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997A -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997A
KR20090080997A KR1020097010487A KR20097010487A KR20090080997A KR 20090080997 A KR20090080997 A KR 20090080997A KR 1020097010487 A KR1020097010487 A KR 1020097010487A KR 20097010487 A KR20097010487 A KR 20097010487A KR 20090080997 A KR20090080997 A KR 2009008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housing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엑켈
아힘 펠데르만
안드레아스 자이델
페라 부흐홀츠
베른트 켈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8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0 내지 9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B) 0.5 내지 30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래프트 중합체,
C) 0.1 내지 50 중량부의 중공 유리 비드,
D) 0 내지 20 중량부의 인-함유 방염제,
E) 0 내지 4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및
F) 0 내지 10 중량부의 부가 물질을 함유하는,
개선된 유동성, 높은 강성 및 가공으로 인한 적은 수축에 의해 구별되는, 변하지 않는 높은 내긁힘성을 가지는 충전된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및 상술한 조성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높은 내긁힘성, 개선된 유동성, 높은 강성, 가공으로 인한 적은 수축

Description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FILL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MODIFIED RESILIENCE}
본 발명은 기계적 특성 프로파일의 관점에서 향상된 요건을 만족시키고 가공 과정에서 개선된 유동 거동을 나타내는 내충격성-개질된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및 성형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JP-A-11-199768호에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 인산 에스테르로 내화염성이게 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블렌드가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내화염성은 무기 충전제, 예를 들어 활석의 첨가를 통해 뚜렷하게 개선된다. 그러나, 무기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블렌드의 기계적 특성, 특히 인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JP-A-05-070653호는 말레이미드-개질된 ABS 성형 화합물 내의 첨가제로서 높은 압축 강도를 가지는 중공(hollow) 유리 비드를 기재한다. 성형 화합물은 감소된 밀도, 높은 굴곡 모듈러스 및 양호한 열안정성을 가진다. 유리한 유동 거동, 작아진 수축 또는 향상된 내긁힘성에 대한 설명은 없다.
EP-A 198 648호에는 입자 크기가 500 μm 미만인 구형 중공 충전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충전제는 2.5 내지 10의 외부 직경 대 벽 두께의 비를 가지고 낮은 중량에서 강성 및 강도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러한 성형 화합물의 내긁힘성 또는 유동성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EP-A 391 413호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충전제로서의 활석의 용도를 기재한다. 내긁힘성 또는 가공으로 인한 수축에 대한 영향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매우 내긁힘성인 성형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 및 솔리드(solid) 유리 비드로 이루어진 성형 화합물은 DE-A 2 721 8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물질로 제조된 필름은 양호한 광 투과율 및 내긁힘성을 가진다. 상기 성형 화합물의 유동성, 강성 또는 가공으로 인한 수축에 대한 설명은 없다. 그러나, 상기 성형 화합물은 솔리드 유리 비드가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의 밀도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유동성, 높은 강성 및 가공으로 인한 적은 수축에 의해 구별되는, 변하지 않는 높은 내긁힘성을 가지는 성형 화합물의 공급에 있다. 성형 화합물은 또한 내화염성이 되게 할 수 있다.
놀랍게도,
A) 1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B) 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래프트 중합체,
C)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부의 중공 유리 비드,
D)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6 중량부의 인-함유 방염제,
E) 0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및
F) 0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의 부가 물질
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원하는 특성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에서 모든 중량부 데이터는 조성물 내의 모든 성분의 중량부의 합이 100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표준화된 것이다).
