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525A -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525A
KR20090080525A KR1020097009909A KR20097009909A KR20090080525A KR 20090080525 A KR20090080525 A KR 20090080525A KR 1020097009909 A KR1020097009909 A KR 1020097009909A KR 20097009909 A KR20097009909 A KR 20097009909A KR 20090080525 A KR20090080525 A KR 20090080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utlet
liquid separator
liqu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883B1 (ko
Inventor
볼프강 하이캄프
Original Assignee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2Bayonet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10Multipl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7Compressed air water remov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리기는 베요넷형 커넥터(11)에 의해 상대 부재(1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15)을 포함한다.
액체 분리기, 분리 매체, 배출구

Description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LIQUID SEPARATOR, PARTICULARLY OIL SEPARATOR FOR COMPRESSED AIR SYSTEM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액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유동으로부터 오일 소적(oil droplet)을 분리하는 액체 분리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액체 분리기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분리 매체(separating medium)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하우징 컵(housing cup) 및 하우징 리드(housing lid)를 포함한다. 하우징 리드는 액체 분리기가 헤드(head)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헤드에는 공기-오일 혼합물을 위한 공기 도관(air conduit) 및 정화된 공기를 위한 정화된 공기 도관(purified air conduit)을 구비한다. 또한, 헤드는 오일 유출구(oil discharge)를 구비한다. 리드는 미여과된 공기 입구뿐만 아니라 정화된 공기 출구를 구비한다. 미여과된 공기 입구는 공기-오일 혼합물 도관과 연통된다. 액체 분리기의 정화된 공기 출구는 헤드의 정화된 공기 통로에 연결된다. 정화될 공기 유동에 포함된 오일 소적은 분리 매체에 의해 보다 큰 액적(drop)으로 응집되고 이러한 보다 큰 액적은 원형의 밀폐된 분리 매체의 내측에서 하향으로 유동된다. 분리된 오일은 오일 배출구(oil drain)를 통해 액체 분리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헤드의 오일 유출구에 의해 유출된다. 액체 분리기는 액체 분리기의 리드와 헤드 사이에 배치된 실(seal)을 구비한다. 액체 분리기를 헤드에 장착할 때, 하우징은 밀봉 연결(seal-tight connection)이 형성되도록 헤드에 나사 체결된다. 액체 분리기를 헤드에 나사 체결하는데 인가되는 힘에 따라서, 실은 다소간 압축된다. 가압력이 너무 작을 때에는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의 나사 체결 토크가 너무 크면, 실은 손상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로 하는 해제 토크가 너무 커서 부재 교체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액체 분리기는 고정 연결이 형성될 때까지 그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수회 회전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신뢰성 있게 취급가능한 액체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리기는 분리 부재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정화될 가스를 위한 입구 및 정화된 가스를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은 분리된 액체를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분리 부재는 입구가 출구로부터 밀봉되게 분리되도록 하우징 내에 통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분리 부재는 가스 유동에 포함된 액체 소적을 가스 유동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매체를 구비한다. 액체 분리기에 의해서, 그에 포함된 액체 소적을 분리함으로써 어떠한 유형의 가스도 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특히 압축 공기 장치(compressed air device)의 그것이 정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포함된 물 또는 오일 소적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은 베요넷 연결부(bayonet connection)에 의해 상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대 부재는, 예를 들면 압축 공기 장치에 연결되는 연결 헤드일 수 있다. 베요넷 연결은 상대 부재에 대한 액체 분리기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액체 분리기와 상대 부재에는, 상호 체결되고 필터 축에 대해 경사면(incline)을 구비하는 수개의 윤곽체(contour)가 배치된다. 경사면은 소정의 원주 방향 각도에 걸쳐 연장되고, 밀봉 영역에 평행한 영역으로 이어진다. 