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599A -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599A
KR20090080599A KR1020080006454A KR20080006454A KR20090080599A KR 20090080599 A KR20090080599 A KR 20090080599A KR 1020080006454 A KR1020080006454 A KR 1020080006454A KR 20080006454 A KR20080006454 A KR 20080006454A KR 20090080599 A KR20090080599 A KR 2009008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consolidation
sensor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477B1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4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4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or back into the same magazin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는 카드 적재부, 컨베이어부 및 카드 이송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적재부 내에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고, 상기 카드 적재함 내에는 카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이송부는 상기 카드 적재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밀 롤러,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및 제 3 이송 롤러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압밀 롤러는 상기 압밀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밀 부재의 일단에는 피감지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부의 일측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상승을 감지하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와,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하강을 감지하는 회수 준비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권, 회수, 캡쳐, 승강식

Description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Apparatus for card dispensing and collecting}
본 발명은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카드들은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상기 발권 장치는 일반적으로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세부적으로 복 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카드들은 필요에 따라 회수가 요구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발권되는 요금 카드는 정산을 위해 반드시 회수가 요구된다. 이 밖에도 주차 카드 등의 각종 카드들이 각각의 회수 필요성에 의해 회수된다.
카드의 회수 과정은 카드 회수기(card collector)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회수기는 카드 주입부와 적재부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주입부를 통해 카드를 1매씩 주입받아 상기 적재부에 주입된 카드를 적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카드의 발권과 카드의 회수는 별개의 장치를 통해 수행되어 왔다. 즉, 카드의 발권은 카드 발권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카드의 회수는 카드 회수기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이와 같이 카드의 발권과 회수 과정이 별개의 장치에 의해 진행됨에 따라, 카드의 발권 및 회수가 모두 요구되는 경우 두 가지의 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에 의해 카드의 발권 및 회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카드 발권시 2장 이상의 카드가 겹쳐서 이송되는 중송 현상이 발생하거나 카드 회수시 카드가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슬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는 카드 적재부, 컨베이어부 및 카드 이송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적재부 내에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고, 상기 카드 적재함 내에는 카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이송부는 상기 카드 적재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밀 롤러,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및 제 3 이송 롤러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압밀 롤러는 상기 압밀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밀 부재의 일단에는 피감지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부의 일측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상승을 감지하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와,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하강을 감지하는 회수 준비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의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 기어와, 상기 승강 기어와 타이밍 벨트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압밀하는 역할을 하는 밀착 부재와, 상기 승강 기어의 기어 축 및 밀착 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수단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 및 밀착 부재 각각의 일측에는 제 1 스프링, 제 2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의 다른 일측은 각각 제 1 스프링 지지대, 제 2 스프링 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밀착 부재는 한 면(제 2 면)의 길이가 다른 한 면(제 1 면)의 길이보다 작은 직육면체 형상을 하여 고정 축에 의해 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축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밀착 부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 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 부재의 접촉면이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변경되면,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밀착 부재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압밀 롤러와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보조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각각은 대칭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각 쌍의 롤러의 접점과 상기 보조 이송 롤러의 하부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압밀 롤러의 하부면은 상기 보조 이송 롤러의 하부면이 위치하는 수평면 상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밀 롤러는 구동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밀 롤러의 구동축은 상기 카드 이송부의 프레임과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압밀 부재에 고정, 지지된 압밀 롤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밀 롤러의 구동축 상에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롤러가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의 상부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상승 방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드 적재부에 상기 카드 적재함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드 적재부에 상기 카드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양을 감지하는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카드 적재부의 하단에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컨베이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밀 부재의 일측에 상기 카드 적재함 내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카드 존재 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밀 롤러는 제 1 모터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제 2 모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압밀 롤러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가 모두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에 제 2 카드 인식센서와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사이에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후단에 제 5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카드 발권시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는 계속 동작되고 상기 제 1 모터의 동작은 정지되며, 카드 발권시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고, 카드 리더기에 의해 해당 카드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카드 발권시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된 상태에서, 카드 이송에 의해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카드가 