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161A -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161A
KR20090080161A KR1020080005991A KR20080005991A KR20090080161A KR 20090080161 A KR20090080161 A KR 20090080161A KR 1020080005991 A KR1020080005991 A KR 1020080005991A KR 20080005991 A KR20080005991 A KR 20080005991A KR 20090080161 A KR20090080161 A KR 2009008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oporous silica
silver
silver chloride
nanoparticles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욱
양재훈
민승현
이정훈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실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실빅스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161A/ko
Publication of KR2009008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01G5/02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들의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을 침투시키고, 수득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건조시키고, 여기에 염소 기체 또는 염화수소 기체를 공급하여 메조동공 내에 포함된 은이온과 반응시켜 염화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킴으로써,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나노복합체는 항균력이 우수하고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가 탁월하다.
염화은, 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나노입자, 항균제

Description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항균제로서의 용도 {SILVER COMPOUND-MESOPOROUS SILICA NANOCOMPOSITE, PREPARATION THEREOF, AND ANTIBAC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게는,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염화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항균성이 우수하고 백색도 및 색상경시가 향상된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항균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바람을 타고 은나노입자 또는 콜로이드와 같은 은계 무기항균제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들의 제조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은나노입자 또는 콜로이드는 극소량을 사용하여도 수많은 유형의 세균과 박테리아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유기항균제를 대신해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은나노입자는 다른 금속나노입자와 마찬가지로 플라즈몬 공명현상에 의해 특유의 노란색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항균소재로서의 범용적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은나노입자는 항균소재로서 상용화하기 위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수 내지 수십 ppm 정도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은나노입자가 10 ㎚ 이하의 입자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10 ㎚ 이하의 입자크기에서 은나노입자는 플라즈몬 공명현상으로 인해 특유의 노란색을 강하게 나타내며, 이를 불과 수십 ppm 정도의 저농도로 함유하는 상품에서도 때로는 상당히 강한 노란색을 나타내고, 이에 의해 상품 자체의 고유한 기능이 크게 저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효성 있는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은나노입자를 혼입시킬 경우, 섬유의 경우 염색성이 매우 중요하나 백색 구현이 어렵고 식품 용기의 경우 식품의 신선도를 나타낼 수 없어 구매력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이유가 된다. 반면, 은나노입자의 크기가 수백 ㎚ 이상이 되면 플라즈몬 공명현상에 의한 발색이 현저히 저하되나 그럴 경우 동일한 함량에서 항균력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항균성,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를 모두 만족하는 은계 무기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먼저, 은나노입자를 실리카나 티타니아와 같이 흰색을 나타내는 무기산화물로 코팅함으로써 플라즈몬 공명현상에 의한 색상을 차폐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 한국특허출원 10-2001-0008521 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분말의 제조방법; 한국특허출원 10-2003-0014578호, 실리콘 산화물로 표면이 코팅된 금속 나노 입자 및 그제조방법]. 그러나 은나노입자를 둘러싼 무기산화물은 이러한 색상을 차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염화은(AgCl)은 백색을 나타내는 은화합물로서, 수십여년 전부터 수처리 등을 위한 무기항균제로서 제안되었지만, 낮은 이온화도로 인해 항균력의 부족할 뿐만 아니라 나노입자화의 어렵기 때문에 무기 항균제로서의 실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은계 무기항균제의 백색도에 대한 요구가 점증하면서 염화은을 나노입자 또는 나노효과를 줄 수 있는 입자로 제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 특허 USP 5,935,608호에 염화은을 티타니아 입자의 표면에 부착시킨 항균입자가 제안되었지만, 염화은-부착된 티타니아는 일광 24시간 후에도 우수한 백색도를 유지하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매트릭스에 혼입된 경우에는 일광조건하에서 백색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한국특허출원 10-1996-0017066 호 (1996년 5월 20일 출원, 1997년 12월 10일 공개)는 산화에틸렌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은(Ag)-담지된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촉매 폐기물을 염소 가스로 처리함으로써 은을 염화은(AgCl)로 전환시켜 백색성이 우수한 무기항균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 제안한 무기항균제는 항균성 및 백색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과 자외선 하에서 색상경시도도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자외선 하에서 1시간 후의 색상경시도만을 측정하고 있어, 24시간 이상의 장기간 노출 후의 색상경시에 대해서는 효과가 입증되어 있지 않다.