또한, 대응 윤곽체들은 그들이 회전운동 내에서 로킹작용을 발생시키고,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킹 작용은 대응 윤곽체들의 지그재그형 경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킹 작용은 상대 부재 또는 액체 분리기의 윤곽체의 소정의 위치에 체결되는 이동가능한 작용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분리기와 상대 부재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베요넷 연결부에 의해 2개의 대응 밀봉 표면들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탄성체 실(elastomer seal)이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탄성체 실은 축방향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 실의 축방향 배치의 경우에, 그것은 로킹 연결에 필요로 하는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베요넷 연결을 형성하는 수단은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요넷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수단과 하우징을 위한 재료로서,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료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리기는 어떠한 보조 수단이 없이도 상대 부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클램핑 작용이 형성된다. 액체 분리기는 기술자에 의해 상대 부재에 배치되어 소정의 회전 범위에 걸쳐 회전함으로써 나사 체결된다. 회전 각도는 정지부에 의해 그리고/또는 베요넷 연결부의 로킹 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면, 회전 각도는 45° 내지 36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각도는 60° 내지 180°이다. 베요넷 윤곽체의 소정의 경사짐으로 인해, 액체 필터와 플랜지 하우징 사이의 실의 클램핑 작용이 나사 체결(screw-on) 토크에 무관하게 정해지고 보장된다. 이는 액체 분리기의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장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탄성체 실의 반경방향 배치의 경우에, 표면에서의 그의 구속(seizing)이 방지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그의 분리시 액체 필터의 용이한 분리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드와 상대 부재 사이에 베요넷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형상체가 리드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리드 상의 형상체는, 예를 들면 스탬핑(stamping) 또는 조형(shap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저렴한 딥-드로잉(deep-drawing) 부품으로서 하우징 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리드는 정화될 가스를 위한 입구 및/또는 정화된 가스를 위한 출구 및/또는 분리된 액체를 위한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를 리드 내에 통합시킬 경우에, 컵은 간단히 형성될 수 있는 구성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입구 및 출구 또는 단차 및 돌출부와 같은, 하우징에 필요로 하는 기능적인 형상체는 단지 리드만이 각각의 부착 상황에 맞게 구성되어야 하도록 리드 내에 통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리기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리된 액체를 위한 배출구는 중력의 작용 방향에 대해 바닥 영역에 배치되는 리드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리드는 장착 상태에서 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컵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액체는 간단히 액체 분리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분리된 액체를 위한 배출구가 상대 부재의 유출구와 연통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분리 부재는, 누출이 방지되고 추가 실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도록 리드에 밀봉되게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분리 부재는 리드에 융접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리 부재는 지지체, 분리 매체, 배출 부직물(drainage non-woven)을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체는 정화될 가스를 위해 투과 가능하다. 분리 매체와 배출 부직물은 원하지 않는 변형이 방지되도록 지지체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매체와 배출 부직물은 면 편직물(areal knit fabric)로서 형성되고, 수개의 층에 대해 하나씩 지지체 주위로 권취된다. 가스 유동에 포함된 액체 소적은 분리 매체에 의해 유지되고, 보다 큰 액적의 형성을 위해 응집된다. 유동 방향으로 분리 매체의 하류에 배치되는 배출 부직물은 액체 액적을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액적은 가스 유동으로부터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분리될 수 있고 배출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액체 분리기를 단면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분리 부재를 상세도 또는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액체 분리기(10)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액체 분리기(10)는 베요넷 연결부(11)에 의해 헤드(12)에 직립 위치(upright position)로 부착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액체 분리기(10)는 또한 베요넷 연결부(11)에 의해 헤드(12)에 매달린 위치(suspended position)로 부착될 수 있다. 