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651A -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651A
KR20090080651A KR1020080006533A KR20080006533A KR20090080651A KR 20090080651 A KR20090080651 A KR 20090080651A KR 1020080006533 A KR1020080006533 A KR 1020080006533A KR 20080006533 A KR20080006533 A KR 20080006533A KR 20090080651 A KR20090080651 A KR 2009008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panel
sealing plate
panel
adhesiv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651A/ko
Publication of KR2009008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인슐레이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사이에 접착 설치되는 트리플렉스와,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로 하여 마련된 공간부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에 설치되는 밀폐판과, 밀폐판의 상면에 접착제의 도포 후 공간부에 설치되는 탑 브릿지 패널을 포함하며, 밀폐판은,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하여,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간의 밀폐를 위하여 종래에 에폭시 글루로 접착되는 트리플렉스 대신에 열변형에 강한 멤브레인 형태의 밀폐판을 설치함으로써, 금속재의 밀폐판 자체가 온도, 습도, 오염 등 작업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 필요 없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력이 강해 액화천연가스의 적하 시 발생하는 열충격과 선박의 운동에 기인한 물리적 충격에 강해 밀폐력이 한층 강화된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80006533
인슐레이션 패널, 트리플렉스, 에폭시 글루, 밀폐

Description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AIRTIGHT STRUCTURE OF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에폭시 글루를 사용하여 기밀 유지 목적으로 부착되는 트리플렉스 대신에 멤브레인 구조를 가지는 밀폐판으로 하여 용이한 설치는 물론, 밀폐력이 우수한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영하 162℃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의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방안이 검토되었으며, 그 결과물로서 액화천연가스의 해상수송을 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나타났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는 초저온 상태로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 이를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이러한 화물창은 대기압 보다 높은 중기압과 영하 160℃의 비등온도를 갖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기 위해,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35%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열응력 및 열수축에 대응할 수 있는 설계와,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인슐레이션 구조의 설치 등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는 일반적으로 선체(1) 내측에 스터드 볼트(14: stud bolt)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0)과,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0)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하여 트리플렉스(26)를 매개로 부착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20)과, 인슐레이션 패널의 배열 설치시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0) 사이에서 형성되는 대략 30mm정도의 빈 갭(40)에 채워지는 글라스 울(glass wool)재질의 플랫 조인트(18)가 설치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20)로 하여 형성된 공간부(21)를 통하여 노출된 트리플렉스(26)의 상부 표면상에 에폭시 글루(epoxy glue:24)라는 접착제에 의해 다시 트리플렉스(26: supple triplex)를 부착시키고, 이 트리플렉스(26)의 상면에 다시 에폭시 글루(24)를 통하여 탑 브릿지 패널(28)을 부착시키며,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20)과 탑 브리지 패널의 상부에서 코러게이션 멤브레인(30)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트리플렉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에폭시 글루는 경화제를 현장에서 혼합한 후, 트리플렉스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이때 도포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을 초과하면 경화제가 굳어져서 접착력이 약해지므로 주의해야 하며, 더욱이 트리플렉스의 확실한 접착을 위하여 압력판을 이용하여 대략 12시간 정도 균일하게 눌러주어 부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액상 에폭시 글루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트리플렉스 설치구조는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지만 매우 세밀한 접착 과정과 조건이 요구된다. 즉, 작업성이 접착력에 민감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액화천연가스(LNG)를 탱크에 적하 하였을 때는 열충격과 선체에 실려진 선박의 운동 상태에 의하여 약하게 접착되어진 부분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접착 시 온도나 습도 조건이 적합하지 않고 작업 중 접착제나 인슐레이션 패널이 오염되었을 때에는 액화천연가스 적하 후 열적,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방벽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간의 밀폐를 위하여 종래에 에폭시 글루로 접착되는 트리플렉스 대신에 열변형에 강한 멤브레인 형태의 밀폐판을 설치함으로써, 금속재의 밀폐판 자체가 온도, 습도, 오염 등 작업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 필요 없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력이 강해 액화천연가스의 적하 시 발생하는 열충격과 선박의 운동에 기인한 물리적 충격에 강해 밀폐력이 한층 강화된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인슐레이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의 사이에 접착 설치되는 트리플렉스와,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로 하여 마련된 공간부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에 설치되는 밀폐판과, 밀폐판의 상면에 접착제의 도포 후 공간부에 설치되는 탑 브릿지 패널을 포함하며, 밀폐판은,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하여,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인슐레이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사이에 접착 설치되는 패널박막과,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로 하여 마련된 공간부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에 설치되는 밀폐판과, 밀폐판의 상면에 접착제의 도포 후 공간부에 설치되는 탑 브릿지 패널을 포함하며, 밀폐판은,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하여,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따르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간의 밀폐를 위하여 종래에 에폭시 글루로 접착되는 트리플렉스 대신에 열변형에 강한 멤브레인 형태의 밀폐판을 설치함으로써, 금속재의 밀폐판 자체가 온도, 습도, 오염 등 작업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 필요 없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력이 강해 액화천연가스의 적하 시 발생하는 열충격과 선박의 운동에 기인 한 물리적 충격에 강해 밀폐력이 한층 강화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이 까다롭고 선박의 열적,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는 트리플렉스 대신에 멤브레인 형태로 금속재의 밀폐판이 설치됨으로써, 작업 시간의 단축은 물론, 밀폐력이 우수한 인슐레이션 패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밀폐구조는, 선체(100) 내측에 스터드 볼트(102: stud bolt)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착물에 의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이 부착 설치되며, 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 하여 트리플렉스(116)를 매개로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20)이 부착 설치된다.
