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116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116A
KR20090082116A KR1020090004279A KR20090004279A KR20090082116A KR 20090082116 A KR20090082116 A KR 20090082116A KR 1020090004279 A KR1020090004279 A KR 1020090004279A KR 20090004279 A KR20090004279 A KR 20090004279A KR 20090082116 A KR20090082116 A KR 2009008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rommet
inclined surface
hole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604B1 (ko
Inventor
미츠루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8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발거력(拔去力, 뽑아내는데 필요한 힘)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재사용 가능한 클립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부(4)와, 다리부(5)와, 다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기부 및 다리부를 관통하는 핀 구멍(6)을 가지는 그로밋(2)과, 일단에 머리부(31)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핀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32)를 가지는 핀(3)을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머리부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경사면(15)을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경사면을 슬라이드하는 돌기부(37)를 가지고,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수나사부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로밋이 상기 핀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경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재들을 체결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외장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해서, 자동차의 차체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차체에 외장부재를 체결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차체에 단열판과 같은 외장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경우에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는 일이 있었다. 예를 들어, 차체 프레임에 구멍을 천공해서 용접너트를 설치하고, 외장부재에 해당 차체의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구멍을 천공해서 각각의 구멍에 볼트를 관통시켜고, 볼트와 용접너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차체와 외장부재를 체결하고 있었다.
이러한 체결방법에서 볼트의 나사고정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그로밋과 핀에 의해 구성된 클립을 이용해서 차체에 외장부재를 체결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클립에는, 예를 들어 부착부재에 설치된 용접너트의 암나사부에 탄성변형시켜서 나사 결합하는 그로밋과, 일단이 피 부착부재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타단이 그로밋 에 수용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관한 클립은, 그로밋이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발거력이 가해졌을 때에, 핀과 그로밋의 걸어맞춤 및 그로밋과 암나사부의 걸어맞춤이 강해져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클립은 나사식 걸어맞춤에 의해 암나사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 등에 의해 상기 나사식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클립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클립에 의한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226471호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관한 클립에서는, 핀에 발거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로밋이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그로밋과 암나사부의 나사 결합이 약하고, 피치의 어긋남 등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 클립과 암나사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그로밋과 암나사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될 때까지 드라이버 등으로 계속 회전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핀 및 그로밋으로 이루어지는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암나사부에 강하게 걸어맞춰져서 높은 발거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암나사부에서의 분리가 용이하되, 재사용 가능한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발명은, 암나사 구멍(103)을 가지는 제 1 부재(100)와, 관통구멍(201)을 가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 부재(200)를 체결하는 클립(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보다 큰 기부(4)와, 상기 기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다리부(5)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수나사부(14)와, 상기 기부 및 다리부를 관통해서 천공된 핀 구멍(6)을 가지는 그로밋(2)과, 상기 기부에 대치되는 머리부(31)와, 상기 머리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핀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32)를 가지는 핀(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머리부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경사면(15)을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경사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부(37)를 가지고,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 위에서 일단측(15a)으로부터 타단측(15b)으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 위에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 구멍에 대해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로밋이 