헤드(12)는 액체 분리기(10)를 헤드(12)에 고정시키기 위한 액체 분리기(10)의 윤곽체(contour)(14)와 체결되는 수용 형상체(13)를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윤곽체(14)는 캠(cam)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캠의 형상뿐만 아니라 그의 수 및 액체 분리기(10)에 대한 배치는 헤드(12)가 적합하게 구성되는 한 특정 사용자 요구에 맞게 적용될 수 있다. 액체 분리기(10)는 컵(16)과 리드(17)로 형성된 하우징(15)을 포함한다. 컵(16)은 크림핑된 연결부(crimped connection)(18)에 의해 리드(17)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리드(17)와 헤드(16) 사이에는 실(seal)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은 삽입 부재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실은 또한 리드(12) 상에 발포될 수 있거나(foamed) 또는 투여될 수 있다(dosed). 크림핑된 연결부(18)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드(17)는 물론 컵(16)에 다른 방법으로 또한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연결부는 가장자리를 절곡함으로써 또는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윤곽체(14)는 리드(17)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윤곽체(14)는 또한 리드(16) 또는 추가 구성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5) 내에 분리 부재(19)가 배치된다. 분리 부재(19)는 대체로 중공 원통형 구성부재로서 구현된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타원형(oval) 또는 절두 원추 형상(truncated cone-shaped) 구조와 같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도 구현될 수 있다. 분리 부재(19)는 상부 단부면(20)에서 상부 단부면(20)을 밀봉되게 밀폐하는 종단 디스크(21)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종단 디스크(21)는 원통형으로 밀폐된 분리 매체(22)에 접착된다. 분리 매체(22)의 하부 단부면(23)은 리드(17)에 직접 접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 단부면(23)은 추가의 종단 디스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리 매체(22)와 종단 디스크(21) 또는 리드(17)의 연결은 상이한 방식으로, 특히 용접에 의해 또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리 매체(22)는 단일층 또는 다층 유리 섬유 코일(fiber glass coil)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 섬유 코일에는, 특히 페놀 수지(phenolic resin)가 주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분리 매체(22)의 다른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리드(17)는 헤드(12)의 혼합물 통로(25)를 미처리(crude) 챔버(26)에 연결하는 입구 개구(24)를 구비한다. 개구(24)는 피치원(pitch circle)으로 리드(17)의 단부면에 분포되며 단부면의 입구 단면(24')은 외주에 분배된 출구 단면(24'')으로 연결된다. 혼합물 통로(25)를 주위에 대해 밀봉시키기 위해서, 리드(17)는 헤드(12)의 내경에 맞는 O-링 실(27)을 포함한다. 모든 입구 개구(24)로의 균일한 유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리드(17)는 축방향으로 변위된 환형 단부면(28)을 구비한다. 환형 단부면(28)의 영역에, 수용 홈(29)이 배치되고, 이러한 수용 홈 내에서 O-링(30)이 리드(17)와 헤드(12) 사이에서 밀봉되게 압축된다. 리드(17)는 분리 부재(19)의 내부에 배치된 청정 챔버(clean chamber)(32)를 정화된 가스 출구(33)에 연결하는, 중앙에 배치된 청정 관(31)을 구비한다. 정화된 가스 출구(33)에 대한 청정 관(31)의 밀봉 연결을 위해서, 헤드(12)와 리드(17) 사이에서 압축되는 O-링(34)이 제공된다. 청정 관(31)의 단부면은 환형 단부면(28)을 넘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서, O-링들(30, 34)사이에 액체 챔버(35)가 형성된다. 액체 챔버(35)는 출구 개구(36)에 의해 분리 부재(19)의 내부에 연결된다. 분리된 액체의 균일한 유출을 위해 수개의 출구 개구(36)가 피치 원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출구 개구(36)가 리드(17) 내에 직접 통합되기 때문에, 반드시 밀봉되어야 할 어떠한 밀봉 지점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의 실(seal)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출구 개구(36)는 액체 챔버(35)에 의해 헤드(12)에 배치된 배출구(37)와 연통된다.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 부재(19)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액체 소적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리드(17)는 출구 개구(36)가 그로 개방되는 환형 수용 챔버(38)를 구비한다. 청정 관(31)은 수용 챔버(38)를 관통하며 청정 관의 개구는 수용 챔버(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축방향 간격에 의해 어떠한 분리된 액체 소적도 청정 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달성된다.