성분 A
성분 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DE-AS 1 495 626호, DE-A 2 232 877호, DE-A 2 703 376호, DE-A 2 714 544호, DE-A 3 000 610호, DE-A 3 832 396호 참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 예를 들어, DE-A 3 077 934호 참조).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상-경계 방법에 따라, 임의로는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모노페놀을 사용하여, 임의로는 3관능성 이상의 분지제, 예를 들어 트리페놀 또는 테트라페놀을 사용하여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젠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로 디페놀을 전환시켜 실시한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한 디페놀의 전환에 의한 용융-중합 방법을 통한 제조가 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디페놀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의 것이다.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 내지 C5 알킬렌, C2 내지 C5 알킬리덴, C5 내지 C6 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그 위에 임의로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추가 방향족 고리가 축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 아릴렌, 또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III의 잔기이고,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2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3
B는 각 경우 C1 내지 C12 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롬이고,
x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는 1 또는 0이고,
R5 및 R6는 각 X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 가능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6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X1은 탄소이고,
m은 4 내지 7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를 나타내되, 하나 이상의 원자 X1 상의 R5 및 R6는 동시에 알킬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C1-C5-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C5-C6-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설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이들의 고리-브롬화 및/또는 고리-염소화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파이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 및 이들의 디브롬화 및 테트라브롬화 또는 염소화 유도체, 예를 들어,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페놀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혼합물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디페놀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사슬 종결제는, 예를 들어,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또는 2,4,6-트리브로모페놀, 및 장쇄 알킬페놀, 예컨대 DE-A 2 842 005호에 따른 4-[2-(2,4,4-트리메틸펜틸)]페놀, 4-(1,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또는 알킬 치환기 내에 총 8개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모노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 예컨대 3,5-디-tert-부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및 2-(3,5-디메틸헵틸)페놀 및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이용하고자 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주어진 경우에 이용되는 디페놀의 몰 합에 대해 일반적으로 0.5 몰% 내지 10 몰%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 (예를 들어, GPC, 초원심분리기 또는 산란-광 측정에 의해 측정한 Mw)은 10,000 내지 2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8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00 내지 32,000 g/몰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용되는 디페놀의 합에 대해 0.05 몰% 내지 2.0 몰%의 3관능성 이상의 화합물,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페놀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혼입을 통해 분지시킬 수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둘 다 적합하다. 성분 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디페놀의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25 중량의, 히드록시아릴옥시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공지되어 있고 (US 3,419,634호)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또한 적합하고,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DE-A 3 334 782호에 기재되어 있다.
비스페놀-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이외에,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에 관한 몰 합에 대해 15 몰% 이하의 바람직하거나 특히 바람직하다고 지정된 것 외의 디페놀, 특히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비스페놀 A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페닐 에테르 4,4'-디카르복실산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의 2산(di-acid) 디클로라이드이다.
1:20 내지 20:1의 비율의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2산 디클로라이드의 혼 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 과정에서, 또한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이 부수적으로 2관능성 산 유도체로서 사용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사슬 종결제로서, 이미 언급한 모노페놀 이외에, 이들의 클로로탄산 에스테르 및 임의로는 C1 내지 C22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산 클로라이드, 및 지방족 C2 내지 C22 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가 또한 고려된다.
사슬 종결제의 양은, 페놀계 사슬 종결제의 경우 디페놀의 몰에 대해, 및 모노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 사슬 종결제의 경우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의 몰에 대해, 각각 0.1 몰% 내지 10 몰%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서, 추가로 1종 이상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선형이거나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될 수 있다 (DE-A 2 940 024호 및 DE-A 3 007 934호 참조).
분지제로서, 예를 들어, (이용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에 대해) 0.01 몰% 내지 1.0 몰%의 양의 3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예컨대 트리메스산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르산 트리클로라이드,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피로멜리트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이용되는 디페놀에 대해 0.01 몰% 내지 1.0 몰%의 양의 3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페놀, 예컨대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트리페닐)프로판,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계 분지제는 디페놀과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산-클로라이드 분지제는 산 디클로라이드와 함께 투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에서 카르보네이트 구조적 단위의 비는 임의로 다양할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기의 비는 에스테르기 및 카르보네이트기의 합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몰% 이하, 특히 8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부분 및 카르보네이트 부분은 둘 다 블록 형태로 또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방식으로 중축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상대 용액 점도 (ηrel)는 1.18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2의 범위 내에 있다 (25℃에서 100 ml의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중 0.5 g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 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용액에 대해 측정함).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혼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성분 B
성분 B는
B.1 5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9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가
B.2 9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유리 전이 온도가 < 10℃, 바람직하게는 < 0℃,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인 1종 이상의 그래프트 기재 상에 그래프트된
1종 이상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래프트 기재 B.2의 평균 입자 크기 (d50 값)는 일반적으로 0.05 μm 내지 10 μm, 바람직하게는 0.1 μm 내지 5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μm 내지 1 μm이다.
