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917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917A
KR20090081917A KR1020080008096A KR20080008096A KR20090081917A KR 20090081917 A KR20090081917 A KR 20090081917A KR 1020080008096 A KR1020080008096 A KR 1020080008096A KR 20080008096 A KR20080008096 A KR 20080008096A KR 20090081917 A KR20090081917 A KR 2009008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ilter
cyclone separator
ai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웅
박내현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917A/ko
Publication of KR2009008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로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설치된 필터,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를 따라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 상기 필터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흡입력 발생 유닛, 상기 필터 청소 유닛과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부터 이동되어 온 이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통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는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수거통으로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클론 분리기 하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클론 분리기의 이물질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 필터, 청소 유닛, 사이클론 분리기, 유도부, 이물질 수거통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클론 분리기의 물질 배출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빈도에 따라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작업시 수동으로 상기 필터를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탈거해야 한다. 따라서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 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청소 유닛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유닛 자체가 필터를 청소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통으로 포집되는 동안 상기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에 누적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수거통에 효과적으로 포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론 분리기 하부에 유도부를 두어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통으로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포집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설치된 필터,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를 따라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 상기 필터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흡입력 발생 유닛, 상기 필터 청소 유닛과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부터 이동되어 온 이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통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는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수거통으로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상부에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내측 하부로 낙하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구로 유도토록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수평면에 대해 5°~10°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둘레 하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의 경사면 하단은 이물질 배출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부의 하부면은 상기 유도부의 경사면과 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이클론 하부에 분리된 이물질을 이물질 수거통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의 유도부가 형성되어 분리된 이물질이 사이클론 하부에 축적되지 않아, 사이클론의 이물질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기 있다.
둘째, 상기 이물질이 사이클론 하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이클론 하 부 중앙에 형성된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한 공기의 상승시 축적된 이물질이 다시 사이클론 상부로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분리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수거통을 사이클론 하부에 배치하지 않고도, 이물질 분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결국 공기조화기 내부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필터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유입부 및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흡입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와 열교관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하는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하부 양 측면에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상부 양 측면과 상판에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본체(100) 내부에 송풍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하고, 열교환기는 송풍기가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정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유입부의 전면에는 필터(10)가 배치된다.
여기서 필터(filter)란 어떠한 유체(air, gas, oil, fuel, water 등 기타)를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용량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통과시키는 여과기로서, 특히 대기중에 존재하는 오염된 부유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해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10)는 상기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중의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 탈취나 향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 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 및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스마 전기 집진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들이 복수개로 채용되어 동시에 사용될 수 도 있다.
필터(10)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필터의 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0)는 사용자가 분리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필터 청소 유닛(30), 흡입력 발생 유닛(50), 사이클론 분리기(70), 이물질 수거통(90) 및 청소제어부(80)를 포함한 필터 청소 장치을 구비한다.
필터 청소 유닛(30)은 일반적으로 필터의 공기 유입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 청소기, 필터 청소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청소기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사이클론 분리기로 이동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를 연통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청소 유닛(30)은 필터 청소기(32), 흡입력 발생 유닛(50)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필터 청소기(32)가 수거한 이물질을 흡입하는 필터 덕트(34) 및 필터 덕트(34)를 통과한 이물질이 사이클론 분리기(7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사이클론 분리기(70)와 필터 덕트(34)를 연결하는 연결관(36)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도2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흡입력 발생 유닛(50), 사이클론 분리기(70), 이물질 수거통(90) 및 청소 제어부(8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입력 발생 유닛(5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팬과 팬모터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 송풍기로서, 청소 제어부(80)가 팬모터를 구동시키면, 팬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필터 청소 유닛(30)이 청소한 이물질을 사이클론 분리기(70)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 분리기(7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내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운동을 하면서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벽면을 타고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사이클론 분리기(70) 하부 중앙의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하부 중앙에서 그 진행방향을 상부로 향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하향성회류를 외부선회류라고 하고 방향이 바뀐 상향성회류를 내부선회류라고 한다.