정화될 액체-가스 혼합물은, 특히 공기-오일 혼합물은 혼합물 통로(25)를 통해 액체 분리기(10)의 입구 개구(24)로 흐른다. 정화될 혼합물은 미처리 챔버(crude chamber)(26)로부터 분리 부재(19)를 통해 유동되며, 분리 매체(22)는 포함된 액체 소적을 유지시킨다. 정화된 가스는 클린 챔버(32)로 유입되어, 청정 관(31)을 통한 유동 방향으로 정화된 가스 출구(33)로 유동되어서, 그것은 헤드(12)로부터 떠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유동은 분리 부재(19)를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리 부재(19)는 또한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구 및 출구(24, 31)뿐만 아니라 미처리 챔버 및 청정 챔버(26, 32)는 상호 교체된다. 분리된 액체 소적은, 분리 매체의 바닥 영역으로 안내되어, 그로부터 분리된 액체 소적은 수용 챔버(38)로 유입된다. 수집된 액체 소적은 출구 개구(36)를 통해 배출구(37)로 안내된다. 이어서 액체는 다시 다른 소비 공정에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폐기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분리 매체(22)의 상세부 X가 도시된다. 분리 매체(22)는, 외측에 유동 방향으로 위치되는 거친 유리 섬유 코일(39)과, 페놀 수지가 주입된 미세 유리 섬유 코일(40)을 구비한다. 유리 섬유 코일(39, 40)은 지지 관(41)에 의해 기계적으로 안정화된다. 지지 관(41)과 내관(42) 사이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배출 부직물(43)이 배치된다. 배출 부직물(43)에 액체 소적이 수집되어 중력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안내된다. 기재된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수개의 유리 섬유 코일 층 또는 배출 부직물 층이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0)

  1.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로서, 분리 부재(19) 및 하우징(15)을 포함하고, 하우징(15)은 리드(17) 및 컵(16)을 포함하며, 분리 부재(19)는 하우징(15) 내에 밀봉되게 배치되고 하우징(15)은 상대 부재(1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액체 분리기에 있어서,
    하우징(15)은 베요넷 연결부(11)에 의해 상대 부재(12)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베요넷 연결부(11)는 리드(17)와 상대 부재(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드(17)는 정화될 가스를 위한 입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17)는 정화된 가스를 위한 출구(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17)는 분리된 액체를 위한 출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출구(36)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리드(17)의 바닥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출구(36)는 상대 부재(12)에 배치되는 배출구(37)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부재(19)는 리드(17)에 밀봉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17)는 크림핑된 연결부(18)에 의해 컵(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부재(19)는 지지체(41), 분리 매체(22) 및 배출 부직물(43)을 포함하고, 분리 매체(22) 및 배출 부직물(43)은 지지체(4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기.
KR1020097009909A 2006-12-14 2007-12-06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 KR10114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6019003U DE202006019003U1 (de) 2006-12-14 2006-12-14 Flüssigkeitsabscheider, insbesondere Ölabscheider für Druckluftanlagen
DE202006019003.1 2006-12-14
PCT/EP2007/063442 WO2008071621A1 (de) 2006-12-14 2007-12-06 Flüssigkeitsabscheider, insbesondere ölabscheider für druckluftanl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25A true KR20090080525A (ko) 2009-07-24
KR101146883B1 KR101146883B1 (ko) 2012-05-16

Family

ID=3920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909A KR101146883B1 (ko) 2006-12-14 2007-12-06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25708B2 (ko)
EP (1) EP2121165B1 (ko)
KR (1) KR101146883B1 (ko)
CN (1) CN101588853B (ko)
DE (1) DE202006019003U1 (ko)
WO (1) WO2008071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6499A1 (de) * 2008-09-09 2010-03-18 Mann + Hummel Gmbh Filter mit Drainageanschluss
DE102008054878B4 (de) * 2008-12-18 2010-12-23 Kaeser Kompressoren Gmbh Filterelement und Druckluftfilter zum Abscheiden von Fremdstoffen aus einem Druckluftstrom