미국특허 6,797,038호에는 메조포러스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를 펠렛 또는 압출물로 만들고 여기에 은 또는 구리화합물 용액을 담지시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흡착제가 제안되어 있지만, 여기에는 염화은-함유 흡착제를 항균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저농도에서도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가 우수한 은계 항균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계속 있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저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가 뛰어난 은계 항균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하면서, 염화은을 나노입자로 제조함으로써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산화물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 염화은을 코팅 또는 보호함으로써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은계 무기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염화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들의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을 침투시키고, 수득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건조시키고, 여기에 염소 기체 또는 염화수소 기체를 공급하여 메조동공 내에 포함된 은이온과 반응시켜 염화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NO3-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에 관한 X-선 회절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에 관한 X-선 회절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에 대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 합성에 사용한 제조장치에 관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항균 특성 측정에 있어서 배양균주인 E-coli ATCC 25922를 24 시간 배양한 후에 콘트롤과의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조다공성 실리카란 표면 또는 내부에 메조동공을 갖는 실리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보통 100 ㎚ 내지 10 ㎛의 입도를 갖는 메조다공성 실리카는 그의 표면 또는 내부에 0.5~100 ㎚, 대개로는 1~70 ㎚, 특별하게는 2~50 ㎚의 크기를 갖는 공동, 기공, 흠, 간극, 내부공간 등과 같은 메조동공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메조다공성 실리카로는 1992년에 그 합성이 최초로 보고되고 1.5 내지 10 ㎚의 동공을 갖는 MCM-41 (Mobil 1992)로부터 메조동공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대부분의 메조다공성 실리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의 예를 들면 헥사고날 메조다공성 실리카 (HMS), SBA-15, KIT-6, 에어로졸 등을 언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메조동공을 갖는 다른 메조다공성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염화은은 380 nm 이하의 자외선을 받으면 광분해되어 은으로 환원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방법도 동시에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메조다공성 실리카 내에 염화은 나노입자를 형성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염화은의 노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들을 은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함침시켜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을 침투시키고, 수득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건조시키고, 여기에 염소 기체 또는 염화수소 기체를 공급하여 메조동공 내에 포함된 은이온과 반응시켜 염화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킴으로써,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를 제조한다.
은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의 농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대략 0.01M 내지 4M, 바람직하게는 0.05M 내지 2M, 특별하게는 0.1M 내지 1M이다. 은이온-함유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처리하기 위한 염소기체 또는 염화수소 기체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 기술인에 의해 용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염소기체와 염화수소기체는 유독성이므로 배기가 잘되는 후드 또는 벤틸레이션 장치 내에서 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외부에 형성된 염화은 입자들은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거는 세척, 여과, 진탕, 송풍 등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조동공 내부에서 질산은의 존재 및 염화은 나노입자의 형성은 X-선 회절법 및/또는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화은 뿐만 아니라 브롬화은, 요오드화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무기계 항균제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나노복합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염화은이 나노입자화되어 있어 저농도에서도 뛰어난 항균력을 발휘하므로 항균성이 우수하며, 둘째, 염화은과 실리카가 모두 백색도가 우수하므로 이들의 복합체도 백색도가 우수하며, 셋째, 염화은 나노입자가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노출 정도가 상당히 적어 색상경시성이 매우 우수하며, 넷째, 중합체와의 상용성(cmpatibility)은 무기물이 금속보다 뛰어나므로 염화은-실리카 복합입자는 은나노입자 또는 콜로이드에 비해 중합체와의 혼련성이 우수하며, 다섯째, 염화은 나노입자들은 메조동공 내에 포획되어 있기 때문에 염화은 나노입자들끼리 응집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력이 우수하고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가 향상된 항균성 나노복합체가 제공된다.