상기 제 3 이송 롤러에 물린 상태로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의 하단에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부 이동이 가능한 캡쳐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불량 카드 수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카드 리더기에 의해 카드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의 결과, 해당 카드가 불량인 경우,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청구항 16의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청구항 22의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청구항 22의 캡쳐 가이드 부재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22의 불량 카드 수납부로 이동되는 통로로 개방되고 해당 불량 카드는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에 캡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카드 적재부의 일측에 적재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컨베이어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카드 배출 및 적재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카드 이송시 압밀 롤러 및 이송 롤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중송 현상, 슬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는 카드 적재부(100), 컨베이어부(200) 및 카드 이송부(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드 적재부(100)는 다수의 카드를 적재하여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 카드를 1매씩 공급함과 함께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를 적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부터 카드를 1매씩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상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 내에 구비되는 적재 플레이트(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드 적재부(100), 컨베이어부(200) 및 카드 이송부(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 적재부(100)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그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부(100) 내에는 착탈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의 카드 적재함(110)이 구비된다. 상기 카드 적재함(110) 내에는 적재 플레이트(120)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복수의 카드가 적재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111)와, 상기 카드 적재함(11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양을 감지하는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112)가 구비되며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하단에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감지하는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1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112)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를 정의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일정량 이상의 카드가 적재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카드가 과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113)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최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감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적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상기 카드 이송부(30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크게 소정 길이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타이밍 벨트(220)와 상기 타이밍 벨트(22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수단(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22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만큼의 직선 구간을 구비하며, 복수의 풀리(230)를 통해 지지됨과 함께 풀리(230)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승강 수단(210)은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적재 플레이트(1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 수단(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역시 함께 상하 이동된다.
상기 승강 수단(210)은 세부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벨트(220)에 맞물려 상기 타이밍 벨트(22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 기어(211)와, 상기 승강 기어(211)와 타이밍 벨트(220)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 부재(212)와,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부재(212)를 선택적으로 압밀하는 역할을 하는 밀착 부재(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기어(211)의 기어 축 및 밀착 부재(213)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와 상기 승강 수단(210)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121)가 상기 승강 수단(210)의 일 구성요소로 구비된다.
이에 부가하여, 상기 고정 부재(212) 및 밀착 부재(213) 각각의 일측에는 제 1 스프링(214), 제 2 스프링(216)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216)의 다른 일측은 각각 제 1 스프링 지지대(215), 제 2 스프링 지지대(217)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 지지대(217)는 상기 몸체부(12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프링(214)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스프링(216)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밀착 부재(213)는 고정 축(218)에 의해 몸체부(121)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축(218)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밀착 부재(213)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축(218)의 일단에는 고정 축(218)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원 형상의 손잡이(21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부재(213)는 한 면(제 2 면)의 길이가 다른 한 면(제 1 면)의 길이보다 작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축(218)의 회전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제 1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도 5a 참조)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는 제 2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되는 상태(도 5b 참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 부재(213)의 접촉면이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 1 면의 길이에서 상기 제 2 면의 길이를 뺀 만큼의 길이가 여유 공간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측에 연결된 제 1 스프링(214)이 인장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여유 공간만큼 즉, 상기 제 1 면의 길이에서 상기 제 2 면의 길이를 뺀 길이 만큼 상기 고정 부재(212) 가 상기 밀착 부재(213)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 부재(212)가 상기 밀착 부재(213)를 향하여 이동함은 상기 고정 부재(212)와 승강 기어(211) 사이의 밀착 상태가 해제됨을 의미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승강 기어(211)는 상기 타이밍 벨트(220)에 맞물려 고정되지 않고 상기 타이밍 벨트(220)의 톱니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200)는 직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그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승강 수단(2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2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수단(2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31)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바퀴(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카드 적재부(100)와 컨베이어부(2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마지막으로, 카드 이송부(3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세부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밀 롤러(310), 보조 이송 롤러(320), 제 1 이송 롤러(330), 제 2 이송 롤러(340), 제 3 이송 롤러(350)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는 카드 배출되는 쪽에 배치 된다.