단량체 B.1은 바람직하게는
B.1.1 5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및/또는 고리-치환된 비닐 방향족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또는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B.1.2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 말레이미드
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단량체 B.1.1은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한 단량체 B.1.2는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B.1.1 스티렌 및 B.1.2 아크릴로니트릴이다.
그래프트 중합체 B를 위해 적합한 그래프트 기재 B.2는, 예를 들어, 디엔 고무, EP(D)M 고무, 즉 에틸렌/프로필렌 및 임의로는 디엔을 기재로 하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클로로프렌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고무이다.
바람직한 그래프트 기재 B.2는 예를 들어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을 기재로 하는 디엔 고무, 또는 디엔 고무의 혼합물 또는 디엔 고무의 공중합체 또는 (예를 들어 B.1.1 및 B.1.2에 따르는) 추가 공중합성 단량체와 이들의 혼합물이되, 성분 B.2의 유리 전이 온도는 < 10℃, 바람직하게는 < 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이다. 순수한 폴리부타디엔 고무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 B는, 예를 들어, DE-OS 2 035 390호 (= US-PS 3,644,574)호 또는 DE-OS 2 248 242호 (= GB-PS 1 409 275호) 또는 문헌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19 (1980), p 280 ff]에 기재된 것과 같은 ABS 중합체 (유화 ABS, 벌크 ABS 및 현탁 ABS)이다. 그래프트 기재 B.2의 겔 비는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이다 (톨루엔 중에서 측정함).
그래프트 공중합체 B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예를 들어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벌크 중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유화 중합 또는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한 그래프트 고무는 또한 US-P 4,937,285호에 따른 유기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진 개시제 시스템으로의 산화환원 개시에 의해 유화-중합 방법에서 제조되는 ABS 중합체이다.
그래프트 반응의 과정에서 그래프트 단량체가 그래프트 기재 상에 반드시 완전히 그래프트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공지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프트 중합체 B'라는 표현은 또한 그래프트 기재의 존재하에 그래프트 중합체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고 가공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중합체 B의 B.2에 따른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임의로는 B.2에 대해 40 중량% 이하의 다른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중합성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C1 내 지 C8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부틸, n-옥틸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할로겐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C1-C8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클로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교를 위해, 하나 초과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가 공중합될 수 있다. 가교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는 3개 내지 8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3개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불포화 1가 알코올, 또는 2개 내지 4개의 OH기 및 2개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포화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다불포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예컨대 트리비닐 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예컨대 디비닐벤젠 및 트리비닐벤젠; 및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및 디알릴 프탈레이트이다.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포스페이트 및 3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나타내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시클릭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트리알릴벤젠이다. 가교된 단량체의 양은 그래프트 기재 B.2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05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3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가지는 시클릭 가교 단량체는 그의 양을 그래프트 기재 B.2의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에, 임의로는 그래프트 기재 B.2를 제조를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타"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비닐 C1-C6 알킬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이다. 그래프트 기재 B.2를 위해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60 중량% 이상의 겔 함량을 나타내는 유화 중합체이다.
B.2에 따른 추가 적합한 그래프트 기재는 DE-OS 3 704 657호, DE-OS 3 704 655호, DE-OS 3 651 540호 및 DE-OS 3 631 53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그래프트-활성 자리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이다.
그래프트 기재 B.2의 겔 함량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25℃에서 측정한다 (문헌 [M. Hoffmann, H. Kroemer, R. Kuhn, Polymeranalytik I und II, Georg Thieme-Verlag, Stuttgart 1977)].
