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181A -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181A
KR20090083181A KR1020080009187A KR20080009187A KR20090083181A KR 20090083181 A KR20090083181 A KR 20090083181A KR 1020080009187 A KR1020080009187 A KR 1020080009187A KR 20080009187 A KR20080009187 A KR 20080009187A KR 20090083181 A KR20090083181 A KR 2009008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nozzle
handle
main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291B1 (ko
Inventor
김성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2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은 청소기 본체 및 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청소기 핸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노즐 및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연결되는 피씨비와, 사용자의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피씨비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대기전력이 절감되며 사고위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청소기, 본체, 노즐, 스팀, 휠, 핸들, 전원코드

Description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A handle of cleaner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청소기의 경우에는 노즐 내부에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걸레가 부착되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고온의 열로 물이 증기 즉, 스팀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팀을 발생시키는 노즐은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청소기 핸들에 의해 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청소기 핸들에 구비되는 스팀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 에 구비되는 히터가 가열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버튼의 작동을 해제하거나, 수용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분사된다.
이와 같은 스팀청소기는 노즐의 성능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청소기의 스팀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노즐이 장시간 같은 위치에 있을 경우 바닥면 재질에 따라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바닥면에 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스팀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경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모두 소진하게 되고, 내부의 물이 모두 소진된 이후에는 상기 히터의 발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팀청소기를 포함한 다른 청소기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기타 다른 용무로 인하여 청소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청소기가 방치되는 시간 동안에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청소기 본체 및 노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청소기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청소기 핸들에 대기시간 설정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기시간이 경과 된 후에 청소기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청소기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청소기 핸들이 구비되어 청소기가 방치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은 청소기 본체 및 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청소기 핸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노즐 및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연결되는 피씨비와, 사용자의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피씨비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와, 공기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도록 하는 집진유니트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흡인력을 바탕으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과, 상기 본체 및 노 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 및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마이컴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본체 및 노즐을 제어하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핸들에는 사용자의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기 핸들을 파지하는 것으로 청소기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 하면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작업 중 다른 용무를 보기 위해 청소기를 방치해 두는 경우 대기시간 경과 이후에 자동으로 청소기 본체 및 노즐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스팀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켜 두고 장시간 청소기를 방치하더라도 설정된 대기시간 경과 이후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스팀발생장치로 인한 바닥면의 소손 및 화재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의 일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청소기는 노즐을 통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청소기로 본 발명은 이러한 스팀 청소기 이외에도 진공청소기와 물청소기에도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10)과,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2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30) 그리고, 상기 연장관(30)과 연결되어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40) 및 상기 연결호스(40)와 연장관(30)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20)와 노즐(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 및 상기 마이컴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핸들(100) 등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10)과 본체(2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10)과 본체(2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30)과 연결호스(40) 및 핸들(100)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관(30)의 일단(선단)은 상기 노즐(10)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후단)은 상기 핸들(100)의 전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연결호스(40)의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호스(40)의 전단은 상기 핸들(100)의 후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10)에서 흡입된 공기와 이물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연장관(30)과 연결호스(40)를 통해 상기 본체(20)로 안내되고, 상기 본체(20)에서는 안 내된 공기와 이물을 구분하여 이물은 상기 본체(20)내부에 구비되는 집진유니트에 포집되고, 이물이 제거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모터조립체는 상기 핸들(100)에 구비되는 조작수단(200)을 통해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수단(200)의 하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작상황을 제어신호로 마이컴에 전달하는 피씨비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10)의 히터와 상기 본체(20)의 모터조립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휠(22)이 하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본체손잡이(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본체(20) 일측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코드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은 상기 연장호스(40)를 통해 상기 핸들(100)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20)와 연결되는 연장호스(40)의 후단부에는 전원연결단(42)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단(4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주름관(41) 내부에 장착되는 전원선(43)을 통해 상기 핸들(100)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호스(4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원선(43)과 함께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마이컴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핸들(100)의 