이하에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조예 1 :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의 합성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은 기존에 잘 알려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123) 30g 을 2M 염산 (HCl) 904 ㎖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기포가 생기지 않게 천천히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수득된 용액에 실리카 전구체로서 TEOS (tetraethoxy orthosilicate, 98%) 64.65 g을 천천히 첨가하고, 40℃에서 교반하면서 20시간 동안 가수분해반응을 진행시킨다. 다음으로, 100℃에서 24시간 동안 계속 가수분해 반응을 진행시키고, 침전된 실리카를 여과하여 80℃ 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후 표면에 과량으로 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염산이 약간 첨가된 에탄올로 수세하고, 80℃ 에서 12시간 건조하고, 이어서 550℃에서 3시간 열처리하여 흰색의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 를 합성한다.
참고예 1
질산은(AgNO3, Aldrich, 99%) 0.509 g을 증류수 10 ㎖에 용해하여 질산은 0.3M 수용액을 제조한다.
제조예 1에서 합성한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 1 g을 질산은 0.3M 수용액 1㎖에 도입하고 교반 하에 혼합함으로써 실리카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을 침투시킨다. 처리된 메조다공성 실리카를 8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의 X-선 회절 그래프를 X-선 회절 분광기 [DC/max-2000, Rigaku C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
도 1의 X-선 회절 그래프는 상기 수득된 질산은(AgNO3)-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메조동공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질산은(AgNO3)은 메조동공 안에 잘 분산되어 있어서 질산은(AgNO3)에 의한 특성 X-선 회절이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이 담지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수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는 물에서 사용할 경우에 은이온이 급속히 용출되어 나올 것으로 예상되므로 물이 개재된 환경에서의 응용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예 2
상기 참고예 1과 유사하게 처리하지만,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 1 g을 질산은(AgNO3) 1M 수용액 20㎖에 도입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AgNO3-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질산은-메조다공성 복합체의 X-선 회절 그래프는 도 1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참고예 1에서 수득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염화수소 기체와 반응시켜,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염화은(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제조한다.
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염산 [aq. HCl, (주)삼전, 35.0~37.0%] 5 ㎖로부터 염화수소(기체)를 제조하고, 황산 트랩으로 물을 제거하고,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와 반응시켰다. 염화수소로 처리된 나노복합체를 80℃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켜 미반응 염화수소를 제거하고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염화은(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 그래프를 X-선 회절 분광기 [DC/max-2000, Rigaku C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X-선 회절 그래프는 상기 수득된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가 메조동공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염화은 특성 X-선 회절로부터, 염화은(AgCl)이 메조동공 안에 형성되었으며, 그 입자크기가 대략 10 ㎚ 정도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도 3은 상기 수득된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 (JEOL JEM-3011 HRTEM) 사진을 나타내는데, 나노복합체 내의 입자크기 약 10 ㎚ 정도의 염화은 나노입자들이 실리카 메조동공 내에 아주 잘 분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2~5
참고예 1의 질산은 용액의 농도를 0.3 M 대신에 각각 0.1 M, 0.5 M, 1 M 및 2 M으로 변경하여 제조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처리함으로써 여러 가지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에서 다양한 함량의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합성하였지만, 농도가 높은 경우 (2M)는 동공 내부 뿐만 아니라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도 염화은 입자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형성된 염화은 입자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의도한 기능을 제대로 보이기 어려웠다.
