격리판(50)의 중앙홀(H3,H4) 내벽에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 외벽이 밀착되고, 상기 흡기통로(12)와 제1 배기공(41), 제2 배기공(51) 및 배기통로(21)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지지체(10)와 배기판(40), 격리판(50) 및 후방지지체(20)의 바깥둘레에다 용융수지를 가온하는 별도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체(20)의 배기통로(21)에는 별도로 배기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용용수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강제 배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전방지지체(10)에다 흡기통로(12)를 설치하고, 후방지지체(20)에는 배기통로(21)를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흡기통로(12)와배기통로(21)의 위치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노즐유니트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용융수지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서 후방지지체(20)의 중앙홀(H2)로 유입된 용융수지는 후방지지체(20) 후방의 출구에서 믹싱코어(30)의 후방콘(32)에 의해서 몸통부(33) 주변으로 분산된 다음, 상기 몸통부(33) 표면의 교반돌기(35) 사이에 형성된 나선형 수지통로(P1)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수지통로(P1)들은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 수지통로(P1)를 따라 이동하는 용융수지가 서로 합쳐졌다가 다시 갈라지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용융수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는 동시에, 용융수지 내에 포함되어 있던 가스들은 모두 휘발하여 수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는 배기판(40)에 형성된 배기홈(42) 및 제1 배기공(41)과 격리판(50)의 제2 배기공(51)을 통과한 후, 후방지지체(20)의 배기통로(21)를 통해 노즐유니트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판(40)에서 제1 배기공(41)을 서로 연결해 주는 연결홈(43)은 상기 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도와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기통로(21)에 배기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가스를 강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전방지지체(10)의 흡기통로(12)로 유입된 공기가 제1 배기공(41)과 제2 배기공(51)을 고속으로 통과하여 후방지지체(20)의 배기통로(21)로 배출된다. 이때, 각 배기판(40)에 형성된 배기홈(42)에는 베르누이의 원리(Bernoulli’s principle)에 따라 저압이 발생하여 용융수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나선형 수지통로(P1)를 통과한 용융수지는 믹싱코어(30)의 전방콘(31)을 따라 전방지지체(10)의 중앙홀(H1) 입구로 유입된 다음, 노즐헤드(11)를 통해 금형(도시하지 않음)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속으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노즐유니트는 상기 체결부재(160)를 체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 믹싱코어(30), 배기판(40) 및 격리판(50)를 한꺼번에 용이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로 인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 구성을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전방지지체 11 : 노즐헤드(Nozzle head)
12 : 흡기통로 20 : 후방지지체
21 : 배기통로 30 : 믹싱코어(Mixing core)
31 : 전방콘 32 : 후방콘
33 : 몸통부 34 : 지지돌기
35 : 교반돌기 40 : 배기판
41 : 제1 배기공 42 : 배기홈
43 : 연결홈 50 : 격리판
51 : 제2 배기공 60 : 체결부재
61 : 나사공
H1,H2,H3,H4 : 중앙홀 P1 : 수지통로

Claims (5)