조작수단(200)과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노즐(10)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제공받아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핸들(100)에 구비되는 조작수단(200)을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연장관(3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원덕트(32)에 의해 상기 핸들(100)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핸들(100)에는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전원코드를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핸들(100)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20) 및 노즐(10)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사용감지수단(30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의 사용감지수단(300)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22)와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모터조립체의 흡인력에 의해 공기 및 이물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연통부(124)로 구성되는 케이스(1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40)의 전측은 상기 연장관(30)과 연결되고, 후측은 상기 연장호스(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전측에는 체결해지버튼(140)이 더 구비되 어 끼워진 연장관(30)을 필요에 따라 탈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면, 후측은 상기 연장호스(40)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통부(140)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연장관(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원덕트(32)와 체결되도록 노즐측 전원연결단자(160)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부(140)의 후측 상부에는 상기 연장호스(40)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선(43)이 연결되도록 본체측 전원연결단자(18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통부(124)의 상측으로 상기 파지부(122)가 유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파지부(122)에는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모터조립체 및 상기 노즐(10)에 구비되는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30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2)의 전측으로 상기 노즐(10)의 히터 및 본체(20)의 모터조립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200)이 구비되며, 이러한 조작수단(200)에는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의 전원차단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대기시간 설정부(220)가 더 구비되어 마이컴으로 조작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220)는 상기 마이컴 내부에 구비되는 타이머 회로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1회 누를 때마다 1초씩 타이머가 증가되도록 구성하거나 15초, 30초, 1분, 2분, 3분 등으로 미리 저장된 타이머 세팅시간을 설정하고 1회 누를 때마다 저장된 타이머 세팅시간이 전환되면서 선택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정되는 타이머 세팅시간은 최종 세팅한 설정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재작동 시킬 경우 저장된 세팅시간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은 상기 파지부(1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 되는 푸쉬스위치를 포함하여 제어회로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회로는 압력이 해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20) 및 노즐(10)을 제어하는 마이컴에 설정된 타이머 회로의 정지 및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타이머가 리셋 되고, 압력이 해지되는 경우 타이머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을 가압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의 타이머 회로가 리셋되어 상기 노즐(10) 및 본체(20)로 공급되는 전원회로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지될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마이컴에 구비되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 회로에 의해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220)를 통해 부여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노즐(10)의 히터와 본체(20)의 모터조립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가 오프(Off)된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한 사용감지수단(300)은 전술한 푸쉬스위치 이외에도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22)를 파지하였을 때,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로 구성하여, 설정된 대기시간 경과후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압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푸쉬스위치가 눌려진 상태와 동일하게 타이머 회로를 리셋시키고,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2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간이 경과 한 이후에 상기 노즐(10)의 히터 및 본체(20)의 모터조립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이 구비되는 청소기의 제어신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선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전원코드를 상용전원 콘센트에 장착하게 되면, 청소기로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가 온(On) 즉,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청소기가 대기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청소기의 핸들(100)을 파지하고 상기 조작수단(200)을 조작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청소구역 내부에 스팀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수단(200)에 구비되는 스팀버튼을 눌러 상기 노즐(10)에 구비되는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먼지 및 이물 청소만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모터조립체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작동버튼을 눌러 필요에 따라 모터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청소작업에 앞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대기시간 설정 부(220)를 조작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하게 되는데, 청소작업 이전에 대기시간 설정부(220)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전 설정된 대기시간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대기시간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핸들(100)의 파지부(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지부(12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용감지수단(300)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감지수단(300)이 가압 되면, 상기 마이컴 내부에 구비되는 타이머회로가 리셋되어 상기 노즐(10) 및 본체(20)로 공급되는 전원회로가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청소기의 정상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청소작업 중 청소기 핸들(100)에서 손을 놓을 경우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을 가압하던 힘이 해지되면서 상기 마이컴으로 압력이 해지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마이컴에서는 타이머회로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타이머회로는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작동하여 설정된 대기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노즐(10)의 히터 및 본체(20)의 모터조립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타이머 회로가 작동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다시 상기 핸들(100)을 파지하게 되면, 상기 사용감지수단(30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고 이와 같이 감지된 압력은 상기 마이컴으로 상기 타이머회로의 리셋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상기 노즐(10)의 히터 및 본체(20)의 모터조립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다가 청소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다른 용무로 인하여 장시간 청소기를 방치하게 될 경우 상기 사용감지수단에 의해 마이컴에 구비되는 타이머회로를 작동시킴으로써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청소기의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핸들이 구비되는 청소기의 제어신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노즐 20...... 본체
30...... 연장관 40...... 연장호스
100..... 핸들 120..... 케이스
200..... 조작수단 220..... 대기시간 설정부
300..... 사용감지수단