평균 입자 크기 d50은 그 초과 및 미만에 각 경우 입자의 50 중량%가 있는 직경이다. 이는 초원심분리기 측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문헌 [W. Scholtan, H. Lange, Kolloid-Z. und Z. f. Polymere, 250 (1972), 782-796]).
성분 C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유리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가 바람직하게는 낮은 붕규산염 유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중공 유리 비드는 알칼리-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산화나트륨)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이고,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의 함량이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이고, 산화붕소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 바 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 유리 비드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g/cm3,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7 g/cm3, 특히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65 g/cm3이고, 중간 입자 직경 (d50)은 1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μm이다.
특히, 10 내지 200 MPa,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 MPa의 높은 압축 강도에 의해 구별되는 중공 유리 비드가 바람직하다. 이 압축 강도는 액체 컬럼 내의 지정된 압력에 노출될 때 비드의 80% 이상이 손상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등방압에 관한 강도이다.
중합체와의 더 양호한 상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유리 비드를 표면-처리, 예를 들어, 실란화할 수 있다.
성분 D
본 발명에 따른 의미에서 인-함유 방염제 (D)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아민 및 포스파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 경우 하나 또는 다양한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몇몇의 성분들의 혼합물을 또한 방염제로서 응용할 수 있다. 본원에 특히 언급하지 않은 다른 할로겐-무함유 인 화합물도 또한 그 자체로 또는 다른 할로겐-무함유 인 화합물과 임의의 혼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및 올리고머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IV 의 인 화합물이다.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 알킬, 또는 C5 내지 C6 시클로알킬, C6 내지 C20 아릴 또는 C7 내지 C12 아랄킬을 나타내며, 이들은 각각 임의로는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 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으로 치환되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 내지 30을 나타내고,
X는 OH-치환될 수 있고 8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는, 2개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잔기, 또는 6개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잔기를 나타낸다.
R1, R2,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페닐-C1-C4-알킬을 의미한다. 방향족 기 R1, R2, R3 및 R4는 또한 할로 겐기 및/또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 및/또는 C1 내지 C4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잔기는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및 이들의 상응하는 브롬화 및 염소화 유도체이다.
화학식 IV의 X는 바람직하게는 6개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잔기를 나타낸다. 상기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디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식 IV의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일 수 있고; n은 바람직하게는 1이다.
q는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특히 0.5 내지 6,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의 값을 의미한다.
X는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5
또는 이들의 염소화 또는 브롬화 유도체를 나타내고; 특히, X는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또는 디페닐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X는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다.
다양한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D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IV의 인 화합물은, 특히,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옥틸 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브리지된(bridged) 디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A-브리지된 디포스페이트이다.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 화학식 IV의 올리고머 인산 에스테르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IVa에 따른 비스페놀-A-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가 성분 D로서 매우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6
성분 D에 따른 인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예를 들어, EP-A 0 363 608호, EP-A 0 640 655호 참조) 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18, p 301 ff. 1979];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12/1, p 43]; 문헌 [Beilstein, Vol. 6, p 177]).
다양한 인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할 경우, 및 올리고머 인 화합물의 경우, 상기 q-값은 평균 q-값이다. 평균 q-값은 적합한 방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G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 측정한 인 화합물의 조성 (분자량 분포)에 의해, 및 그로부터 계산한 q의 평균 값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WO 00/00541호 및 WO 01/1810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포스포네이트 아민 및 포스파젠은 방염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방염제는 그 자체로 또는 서로와의 임의의 혼합물로 또는 다른 방염제와의 혼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성분 E
성분 E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포함한다.
비닐 (공)중합체 E.1으로서 비닐 방향족,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가 적합하다.
E.1.1 5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및/또는 고리-치환된 비닐 방향족,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또는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E.1.2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내지 40 중 량부의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컨대 말레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 말레이미드
로부터 형성된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하다.
비닐 (공)중합체 E.1은 수지성, 열가소성이고 고무-무함유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공중합체는 E.1.1 스티렌 및 E.1.2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형성된다.
