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408A -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 - Google Patents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408A
KR20090081408A KR1020097010588A KR20097010588A KR20090081408A KR 20090081408 A KR20090081408 A KR 20090081408A KR 1020097010588 A KR1020097010588 A KR 1020097010588A KR 20097010588 A KR20097010588 A KR 20097010588A KR 20090081408 A KR20090081408 A KR 2009008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eam
supply pipe
pass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우세페 핀
마르코 산티니
Original Assignee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우유공급파이프(11)와; 에어입구관(15)과;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17)와; 가압된 증기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우유와 에어가 혼합되고 유화되는 유화챔버(41)와; 증기공급파이프를 따라서, 상기 증기공급파이프(17)가 외측과 연통하고 우유공급파이프의 빈상태를 유발하는 밸브로 이루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EMULSIFYING DEVICE TO PRODUCE FROTHED MILK AND THE LIKE AND RELATIVE METHOD}
본 발명은 증기의 흐름에 의하여 에어 및 우유의 흡입을 통하여 유화된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커피를 제조하는 머신은,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카푸치노 또는 유사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유 거품을 제조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들 장치는 특정한 저장소 및 주위의 에어입구관으로부터 우유를 끌어당기는 파이프를 포함한다. 적합한 증기 생성기로부터 오는, 증기의 흐름은, 벤트리관(Ventrui tube)과 같은 적합한 파이프로 공급되며, 우유와 에어를 끌어당기는 진공압을 야기한다. 에어, 우유 및 증기의 흐름은 유상액을 생성하며, 뜨거운 증기는 우유를 가열함으로써 필요한 온도의 유상액(emulsion)을 얻을 수 있다.
이 타입의 유화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면, EP-A-7195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에어와 우유의 혼합물이 유화챔버에 있어서 증기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된 흡입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며 상기 유화챔버 내에서 거품이 형성되며 여기로부터 거품이 컵 또는 다른 용기로 분배주둥이를 통하여 분배된다.
WO-A-0016674호 및 EP-858757호는 유화챔버와 축으로 조정된 벤트리관을 가 진 유사한 유화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유화챔버 안으로, 가압된 증기의 흐름에 의하여 벤트리관 내에 생성된 흡입에 의하여 끌어당겨진다. 유사한 장치에 대하여 균등 특허 USA NO. 제6499389호에 개시되어 있다.
WO-A-9100041호는 커피 제조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커피 제조 머신의 분배주둥이는, 우유 등의 작은 봉지(sachet)등과 같은, 용기로부터 우유, 및 특정한 급탕기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주위 에어를 수납하는 유화장치에 결합한다.
다른 유화장치에 대하여, US-A-4779519호, US-A-5265519호, US-A-5330266호, US-A-4715274호, 및 EP-A-14416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몇몇의 유화장치에 있어서, 벤트리관 안으로 진공압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우유 및 뜨거운 가압된 증기를 혼합함으로써 단지 뜨거운 우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에어 흡입을 잠그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증기와 우유는 유화챔버에서 혼합되어 거품없는 뜨거운 우유가 제조된다. 이 기능을 가진 장치에 대하여 EP-A-1688074호에 개시되어 있이며, 이 장치의 내용은 본 설명에서 완전하게 구체화된다.