본 실시예의 사이클론 분리기(70)는 상부에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71) 및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7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부(75)로 유도하는 유도부(79)가 상기 이물질배출부(7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흡입부(71)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본체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필터 청소 유닛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각각 흡입하기 위하여, 필터 청소 유닛의 개수에 대응한 2개의 흡입부(71)가 구비된다. 그러나 흡입부(71)의 수는 상기 필터 청소 유닛(3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71)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원통의 외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원통방향으로 선회류를 잘 형성하여 이물질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흡입부(71)들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흡입부(71)들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이격되게 위치하여 유입공기가 선회류를 잘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공기 배출부(73)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상단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를 흡입력 발생 유닛(50)쪽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흡입력 발생 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부(73)와 직접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력 발생 유닛(50)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사이클론 오리피스(7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이클론 오리피스(77)는 상기 공기 배출부(73)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로 내려온 원통형의 코어(77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 오리피스(77)는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흡입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코어(77a)는 상기 흡입부(71)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이물질과 상기 공기배출부(7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하고, 상기 공기 및 이물질이 원심분리가 잘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어(77a)의 입구에는 이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필터가 추가로 설 치될 수도 있다.
이물질배출부(75)는 사이클론 분리기(70) 하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통(90)으로 잘 배출될 수 있게 사이클론 분리기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배출부(75)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외측을 향해 파이프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리된 이물질이 상승하는 내측선회류에 의해 재비산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유도부(79)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에 하부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물질배출부(7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원심분리되어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로 이동한 이물질이 사이클론 분리기(70) 내부에 축적되지 않고 유도부(79)의 경사면을 따라 이물질배출부(75)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유도부(79) 경사면 하단은 상기 이물질배출부(75) 내측에 위치한다. 나아가 이물질배출부(75)끝단에 맞물리게 배치되거나, 아래에 설명할 이물질 수거통(90)의 이물질유입부(92)의 내측 끝단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통(90)으로 잘 유도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배출부(75)의 하부면은 상기 유도부의 경사면과 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도부(79)를 거친 이물질이 이물질수거통(90)으로 잘 유도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이물질 분리 성능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부(79)의 경사는 5°~10° 사이의 경사각을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유도부(79)가 없는 경우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팬모터의 출력이 2.5 ~ 6 Watt 사이에서 이물질 배출 성능이 30%를 약간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10°사이의 경사각의 유도부를 설치한 경우 동일한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출력에서 이물질 배출 성능이 60%~85%까지 증가하여 기존에 비해 30%~55% 정도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도5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도부(79)의 경사각이 5°미만인 경우 상기 5° ~10°의 경사각인 경우 만큼의 이물질 배출 성능의 향상이 없다. 그리고 도5의 그래프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10° 이상의 경사각에서는 오히려 배출성능이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는 유도부(79)의 경사각이 10°이상인 경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원심분리를 위한 공간이 협소해져, 오히려 원심분리가 잘 안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도부(79)의 경사각이 5° 미만인 경우 이물질이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물질 수거통(90)은 사이클론 분리기(70)에서 분리되어 유도부(79) 및 이물질배출부(75)를 경유한 이물질을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수거통(90)은 일회용성 집진봉투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재활 가능한 용기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물질 수거통(90)은 이물질 수거통(90)내의 이물질의 배출 처리가 용이하도록, 본체(2)와 이물질 배출부(75)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물질 수거통(90)은 이물질배출부(75)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유입부(92)를 가진다. 이물질유입부(92)는 유입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통(90)에서 사이클론 분리 기(70)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이물질 수거통(90)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이물질유입부(92)는 이물질 배출부(75)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이물질 수거통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수거통(90)은 이물질 배출부(75)와 이물질 유입부(9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 립(9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립(94)은 이물질 배출부(75)와 연결되어 있고, 이물질 유입부(92)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물질 수거통(90)을 이물질 배출부(75)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청소제어부(80)는 외부의 입력에 따라 필터 청소 유닛(30)의 구동부 및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팬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 청소 장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 제어부(80)는 사용자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이나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를 통해 필터 청소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는 등의 필터 청소 조건이 만족되거나, 일정 주기 간격으로 필터 청소 유닛(30)의 구동부 및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팬모터를 구동시킨다.