E.1에 따른 (공)중합체는 공지되어 있고 라디칼 중합에 의해, 특히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 Mw (광 산란에 의해 또는 침강에 의해 확인한 중량 평균)은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00,000이다.
성분 E.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컨대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지방족 디올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상기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해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테레프탈산 잔기 및 디올 성분에 대해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의 에틸렌-글리콜 잔기 및/또는 부탄디올-1,4 잔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잔기 이외에, 2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8개 내지 14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다른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4개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잔기,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석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글리콜 잔기 또는 부탄디올-1,4 잔기 이외에, 2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3개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개 내지 21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프로판디올-1,3, 2-에틸프로판디올-1,3,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디올-1,5, 헥산디올-1,6, 시클로헥산디메탄올-1,4, 3-에틸펜탄디올-2,4, 2-메틸펜탄디올-2,4, 2,2,4-트리메틸펜탄디올-1,3, 2-에틸헥산디올-1,3, 2,2-디에틸프로판디올-1,3, 헥산디올-2,5, 1,4-디(α-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A-2 715 932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1 900 270호 및 US-PS 3,692,744호에 따라, 비교적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코올 또는 3가 또는 4가 카르복실산의 혼입에 의해 분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다.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디올-1,4로부터 단독으로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은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50 중량%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 점도는,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에서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 (1:1 중량부) 중에 측정하여, 일반적으로 0.4 dl/g 내지 1.5 dl/g, 바람직하게는 0.5 dl/g 내지 1.2 dl/g이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Kunststoff-Handbuch, Volume VIII, p 695 ff., Carl-Hanser-Verlag, Munich 1973] 참조).
추가 부가 물질 F
조성물은 추가 통상적인 중합체 첨가제 (성분 F), 예컨대 난연상승제, 적하방지제 (예를 들어,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 실리콘 및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물질 부류의 화합물), 윤활제 및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기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 블랙, 탄소 섬유, 금속 섬유, 탄소 나노튜브 및 유기 대전방지제, 예컨대 폴리알킬렌 에테르, 알 킬 설포네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함유 중합체) 및 염료 및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성형 화합물 및 성형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를 혼합하고 내부 혼련기, 압출기 및 2축 스크류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에서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배합 및 용융-압출하여 제조한다.
개별 구성요소의 혼합은 공지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체적으로 둘 다 대략 20℃ (실온) 및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성형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임의의 유형의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출 성형, 압출 및 취입-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공의 추가 형태는 미리 제조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열형성(thermoforming)에 의한 성형품의 제조이다.
이러한 성형품의 예는 가전, 예컨대 주서(juicer), 커피 머신, 믹서; 사무용 기계, 예컨대 모니터, 평판스크린, 노트북, 프린터, 복사기; 건축 산업용 패널, 파이프, 전기-설치 도관, 창문, 문 및 다른 프로파일링된 구획 (내부 마감 및 외부 적용) 및 전기 및 전자 성분, 예컨대 스위치, 플러그 및 소켓 및 범용 차량, 특히 자동차 분야를 위한 차체 성분 또는 내부 성분을 위한, 임의의 유형의 필름, 프로파일링된 구획, 하우징 부품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예를 들어, 또한 하기 성형품 또는 성 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열차, 선박, 항공기, 버스 및 다른 자동차용 내부-마감 성분, 소형 변압기를 함유하는 전기 기구의 하우징, 정보 처리 및 통신 장치용 하우징, 의료 기구의 하우징 및 자켓팅(jacketing), 마사지 장비 및 그의 하우징, 어린이용 장난감 차, 평면 벽 요소, 안전 장치용 하우징, 단열 선적 용기, 위생 장비 및 목욕 장비용 성형물, 통풍관 개구용 덮개 격자 및 원예 도구용 하우징.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성분 A1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27,500 g/몰 (GPC로 측정)인 비스페놀 A 기재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2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25,000 g/몰 (GPC로 측정)인 비스페놀 A 기재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B1
미립자 방식으로 가교된 57 중량% (ABS 중합체에 대해)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중간 입자 직경 d50 = 0.35 μm)의 존재하에 27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73 중량%의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43 중량% (ABS 중합체에 대해)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중합체.