상기 핀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경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을 상기 핀 구멍에 삽입할 때에,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시키는 가이드 홈(18)이 상 기 그로밋 및 상기 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 홈과 걸어맞춰지는 돌조부(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로밋 및 상기 핀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홈(19)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지름이 작은 부분(36, 이하, 간단히 '축경부(縮俓部)'라고 한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핀 구멍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3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핀 구멍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을 향 하는 평면(40a)을 가지는 단부(40)를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을 향하는 평면(40a)을 가지는 단부(40)를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하는 면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계속 걸어맞추지도록,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하는 면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계속 걸어맞추지도록,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나타낸 클립은, 핀을 그로밋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의 수나사부와 암나사 구멍이 조여지도록 전진시킬 수 있다. 그로밋과 핀의 위치관계는, 그로밋에 형성된 경사면과 핀에 형성된 돌기부의 접촉 에 의해 규제되어 있으므로, 핀을 그로밋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면, 돌기부가 경사면에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즉, 핀을 그로밋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면, 그로밋이 핀에 대해서 회전한다. 그로밋의 핀에 대한 회전방향은, 그로밋의 수나사부가 제 1 부재의 암나사 구멍에 대해 조여져서 전진하는 회전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을 그로밋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의 수나사부가 암나사 구멍에 대해 조여지도록 전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암나사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암나사 구멍과의 걸어맞춤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핀을 그로밋에 조립했을 때의, 그로밋에 대한 핀의 회전위치의 초기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핀은 초기상태에 있어서, 그로밋에 대해서 회전 가능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핀의 돌기부가 경사면의 타단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핀의 그로밋에 대한 회전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즉, 핀에 대해서 그로밋을 회전시킨 후의 상태로 양자의 위치관계를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그로밋을 암나사 구멍에 삽입하는 때에, 수나사부가 핀 구멍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해서 암나사 구멍과의 접촉을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암나사 구멍 및 수나사부의 나사산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소정의 발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나사산을 망가뜨리지 않고 그로밋(클립)을 암나사 구멍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 가능한 클립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핀의 돌기부가 경사면의 타단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맞닿음부가 수나사부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맞닿아서 수나사부의 핀 구멍 내측으로의 탄성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높은 발거력에 대해서도 수나사부와 암나사 구멍의 나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6,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핀이 그로밋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그로밋과 핀의 회전위치관계가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그로밋의 걸어맞춤부와 핀의 단부가 계속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돌기부를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방향으로의 핀의 그로밋에 대한 회전이, 돌기부가 걸림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핀을 상기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그로밋이 핀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방향은, 수나사부가 암나사 구멍에 대해서 조여지도록 전진하는 방향과 역방향인 회전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핀에 상기 회전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을 암나사 구멍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그로밋은 나사산을 망가뜨리지 않고 암나사 구멍에서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클립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클립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핀을 나타 내는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의 클립을 일부 파단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도 8은 도 2의 화살표(Ⅶ) 또는 화살표(Ⅷ)방향에서 본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 도 10은 도 3의 화살표(Ⅸ) 또는 화살표(X)방향에서 본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 중 상측을 위로 하고, 하측를 아래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은 대략 원통 형상의 그로밋(2)과 그로밋(2)의 내부에 삽입된 핀(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로밋(2) 및 핀(3)은 각각 별개로 형성된 후에 조립되어 클립(1)을 구성한다. 