Claims (10)

  1. 청소기 본체 및 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청소기 핸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노즐 및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연결되는 피씨비;
    사용자의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피씨비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는 경우 대기시간을 가진 뒤 상기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상기 사용감지수단의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대기시간 설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핸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상기 파지부 일측에 제공되며, 탄성접점을 가지는 푸쉬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핸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외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핸들.
  6.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와, 공기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도록 하는 집진유니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흡인력을 바탕으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
    상기 본체 및 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 및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마이컴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본체 및 노즐을 제어하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핸들에는,
    사용자의 파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및 노즐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사용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은 경우 대기시간을 가진 뒤,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 한 이후, 상기 노즐 및 본체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핸들 및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대기시간 설정을 위한 대기시간 설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상기 핸들 일측에 제공되며, 탄성접점을 가지는 푸쉬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감지수단은,
    상기 핸들의 사용자 파지부분에 제공되어, 외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080009187A 2008-01-29 2008-01-29 스팀청소기 KR10112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7A KR101125291B1 (ko) 2008-01-29 2008-01-29 스팀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7A KR101125291B1 (ko) 2008-01-29 2008-01-29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81A true KR20090083181A (ko) 2009-08-03
KR101125291B1 KR101125291B1 (ko) 2012-03-27

Family

ID=4120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87A KR101125291B1 (ko) 2008-01-29 2008-01-29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27B1 (ko) * 2011-09-07 2013-08-07 대한민국 포장용 밴딩기의 대기 전력 저감 장치
KR102394922B1 (ko) * 2021-12-10 2022-05-09 주식회사 비디오 예열회로구조를 포함하는 스팀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42B1 (ko) 2015-05-26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568Y1 (ko) * 1991-12-03 1994-02-02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해충 퇴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27B1 (ko) * 2011-09-07 2013-08-07 대한민국 포장용 밴딩기의 대기 전력 저감 장치
KR102394922B1 (ko) * 2021-12-10 2022-05-09 주식회사 비디오 예열회로구조를 포함하는 스팀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291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3103A1 (en) Systems for steam cleaning
EP3847940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3217386B2 (en) Vacuum cleaner
EP1695652B1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RU2091053C1 (ru) Пылесос с пароструй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RU2555660C2 (ru) Вертикальная паровая швабра со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м руч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FR2891284B3 (fr) Systeme d'entretien de vetements
US2016015093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125291B1 (ko) 스팀청소기
JP2007313115A (ja) スチームアイロン
CN205031161U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清洁底座
KR200410157Y1 (ko) 스팀겸용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00728501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CN205031186U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基座
WO2017063565A1 (zh) 多功能表面清洁装置
CN116035483A (zh) 表面清洁系统
KR100726798B1 (ko) 초음파청소기
KR200404941Y1 (ko) 스팀 청소기의 가열 장치
CN218500629U (zh) 一种多功能的表面清洁装置
CN215142663U (zh) 一种使用安全方便的蒸汽喷射器
JPH11244192A (ja) 手乾燥装置
KR100833359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40084106A (ko) 건조기를 가지는 비데
CA2987327A1 (en) Systems for steam cleaning
JP2004270136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5

Effective date: 201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