여기서 인슐레이션 패널의 배열 설치시 마주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 사이에서는 대략 30mm정도의 빈 갭(112)이 형성되며, 이 갭(112)에 글라스 울(glass wool)재질의 플랫 조인트(114)가 채워진다. 그리고 갭(112)의 상측으로는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로 하여 공간부(122)가 형성되며, 공간부(122)에는 밀폐구조가 설치된다.
제 1 실시예의 밀폐구조는,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의 공간부(122)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 사이에 형성된 갭(112)에 밀폐판(140)이 설치된다.
여기서 밀폐판(140)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판상이 굴곡진 주름 형태를 가지면서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142)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밀폐판(140)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에 접착된 트리플렉스(116)의 상면으로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글루의 접착제(160)로 하여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밀폐판(140)의 상면으로는 표면 상에 다시 에폭시 글루라는 접착제(160)를 도포한 후, 탑 브릿지 패널(170)을 설치하며, 탑 브리지 패널(170)의 상부로는 미도시된 코러게이션 멤브레인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도 3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밀폐판(140)과 하부 인슐레이션 패 널(110)의 트리플렉스(116)의 사이에 막음중간부재(130)를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
막음중간부재(130)는 밀폐판(140)과의 용접시에 용접열에 의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이 열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밀폐판(140)과 트리플렉스(116)가 서로간에 접착성이 좋지 않거나 열변형 특성이 상이한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밀폐판(140)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이며, 막음중간부재(130)는 플라이우드 또는 접착이 용이한 재료로 하여 판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밀폐판(140)과 동일 재질이고, 밀폐판(140)과 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막음중간부재(130)는 트리플렉스(116)상에 부착되고, 밀폐판(140)과의 접합은 접착제를 통한 부착 또는 밀폐판(140)의 두께 조절을 통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조는, 선체(100) 내측에 스터드 볼트(102: stud bolt)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착물에 의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이 부착 설치되며, 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하여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패널박막(180)을 매개로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이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의 공간부(122)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 사이에 형성된 갭(112)에 밀폐판(140)이 설치된다.
여기서 패널박막(180)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의 금속성 재질 또는 복합재질이면 가능하고, 금속성 재질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일부면이 굴곡진 주름 형태로 제작된다.
즉, 패널박막(180)의 주름부는 공간부(122)를 통하여 노출된 일부면에만 주름져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하였다.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에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글루 등에 의하여 패널박막(180)이 부착되고, 패널박막(180)의 상면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조를 가지는 밀폐판(140)이 접합된다.
밀폐판(140)과 패널박막(180)의 접합은 패널박막(180)이 복합재료일 경우 접착제를 통한 부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널박막(180)이 금속성일 경우에는 밀폐판(140)의 두께 조절을 통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판(140)의 상면으로는 표면 상에 다시 에폭시 글루라는 접착제(160)를 도포한 후, 탑 브릿지 패널(170)을 설치하며, 탑 브리지 패널(170)의 상부로는 미도시된 코러게이션 멤브레인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100) 내측에 스터드 볼트(102: stud bolt)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을 배열 설치하고, 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으로는 트리플렉스(116)를 매개로 하여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이 부착 설치된다.
이때, 배열되어 마주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사이에는 대략 30mm정도의 빈 갭(112)이 형성되며, 이 갭(112)에는 플랫 조인트(114)가 설치된다. 그 리고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측에서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에도 갭(112)보다는 큰 공간이 마련되며, 이 공간부(122)에 밀폐판(140)이 설치되어 기밀 유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밀폐판(140)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면에 접착된 트리플렉스(116)의 상면으로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글루의 접착제(160)로 하여 부착 설치되고, 밀폐판(140)의 상면으로는 표면 상에 다시 에폭시 글루라는 접착제(160)를 도포한 후, 탑 브릿지 패널(170)을 부착하고, 탑 브릿지 패널(170) 상에는 코러게이션 멤브레인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주름진 금속성의 밀폐판(140) 사용으로 온도, 습도, 오염 등 작업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면서도 한 층 강화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시공이 용이하고 동시에 주름지고 돌출부(142)가 형성된 밀폐판(140)을 통하여 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밀폐판(140)과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트리플렉스(116)의 사이에 용접시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이 열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판(140)과 트리플렉스(116)가 서로간에 접착성이 좋지 않거나 열변형 특성이 상이한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막음중간부재(130)가 접착제로 부착 설치되며, 막음중간부재(130)의 상면으로 밀폐판(140)이 접착제(160)를 통한 부착 또는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하부 인슐레이션 패 널(110)의 상면으로 패널박막(180)을 매개로 하여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이 부착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120)의 공간부(122)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110) 사이에 형성된 갭(112)에 밀폐판(140)을 위치시키되, 밀폐판(140)은, 패널박막(180)의 상면으로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글루의 접착제(160)로 하여 부착 설치되거나 용접으로 설치되고, 밀폐판(140)의 상면으로는 표면 상에 다시 에폭시 글루라는 접착제(160)를 도포한 후, 탑 브릿지 패널(170)과 코러게이션 멤브레인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밀폐판과 막음중간부재, 패널박막을 통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면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인슐레이션 패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체 102 : 스터드 볼트
110 :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112 : 갭
114 : 플랫 조인트 116 : 트리플렉스
120 :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122 : 공간부
130 : 막음중간부재 140 : 밀폐판
142 : 돌출부 160 : 접착제
170 : 탑 브릿지 패널 180 : 패널박막