ES2701442T3 (es) * 2010-08-13 2019-02-22 Koninklijke Philips Nv Un recipiente de agua y una máquina para hacer bebidas que comprende dicho recipiente
DE102010043836A1 (de) * 2010-11-04 2012-05-10 Hengst Gmbh & Co. Kg Filter mit einem austauschbaren Filtereinsatz
US10391436B2 (en) * 2013-02-04 2019-08-27 Mann+Hummel Gmbh Housing, housing cover and connecting part of a device for separating at least one fluid from a gas and a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a fluid
DE102013019807B4 (de) * 2013-11-26 2023-07-20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und Filterelement
DE102013020499A1 (de) 2013-12-11 2015-06-11 Mann + Hummel Gmbh Filtergehäuse, Fluidfilt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s Deckels des Filtergehäuses auf einem Nippel des Fluidfilters
DE102013021299A1 (de) 2013-12-19 2015-06-25 Mann + Hummel Gmbh Behandlungs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insbesondere flüssigen Fluiden und Behandlungselement einer Behandlungsvorrichtung
DE102013021298A1 (de) 2013-12-19 2015-06-25 Mann + Hummel Gmbh Behandlungs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insbesondere flüssigen Fluiden und Behandlungselement einer Behandlungsvorrichtung
EP2946822A1 (de) * 2014-05-22 2015-11-25 Linde Aktiengesellschaft Trenneinrichtung zum Trennen einer gasförmigen von einer flüssigen Phase eines zweiphasigen Stoffstromes
CN104001382B (zh) * 2014-05-23 2015-08-26 苏州锟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缩空气油水分离器
DE102015007899A1 (de) * 2014-08-04 2016-02-04 Mann + Hummel Gmbh Gehäuse, Gehäusedeckel und Verbindungsteil einer Einrichtung zur Abscheidung wenigstens eines Fluids aus Gas und Einrichtung zur Abscheidung eines Fluids
EP3212305B1 (en) 2014-10-29 2020-06-10 Atlas Copco Airpower Oil separator
EP3015153B1 (en) * 2014-10-29 2020-10-28 Mann + Hummel Gmbh Separation element and pressure accumulator system
CN107002684B (zh) * 2014-10-29 2019-12-06 阿特拉斯·科普柯空气动力股份有限公司 油分离器
GB201501697D0 (en) * 2015-02-02 2015-03-18 Glide Pharmaceutical Technologies Ltd Injection device
DE102016006095B4 (de) * 2015-07-16 2023-05-25 Mann+Hummel Gmbh Abscheidemodul, Leitungsmodul sowie Entlüftungsvorrichtung
DE102016000857A1 (de) * 2016-01-28 2017-08-03 Mann + Hummel Gmbh Gehäuse, Fluidauslass-Dichtungsteil, Gehäusedeckel und Verbindungsteil einer Einrichtung zur Abscheidung wenigstens eines Fluids aus Gas und Einrichtung und Vorrichtung zur Abscheidung eines Fluids
DE102017011874A1 (de) * 2017-02-28 2018-08-30 Mann+Hummel Gmbh Abscheidevorrichtung zur Abscheidung eines Fluids aus Gas sowie Abscheideelement und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diesbezügliche Abscheidevorrichtung
US20220297033A1 (en) * 2019-06-28 2022-09-22 Cummins Filtration Ip, Inc Replaceable spin-on filter with die casted unitary endplate
DE102019128397A1 (de) * 2019-10-21 2021-04-22 Mann+Hummel Gmbh Abscheidevorrichtung zur Abscheidung von Flüssigkeit aus Gas, insbesondere Luft, und Abscheidesystem einer Maschine
CN214209765U (zh) * 2020-11-13 2021-09-17 阿特拉斯·科普柯(无锡)压缩机有限公司 气液分离装置
JP2023023378A (ja) * 2021-08-05 2023-02-16 株式会社マキタ エア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4244A (en) * 1946-07-29 1951-03-06 Vokes Ltd Filter
US2991885A (en) * 1957-07-15 1961-07-11 New York Business Dev Corp Oil filter unit
US2955712A (en) * 1958-05-08 1960-10-11 Parmatic Engineering Ltd High pressure oil filter unit having threaded bowl assembly valve actuating means
