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050A -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050A
KR20090079050A KR1020080004986A KR20080004986A KR20090079050A KR 20090079050 A KR20090079050 A KR 20090079050A KR 1020080004986 A KR1020080004986 A KR 1020080004986A KR 20080004986 A KR20080004986 A KR 20080004986A KR 20090079050 A KR20090079050 A KR 2009007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int composition
solvent
ko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190B1 (ko
Inventor
이횡운
이준호
김하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8000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1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휘발성유기화합물(VOC)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폴리올수지, 조색제, 경화제, 용제 및 경화촉매를 포함하는 도료조성물로서, 수지로서는 수산기 함량이 높은 아크릴 폴리올수지를 사용하고, 조색제의 분산용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며, 경화제로서는 비황변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도장시 우수한 작업성,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도료로 자동차 보수에 유용한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저-휘발성유기화합물, 하이솔리드, 도료조성물

Description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LOW-VOC HIGH-SOLID TYPE COLORED TOP-COAT PAINT COMPOSITION FOR REPAIRING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보수용 저-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이하에서 “VOC”)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폴리올수지, 조색제, 경화촉매, 용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조성물로서, 수지로서는 수산기 함량이 높은 아크릴 폴리올수지를 사용하고, 하이솔리드 분산수지와 안료를 포함하는 조색제를 사용하며, 경화제로는 비황변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조성물로서 기존의 유용성(oil-soluble) 상도 피막의 환경오염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외관, 광택 및 선영성 즉, 도장 후 도막의 평활성과 광택을 가지는 자동차 보수용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자동차 보수용 상도 도료조성물은 작업성만을 강조한 저가형 제품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제품은 도막의 외관이 불량하고 광택 저하와 함께 후막감이 약해 보이며, 또한 환경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곳에서 도장 시 유기용제가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환경오염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VOC란 일반적으로 정상 상태에서 충분히 높은 증기압을 가져서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 되는 유기 화합물을 말하는데, 이들의 배출원은 토양, 나무 등의 자연적 배출원과 세탁용매, 도장시설, 석유연료 등의 인위적 배출원이 있다. VOC는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고, 대기 중에서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기도 하며, 발암물질이기도 하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의 강화와 더불어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 유색 도료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조색제의 경우 고형분이 낮아 상대적으로 용제 함량이 높고 이로 인해 결국은 VOC함량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유용성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이 가지고 있는 기본물성은 보장하면서도, 높은 고형분을 가져서 VOC의 발생이 적은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유색 도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조색제가 유기용제 성분 함량이 많으므로 인해 최종 VOC 함량이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솔리드 조색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형분이 70 내지 85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은 4,000 내지 10,000이며, 유리전이온도(Tg)는 10 내지 50℃이고, 고형분 기준으로 수산기가(hydroxyl value)가 120 내지 170mg KOH인 아크릴 폴리올수지 30 내지 50 중량%, 하이솔리드형 조색제 10 내지 20 중량%, 경화촉매 0.01 내지 0.1 중량%, 용제 15 내지 30 중량% 및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는 VOC 함량을 420g/ℓ 이하로 낮추어서 도장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유기용제의 양을 최소로 함과 동시에 도료의 고형분은 높이면서도 분자량을 낮춰 점도를 낮추고, 수산기가(hydroxyl value)를 높인 수지를 사용하여 기존의 물성인 경도, 건조성, 가사시간은 유지하면서 미려한 외관 및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지, 조색제, 경화촉매, 용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저VOC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 도료조성물로서, 주수지인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조성물 내에 30 내지 50 중량%가 포함되고, 조색제 10 내지 20 중량%, 경화촉매 0.01 내지 0.1 중량%, 용제 15 내지 30 중량% 및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크릴 폴리올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낮은 분자량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료조성물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내화학성, 경도 등 물성의 저하를 예상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산기 함량이 높은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하이솔리드형 아크릴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수산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로 구성되어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모노머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산기를 함유한 아크 릴모노머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실론-카프로락톤을 부가한 히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수지의 고형분이 70 내지 8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고형분 함량이 70 중량% 미만이면 VOC함량이 높아져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8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져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수평균분자량이 4,000 미만인 경우 물성(내용제성, 내후성, 경도 등)에 문제가 있고, 10,000을 초과할 경우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 점도를 유지하려면 용제량을 증가하게 되어 최종 VOC함량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한데, 유리전이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도막이 유연해짐으로 건조성,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할 경우 도막이 너무 단단해져서 내충격성, 내치핑성 등 외부의 충격에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수산기가(hydroxyl value)가 고형분 기준으로 120 내지 170mg KOH인 것이 바람직한데, 수산기가가 120mg KOH 미만인 경우 경화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70mg KOH를 초과할 경우 반응성이 매우 빠름으로 인해 가사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바인더로서 사용되며, 도막의 경화밀도 및 경화도막의 경도를 향상시켜 내용제성, 내스크래치성, 