EP-A-1132032호, EP-A-0803220호 및 US-B-6253667호는 냉동실 내에 위치하는 용기로부터 우유의 흡입용 이중 파이프를 가진 유화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두 개의 흡입파이프는, 동일한 유화챔버에 있어서, 단지 뜨거운 증기 만이 혼합시키거나 또는 뜨거운 증기 및 에어를 혼합시킴으로써 뜨거운 우유 또는 거품 생긴 우유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EP-A-1688074호 및 US-A-6253667호에 있어서 배출밸브는 우유흡입파이프 상에 설치되며, 유화 처리의 말기에 우유흡입파이프로 에어를 공급한다. 이 밸브는 파이프의 가장 높은 점에 위치하며, 우유 저장소와 연통하며,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중력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의 빈 상태를 유발하는 우유파이프에 에어가 진입한다. 이것은, 유화된 우유의 품질에 대해 유해한 결과와, 다르게는 파이프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우유의 오염으로부터 유래되는 위생학의 관점에서 부작용을 또한 지닌 채로 우유가 상기 흡입관 내에 남아 있을 것을 방지한다. 우유가 존재하는 다른 영역의 빈 상태는 너무 능률적이지 않다. 실제로, 유화챔버 내의 적합한 배면 가압의 부재는, 우유가 에어와 혼합되지 않는 시점의 하류측의 장치의 영역을 안전하게 빈 상태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 장치는 파이프로부터 우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개방 제어기를 가진 특수한 밸브를 필요로 한다. 밸브 개폐장치는 부가적 제어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며, 마모되게 하며 오작동을 일으키고 어떠한 경우에도 유화장치의 전반적인 비용이 상승한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특유한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흠결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명의 목적은, 유화장치의 파이프로부터 우유의 배출이 개선되고, 더욱 효율적이며 더욱 신뢰할 수 있게 하는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제로,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화장치는, 우유공급파이프와; 에어입구 관과;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와; 가압된 증기에 의하여 끌어당겨진, 우유와 에어가 혼합되고 유화된 유화챔버로 이루어진다. 증기공급파이프가 외측과 연통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하게 하고, 예를 들면 동작 사이클의 말기에, 제어된 통로가 개방된 경우 우유공급파이프의 배출을 유발하기 위하여 증기공급파이프를 따라서 제어된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여전이 잔여 증기 압력이 있는 경우 충분한 에어량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증기공급파이프와 외측을 연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장치의 개선된 세정을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통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는 상기 통로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는 증기공급파이프에 있어서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밸브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의 개방 및, 결과적으로 파이프로부터 우유의 배출은, 부차적인 제어 장치없이, 증가 파이프 단독으로 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제조 사이클이 개시하는 경우, 밸브의 폐쇄 거의 직후 증기공급파이프 내부의 증기 압력이 급속하게 증가하므로 결과적으로 가압된 증기가 외측과 증기공급파이프 내부 사이의 연통 통로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동작 사이클의 말기에, 즉, 유화된 우유의 충분한 양이 제조되는 경우, 증기 압력은 조절 밸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다소 점진적으로 저감되며, 증기공급파이프와 외측을 접속하는 배출 밸브의 자동적인 개방을 유발한다.
증기공급파이프 내의 압력이 주위 압력에 관련하여 소정의 값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밸브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위 압력에 관하여 증기의 과압이, 5 및 45mbar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및 40mbar 사이에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및 40mbar 사이에 있는 경우 밸브는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이 방식으로, 유화챔버 방향으로 증기의 흐름이 종료되기 전에 밸브가 개방되어 다량의 에어를 흐르게 한다. 이것은, 우유와 증기가 혼합되는 영역의 상류 측의 우유 흡입 파이프의 중력에 의한 자동 배출 뿐만 아니라 우유가 존재하는 전체 영역의 세정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증기공급파이프 내부의 증기압의 변화의 기능으로서 자동 개폐를 얻는 이점 이외에, 발명의 이러한 특유한 실시예로, 더욱 효과적인 세정작용 및 유화 장치로부터 우유의 잔류량의 배출을 달성한다.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청구항에서 개시하며 발명의 실시예의 비제한적인 예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이하에서 개시한다.
발명은 또한 상기 개시된 타입의 장치의 수단에 의하여 유화된 우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로가 폐쇄된 채로, 증기공급파이프로 가압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가압된 증기에 의하여, 상기 우유공급파이프와 상기 에어 유입관 각각을 개재하여 우유와 에어를 끌어당기는 단계와;
혼합된 에어와 우유를 개재하여 유화된 우유를 분배하는 단계와;
분배, 증기압 저감, 상기 통로를 개방한 후, 상기 통로를 통하여 우유공급 파이프로 에어가 우유를 진입하게 하여, 거기에 함유된 우유를 배출하고 증기의 잔류 흐름에 의하여 유화 영역과 혼합영역으로부터 잔류 우유를 뽑아내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발명은,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이하의 설명서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1은 단지 개략적으로 표현된, 커피를 분배하는 머신에 적합한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간략화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
도2는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유입파이프를 개폐하는 밸브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도3은 유화챔버와, 우유와 에어를 끌어당기는 벤투리관과 유화된 우유의 배출 파이프를 가진, 실제 유화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3a는 에어 통행을 위한 단면을 형성하는 장치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은 블록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커피와 유화된 우유를 제조하는 머신을 표시한다. 머신에 있어서, (1)로 전체를 표시하며, 커피제조유닛(3)은 임의의 타입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개시하지 않는다. 본 설명서에 있어서, 머신의 표면(P)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컵(T)으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하여 단일 또는 이중 주둥이(5)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충분히 언급된다.