성분 C1
중공 유리 비드는 저-알칼리 붕규산염 유리, 즉 5.5 중량%의 Na2O, 11.5 중량%의 CaO 및 4 중량%의 B2O3로 이루어진다. 중공 유리 비드는 0.6 g/cm3의 밀도 및 30 μm의 평균 직경을 나타낸다. 중공 유리 비드의 등방 압축 강도는 124 MPa이다.
성분 C2
솔리드 유리 비드 (비트로코 엔터프라이즈스(VitroCo Enterprises;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빈 소재)에 의해 제작된 비트로라이트(Vitrolite) 20)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철의 비결정질 실리케이트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지고 12 μm의 평균 직경 및 2.4 g/cm3의 밀도를 가진다.
성분 C3
MgO 함량이 32 중량%, SiO2 함량이 61 중량% 및 Al2O3 함량이 0.3 중량%인 루체나크 나인트슈 미네랄베르케 게엠베하(Luzenac Naintsch Mineralwerke GmbH)에 의해 제작된 활석, 루체나크(Luzenac)® A3C.
성분 D
비스페놀-A-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 (레오포스(Reofoss) BAPP)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7
성분 E1
77 중량%의 스티렌 및 23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 Mw이 130 kg/몰 (GPC로 측정)인, 벌크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성분 E2
72 중량%의 스티렌 및 28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 Mw이 140 kg/몰 (GPC로 측정)인, 벌크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성분 F
F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CFP 6000 N, 듀폰(Du Pont)
F2: 윤활제/이형제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F3: 포스파이트 안정화제, 이르가녹스(Irganox)® B 900,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ity Chemicals)
성형 화합물의 제조 및 시험
2축-스크류 압출기 (ZSK-25) (베르너 운트 플라이데러(Werner und Pfleiderer))에서 표 1에 열거된 공급 물질을 260℃의 기계 온도에서 225 rpm의 회전 속도 및 20 kg/h의 처리량으로 배합하고 과립화하였다. 완성된 과립을 사출-성 형 기계에서 가공하여 상응하는 시험 견본을 수득하였다 (용융 온도 240℃, 실시예 3 내지 5, 및 260℃, 실시예 1 및 2, 도구 온도 80℃, 유동-선단 속도(flow-front velocity) 240 mm/s).
시험 견본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하기 방법을 적용하였다:
가공으로 인한 수축은 치수가 150 mm x 105 mm x 3 mm인 수축 시트에 대해서도 ISO 표준 294-4의 모델에 따라 측정하였다.
유동성은 DIN EN ISO 1133에 따라 용융 부피-유속 (MVR)으로서 및 임의로는 ISO 11443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용융 점도).
인열 강도는 DIN EN ISO 527에 따라 측정하였다.
강성은 DIN EN ISO 527에 따라 인장 탄성 모듈러스로서 측정하였다.
내긁힘성은 ASTM D-3363에 따라 연필 경도로서 측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경도 3H, 2H, H, F, HB, B, 2B 및 3B의 연필들 (여기서, 경도 감소)을 정의된 압력으로 표면 위에 긁었다. 연필 경도는 표면 상에 식별할 수 있는 긁힘이 없는 가장 단단한 연필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8
표 1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비교예 2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가공으로 인한 더 적은 수축, 개선된 유동성 및 더 높은 강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명백하다.