상기 압밀 롤러(310),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는 각각 구동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구동축은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공간을 정의하는 소정의 프레임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동축의 일단에는 풀리가 구비되고 해당 풀리들은 구동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인가받게 되는데, 상기 압밀 롤러(310)에 연결된 풀리는 제 1 구동벨트(51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에 연결된 풀리들은 제 2 구동벨트(52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 1 구동벨트(510)는 제 1 모터(410)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벨트(520)는 제 2 모터(42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압밀 롤러(310)가 구비되는 구동축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구동축과는 달리,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압밀 롤러(310)의 구동축이 고정, 지지된 프레임은 설명의 편의상 이하, 압밀 부재(36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압밀 부재(360)는 힌지(361)를 매개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구동축이 장착된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힌지(36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압밀 부재(360) 및 상기 압밀 부재(360)에 고정, 지지된 압밀 롤러(310)는 소정 거리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한 적재 플레이트(1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밀 롤러(310)의 구동축 상에는 토션 스프링(362)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롤러(310)가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 지한다.
또한,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을 향하는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 내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존재 감지센서(36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는 각각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를 이루는 각 쌍의 롤러의 접점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 역시 상기 각 쌍의 롤러의 접점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카드 이송이 동일 평면 상에서 진행된다. 반면,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은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이 위치하는 수평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이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이유는 카드 발권시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따라 상승된 카드가 상기 압밀 롤러(310)를 상부로 밀어내도록 함과 함께 상승된 카드가 상기 압밀 롤러(310)에 의해 압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카드 회수시의 경우에는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가 상기 카드 적재함(110) 상에 기 적재되어 있는 카드들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이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 회수시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된 카드가 상기 카드 적재함(110)에 용이하게 적재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압밀 가이드 부재(364)가 더 구비될 수 있 다. 상기 압밀 가이드 부재(364)는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드 발권 및 회수에 관련된 압밀 롤러(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카드 이송부(300)에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와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가 구비된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으로부터의 발권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는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를 상기 카드 적재함(110)이 회수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단에는 피감지 브라켓(365)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부재(360)의 상승 또는 하강시 그에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카드 이송부(300)를 정의하는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와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가 구비된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는 상승된 피감지 브라켓(365)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는 하강된 피감지 브라켓(365)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드 발권시 또는 카드 회수시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 및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 발권의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해 카드를 적재한 적재 플레이트(120)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적재 플레이트(120) 상단의 카드와 접촉된 압밀 롤러(310)가 상승되어 상기 압밀 부재(360)가 상승되면,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에 구비된 피감지 브라켓(365) 역시 함께 상승되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을 정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를 카드 발권 준비 완료 상태라 할 수 있다(도 9b 참조). 이 때,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이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는 위치까지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밀 롤러(310)가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이 이루는 수평면 위치를 초과하게 되어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 상부에 구비된 과상승 방지센서(368)가 이를 감지한다. 상기 과상승 방지센서(368)에 의해 피감지 브라켓(365)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한편, 카드 회수의 경우,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은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로부터 상기 압밀 롤러(310)로 카드가 이송되며 상기 카드 적재함(110) 상에는 카드가 적재된다. 계속적인 카드 회수에 의해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카드가 쌓이게 되면 카드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압밀 롤러(310)가 적재된 카드의 높이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일정량 이상의 카드가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적재되면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를 벗어나게 된다.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에 의해 상기 피감 지 브라켓(365)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도 10d 참조)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시켜(도 10e 참조)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카드 회수 준비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 및 회수 준비 감지센서(367)에 의해 카드 발권 또는 카드 회수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에 의해 카드 발권 또는 카드 회수를 위한 카드 이송이 진행되는데, 카드 이송을 위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제 1 내지 제 5 카드 인식센서(301)(302)(303)(304)(30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카드 인식센서(301)(302)(303)(304)(305)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각각의 이송 롤러를 통과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는 제 1 이송 롤러(330)의 전단 즉, 상기 압밀 롤러(310)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302) 및 제 3 카드 인식센서(303)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와 제 2 이송 롤러(34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304)는 상기 제 2 이송 롤러(340)와 제 3 이송 롤러(3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는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후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와 제 5 카드 인식센서(305) 사이의 거리는 카드 의 길이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카드 인식센서(301)(302)(303)(304)(305)의 역할을 카드 발권시와 카드 회수시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 발권시의 경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는 상기 압밀 롤러(31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도 9b 참조) 상기 제 1 모터(410) 및 제 2 모터(420)가 동작되며, 이를 통해 압밀 롤러(310) 및 제 1 이송 롤러(330)가 동작되어 카드가 발권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카드가 발권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302)에 의해 카드가 인식될 수 있는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302)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420)는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모터(410)는 동작이 정지된다(도 9c 참조). 즉, 압밀 롤러(310)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제 2 모터(420)의 동작에 의해 카드는 발권 방향으로 계속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감지되는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420)의 동작이 정지되어 카드의 이송이 중지된다(도 9d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드 리더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의 불량 여부가 판단되며 정상 카드인 경우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동작에 의해 배출되나 불량 카드인 경우에는 불량 카드 수납부(630)에 캡쳐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불량 카드의 불량 카드 수납부(630)로의 캡쳐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카드 발권시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동작에 의해 카드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 이외에,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에 카드가 물리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에 물린 카드를 물리적으로 배출시키는 방법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를 거쳐 이송되는 카드가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304)를 벗어나면 제 2 모터(420)의 동작을 정지시켜 카드가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에 물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카드 회수시의 경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420)가 동작되며(도 10a 참조), 이에 따라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가 동작되어 카드가 카드 회수 방향으로 이송된다. 카드 회수 방향으로 이송되는 카드가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 2 모터(420)와 함께 제 1 모터(410)가 동작하게 되며(도 10b 참조), 이에 따라 압밀 롤러(310)가 동작되어 카드가 압밀 롤러(310)에 의해 상기 카드 적재함(110) 상으로 적재된다(도 10c 참조). 이 때,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술한 카드 회수 준비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이다.