커피를 분배하는 주둥이(5)의 측에 위치결정되는 것은 유화된 우유, 즉 유화 장치로부터 운반된 거품있는 우유를 분배하는 제2주둥이(7)이며, 유화장치의 본체는 (9)로 표시된다. 유화장치(9)는, 우유공급파이프(11)를 개재하여, 유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유를 함유하고 있는 저장소(13)와 접속된다.
유화장치(9)는 또한 개구(15)를 구비하며, 이것은 증기 생성기(19) 또는 적합한 압력과 온도에서 다른 적합한 증기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17)와 주위 에어를 끌어당기며, 이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개시된다. 이하에서 개시된 목적을 위하여, 밸브(21)는 파이프(17)를 따라서 위치되며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17)의 내부는 외측 환경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밸브(21)의 가능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2에서 표시된다. (27A)에 천공된 덮개(27)에 의하여 상부에 덮힌 칸막이(25)가 있으며 칸막이(25)의 내측은 외측과 연통하여 배치되는 몸체(23)를 구비한다. 밸브의 몸체(23) 내부에 위치결정되는 것은, 스템(35)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증기 파이프(17) 내부에 존재하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이동가능성 폐쇄 구성요소(33)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는 포트(31)를 가진 다이어프램(29)이다. 파이프(17)에 있어서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다이어프램(diaphragm)(29)에 대하여 가압되는, 밀폐구성요소(33)는, 외측 환경과 파이프(17)의 내부 사이의 연통을 방지하는 포트(31)를 닫는다. 파이프(17) 내부의 압력이, 밸브의 기계적 명세에 의하여 결정된,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폐쇄 구성요소(33)는 그 자신의 중량의 영향에 의하여 또는, 선택적으로 탄성구성요소(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하강되며, 포트(31)를 개방하여 파이프(17)의 내측이 몸체(23)의 칸막이(25)를 닫는 덮개(27) 내의 홀(27A)을 통하여 외측 환경과 연통하 게 한다.
도2는, 밸브 중 다수의 가능성있는 구성 중 단지 하나 만에 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것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17) 내의 압력이 최소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파이프(17)의 내부는 외측 환경과 연통하도록 개방되며 파이프(17) 내의 압력이 제2의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측환경과 파이프(17)의 내부 사이에 연통이 닫히도록 밸브가 설계된다.
이 방식으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17) 내의 압력값에 의하면, 밸브(21)는 개방되거나 닫혀서, 파이프(17) 내로 에어를 진입하게 하거나 방지한다.
도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화장치의 몸체(9)의 중간 평면을 따른 단면의 상세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개시된 설명은 유화장치의 몸체를 제조하는 가능한 방법 중 하나에 적용하며, 이들 개시된 것에 관하여 변화시키고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이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이유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몸체(9)는 (9A),(9B) 및 (9C)로 표시되는, 3개의 피스 또는 부분들로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피스(9A),(9B) 및 (9C)는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피스(9A)는 유화챔버(41)를 형성하며, 증기의 흐름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우유 및 에어는 거품을 형성하며, 상기 거품은 유화챔버의 베이스에 형성된 홀(43)을 통하여 유화챔버로부터 배출된다. 홀(43)은 유화장치의 몸체(9)의 피스(9A)에 적합한 결합부(45)에 접속된다. 결합부(45)는 주둥 이(7)와 직접 또는 간접 유체 연통된다(도1).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17)가 접속하는, 홀(47)은 피스(9B)로 제조된다. 홀(47)은 벤투리관을 형성하는 피스(9C)와 동축인 좀 더 작은 단면(47B)을 가진 부분과 좀 더 큰 단면(47A)을 가진 부분을 구비한다. 바꿔말하자면, 피스(9C)는 파이프(47B)의 출구의 정면에 위치하는 입구로부터 유화챔버(41) 방향의 출구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가진 축 홀을 구비한다.