실시예 6
상기 참고예 2에서 수득된 질산은(AgNO3)-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처리하여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도 및 투과 전자현미경의 사진은 각각 도 2 및 도 3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7~8
참고예 2의 질산은 용액의 농도를 0.3 M 대신에 각각 0.5 M 및 2 M으로 변경하여 제조된 질산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처리함으로써 여러 가지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항균 특 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균주로서 Escherichia coli (E-coli) ATCC 25922 (1.7ⅹ105 CFU/㎖ ) 이용하여 37±1 ℃에서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항균테스트를 하였다. 배양시작 시의 균주의 농도와 24시간 배양 후의 균주의 농도를 측정하여 배양균이 사멸했는지 증가했는지를 계산하고, 그 항균특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제로 사용된 나노복합체의 농도는 0.1 wt% 였다. 비교를 위하여 항균제를 넣지 않은 콘트롤 세트를 같은 조건에서 테스트하였다. 24시간 배양 후의 찍은 사진을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트롤인 경우는 배양균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개발한 항균성 나노복합체의 경우는 배양균이 거의 없음을 볼 수 있다. 그 값으로 보면 초기 시작 배양균의 농도는 1.7ⅹ105 CFU/㎖ 에서 출발하여 콘트롤인 경우 24 시간 후에 9.7ⅹ106 CFU/㎖ 로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인 경우 24시간 후에 10 CFU/㎖ 이하로 99.9% 이상 사멸했음을 볼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항균나노복합체가 항균특성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색상경시도, 즉 광안정성을, 염화은과 메조다공성 실리카(SBA-15)를 단순히 혼합한 물질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시험시료를 컵에 담아 UV 램프 (Spectroline, Model ENF-240C/FE)를 사용하 여 264 ㎚, 39.1W에서 3시간 동안 노출한 후의 사진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사진 (a) 및 (b)는 염화은 나노입자가 메조다공성 실리카(SBA-15)의 메조동공 내에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로서, 각각 AgCl 농도가 1M 및 2M이고, 사진 (c) 및 (d)는 AgCl을 메조다공성 실리카(SBA-15)와 단순히 혼합한 물질(이후, 비교혼합물)로서 AgCl의 농도는 각각 1M 및 2M이다.
UV 하에서 3시간 노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에서는 광환원에 의해 변색된 입자들이 육안으로 관측되지 않았지만 [도 6의 사진 (a) 및 (b) 참조], 비교혼합물에서는 광환원에 의해 변색된 입자들이 육안으로 검출되었다 [도 6의 사진 (c) 및 (d) 참조].
본 발명에 따른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나노복합체에서 AgCl의 나노입자들은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환원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광안정성이 우수하며 색상경시가 억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자 또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변형 또는 개조된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력이 우수하고 백색도 및 색상경시도가 탁월한 항균성 나노복합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NO3-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에 관한 X-선 회절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에 관한 X-선 회절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에 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나노복합체 합성에 사용한 제조장치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항균 특성 측정에 있어서 배양균주인 E-coli ATCC 25922를 24 시간 배양한 후에 콘트롤과의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 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의 광안정성(색상경시도)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264 ㎚의 UV에서 3시간 동안 노출 후에, AgCl 나노입자가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는 빛에 의한 변색이 없지만, AgCl과 실리카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 혼합물에서는 AgCl의 광환원에 따른 변색을 나타낸다.

Claims (4)

  1.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메조동공 내에 염화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메조다공성 실리카는 2~50㎚의 메조동공을 가지며, 전술한 염화은 나노입자는 2~50㎚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나노복합체.
