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297B1 -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 Google Patents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297B1
KR101194297B1 KR1020100058390A KR20100058390A KR101194297B1 KR 101194297 B1 KR101194297 B1 KR 101194297B1 KR 1020100058390 A KR1020100058390 A KR 1020100058390A KR 20100058390 A KR20100058390 A KR 20100058390A KR 101194297 B1 KR101194297 B1 KR 10119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cryogenic liquefied
prevention film
leak prevention
meta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483A (ko
Inventor
김종호
김승훈
김종학
박성호
방창선
손민영
전상언
홍정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29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은 금속박막과, 상기 금속박막의 일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형성된 제 1 보강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Leak-proof membrane for cryogenic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유체 등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천연 가스를 액화시킨 것으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한다. 액화천연가스는 공해 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지만, 비등점이 영하 162도로 매우 낮아 극저온의 상태에서 운송이나 저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액화천연가스와 같이 비등점이 매우 낮은 액화가스로는 액체질소, 액체산소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비등점이 매우 낮은 극저온 액화가스들은 극저온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운송 또는 저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특수하게 단열 처리된 용기가 사용된다.
이때, 단열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보냉재(保冷材) 등은 외부에서의 열유입을 방지하는 단열(斷熱) 기능을 할 뿐, 내부에 저장되는 극저온 액체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밀(氣密) 기능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극저온 액체가스를 운송 또는 저장하는 용기에는 극저온 액체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출방지막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때, 누출방지막은 극저온 액체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성능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누출방지막은 접착성이 우수하여 접착불량에 의한 유체누출이 없어야 한다. 덧붙여, 누출방지막은 접착작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하고 접착작업이 용이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접착성이 우수하여 접착불량에 의한 누출을 방지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박막과, 상기 금속박막의 일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형성된 제 1 보강층을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은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보강섬유에 접착제가 함침되어 형성된 제 1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층은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은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형성된 제 2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은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의 일측에 적층되며, 보강섬유로 형성된 섬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은 상기 섬유층에 접착제가 함침되어 형성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박막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및 니켈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비발포형(非發泡形)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레우레탄계 수지는 연질(軟質)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접착작업이 용이하며,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성이 우수하여 접착불량에 의한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금속박막(110)을 포함한다. 금속박막(110)은 기밀(氣密) 기능을 구비하여 극저온 액화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체질소(Liquid nitrogen) 및 액화산소(Liquid oxyg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박막(110)은 온도 변화에 대해 변형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및 니켈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금속박막(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1 보강층(120)을 포함한다. 제 1 보강층(122)은 금속박막(110)에 접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금속박막(1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 1 보강층(120)은 폴리우레탄계 수지(121)가 함침된 보강섬유(122)로 형성된다. 이때, 보강섬유(122)는 아라미드(Aramid)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계 수지(121)는 비발포형(非發泡形)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보강층(1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유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수지(121)는 연질(軟質)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유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 1 보강층(120)은 표면에는 다수개의 미세한 돌기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보강층(120)의 표면적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강층(120)을 피착체(被着體, 미도시)에 접착시 접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금속박막(110)의 일측에만 제 1 보강층(120)이 적층된다. 또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제 1 보강층(120)에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수지(121)가 사용된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유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롤(Roll) 형태로 말아서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접착작업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금속박막(110)의 일측에만 제 1 보강층(120)이 적층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액화천연가스 등을 운송하는 선박에 사용되어, 선박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박막(110)의 일측에만 제 1 보강층(120)을 적층함으로써,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액화천연가스 등을 운송하는 선박에 사용되어, 화물창의 경량화를 통해 선박의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121)는 극저온에서 자체 응집력과 접착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금속박막(110) 측이 피착체(10)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피착체(10)는 보냉재(保冷材)와 같은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10)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먼저 피착체(10)에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접착제(20)로는 폴리우레탄계 글루(Glue) 및 에폭시계 글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착체(10)에 접착제(20)가 도포되면, 작업자는 도포된 접착제(20)에 보강섬유(30)를 설치한다. 이때, 보강섬유(30)로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보강섬유(30)의 설치 후 다시 접착제(20)를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섬유(30)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의 금속박막(110) 측을 피착체(10)에 접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100)은 접착제(20)의 내부에 보강섬유(30)를 설치하여 제 1 접착층(40)을 형성한다. 따라서 피착체(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 금속박막(11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200)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200)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200)은 금속박막(210) 및 금속박막(210)의 하측에 적층되는 제 1 보강층(220)을 포함한다. 금속박막(210) 및 제 1 보강층(220)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금속박막(110) 및 제 1 보강층(120)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200)은 제 1 보강층(220) 측이 피착체(1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 1 보강층(220)이 피착체(10)와 금속박막(210) 사이에 위치하여 피착제(1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이 금속박막(210)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별도로 보강섬유(30, 도 2참고)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피착체(10)는 보냉재(保冷材)와 같은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10)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20)는 폴리우레탄계 글루(Glue) 또는 에폭시계 글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은 금속박막(310)과, 금속박막(310)의 일측에 적층되는 제 1 보강층(320)을 포함한다. 금속박막(310)과 제 1 보강층(320)은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금속박막(110)과 제 1 보강층(120)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은 금속박막(310)의 타측에 적층되는 제 2 보강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은 금속박막(310)의 양측에 각각 제 1 보강층(320)과 제 2 보강층(330)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 2 보강층(330)은 폴리우레탄계 수지(331)가 함침된 보강섬유(332)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331) 및 보강섬유(332)는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폴리우레탄계 수지(121) 및 보강섬유(122)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은 극저온에서 자체 응집력과 접착물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수지(321, 331)가 사용된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는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수지(321, 331)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작업시 롤 형태로 말아서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300)의 접착은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금속박막(410)과, 금속박막(410)의 일측에 적층되는 제 1 보강층(420)을 포함한다. 금속박막(410)과 제 1 보강층(420)은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금속박막(410)과 제 1 보강층(420)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금속박막(410)의 타측에 적층되는 수지층(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지층(430)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비발포성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연질 폴리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한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수지층(430)에 적층되는 섬유층(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섬유층(440)은 보강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의 접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먼저 피착체(10)에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20)는 에폭시계 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글루를 포함할 수 있다. 피착체(10)에 접착제(20)가 도포되면, 작업자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의 섬유층(440) 측을 피착체(10)에 접착시킨다.
이때, 섬유층(440)에 접착제(20)가 함침되어 제 2 접착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섬유층(440)은 제 2 접착층(50)의 내부에서 상기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보강섬유(30)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접착시 별도로 보강섬유를 설치하지 않고도 그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섬유층(440)을 구비함으로써, 별도로 보강섬유를 설치하지 않고도 그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400)은 접착작업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110, 210, 310, 410 : 금속박막
120, 220, 320, 420 : 제 1 보강층
230: 제 2 보강층
330: 수지층
340: 섬유층