벤투리관을 형성하는 피스(9C)는 피스(9A)의 시트(49)로 슬롯되어 위치하며, 피스(9B)의 탭은 중간 피스(9C)를 적당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며, 이 목적을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49)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보스(boss)에 받쳐져 있는 특정한 숄더(shoulder) 및 프랜지(flange)를 구비한다.
또한 피스(9B)에 형성된 것은, 채널 또는 파이프(47B)를 둘러싸는 피스(9B)의 표면부와 피스(9C) 사이에서 범위가 정해지며 피스(9C)로 형성되는 벤투리관 위의 용적부로 모아지는 좀 더 작은 단면를 가지는 부분(51B)과 스템 또는 핀(53)이 삽입된 부분(51A)을 가진 홀(51)이다. 이 용적부(55)와 홀(51A)(51B)에 의하여 형성된 용적부에 있어서, 우유는, 피스(9C)에 의하여 형성된 벤투리관으로 공급되는 스템의 흐름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외측 에어와 혼합된다. 스템(53)은 도 3a에 더욱 잘 도시된 적절한 단면을 구비한다.
도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템(53)은 베벨 또는 평평한 부분(53A)를 구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스템의 횡단면은 해당 스템이 끼워 맞춰진 홀(51)의 단면과 일치하지 않는다. 홀(51)의 내부 표면과 함께, 베벨(53A)은, 통과하기 위하여 외측으로부터 끌어당겨진 에어용 개구를 형성한다. 동일한 개구 때문에, 저장소(13)로부터 우유를 끌어당기는 파이프(11)가 접속된 채널(57)을 통하여 우유가 끌어당겨진다.
상기 개시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유화되거나 거품생긴 우유가 제조되어야 하는 경우, 분배 주둥이(7) 아래에 컵(7)이 놓여진 후, 가압된 스템 유입 파이프(17) 위에 위치되는 탭 또는 밸브(18)(도1)가 개방된다. 파이프(17)에 있어서 스템은 충분한 고압, 즉 외측 환경에 관련하여 지나친 압력인 80mbar 정도에 도달한 직후, 밸브(91)의 거의 즉각적인 닫힘을 유발함으로써, 외측 환경에 관하여 스템 유입 파이프(17)의 내측을 분리시킨다. 가압된 증기는 유화기의 몸체(9)에 도달하며 몸체(9)의 피스(9C)에 의하여 형성된 벤투리관으로 피스(47A)(47B)를 개재하여 흐른다.
벤투리관 내부의 증기의 가속은 용적부(55)에 형성될 흡입을 유발하며, 파이프(11)를 통하여 저장소로부터 유화될 우유를 끌어당긴다. 우유와 함께, 주위 에어는 또한 홀(51)과 스템(53)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끌어당겨진다. 에어와 우유는 챔버(41) 내에서 유화되며 고온의 가압된 증기는 우유를 동시에 가열한다.
유화된 음료는 배출 파이프(43)를 통하여 주둥이(7) 방향으로 배출된다.
유화챔버(41)는 횡단면을 가지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벤투리관 보다 약간 크므로 이하의 기능을 가진 보상 용적부를 형성한다. 만약 증기의 양 및/또는 그 온도가 우유 양에 관하여 지나친 경우, 우유는 비등점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유화 챔버(41) 내에서 적합한 용적부의 부재에 있어서, 비등은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므로 거품의 형성 및 유화된 우유의 규칙적인 차단을 방해한다. 주입챔버(41)의 대형 용적부는 우유의 국부적 비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지나친 압력이 보완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며, 유화챔버에 있어서 유체의 공급의 차단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벤투리관의 출구의 하류측에서 대체로 증가하는 횡단면을 가지는 유화챔버의 이용은 본 발명의 특히 관련된 측면을 또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련된 측면은 스템(53)의 구성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옆으로 평평한 영역을 가진 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스템의 횡단면과 일치하지 않는 횡단면을 가진 홀 내에 삽입되며, 유화기의 몸체(9)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덩어리에 있어서 조정된 홀을 제조할 필요없이 매우 작은 치수를 가진 에어의 통행을 위한 단순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에어 유입 개구의 내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없이 유화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스템(53)의 평평한 형성부는, 그 홀(51) 내의 회전에 의하여, 에어의 흐름을 형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에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우유의 어떠한 외피 덮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템의 형상부와 단면은 또한 우유공급용 개구의 단면과 에어 입구 개구의 단면이 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우유 유입 파이프의 출구는 스템에 근접하며 에어와 우유가 혼합된 영역은 스템(53)을 둘러싸는 용적부에서 개시한다.