  3.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들의 메조동공 내에 은이온을 침투시키고, 수득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건조시키고, 여기에 염소 기체 또는 염화수소 기체를 공급하여 메조동공 내에 포함된 은이온과 반응시켜 염화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정의된 염화은 나노입자와 메조다공성 실리카로 된 항균성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전술한 메조다공성 실리카는 2~50㎚의 메조동공을 가지며, 전술한 염화은 나노입자는 2~50㎚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80005991A 2008-01-21 2008-01-21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KR20090080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91A KR20090080161A (ko) 2008-01-21 2008-01-21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91A KR20090080161A (ko) 2008-01-21 2008-01-21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161A true KR20090080161A (ko) 2009-07-24

Family

ID=4129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991A KR20090080161A (ko) 2008-01-21 2008-01-21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1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5B1 (ko) * 2010-05-19 2010-08-20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41346A1 (ko) * 2011-04-12 2012-10-18 주식회사 엔피텍 은-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극세 폴리에스테르 경편 파일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9648870B2 (en) 2014-12-26 2017-05-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timicrobial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90113064A (ko) 2018-03-27 2019-10-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박테리아 활성을 갖는 메소포러스 탄소-은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0466A (ko) * 2020-09-01 2022-03-11 한국재료연구원 은 나노소재의 항균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은 나노 제품
KR102513753B1 (ko) * 2022-05-30 2023-03-27 유한회사 대동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실리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5B1 (ko) * 2010-05-19 2010-08-20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41346A1 (ko) * 2011-04-12 2012-10-18 주식회사 엔피텍 은-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극세 폴리에스테르 경편 파일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9648870B2 (en) 2014-12-26 2017-05-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timicrobial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90113064A (ko) 2018-03-27 2019-10-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박테리아 활성을 갖는 메소포러스 탄소-은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0466A (ko) * 2020-09-01 2022-03-11 한국재료연구원 은 나노소재의 항균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은 나노 제품
KR102513753B1 (ko) * 2022-05-30 2023-03-27 유한회사 대동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실리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7347B (zh) 抗微生物和抗病毒性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KR20090080161A (ko)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균제로서의 용도
US904044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herical mesoporous silica containing dispersed silver nanoparticles, and spherical mesoporous silica manufactured by said method
Erazo et al. Synthesis of ZnO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morphology: Study of their antifungal effect on strains of Aspergillus niger and Botrytis cinerea
Sailaja Prasannakumaran Nair et al. Green synthesized luminescent carbon nanodots for the sensing application of Fe3+ ions
JP2014527963A (ja) 抗菌性複合材料
Klaysri et al. One-step synthesis of amine-functionalized TiO2 surface for photocatalytic decolorization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CN108588883B (zh) 石墨烯纤维及制备方法和制品
CN110051837B (zh) 一种CuO/ZnO/Au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Yang et al. Ag functionalized SnS 2 with enhanced photothermal activity for safe and efficient wound disinfection
JP5210468B2 (ja) 抗菌性を向上させた光触媒溶液の製造方法
Capeli et al. Effect of hydrothermal temperature on the antibacterial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WO 3 decorated with silver nanoparticles
Bekissanova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of silver/kaolinite nanocomposite and studying its antibacterial activity
JPS5964527A (ja) アモルファス炭酸カルシウムの製造方法
TWI581713B (zh) Antiviral compositions, antiviral agents, photocatalysts and virus inactivation methods
CN105638729B (zh) 一种中空结构球状银/氯化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217059C (zh) 纳米银系抗菌织物的制备工艺及应用
JP2016113332A (ja) BiVO4が担持された酸化チタ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抗ウイルス性組成物
Rani et al. Dye Degradati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Molecular Docking Analysis of Samarium‐Grafted Carbon Nitride Doped‐Bismuth Oxobromide Quantum Dots
KR101642453B1 (ko) 가시광선 영역의 높은 광활성, 은폐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견운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견운모
WO201113917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a nanopowders with fungicidal properties, especially for polymer composites
KR100975427B1 (ko) 메조포러스 코어-쉘 할로우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CN113841708B (zh) 一种硫化银/二硫化钼/酸化凹凸棒石纳米复合光驱动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925081B2 (ja) 酸化チタン系抗菌消臭剤、その分散液および該酸化チタン系抗菌消臭剤が付与された製品
TW201043655A (en) Method for fabricating antibacterial nano-silver/polyvinyl alcohol films by using in-situ reduction and add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