필터 청소 유닛(30)의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필터 청소기(32)는 필터(10)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한다. 상기 분 리된 이물질은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 덕트(34) 및 연결관(36)을 경유하여 사이클론 분리기(70)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 및 이물질은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흡입부(71)를 통하여 사이클론 분리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향성의 외부선회류를 형성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이물질은 외부선회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외부선회류와 분리되어 사이클론 분리기(70)의 벽면을 타고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로 이동한 외부선회류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 중앙의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상부로 이동한다. 상부로 이동하는 상향성 선회류를 내부선회류라고 하고, 상기 내부선회류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공기 배출부(73)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클론 오리피스(77)와 흡입력 발생 유닛(50)을 경유하여 본체(100) 내부로 토출된다.
한편, 사이클론 분리기(70) 내면을 타고 사이클론 분리기(77)의 하부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유도부(79)로 이동되고 경사방향을 따라 아래로 유도된다. 유도부의 경사면 하단으로 이동된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부(75)를 통하여 이물질 수거통(90)으로 이동된다.
이물질 수거통(90)으로 이동된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통(90)의 상단에 위치한 이물질유입부(92)를 경유하여 이물질 수거통(90)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이물질 수거통에는 이물질이 축적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이물질 수거통(90)을 사이클론 분리기(70)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 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청소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 성능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본체 10: 필터
30: 필터 청소 유닛 50: 흡입력 발생 유닛
70: 사이클론 분리기 71: 흡입부
73: 공기배출부 75: 이물질배출부
79: 유도부 80: 청소제어부
90: 이물질 수거통 92: 이물질유입부

Claims (5)

  1. 공기조화기로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설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를 따라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과;
    상기 필터청소유닛에 의하여 청소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흡입력 발생 유닛과;
    상기 필터 청소 유닛과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부터 이동되어 온 이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통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는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수거통으로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상부에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내측 하부로 낙하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배출부로 유도되도록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수평면에 대해 5°~10°의 경사각을 갖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둘레 하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의 경사면 하단은 이물질 배출부 내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부의 하부면은 상기 유도부의 경사면과 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80008096A 2008-01-25 2008-01-25 공기조화장치 KR20090081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96A KR20090081917A (ko) 2008-01-25 2008-01-25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96A KR20090081917A (ko) 2008-01-25 2008-01-25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17A true KR20090081917A (ko) 2009-07-29

Family

ID=4129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096A KR20090081917A (ko) 2008-01-25 2008-01-25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9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27B1 (ko) 2020-10-19 2021-04-27 농업회사법인 (주)꿈엔들잊힐리야 식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27B1 (ko) 2020-10-19 2021-04-27 농업회사법인 (주)꿈엔들잊힐리야 식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0485695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23916B1 (ko) 먼지 분리장치
CN113117401A (zh) 分离装置和清洁设备
JP2006204882A (ja) 汚物逆流防止部材を備えたサイクロン集塵装置
WO2012111949A2 (ko) 원심형식의 습식 청소기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JP2007175695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CN101032384A (zh) 便携式吸尘器
KR100474079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107497782A (zh)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KR20110010220A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CN102755140A (zh) 吸尘器的自动清洁过滤装置
CN109674395B (zh) 过滤组件及吸尘器
KR20040110719A (ko) 원심분리식 공기정화장치
EP1707098A2 (en) Water filtration vacuum cleaner apparatus having sloping baffle
KR101067147B1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KR20090081917A (ko) 공기조화장치
KR20020004576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1623184A (zh) 吸尘器的集尘装置
JP4942573B2 (ja) 電気機器及び電気掃除機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KR101459629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60564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