세 개의 피스(9A)(9B) 및 (9C)에 있어서 유화기의 몸체(9)의 형성은 유화기의 몸체가 비교적 단단한 재료를 이용하는 몰딩 프로세스로 형성되게 하며, 상당한 차원의 견고성을 구비한 피스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접속될 다양한 파트 에 관하여 비교적 매우 견고한 내구력으로 컴프라이언스를 보증한다. 이것은 누출을 통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며 다양한 피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본문의 범위 내에서, 유화챔버(41)를 규정하는 주요부(9A)를 지닌 동시에 유화실을 폐쇄하는 피스(9B)을 지니는 유화기 본체를 제조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이때, 증기 공급관과 우유 유입관이 공기 유입 개구부와 함께 제조된다. 또 제3성분 또는 피스(9C) 내에서 플랜지 또는 기타 접촉 소자를 지니는 벤투리관의 제조가 특히 유리하며, 이 소자를 지님으로써, 벤투리관은 상부 부분의 플랜지 부착부에 의해서 예컨대 하부 피스(9A)에 형성된 시트에서 차된될 수 있다.
도면은 단지 발명의 실제적인 구성의 수단에 의하여 제공된 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은 발명이 기저하는 컨셉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 및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의 임의의 참조번호는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서 청구항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되며, 청구항에 의하여 표현된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우유공급파이프와; 에어입구관과; 가압된 증기공급파이프와; 가압된 증기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상기 우유와 상기 에어가 혼합되고 유화되는 유화챔버로 이루어진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로서,
    증기공급파이프를 따라서, 상기 증기공급파이프를 외측과 연통하게 하며, 우유공급파이프의 빈상태를 유발하는 제어된 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는 상기 통로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개폐가 상기 증기공급파이프 내의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상기 밸브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조정되어, 증기가 제1압력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통로가 닫히며 증기가 제2압력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통로가 개방되며, 상기 제2값은 제1 값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값은 증기공급파이프 외측의 압력에 관련하여 과압인 60 및 150mbar 사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과 120mbar 사이에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및 100mbar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값은 상기 증기공급파이프 외측의 압력에 관련하여 과압인 5 및 45mbar 사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및 40mbar 사이에 있으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및 40mbar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7.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파이프와 우유공급파이프는 벤투리관의 입구와 연통하여 혼합 용적에서 모이고, 상기 벤트리관 속으로 상기 증기공급파이프의 출구가 통하게 되어, 해당 벤투리관 내의 증기의 흐름이 해당 벤투리관의 하류의 유화 영역을 향하여 해당 벤투리관을 통해 우유와 에어를 빼내는 진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영역은 유화챔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영역은 유화된 우유출구파이프와 유체 연통하며, 그 배출 개구는 증기공급파이프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상기 연통 통로의 높이에 관련하여 보다 낮은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있는 우유를 제조하는 유화장치.
  10.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유화된 우유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통로가 닫힌 채로, 상기 증기공급파이프로 가압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가압된 증기에 의하여, 상기 우유공급파이프와 상기 에어입구관 각각을 통하여 우유와 에어를 끌어당기는 단계와;
    에어와 우유의 혼합에 의하여 유화된 우유를 분배하는 단계와;
    분배, 증기 압력 저감, 상기 통로를 개방한 후에, 상기 통로를 통하여 우유공급파이프로 에어를 진입하게 한 후에, 거기에 함유된 우유를 배출하고 증기 잔류량 흐름에 의하여 혼합 영역과 유화 영역으로부터 잔류 우유를 방출하는 단계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된 우유 제조방법.