그로밋(2) 및 핀(3)은 예를 들어, 경질의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로밋(2)은, 기부(4)와, 기부(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리부(5)를 주요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기부(4) 및 다리부(5)에는 각각을 관통하도록 천공된 핀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4)는 핀 구멍(6)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7)와 플랜지부(7)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리브(8)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5)는 중심부에 핀 구멍(6)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이룬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5)에는 다리부(5)의 하단에서 상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2개의 슬릿(9)이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슬릿(9)의 사이에는 다리부(5)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수하(垂下)되는 핀걸림편(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걸림편(10)의 선단부에는 핀 구멍(6)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5)의 측부에는 뒤집어진 U자형상의 U자 슬릿(12)이 형성되어 있다. U자 슬릿(12)은 핀 구멍(6)에 대해서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가의 U자 슬릿(12)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는, 다리부(5)의 선단측에서 기부(4)측으로 돌출되어 핀 구멍(6)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캔틸레버(Cantilever)형상의 탄성편(1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편(13)의 선단부에는 다리부(5)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나사의 일부인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수나사부(14)는 모두 핀 구멍(6)의 축선에 있어서의 하측을 전진방향으로 하는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4)의 핀 구멍(6)의 주연부에는 핀 구멍(6)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하측 또는 상측으로 향함과 아울러, 핀 구멍(6)의 축선에 대한 직교면에 대해서 경사지어진 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5)은 핀 구멍(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3개 형성되어 있고, 각 경사면(15)은 핀 구멍(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120°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며, 핀 구멍(6)의 축선에 대한 직교면에 대해서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경사면(15)은, 기부(4)를 상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핀 구멍(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일측인 상단측(15a)에서 타측인 하단측(15b)으로 하측을 향하도록, 즉 하측으로 경사지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5)의 하단측(15b)과 핀 구멍(6)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위에는, 핀 구멍(6)의 축선에 대한 직교면과 평행한 저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부(16)는 다른 경사면(15)의 상단측(15a)과 핀 구멍(6)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인접하고 있다. 경사면(15)의 상단측(15a)에는 회전방지 기능을 하는 걸림부(17)가 핀 구멍(6)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5)의 내측면(5a)에는 핀 구멍(6)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8)의 상단부는, 경사면(15)과 연이어 통해 있다. 가이드 홈(18)을 형성한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가이드 홈(18)의 상단부가 저부(16)와 연이어 통해 있어도 좋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5)의 내측면(5a)에는, 후술하는 핀(3)의 압입조작에 의해, 핀(3)이 그로밋(2)에 대해서 회전한 후, 핀(3)과 그로밋(2)의 위치관계를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 홈으로서의 로크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3)은 머리부(31)와, 머리부(31)의 하면(31b)의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기둥 모양의 축부(32)를 주요 구성요소로서 가진다. 머리부(31)의 상면(31a)에는 공지의 드라이버 등과 걸어맞춤 가능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32)는, 머리부(31)에 인접하는 기단부(34)와, 선단부(35)와, 기단부(34)와 선단부(35)의 사이에 축경부(36)를 가진다. 기단부(34) 및 선단부(35)의 직경은 그로밋(2)의 핀 구멍(6)의 직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축경부(36)는 그로밋(2)의 탄성편(13)이 핀 구멍(6)의 내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기단부(34) 및 선단부(35)에 비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31)의 하면(31b)과 기단부(34)의 접합부에는 3개의 돌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돌기부(37)는 축부(32)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120°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부(37)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축부(32)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머리부(31)의 하면(31b)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하단부(37a)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37)는, 핀(3)의 축부(32)가 그로밋(2)의 핀 구멍(6)에 기부(4)측으로부터 삽입될 때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그로밋(2)의 대응하는 경사면(15)과 접촉해서, 핀(3)의 그로밋(2)에 대한 핀 구멍(6)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규제한다.