카드 리더기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 결과, 불량 카드로 판명된 카드의 캡쳐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량 카드의 캡쳐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불량 카드의 캡쳐를 위해 이를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먼저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와 제 2 이송 롤러(340) 사이의 하단 에는 캡쳐 가이드 부재(610)가 구비되며,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61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620)의 동작에 의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610)의 하부에는 불량 카드 수납부(6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캡쳐 가이드 부재(610), 불량 카드 수납부(630) 등의 수단이 전제된 상태에서 카드 발권시의 불량 카드 캡쳐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드 리더기에 의해 카드가 불량으로 판명이 되면, 상기 제 2 모터(420)의 동작이 재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며(도 9e 참조),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420)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620)가 동작하여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610)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630)로 이동되는 통로로 개방된다. 해당 불량 카드는 최종적으로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630)에 캡쳐된다(도 9f). 한편, 카드 회수시의 불량 카드 캡쳐 과정은 상기 카드 발권시의 불량 카드 캡쳐 과정과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의 전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승강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측단면도.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의 카드 발권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의 카드 회수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카드 적재부 110 : 카드 적재함
111 :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 112 :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
113 :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 120 : 적재 플레이트
121 : 몸체부 200 : 컨베이어부
210 : 승강 수단 211 : 승강 기어
212 : 고정 부재 213 : 밀착 부재
214 : 제 1 스프링 215 : 제 1 스프링 지지대
216 : 제 2 스프링 217 : 제 2 스프링 지지대
218 : 고정 축 219 : 손잡이
220 : 타이밍 벨트 230 : 풀리
231 : 가이드 부재 232 : 승강 바퀴
300 : 카드 이송부 301 : 제 1 카드 인식센서
302 : 제 2 카드 인식센서 303 : 제 3 카드 인식센서
304 : 제 4 카드 인식센서 305 : 제 5 카드 인식센서
310 : 압밀 롤러 320 : 보조 이송 롤러
330 : 제 1 이송 롤러 340 : 제 2 이송 롤러
350 : 제 3 이송 롤러 360 : 압밀 부재
361 : 힌지 362 : 토션 스프링
363 : 카드 존재 감지센서 364 : 압밀 가이드 부재
365 : 피감지 브라켓 366 : 발권 준비 감지센서
367 : 회수 준비 감지센서 368 : 과상승 방지센서
410 : 제 1 모터
420 : 제 2 모터 510 : 제 1 구동벨트
520 : 제 2 구동벨트 610 : 캡쳐 가이드 부재
620 : 솔레노이드 스위치 630 : 불량 가드 수납부

Claims (23)

  1. 카드 적재부, 컨베이어부 및 카드 이송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적재부 내에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고, 상기 카드 적재함 내에는 카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 이송부는 상기 카드 적재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밀 롤러,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및 제 3 이송 롤러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압밀 롤러는 상기 압밀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밀 부재의 일단에는 피감지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부의 일측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상승을 감지하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와, 상기 피감지 브라켓의 하강을 감지하는 회수 준비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의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 기어와, 상기 승강 기어와 타이밍 벨트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압밀하는 역할을 하는 밀착 부재와, 상기 승강 기어의 기어 축 및 밀착 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수단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및 밀착 부재 각각의 일측에는 제 1 스프링, 제 2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의 다른 일측은 각각 제 1 스프링 지지대, 제 2 스프링 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밀착 부재는 한 면(제 2 면)의 길이가 다른 한 면(제 1 면)의 길이보다 작은 직육면체 형상을 하여 고정 축에 의해 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축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밀착 부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 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 부재의 접촉면이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변경되면,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밀착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롤러와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보조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각각은 대칭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각 쌍의 롤러의 접점과 상기 보조 이송 롤러의 하부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압밀 롤러의 하부면은 상기 보조 이송 롤러의 하부면이 위치하는 수평면 상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롤러는 구동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밀 롤러의 구동축은 상기 카드 이송부의 프레임과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압밀 부재에 고정, 지지된 압밀 롤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롤러의 구동축 