KR1020097010588A 2006-10-27 2007-10-17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 KR20090081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263A ITFI20060263A1 (it) 2006-10-27 2006-10-27 Dispositivo emulsionatore per la produzione di latte schiumato e simili e relativo metodo
ITFI2006A000263 2006-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08A true KR20090081408A (ko) 2009-07-28

Family

ID=3786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588A KR20090081408A (ko) 2006-10-27 2007-10-17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575675B2 (ko)
EP (1) EP2076159B1 (ko)
JP (1) JP5198461B2 (ko)
KR (1) KR20090081408A (ko)
CN (1) CN101528100B (ko)
AT (1) ATE476898T1 (ko)
BR (1) BRPI0718139B1 (ko)
DE (1) DE602007008451D1 (ko)
IT (1) ITFI20060263A1 (ko)
MX (1) MX2009004408A (ko)
RU (1) RU2435509C2 (ko)
TW (1) TW200836685A (ko)
WO (1) WO2008050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60263A1 (it) * 2006-10-27 2008-04-28 Saeco Ipr Ltd Dispositivo emulsionatore per la produzione di latte schiumato e simili e relativo metodo
EP2158828A1 (en) * 2008-08-25 2010-03-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frothing milk,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blockage of an air restriction by milk residue
ITFI20080198A1 (it) * 2008-10-15 2010-04-16 Saeco Ipr Ltd "macchina da caffe'"
ITFI20090177A1 (it) * 2009-08-03 2011-02-04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un dispositivo di collegamento fra un vano refrigerato ed un erogatore di liqui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EP2345354B1 (de) * 2010-01-19 2012-07-11 Jura Elektroapparate AG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von Kaffee und/oder Milch und/oder Milchschaum, Getränkebereitungsmaschine mit einer Ab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einer Abgabevorrichtung
CN102008237B (zh) * 2010-11-11 2012-10-03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多功能咖啡机
EP2474254A1 (en) * 2011-01-07 2012-07-11 Nestec S.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DE102011077776B4 (de) *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WO2013188187A2 (en) * 2012-06-11 2013-12-19 The Quaker Oats Company Chilled products containing yogurt, fruit and oats
EP2967252A1 (en) * 2013-03-11 2016-01-20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frothing a liquid
AU2014292926B2 (en) 2013-07-25 2020-03-05 Exicure Operating Company Spherical nucleic acid-based constructs as immunostimulatory agents for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use
CH708909B1 (de) * 2013-11-29 2024-01-15 Steiner Ag Weggis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slassen von Milchschaum oder Flüssigkeiten.
US10980368B2 (en) 2013-11-29 2021-04-20 Steiner Ag Weggis Device for pouring out milk froth, liquids or the like
EP2944237A1 (de) * 2014-05-14 2015-11-18 Jura Elektroapparate Ag Auslaufeinrichtung für eine Milchschäumvorrichtung
BE1022934B1 (nl) * 2014-11-19 2016-10-20 Schuilenburg Nv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van vloeistoffen door stoom
WO2016139969A1 (ja) * 2015-03-03 2016-09-09 富士電機株式会社 乳飲料供給装置
IT201600096851A1 (it) * 2016-09-27 2018-03-27 De Longhi Appliances Srl Dispositivo di emulsione di latte ad effetto venturi e metodo di produzione di latte caldo con e senza schiuma con un tale dispositivo
CN109381063A (zh) * 2017-08-04 2019-02-2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混合机及其电机控制方法及装置
CN108994843A (zh) * 2018-09-19 2018-12-14 北京猎户星空科技有限公司 机械臂控制方法及机械臂控制装置
KR102164829B1 (ko) * 2018-12-31 2020-10-13 (주)아모레퍼시픽 휴대용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252373B1 (ko) * 2018-12-31 2021-05-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제조 장치
US20220257046A1 (en) * 2019-07-18 2022-08-18 De' Longhi Appliances S.R.L. Milk frother
CN113208433B (zh) * 2021-04-16 2022-12-13 淮北敬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傻瓜式打奶蒸汽管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3359A (en) * 1958-09-30 1959-09-08 Mccormick & Co Inc Process for coffee
ES8700918A1 (es) * 1985-01-31 1986-11-16 Spidem Srl Perfeccionamientos en los dispositivos emulsionadores
IT206829Z2 (it) * 1986-04-18 1987-10-01 Nuova Faema Spa Simili, particolarmente per gruppo emulsionatore per macchine per il caffe' espresso da emulsionare aria, vapore e latte bar.per l'ottenimento di cappuccini e
JPH0634746Y2 (ja) * 1988-12-29 1994-09-14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飲料抽出用給湯装置
US5490447A (en) * 1989-07-05 1996-02-13 Faema S.P.A. Automatic espresso and cappuccino machine
IT1230290B (it) 1989-07-05 1991-10-18 Nuova Faema Spa Macchina automatica per la erogazione di caffe', cappuccino e simili.