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경사면(15)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 각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그로밋(2)의 각 경사면(15)의 상단측(15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의, 그로밋(2)과 핀(3)의 회전위치상태를 제 1 상태로 하고, 각각의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그로밋(2)의 저부(16)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의, 그로밋(2) 및 핀(3)의 회전위치상태를 제 2 상태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3)의 선단부(35)의 외주면에는 그로밋(2)의 가이드 홈(18)과 걸어맞춰지는 돌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38)는 가이드 홈(18)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핀(3)을 그로밋(2)에 삽입할 때의, 그로밋(2)의 핀 구멍(6)에 대한 핀(3)의 축선회전의 위치관계를 규제한다. 핀(3)을 그로밋(2)에 삽입했을 때의 초기상태가 제 1 상태가 되도록, 돌조부(38)의 선단부(35)에 있어서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축경부(36)의 외주면에는, 축부(32)의 축선을 대칭으로 하는 위치에 축부(32)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2개의 맞닿음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맞 닿음부(39)는 축부(32)의 지름방향에 있어서 기단부(34) 및 선단부(35)의 외주면까지 돌출되어 있다. 맞닿음부(39)는 핀(3)과 그로밋(2)이 조립되어 핀(3)과 그로밋(2)의 회전위치상태가 제 2 상태에 있을 때, 수나사부(14)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35)와 축경부(36)의 경계부에는 원주방향의 일부에 걸쳐서 단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40)의 머리부(31)측을 향하는 면(40a)은 축부(32)의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어져 있고, 축부(32)의 축선에 대한 직교면에 대한 경사각은 경사면(15)의 경사각과 같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로밋(2)과 핀(3)의 조립은 그로밋(2)의 기부(4)측으로부터 핀 구멍(6)에 핀(3)의 축부(32)를 선단부(35)부터 삽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핀(3)을 그로밋(2)에 삽입할 때, 그로밋(2)의 핀 구멍(6)에 대한 핀(3)의 축선회전의 회전위치가 가이드 홈(18)과 돌조부(38)의 걸어맞춤에 의해 규제되어, 핀(3)의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그로밋(2)의 경사면(15)의 상단측(15a)으로 유도된다. 핀(3)의 그로밋(2)에 대한 삽입이 진행되면 축부(32)의 선단부(35)가 핀걸림편(10)의 걸어맞춤부(11)에 접촉되고, 걸어맞춤부(11)가 선단부(35)에 의해 핀 구멍(6)의 외측으로 밀려 나와서 핀걸림편(10)이 탄성변형된다.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경사면(15)의 상단측(15a)에 접촉하면 핀(3)의 그로밋(2)에 대한 삽입이 완료된다. 이 때, 선단부(35)의 상단에 위치하는 단부(40)가 걸어맞춤부(11)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핀걸림편(10)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걸어맞춤부(11)가 핀 구멍(6)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단부(40)에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그로밋(2) 및 핀(3)의 회전위치상태는 제 1 상태가 된다.
그로밋(2)과 핀(3)이 조립된 초기상태에 있어서, 핀(3)을 그로밋(2)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더욱 압입하면,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경사면(15)의 상단측(15a)에서 하단측(15b)으로 이동한다. 이 때, 핀(3)의 머리부(31)측에서 보았을 때, 그로밋(2)이 핀(3)의 축부(3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하단측(15b)을 통과해서 저부(16)에 도달하는 제 2 상태가 되면 그로밋(2)의 핀(3)에 대한 회전이 종료된다. 이 상태를 클립(1)의 회전 후 상태로 한다.
초기상태에서 회전 후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돌조부(38)가 가이드 홈(18)에서 이탈하고, 회전 후 상태가 되었을 때 로크홈(19)에 걸어맞춰진다. 돌조부(38)는 가이드 홈(18)에서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홈(18)과 가볍게 걸어맞춰지게 형성되고, 모따기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이어서,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이용해서 복수의 부재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클립을 암나사 구멍에 삽입하는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클립이 초기상태에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XIII)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클립이 회전 후 상태에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XV)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화살표(XVI)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화살표(XⅦ)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은, 암나사구멍(103)을 가지는 제 1 부재(100)와, 관통구멍(201)을 가지는 제 2 부재(200)를 고정한다. 제 1 부재(10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며, 제 1 부재(100)에 천공된 구멍(101)과, 이 구멍(101)에 고정된 암나사부를 가지는 용접너트(102)에 의해 암나사구멍(103)이 형성되어 있다. 용접너트(102)는 오른나사인 암나사부를 가지며, 암나사구멍(103)은 그로밋(2)의 수나사부(14)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2 부재(200)는 예를 들어, 단열판과 같은 외장부재이며, 제 1 부재(100)와 겹쳐져서 배치되고, 제 1 부재(100)의 암나사구멍(103)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01)이 천공되어 있다. 제 1 부재(100)의 구멍(101) 및 제 2 부재(200)의 관통구멍(201)은 그로밋(2)의 다리부(5)의 외경 보다 크고, 기부(4)의 플랜지부(7)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립(1)은 핀(3)의 선단부(35)부터 제 2 부재(200)측에서 제 2 부재(200)의 관통구멍(201)을 관통해서 암나사구멍(103)으로 삽입된다. 이 때, 그로밋(2)과 핀(3)의 회전위치관계는 제 1 상태이며, 탄성편(13)이 핀 구멍(6)의 내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수나사부(14) 및 암나사구멍(103)의 나사산이 망가지지 않 고 클립(1)이 암나사구멍(103)에 매끄럽게 삽입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7)의 하면(7a)이 제 2 부재(200)의 상면(200a)에 접촉한 상태에서 클립(1)의 삽입이 종료된다. 이 때, 수나사부(14)는 암나사구멍(103)의 일부에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 부재는 제 1 부재와 이 제 1 부재에 걸어맞춰진 클립(1)의 플랜지부(7)에 의해 파지된다.