경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높은 고형분과 낮은 점도를 요구하는데 이는 수지의 고형분을 높임으로써 VOC함량을 조절하고, 점도를 낮춤으로써 스프레이 분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같은 높은 고형분을 만족하며 낮은 점도를 만족하는 아크릴 폴리올수지는 도료조성물 중 30 내지 50 중량%가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전체 피막 조성물에서 유기용제가 함유하는 비율이 커져서 VOC함량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고, 5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료의 점도가 높아 스프레이 분사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2) 하이솔리드형 조색제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는 분산용 아크릴수지, 안료, 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솔리드형 조색제는 도료조성물 중 10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은폐력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바인더 함량이 부족함으로 인해 물성 저하와 안료 침전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에서 사용되는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낮은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높은 분자량을 가 지는 수지보다 안료와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분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아크릴수지보다 높은 산가와 아민가를 함유함으로써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에서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5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저장안정성 등 안료 침전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건조성 등의 물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수산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 산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 아민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로 구성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산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실론-카프로락톤을 부가한 히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산가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 산, 프마릭 산, 아크릴 산 다이머, 말레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아민기를 함유한 아크릴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마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수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조색제의 안료 침전, 분산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고, 5,000을 초과할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해 조색제의 VOC 함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한데, 유리전이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도막 경도의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수산기가가 고형분 기준으로 130 내지 150mg KOH인 것이 바람직한데, 수산기가가 130mg KOH 미만인 경우 경화 밀도가 저하되는 등 물성의 문제가 있고, 150mg KOH 을 초과할 경우 점도 상승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산가가 고형분 기준으로 10 내지 50mg KOH인 것이 바람직한데, 산가가 10mg KOH 미만인 경우나 50mg KOH 을 초과할 경우 모두 분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아민가가 고형분 기준으로 10 내지 50mg KOH인 것이 바람직한데, 아민가가 10mg KOH 미만인 경우나, 50mg KOH 을 초과할 경우 모두 분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산용 아크릴 수지는 바인더로서 사용되는데, 안료와 상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도료에서의 균일한 안료 분산성을 향상시켜 도료의 우수한 젖음성(wettability) 및 저장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에서 안료는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안료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은폐력, 분산성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저장 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료는 착색 이외에 내구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에서 분산제는 0.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분산성 등의 문제점이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료의 상용성을 저해함으로써 크래터링(Cratering)과 같은 도막 외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분산제는 바람직하게는 0.6 중량부 내지 2 중량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형 조색제에서 용제는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안료의 분산성이 저하가 되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분산이 끝나고 안료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용제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된다.
(3) 경화제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상도(top coat)로 사용되므로 경화제로는 황변현상이 없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는 수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은 전체 도료조성물 중 10 내지 30 중량%인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불완전경화로 물성, 즉 경도와 건조성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3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희석량이 많아지게 되고 그 결과 VOC함량이 높아져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내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4) 경화촉매
본 발명에서 경화촉매는 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비시클로옥탄,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트리에틸렌디아민, 징크옥토에이트 및 칼슘옥토에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촉매는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에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되는데, 사용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사용량이 0.1 중량%를 초과하면 가사시간(즉, 작업가능시간)이 단축되어 도료가 작업 중에 겔화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5) 용제
본 발명에서 용제는 방향족 용제, 에스테르 용제, 케톤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 용제는 예를 들면, 크실렌, 톨루엔, 헥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에스테르 용제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류 즉,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케톤 용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이소아밀케톤, 메틸아밀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제는 도료조성물 중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용제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스프레이 작업성이 문제가 되어 레벨링이 좋지 않아지기 때문에 외관 및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기용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VOC함량이 증가하여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전체적인 물성에서 부착력 저하나 내구력 저하의 문제가 있다.