US4982655A (en) * 1990-02-13 1991-01-08 Wen Der Juang Saucepan capable of setting amount of soup finally left therein
US5207148A (en) * 1990-06-25 1993-05-04 Caffe Acorto, Inc. Automated milk inclusive coffee apparatus
DE4026495A1 (de) * 1990-08-22 1992-02-27 Braun Ag Espressomaschine
US5154110A (en) * 1991-01-04 1992-10-13 Jack Chang Espresso/cappuccino machine
FR2687057B3 (fr) * 1992-02-10 1994-04-29 Moulinex Sa Recipient contenant du lait adapte a un accessoire pour cappuccino.
US5358030A (en) * 1992-05-08 1994-10-25 Fmc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retort over-pressure during pressure cooling
IT227145Y1 (it) 1992-10-30 1997-09-15 Miralfin Srl Dispositivo per emulsionare vapore e latte particolarmente per cappucc ini
US5330266A (en) * 1993-10-18 1994-07-19 Stubaus Leslie H Cappuccino attachment for an espresso machine
CH689933A5 (it) 1994-12-27 2000-02-15 Lough J Ltd Gruppo emulsionatore particolarmente per emulsionare vapore e latte per la preparazione di cappuccini e simili.
DE29501228U1 (de) 1995-01-26 1995-05-04 Timm Eberhard Vorrichtung zum Erhitzen einer trinkbaren Flüssigkeit
DE19549227A1 (de) * 1995-12-30 1997-07-03 Braun Ag Brüh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NL1002935C2 (nl) 1996-04-24 1997-10-28 Sara Lee De Nv Emulgeer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geschuimde melk en warme melk.
NL1002936C2 (nl) 1996-04-24 1997-10-28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het bereiden van warme en geschuimde melk.
DE29702568U1 (de) * 1997-02-14 1997-04-03 Eugster Frismag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für Cappuccino
US6006654A (en) * 1997-06-13 1999-12-28 Tcc Trading Limited Milk frothing apparatus and method
US6086833A (en) * 1997-09-08 2000-07-11 Air Liquide America Corporation Process and equipment for sanitizing and packaging food using ozone
DE19740036C1 (de) * 1997-09-11 1998-11-12 Hrch Huppmann Gmbh Gekapselte / luftfreie Schrotung und Maischeerzeugung
GB9722711D0 (en) 1997-10-29 1997-12-24 Mcgill Shane R Food blending apparatus
DE29817116U1 (de) 1998-09-24 1998-12-17 Jura Elektroapparate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für Cappuccino
WO2002085170A2 (en) * 2001-04-18 2002-10-31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AU2002222514A1 (en) 2001-11-09 2003-06-10 Spidem S.P.A. Heating and emulsifying device
JP4097154B2 (ja) * 2002-05-06 2008-06-11 グルッポ・キムバリ・エス・ピー・エー ミルクを加熱し泡立てるための装置
US7228793B2 (en) * 2002-11-25 2007-06-12 Fizzy Fruit, LLC Carbon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flavor of fruits and vegetables
CN1245230C (zh) * 2003-01-06 2006-03-15 姚林林 一种液体制取方法和装置
DE102004006095A1 (de) * 2004-02-06 2005-09-01 Niro-Plan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JP2005245499A (ja) * 2004-03-01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DE502006000460D1 (de) * 2005-02-08 2008-04-30 Saeco Ipr Ltd Anordn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und zum Erhitzen von Milch
JP4397341B2 (ja) * 2005-04-01 2010-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ミルクフォーマー
ITMI20050880A1 (it) * 2005-05-16 2006-11-17 Saeco Internat Group S P A Unita'vapore ad ancoraggio esterno comprendente una caraffa per schiumare il latte e riscaldare bevande per macchina per bevande espresso