이 상태에서, 핀(3)을 축부(32)의 축선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은 채로, 핀 구멍(6)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하측, 즉 그로밋측으로 핀(3)의 머리부(31)가 압압되면, 핀(3)의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그로밋(2)의 경사면(15)을 압압하면서, 상단측(15a)에서 하단측(15b)으로 슬라이드되고, 핀(3)의 머리부(31)측에서 보았을 때, 그로밋(2)을 핀(3)의 축부(32)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로밋(2)의 회전은 돌기부(37)의 하단부(37a)가 저부(16)에 도달하면 종료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의 회전 후 상태에 있어서는, 핀(3)의 머리부(31)가 그로밋(2)의 기부(4)에 근접하게 되고, 그로밋(2)이 핀(3)의 축부(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핀(3)과 그로밋(2)의 축부(32)의 축선에 대한 회전위치는 도 13에 나타낸 초기상태인 제 1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도 15에 나타내는 회전 후 상태의 제 2 상태로, 핀(3)의 머리부(31)측에서 보았을 때 핀(3)의 축부(32)를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약 80°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그로밋(2)의 수나사부(14)가 암나사구멍(103)에 대해서 약 80°만큼 조여져서 전진해서 그로밋(2)과 암나사구멍(103)의 체결이 강해진다. 또, 그로밋(2)이 암나사구멍(103) 내로 전진하기 때문에, 제 1 부재(100)와 클립(1)의 플랜지부(7)의 하면(7a) 간의 거 리가 축소되어 제 1 부재(100)와 제 2 부재(200)의 체결이 강화된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맞닿음부(39)가 수나사부(14)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지 않지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후 위치에 있어서는, 맞닿음부(39)가 수나사부(14)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13) 및 수나사부(14)의 핀 구멍(6)의 내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수나사부(14)와 암나사구멍(14)의 걸어맞춤이 유지되게 되어 클립(1)의 발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후 상태에 있어서는, 핀(3)의 돌조부(38)가 그로밋(2)의 로크홈(19)과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클립(1)이 회전 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클립(1)의 제 1 부재(100) 및 제 2 부재(200)에서의 분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클립(1)의 회전 후 상태에 있어서, 핀(1)의 머리부(31)에 형성된 홈(33)에, 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을 걸어맞춰서 핀(3)의 머리부(31)측에서 보았을 때 축부(32)의 반시계방향으로 핀(3)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핀(3)과 그로밋(2)의 회전위치관계를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시킨다.
핀(3)과 그로밋(2)의 회전위치관계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편(13)이 핀 구멍(6)의 내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클립(1)에 소정의 발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수나사부(14)와 암나사구멍(103)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뽑아 낼 수 있다. 이 때, 핀(3)의 단부(40)와 그로밋(2)의 걸어맞춤부(11)의 걸 어맞춤에 의해, 핀(3)을 그로밋(2)에서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핀(3)의 그로밋(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핀(3)의 머리부(31)를 잡고 핀(3)에 발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2)을 핀(3)과 일체적으로 암나사구멍(103) 및 관통구멍(10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 있어서는, 핀(3)의 머리부(31)와 그로밋(2)의 기부(4)의 사이에는 손가락 등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취급성이 좋다.