Figure 112009030739634-PCT00009
표 2의 방염성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만이 본 발명에 따른 조건을 만족시켰다. 즉, 유사한 내긁힘성 (참조예 4와 비교하여)을 가지면서, 가공으로 인한 더 적은 수축, 개선된 유동성 및 더 높은 강성이 달성되었다. 충전제로서 활석을 사용한 참조예 5는 높은 내긁힘성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Claims (11)

  1. A) 10 내지 9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B) 0.5 내지 30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래프트 중합체,
    C) 0.1 내지 50 중량부의 중공(hollow) 유리 비드,
    D) 0 내지 20 중량부의 인-함유 방염제,
    E) 0 내지 4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및
    F) 0 내지 1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부가 물질
    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 유리 비드가 붕규산염 유리로 이루어진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공 유리 비드가 0.2 내지 0.8 g/cm3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에 따른 충전제가 1 μm 내지 20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강도가 10 내지 200 MPa인 중공 유리 비드가 성분 C로서 이용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V의 인-함유 방염제 (D)를 함유하는 조성물.
    <화학식 IV>
    Figure 112009030739634-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 알킬, 또는 C5 내지 C6 시클로알킬, C6 내지 C20 아릴 또는 C7 내지 C12 아랄킬을 나타내며, 이들은 각각 임의로는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 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으로 치환되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 내지 30을 나타내고,
    X는 OH-치환될 수 있고 8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는, 2개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잔기, 또는 6개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잔기를 나타낸다.
  7.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X가 비스페놀 A를 의미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로서 난연상승제, 적하방지제, 윤활제 및 이형제, 기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가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9.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자동차, 열차, 항공기 또는 배의 부품 또는 소형 변압기를 함유하는 전기 기구의 하우징, 정보 처리 및 통신 장치용 하우징, 의료 기구의 하우징 및 자켓팅(jacketing), 마사지 장비 및 그의 하우징, 어린이용 장난감 차, 평면 벽 요소, 안전 장치용 하우징, 단열 선적 용기, 위생 장비 및 목욕 장비용 성형물, 통풍관 개구용 덮개 격자 또는 원예 도구용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097010487A 2006-11-24 2007-11-10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20090080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5478A DE102006055478A1 (de) 2006-11-24 2006-11-24 Schlagzähmodifizierte gefüll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DE102006055478.7 2006-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997A true KR20090080997A (ko) 2009-07-27

Family

ID=3898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487A KR20090080997A (ko) 2006-11-24 2007-11-10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132617A1 (ko)
EP (1) EP2097478A1 (ko)
JP (1) JP2010510360A (ko)
KR (1) KR20090080997A (ko)
CN (1) CN101541873A (ko)
BR (1) BRPI0718946A2 (ko)
CA (1) CA2670239A1 (ko)
DE (1) DE102006055478A1 (ko)
MX (1) MX2009005367A (ko)
RU (1) RU2009123831A (ko)
TW (1) TW200846414A (ko)
WO (1) WO2008061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0227A (zh) * 2011-04-28 2011-08-03 迈士通集团有限公司 阻燃抗冲击abs复合材料的制造方法
DE102011078719A1 (de) * 2011-07-06 2013-01-10 Evonik Degussa Gmbh Pulver enthaltend mit Polymer beschichtete Partikel
CN103717659B (zh) * 2011-08-08 2017-06-23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经填充的聚合物组合物和可由其得到的共挤出板
JP2014136750A (ja) * 2013-01-17 2014-07-28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10017640B2 (en) * 2013-03-08 2018-07-10 Covestro Llc Halogen free flame retarded polycarbonate
US10539715B2 (en) 2013-03-11 2020-01-21 Covestro Ll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infrared reflective additives
CN104672881A (zh) * 2015-02-27 2015-06-03 江苏雨燕模业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耐候塑胶材料及灯罩生产工艺
KR20180089455A (ko) 2015-12-03 2018-08-08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내열성,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EP3387068B1 (en) 2015-12-09 2020-10-28 Covestro LLC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low gloss and high impact strength
TWI752058B (zh) * 2016-07-22 2022-01-11 德商科思創德意志股份有限公司 具良好熱穩定性之抗刮痕聚碳酸酯組成物
US20200270395A1 (en) * 2017-10-30 2020-08-27 Eastman Chemical Company Low density void containing films
EP3845602B1 (en) * 2019-12-31 2022-11-09 SHPP Global Technologies B.V. Electrically conductive polycarbonate-siloxane compositions