Claims (10)

  1. 금속박막과,
    상기 금속박막의 일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형성되되,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 제 1 보강층을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형성된 제 2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의 일측에 적층되며, 보강섬유로 형성된 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의 타측에 적층되며, 보강섬유에 접착제가 함침되어 형성된 제 1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에 접착제가 함침되어 형성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7. 청구항 1, 2, 3,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및 니켈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8. 청구항 1, 2, 3,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비발포형(非發泡形)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9. 청구항 1, 2, 3,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레우레탄계 수지는 연질(軟質)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10. 청구항 1, 2, 3,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KR1020100058390A 2010-06-21 2010-06-21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KR10119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90A KR101194297B1 (ko) 2010-06-21 2010-06-21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90A KR101194297B1 (ko) 2010-06-21 2010-06-21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83A KR20110138483A (ko) 2011-12-28
KR101194297B1 true KR101194297B1 (ko) 2012-10-24

Family

ID=4550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390A KR101194297B1 (ko) 2010-06-21 2010-06-21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33A1 (ko) * 2016-05-17 2017-11-23 주식회사 한국카본 보강재 재질 변경으로 피로저항 성능이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2차 가스배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33B1 (ko) * 2012-01-20 2013-06-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하이브리드 방열구조체
EP4144629A4 (en) * 2020-04-27 2024-05-22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 Co Ltd SECONDARY BARRIER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495A (ja) 2008-03-28 2009-10-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極低温流体輸送用可撓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495A (ja) 2008-03-28 2009-10-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極低温流体輸送用可撓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33A1 (ko) * 2016-05-17 2017-11-23 주식회사 한국카본 보강재 재질 변경으로 피로저항 성능이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2차 가스배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83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222B2 (en) Cargo hold of a vessel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142251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KR20130125548A (ko) 초저온 액체 저장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KR101194297B1 (ko) 극저온 액화가스 누출방지막
JP2015501756A (ja)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のポンプタワー設置構造体及びその製作方法
KR10120001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방벽 접합구조물
KR20090080651A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밀폐구조
KR20120136319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JP4751666B2 (ja) 障壁材およびメンブレン型液化天然ガスタンク用断熱性複合パネル
CN105923102B (zh) 用于超低温液化气体运输船用组合imo a型货物围护系统
KR101108630B1 (ko)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10145461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JP6589148B2 (ja) 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断熱容器
KR20110130637A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KR20120004258A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 시스템
CN205801419U (zh) 用于超低温液化气体运输船用组合imoa型货物围护系统
KR10130221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
KR20110133887A (ko)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20140052381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인슐레이션 판넬의 본딩 테스트용 적층체
KR100897661B1 (ko) 액화가스 저장 및 수송용 탱크의 단열구조
KR101924168B1 (ko) 선박용 극저온 탱크의 단열 구조재 및 그 선박용 극저온 탱크의 단열 구조재의 제조방법
KR101434146B1 (ko) 단열방벽 접합구조
KR102380744B1 (ko)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단열 구조체
KR102432445B1 (ko) 단열 패널
KR102432728B1 (ko) 단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