한편, 핀(3)과 그로밋(2)의 회전위치관계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핀(3)의 머리부(31)측에서 보았을 때 핀(3)을 축부(32)를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클립(1)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핀(3)이 거듭해서 회전을 계속하게 되면, 핀(3)의 돌기부(37)가 그로밋(2)의 걸림부(17)에 맞닿고, 그로밋(2)에 대한 핀(3)의 회전이 규제되어, 그로밋(2)이 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방향은 수나사부(14)가 암나사부(103)에 조여져서 전진하는 회전방향과 역방향이기 때문에, 회전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2)이 암나사구멍(103)으로부터 송출되어 클립(1)이 분리된다.
<일부 변형 실시형태>
도 18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일부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300)은, 그로밋(2)의 기부(4)가 2개의 플랜지부(7a·7b)를 가지는 점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기부(4)는, 핀 구멍(6)의 축선에 대한 직교면과 평행한 2개의 플랜지부(7a·7b)를, 제 2 부재(2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극을 통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일부 변경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300)은, 제 1 부재(100)와 제 2 부재(200)를 체결할 때에, 미리 제 2 부재(200)의 관통구멍(201)에 부착된다. 관통구멍(201)은 클립(300)의 플랜지부(7b)가 통과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재(200)는 클립(300)을 관통구멍(20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2개의 플랜지부(7a·7b)의 사이에 파지된다. 이 상태에서, 클립(300)의 그로밋(2)을 제 1 부재의 암나사구멍(103)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고정한다. 클립(300)과 제 1 부재(100)의 체결구조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클립(300)을 제 2 부재(200)에 미리 부착할 수 있게 된다. 클립을 피부착부재로서의 제 2 부재(200)에 미리 조립해서 자동차의 조립 공정에 공급함으로써, 조립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폭넓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서는 그로밋의 기부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그로밋의 경사면을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상단측에서 하단측으로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상단측(15a)에서 하단측(15b)으로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도 19 참조). 이 경우에는 핀을 그로밋에 대해서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면, 핀의 머리부 측에서 보았을 때 그로밋이 핀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그로밋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 구멍을 왼나사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시형태의 클립과 같은 그로밋을 암나사 구멍에 대해서 조여지도록 전진시킬 수 있다. 또, 경사면의 수는 변경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을 핀 구멍의 가장자리에 배치했지만, 예를 들어 기부의 플랜지부와 같이 핀 구멍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및 그로밋의 형상은 예시이므로, 폭넓게 변경할 수 있다. 그 외 클립의 구성은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의 클립을 일부 파단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2의 화살표(Ⅶ)방향에서 본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2의 화살표(Ⅷ)방향에서 본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3의 화살표(Ⅸ)방향에서 본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화살표(X)방향에서 본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에 있어서, 클립을 암나사 구멍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에 있어서, 클립이 초기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XIII)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의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에 있어서, 클립이 회전 후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XV)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화살표(XVI)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화살표(XVII)방향에서 본 클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일부 변형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에 의한 부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9는 치환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그로밋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2 - 그로밋
3 - 핀 4 - 기부
5 - 다리부 5a - 내측면
6 - 핀 구멍 7 - 플렌지부
10 - 핀걸림편 11 - 걸어맞춤부
12 - 슬릿 13 - 탄성편
14 - 수나사부 15 - 경사면
18 - 가이드홈 19 - 로크홈
31 - 머리부 32 - 축부
37 - 돌기부 38 - 돌조부
39 - 맞닿음부 40 - 단부
100 - 제 1 부재 103 - 암나사구멍
200 - 제 2 부재

Claims (15)

  1. 암나사 구멍을 가지는 제 1 부재와, 관통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 부재를 체결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보다 큰 기부와, 상기 기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수나사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다리부를 관통해서 천공된 핀 구멍을 가지는 그로밋과,