Claims (9)

  1.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사이에 접착 설치되는 트리플렉스와,
    마주하는 상기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로 하여 마련된 공간부와 상기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에 설치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상면에 접착제의 도포 후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탑 브릿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판은,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하여,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열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진 주름 형태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상기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면에 접착된 상기 트리플렉스 상에 접착제로 하여 부착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막음중간부재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과 상기 막음중간부재의 접합은 접착제를 통한 부착 또는 상기 밀폐판의 두께 조절을 통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6.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사이에 접착 설치되는 패널박막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로 하여 마련된 공간부와 상기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에 설치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상면에 접착제의 도포 후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탑 브릿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판은,
    멤브레인의 시트 형태로 하여, 중앙에 하방으로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온도 강하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열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진 주름 형태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박막은, 열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판을 사이에 두는 일부면이 굴곡진 주름 형태인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과 상기 패널박막의 접합은 접착제를 통한 부착 또는 상기 밀폐판의 두께 조절을 통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KR1020080006533A 2008-01-22 2008-01-22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KR20090080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33A KR20090080651A (ko) 2008-01-22 2008-01-22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33A KR20090080651A (ko) 2008-01-22 2008-01-22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51A true KR20090080651A (ko) 2009-07-27

Family

ID=4129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33A KR20090080651A (ko) 2008-01-22 2008-01-22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65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30B1 (ko) * 2009-12-01 2012-01-31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101224930B1 (ko) * 2010-12-0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
KR101225168B1 (ko) * 2011-04-25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24914B1 (ko) * 2010-11-11 2013-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물
KR101290800B1 (ko) * 2011-07-06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337636B1 (ko) * 2011-12-16 2013-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2차 방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5906B1 (ko) * 2013-04-24 2014-07-09 한국과학기술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접합 구조물
KR20190142026A (ko) * 2018-06-15 2019-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 화물 저장 탱크용 단열 패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30B1 (ko) * 2009-12-01 2012-01-31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101224914B1 (ko) * 2010-11-11 2013-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물
KR101224930B1 (ko) * 2010-12-0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
KR101225168B1 (ko) * 2011-04-25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90800B1 (ko) * 2011-07-06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337636B1 (ko) * 2011-12-16 2013-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2차 방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5906B1 (ko) * 2013-04-24 2014-07-09 한국과학기술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접합 구조물
KR20190142026A (ko) * 2018-06-15 2019-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 화물 저장 탱크용 단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0651A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RU245739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оляции грузового танка танкера для перевозки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459139C2 (ru) Угловая панель грузового танка танкера для перевозки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KR101399843B1 (ko) 화물창 방열 시스템
CN106516017B (zh) 液化天然气船b型液货舱的绝热系统及其构造方法
US20130206053A1 (en) Cargo Hold Of A Vessel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1215522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벽용 단열구조물
CN104443284A (zh) 液化天然气船b型独立液货舱绝热系统及其构造方法
CN104802937A (zh) 液化天然气船独立液货舱绝热层系统及其构建方法
JP2015501756A (ja)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のポンプタワー設置構造体及びその製作方法
KR20120136329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923311B1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CN104443282B (zh) B型独立lng液货舱绝热层安装固定机构及固定方法
KR2012013633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441261Y1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안전장치
KR20150140467A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20140044584A (ko)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단열 구조
KR101177809B1 (ko) Lng 운반선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구조
KR100853178B1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가스 누출 방지구조
WO2017154445A1 (ja) 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断熱容器
KR101444370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194297B1 (ko)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KR100941788B1 (ko) 인슐레이션 패널 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20090112791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434146B1 (ko) 단열방벽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