CN115427623A (zh) * 2020-04-24 2022-12-02 东洋纺株式会社 三维网状结构体
CN114571699B (zh) * 2020-11-30 2024-02-0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耐压高密度聚乙烯保温油管内衬及其制备方法
CN114773821A (zh) * 2022-03-31 2022-07-22 郑州圣莱特空心微珠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透光高雾度灯罩的配方和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3575A (en) * 1979-07-25 1981-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Fill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US4391646A (en) * 1982-02-25 1983-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lass bubbles of increased collapse strength
US4778502A (en) * 1984-06-21 1988-10-18 Saint-Gobain Vitrage Production of glass microspheres
US4579910A (en) * 1985-01-02 1986-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JPS61236859A (ja) * 1985-04-12 1986-10-22 Polyplastics Co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091461A (en) * 1989-04-07 1992-02-25 The Dow Chemical Company Filled polymeric blend
DE4235642A1 (de) * 1992-10-22 1994-04-28 Bayer Ag Flammwidrige Formmassen
JPH06345953A (ja) * 1993-06-10 1994-12-20 Asahi Chem Ind Co Ltd 軽量強化樹脂組成物
NZ274610A (en) * 1993-09-08 1996-10-28 Pq Corp Hollow borosilicate microspheres and method of making
JPH08193151A (ja) * 1995-01-18 1996-07-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GB9719929D0 (en) * 1997-09-18 1997-11-19 Kobe Steel Europ Ltd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styrene(or acrylate)polymers,and/or copolymers and/or graft polymer/copolymer mixtures
EP1172341A4 (en) * 1999-06-30 2003-06-04 Asahi Glass Co Ltd FINE HOLLOW GLASS SPHER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4971544B2 (ja) * 2001-01-10 2012-07-11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DE10152318A1 (de) * 2001-10-26 2003-05-08 Bayer Ag Schlagzähmodifizierte flammwidrig ausgerüstete Polycarbonat-Formmassen
US20050085589A1 (en) * 2003-10-20 2005-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Modified weatherable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DE102007061762A1 (de) * 2007-12-20 2009-06-25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DE102007061758A1 (de) * 2007-12-20 2009-06-25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3831A (ru) 2010-12-27
EP2097478A1 (de) 2009-09-09
WO2008061644A1 (de) 2008-05-29
CN101541873A (zh) 2009-09-23
US20080132617A1 (en) 2008-06-05
CA2670239A1 (en) 2008-05-29
MX2009005367A (es) 2009-06-05
DE102006055478A1 (de) 2008-05-29
TW200846414A (en) 2008-12-01
JP2010510360A (ja) 2010-04-02
BRPI0718946A2 (pt)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0997A (ko)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1463272B1 (ko) 개질된 탄성을 가지는 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A2435597C (en) Flame-resistant, mineral-reinforc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a high flow line strength
KR101719827B1 (ko) 방염 충격 강도 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JP5128480B2 (ja) 熱可塑性成形組成物およびその熱成形物品
MX2012006724A (es) Composiciones de moldeo de policarbonato resistentes a impactos y resistentes a rayado que tienen buenas propiedades mecánicas ii.
RU2504563C2 (ru) Огнестой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ударной прочностью из полиалкилентерефталата/поликарбоната
US8318857B2 (en)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1851807B1 (ko)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방염성의 충격 개질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
MXPA04009197A (es) Composicion de policarbonato con resistencia modificada al impacto, que contiene talco calcinado.
KR20120017028A (ko) 균일한 표면 광택을 갖는 금속화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내충격 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A2696245A1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molding materials
KR20100098403A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US20150329719A1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moulding materials iv
US8901216B2 (en) Impact-modified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elongation at break
KR20070122496A (ko) 개질된 탄성율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관련된제조 방법, 및 그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물
KR101773637B1 (ko) 우수한 기계적 특성 i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
KR20100096186A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