    상기 기부에 대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핀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경사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 위에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 위에서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 구멍에 대해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로밋이 상기 핀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경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을 상기 핀 구멍에 삽입하는 때에,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시키는 가이드 홈이 상기 그로밋 및 상기 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 홈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로밋 및 상기 핀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축경부(지름이 작은 부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핀 구멍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수나사부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핀 구멍의 내측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을 향하는 평면을 가지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을 향하는 평면을 가지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로밋은,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핀이 상기 그로밋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하는 면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계속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하는 면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계속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핀 구멍의 원주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머리부에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경사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핀 구멍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90004279A 2008-01-24 2009-01-19 클립 KR10104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3839 2008-01-24
JP2008013839A JP4704446B2 (ja) 2008-01-24 2008-01-24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116A true KR20090082116A (ko) 2009-07-29
KR101048604B1 KR101048604B1 (ko) 2011-07-12

Family

ID=4102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79A KR101048604B1 (ko) 2008-01-24 2009-01-19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04446B2 (ko)
KR (1) KR101048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85A (ko) * 2014-10-17 2016-04-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고정 요소와 이러한 고정 요소 및 수용 요소를 갖춘 조립체
US20200315302A1 (en) * 2019-04-03 2020-10-08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engagement faste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4957B2 (en) * 2012-07-06 2017-04-18 Nifco Inc. Clip for fixing two members
CN103506670A (zh) * 2012-08-07 2014-01-15 广州智源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孔锯的连接方式
JP6037815B2 (ja) * 2012-12-18 2016-12-07 株式会社ニフコ 挟持用ホルダー
JP6286774B2 (ja) * 2014-12-05 2018-03-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US10161365B2 (en) * 2015-10-02 2018-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pansion shear pin for use with thread-forming screw
KR101772589B1 (ko) * 2016-07-27 2017-08-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대쉬패드 마운팅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014A (ja) * 2000-11-01 2002-05-17 Piolax Inc 締結具
JP4210567B2 (ja) * 2003-08-19 2009-01-21 株式会社三ツ知 ナット
JP4425160B2 (ja) * 2005-02-18 2010-03-0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85A (ko) * 2014-10-17 2016-04-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고정 요소와 이러한 고정 요소 및 수용 요소를 갖춘 조립체
US20200315302A1 (en) * 2019-04-03 2020-10-08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engagement fastener
CN111795051A (zh) * 2019-04-03 2020-10-20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双重接合紧固件
US11882906B2 (en) * 2019-04-03 2024-01-30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engagement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4446B2 (ja) 2011-06-15
KR101048604B1 (ko) 2011-07-12
JP2009174636A (ja)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604B1 (ko) 클립
EP1970574A2 (en) Fastening device
US5375954A (en) Clip fastener
US7179038B2 (en) Fastener for application to a threaded stud
JP3914710B2 (ja) 留め具
JP2006507451A (ja) 割り係止ねじファスナアッセンブリ及び方法
KR20040078591A (ko) 체결구
US20110116890A1 (en) Fastener
JP4590125B2 (ja) 回転ナット
KR20170078800A (ko) 니들 차폐구 풀러 캡 조립체
IL35773A (en) A locking fastener
JP2011226508A (ja) ブラケット及び金属カラー
US20190003516A1 (en) Plug for closing a female screw hole
US6357955B1 (en) Self retaining clevis pin and clevis assembly
EP1592891B1 (en) Device for holding a piece in a bore
WO2014006894A1 (ja) クリップ
JP6001903B2 (ja) 接続部材
JP4425160B2 (ja) クリップ
US20170045079A1 (en) Self-locking insert
KR20150010484A (ko) 풀림방지 너트
US20220341457A1 (en) Fasteners
WO2005054691A1 (ja) 簡易締結装置
JP4203153B2 (ja) 筆記具用部品の連結構造
KR200331037Y1 (ko) 직교하는 가구조립을 위한 연결체
JP2012149731A (ja) キャビネット連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