  1. 금형 내부로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노즐헤드(11)와, 흡기통로(12), 그리고 깔때기 형상의 입구를 갖는 중앙홀(H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지지체(10)와;
    상기 용융수지를 공급하는 실린더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기통로(21)와, 깔때기 형상의 출구를 갖는 중앙홀(H2)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지지체(20)와;
    상기 전방지지체(10)의 중앙홀(H1) 입구에 삽입되는 전방콘(31)과 상기 후방지지체(20)의 중앙홀(H2) 출구에 삽입되는 후방콘(32)을 가지며, 원주형 몸통부(33)의 표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나선형 수지통로(P1)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믹싱코어(30)와;
    상기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 사이에 겹겹이 배치되는 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가 삽입되는 중앙홀(H3)과, 상기 중앙홀(H3)의 주변에 관통된 제1 배기공(41)과, 상기 제1 배기공(41)과 중앙홀(H3)을 서로 연결하도록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홈(42)을 갖는 배기판(40)과;
    상기 배기판(40)들 사이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가 삽입되는 중앙홀(H4)을 가지며, 상기 제1 배기공(41)에 연결되는 제2 배기공(51)이 관통되어 있는 격리판(50)과;
    상기 배기판(40)과 격리판(50)의 중앙홀(H3,H4) 내벽에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 외벽이 밀착되고, 상기 흡기통로(12)와 제1 배기공(41), 제2 배기공(51) 및 배기통로(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방지지체(10)와 배기판(40), 격리판(50) 및 후방지지체(20)를 일체로 결합해주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코어(30)의 전방콘(31) 및 후방콘(32)의 표면에는 각각 상기 전방지지체(10)와 후방지지체(20)의 중앙홀(H1,H2)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돌기(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코어(30)의 몸통부(33) 표면에는 상기 배기판(40)과 격리판(50)의 중앙홀(H3,H4) 내벽에 밀착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교반돌기(34)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돌기(35)들 사이로 상기 나선형 수지통로(P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판(40)에는 중앙홀(H3)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배기공(4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체(20)의 배기통로(21)에는 배기펌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KR1020120058990A 2012-06-01 2012-06-01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KR20130135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90A KR20130135439A (ko) 2012-06-01 2012-06-01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90A KR20130135439A (ko) 2012-06-01 2012-06-01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39A true KR20130135439A (ko) 2013-12-11

Family

ID=4998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990A KR20130135439A (ko) 2012-06-01 2012-06-01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54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672A (ko) * 2015-05-08 2016-11-16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2000391B1 (ko) 2018-03-07 2019-10-01 김용규 가스제거노즐과, 이를 포함한 친환경 가스 정화시스템 및 가스 정화방법
KR102031745B1 (ko) * 2019-03-29 2019-10-14 김주형 3d 사출 성형장치 및 사출 성형방법
KR20200114875A (ko) * 2019-03-29 2020-10-07 이원영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672A (ko) * 2015-05-08 2016-11-16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2000391B1 (ko) 2018-03-07 2019-10-01 김용규 가스제거노즐과, 이를 포함한 친환경 가스 정화시스템 및 가스 정화방법
KR102031745B1 (ko) * 2019-03-29 2019-10-14 김주형 3d 사출 성형장치 및 사출 성형방법
KR20200114875A (ko) * 2019-03-29 2020-10-07 이원영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208B2 (ja) 射出機用ノズルアセンブリー
KR20130135439A (ko) 사출성형기의 노즐유니트
KR101292498B1 (ko)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CN104512002B (zh) 用于由纤维强化的塑料制造多层的空心模制件的装置和方法
US20170291335A1 (en) Double-material mixing die assembly
KR101635616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KR101687681B1 (ko)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20110024346A (ko) 사출기용 가스배출 노즐기
CN105818332B (zh) 注射成形机用喷嘴
KR101690313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US3554496A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provided with internal plasticizing capsule
CN107073776B (zh) 注射成型机
CN209440684U (zh) 一种防堵塞料斗及包含该料斗的注塑机
CN104057574A (zh) 注塑机无滞留柱塞注射储料缸结构
KR102179745B1 (ko) 가스 제거용 사출기 노즐 어셈블리
CN104357929B (zh) 单螺杆挤压式色粉纺丝系统
CN211334295U (zh) 一种立式热塑性材料注塑机
CN101905511A (zh) 注射成型装置
CN104608342A (zh) 一种注塑脱模用顶针组件
KR20100079051A (ko) 플라스틱 성형시 노즐에서의 가스 배기장치
KR100631267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1366053B1 (ko) 사출성형 장치
JP5374569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130067415A (ko) 가스 배기구조를 갖는 사출성형기의 노즐 어셈블리
CN110154339A (zh) 多螺棱结构螺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