DE602005004558T2 (de) * 2005-11-11 2009-01-22 Gruppo Cimbali S.P.A. Automatische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Schäumen von Milch
ITFI20060263A1 (it) * 2006-10-27 2008-04-28 Saeco Ipr Ltd Dispositivo emulsionatore per la produzione di latte schiumato e simili e relativo metodo
EP2133009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US8733234B2 (en) * 2008-09-01 2014-05-27 Nestec S.A. Appliance for conditioning a milk-based liquid
DE102009013937A1 (de) * 2009-03-19 2010-09-23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Aufschäumvorrichtung
DE102011077776B4 (de) *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DE102013224400A1 (de) * 2013-11-28 2015-05-28 Wmf Ag Elektrisch betriebener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elektrisch betriebene Kaffeemaschine, mit Dampflanze zum Milchaufschäu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7441A (ja) 2010-03-11
MX2009004408A (es) 2009-05-13
AU2007310419A1 (en) 2008-05-02
DE602007008451D1 (de) 2010-09-23
ATE476898T1 (de) 2010-08-15
JP5198461B2 (ja) 2013-05-15
RU2009120066A (ru) 2010-12-10
US10575675B2 (en) 2020-03-03
CN101528100B (zh) 2011-06-08
EP2076159A1 (en) 2009-07-08
TW200836685A (en) 2008-09-16
EP2076159B1 (en) 2010-08-11
ITFI20060263A1 (it) 2008-04-28
BRPI0718139B1 (pt) 2018-11-13
US20100011968A1 (en) 2010-01-21
BRPI0718139A2 (pt) 2013-11-12
RU2435509C2 (ru) 2011-12-10
WO2008050366A1 (en) 2008-05-02
CN101528100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1408A (ko) 거품있는 우유 등을 제조하는 유화장치 및 관련방법
US5339725A (en) Device for emulsifying steam and milk particularly for cappuccinos
US9474408B2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product
RU26912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RU25260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й пены
JP5583247B2 (ja) 少なくとも2つの被溶解成分及び/又は被抽出成分とある量の液体とから、消費に適した飲料を用意する方法
US6713110B2 (en) Assembly for generating milk foam and for heating milk
EP3313245B1 (en) Device for preparing frothy milk
EP2490963B1 (en)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5048191B2 (ja) 容器、及びコーヒー機
US7021206B2 (en) Hot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US20060174771A1 (en) Assembly for creating milk froth and for heating milk
US20090211456A1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and exchangeable holder for such system
KR20110031459A (ko) 카푸치노와 같은 고온 음료를 준비하는 기계를 위해 우유를 가열 및/또는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KR20110069871A (ko) 커피 기계
US201500241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milk foam and/or warmed milk
ITFI20090177A1 (it) &#34;un dispositivo di collegamento fra un vano refrigerato ed un erogatore di liqui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34;
CN104068751B (zh) 一种发泡蒸汽杆
JP2013528461A (ja) 液体を泡立たせる装置
EP2672865A1 (en) Mixing, heating and/or frothing device for machines for preparing hot beverages, particularly for preparing cappuccino
CN201243958Y (zh) 自动吸牛奶发泡器
ITMI20131726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quali caffe&#39; espresso, cappuccino e simili.
US20220273131A1 (en) A mixing apparatus for creating frothed milk
WO2005074770A1 (en) Device for preparation and delivering of heated and air foamed liquid, particularly milk for the preparation of cappuccino
AU2007310419B2 (en) Emulsifying device to produce frothed milk and the like and relativ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