DE7622478U1 (de) * 1976-07-16 1977-02-03 J. Lorch Gesellschaft & Co Kg, 7035 Waldenbuch Gehaeuse fuer druckluftaufbereitungsgeraete
GB1566220A (en) * 1978-04-07 1980-04-30 Automotive Prod Co Ltd Air/liquid separator
DE8501736U1 (de) * 1985-01-24 1985-08-22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7140 Ludwigsburg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Öltröpfchen aus Luft
US4857189A (en) * 1988-10-13 1989-08-15 Everpure, Inc. Filter cartridge with a lugged concentric closure portion
US5605748A (en) * 1993-01-22 1997-02-25 Monsanto Enviro-Chem Systems, Inc. Fiber beds for fiber bed mist eliminators
JP3320176B2 (ja) * 1993-11-30 2002-09-03 山信工業株式会社 液体用カプセル型フィルタ装置
DE4427753C2 (de) * 1994-08-05 2001-05-17 Mann & Hummel Filter Ölabscheider
US5826854A (en) * 1996-06-07 1998-10-27 Amana Refrigeration, Inc. Fluid routing system
GB9620002D0 (en) * 1996-09-21 1996-11-13 Lucas Ind Plc Filter assembly
DE69824631T2 (de) 1997-12-15 2005-06-23 Domnick Hunter Limited Filteranlage
KR100275757B1 (ko) * 1998-08-31 2001-01-15 김덕중 반도체 정류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6500335B2 (en) * 2000-02-16 2002-12-31 Stanadyne Corporation Filter system base module with self-locking cartridge retainer
WO2001095995A2 (en) * 2000-05-12 2001-12-20 Pall Corporation Filters
DE10052524A1 (de) 2000-10-23 2002-04-25 Beko Technologies Gmbh Filter zum Abscheiden von Fremdstoffen aus einem Gasstrom
DE10224223A1 (de) * 2002-05-31 2003-12-11 Mann & Hummel Filter Filterelement, insbesondere zur Flüssigkeitsfilterung aus einem Gasstrom
DE10309428B4 (de) 2003-03-05 2005-09-15 Ultrafilter International Ag Filter
US6977039B2 (en) * 2004-03-30 2005-12-20 Natural Choice Corporation Flui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CN2741960Y (zh) * 2004-10-28 2005-11-23 厦门建霖卫浴工业有限公司 净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1165B1 (de) 2018-03-21
US8123831B2 (en) 2012-02-28
US8025708B2 (en) 2011-09-27
CN101588853B (zh) 2013-07-24
DE202006019003U1 (de) 2008-05-21
KR101146883B1 (ko) 2012-05-16
WO2008071621A1 (de) 2008-06-19
EP2121165A1 (de) 2009-11-25
US20100000412A1 (en) 2010-01-07
US20110302890A1 (en) 2011-12-15
CN101588853A (zh)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883B1 (ko) 액체 분리기,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오일 분리기
JP3119484B2 (ja) 燃料フィルタ
US11318398B2 (en) Coalescing filter element
US9248393B2 (en) Cup-shaped housing, device for separating liquid from air, and method for mounting the cup-shaped housing on a nipple
KR101541671B1 (ko) 필터 조립체 및 필터 조립체를 통한 유동 지향 방법
EP1479427B1 (en) Filter apparatus with a quick-drain valve member
US8034240B2 (en) Coalescing element
US8815090B2 (en) Filter with water separation device
US9546626B2 (en) Depth coalescing filter with barrier media patch
CA2707690C (en) Filter having baseplate with internal gasket location
CN107530612B (zh) 气压过滤器及过滤器元件
KR102119637B1 (ko) 멀티스테이지 고용량 필터 및 깊이 합치 매체 시스템
AU2005247861A1 (en) Filter element with off-axis end cap
EP2192964A2 (en) Filter cartridge housing attachment systems
US20090308801A1 (en) Fluid Filter, Fluid Filter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US7846329B2 (en) Liquid filter
AU2014240074A1 (en) Composite filter cartridge
EP3843873B1 (en) Filter element and fuel pre-filter module
WO2008035830A1 (en) A purification manifold and filter cartridge for filtration system
CN114555210A (zh) 用于将液体从气体、尤其是空气中分离出来的分离装置以及机器的分离系统
KR20190103837A (ko)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