상에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롤러가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의 상부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상승 방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적재부에 상기 카드 적재함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적재부에 상기 카드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양을 감지하는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적재부의 하단에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컨베이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부재의 일측에 상기 카드 적재함 내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카드 존재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롤러는 제 1 모터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제 2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 롤러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가 모두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에 제 2 카드 인식센서와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사이에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후단에 제 5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카드 발권시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는 계속 동작되고 상기 제 1 모터의 동작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카드 발권시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고, 카드 리더기에 의해 해당 카드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카드 발권시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된 상태에서, 카드 이송에 의해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카드가 상기 제 3 이송 롤러에 물린 상태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의 하단에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부 이동이 가능한 캡쳐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불량 카드 수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카드 리더기에 의해 카드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의 결과, 해당 카드가 불량인 경우,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청구항 16의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청구항 22의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청구항 22의 캡쳐 가이드 부재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22의 불량 카드 수납부로 이동되는 통로로 개방되고 해당 불량 카드는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에 캡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20080006454A 2008-01-22 2008-01-22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096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54A KR100962477B1 (ko) 2008-01-22 2008-01-22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54A KR100962477B1 (ko) 2008-01-22 2008-01-22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99A true KR20090080599A (ko) 2009-07-27
KR100962477B1 KR100962477B1 (ko) 2010-06-14

Family

ID=4129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54A KR100962477B1 (ko) 2008-01-22 2008-01-22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609A1 (de) 2011-09-05 2013-03-07 Christoph Eder Rücknahmeautomat für Key-Cards (RFID-Karten)
KR101878473B1 (ko) * 2015-09-30 2018-07-13 (주)클로닉스 카드 엘레베이터 및 잼 해소부를 구비하는 카드덱 체커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821Y1 (ko) 2005-08-09 2005-10-28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10-28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200401525Y1 (ko) 2005-09-01 2005-11-17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KR200420085Y1 (ko) 2006-04-20 2006-06-2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609A1 (de) 2011-09-05 2013-03-07 Christoph Eder Rücknahmeautomat für Key-Cards (RFID-Karten)
KR101878473B1 (ko) * 2015-09-30 2018-07-13 (주)클로닉스 카드 엘레베이터 및 잼 해소부를 구비하는 카드덱 체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477B1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5672C (zh) 堆积装置以及循环式纸币出入款机
CN101817462B (zh) 纸片类收纳装置
CN101980307B (zh) 一种纸币收钞机
CN102001531B (zh) 纸张处理装置
KR100897611B1 (ko)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RU2664020C1 (ru) Модуль ввод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к установке обработк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200401525Y1 (ko) 카드 디스펜서
KR1015483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KR102441917B1 (ko) 박스류 발급기
CN102089787B (zh) 带式纸币计数器
KR100835902B1 (ko) 카드 디스펜서
KR100999062B1 (ko) 승강식 카드 회수기의 카드 회수방법
KR200399824Y1 (ko) 카드 회수기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0999060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CN201838073U (zh) 一种纸币收钞机上使用的纸币处理结构
JP6216685B2 (ja) 紙幣取扱装置
CN107665539A (zh) 一种自动整理纸币的机器
KR20080092041A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
KR200399821Y1 (ko) 카드 회수기
KR102234922B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0778126B1 (ko) 카드 회수기
JPH0441303A (ja) 空缶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