(6) 기타 조성성분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는 내후성 첨가제, 건조제, 레벨링제, 가사시간 지연제 또는 커플링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는 사용이 된다면 도료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질
아크릴폴리올수지(a): UHS-6, KCC사 제품 (고형분: 80%, 수평균분자량: 5,000, 수산기가: 138mg KOH, Tg: 15℃)
아크릴폴리올수지(b): CRT 00136, KCC사 제품 (고형분: 60%, 수평균분자량: 8,000 수산기가: 100.6 mg KOH, Tg: 72℃)
첨가제: Tinuvin 1130, 292(CIBA사), EFKA-2023(EFKA사), VXL4930(CYTEC사) 등
용제: 부틸아세테이트, 크실렌
분산용아크릴수지(a): HS-Dispersant 1, KCC사 제품 (고형분: 70%, 수평균분자량: 2,500, 산가: 8mg KOH, 수산기가: 93mg KOH, Tg: 26℃)
분산용아크릴수지(b): HS-Dispertant 2, KCC사 제품 (고형분: 75%, 수평균분자량: 3,000, 산가: 10mg KOH, 수산기가: 130mg KOH, Tg: 35℃)
안료: Raven 5000 U-Ⅲ, CIBA사 제품
분산제: BYK-164, BYK사 제품
이소시아네이트: Desmodur XP2410 + Desmodur XP2565, BAYER사 제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다음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피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이솔리드형 조색제는 분산용 아크릴수지와 안료, 분산제, 용제와 함께 분산기(Ring Mill, 신일사)로 약 2시간 정도 분산시켰는데,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기 전에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경화촉매, 첨가제, 용제 등과 교반기에서 1000rpm으로 20분 이상 교반하였다.
Figure 112008003715985-PAT00001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얻어진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도료 2g을 105℃에서 1시간을 가열하여 용제분은 휘발하고 남은 잔량을 계산하여 고유 점도(NV)를 측정하였고, 비중은 25℃에서 비중컵(S224389, Sheen사)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피도체에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료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내용제성, 연필경도, 도막외관, 내충격성, 내후성, 가사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추천된 도장시스템에 준하여 제조된 조성물 및 시편 평면에서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는데 모든 시험은 25℃에서 수행되었다.
1) VOC함량: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VOC함량(g/ℓ) = (100 - 혼합고형분)× 10 × 혼합비중
* 혼합고형분, 혼합비중: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측정
2) 내용제성: 도료조성물을 도장하고 완전 건조시킨 후 크실렌으로 손상시키고 1시간 후 도막의 변색이나 부풀음(swelling) 및 광택의 변화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 연필경도: 미쓰비시유니펜슬로 시험하였다.
4) 표면 경도 확인: 진자식 경도시험기(Pendulum Hardness, Koenig, ASTM D4366-95 참조)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도막외관: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6) 내충격성: Dupont 테스트기를 이용 1/2″ 0.5Kg, 50cm에서 도막 박리가 없을 것을 확인하였다.
7) 내후성: QUV B-lamp로 500Hr 조사 후 색차와 광택유지율을 확인하였다.
8) 가사시간: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 후, 25℃에서 방치한 다음 점도가 2배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03715985-PAT00002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종래의 상도 도료조성물보다 높은 고형분을 갖고 현저히 낮은 VOC를 함유하면서도 내용제성, 경도, 외관, 내충격성을 유지하고 뛰어난 광택유지율을 보이며 가사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고형분이 70 내지 85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은 4,000 내지 10,000이며, 유리전이온도(Tg)는 10 내지 50℃이고, 고형분 기준으로 수산기가(hydroxyl value)가 120 내지 170mg KOH인 아크릴 폴리올수지 30 내지 50 중량%, 하이솔리드형 조색제 10 내지 20 중량%, 경화촉매 0.01 내지 0.1 중량%, 용제 15 내지 30 중량% 및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조성물이 내후성 첨가제, 건조제, 레벨링제 및 가사시간 지연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3 내지 5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솔리드형 조색제는 분산용 아크릴수지 5 내지 20 중량부, 안료 1 내지 5 중량부, 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및 용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 아크릴수지는 고형분이 70 내지 80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이며, 유리전이온도는 10 내지 50℃이고, 고형분 기준으로 수산기가는 130 내지 150mg KOH, 산가는 10 내지 50mg KOH, 아민가는 10 내지 50mg K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매는 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비시클로옥탄,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트리에틸렌디아민, 징크옥토에이트 및 칼슘옥토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방향족 용제, 에스테르 용제, 케톤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KR1020080004986A 2008-01-16 2008-01-16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KR10151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86A KR101517190B1 (ko) 2008-01-16 2008-01-16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86A KR101517190B1 (ko) 2008-01-16 2008-01-16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50A true KR20090079050A (ko) 2009-07-21
KR101517190B1 KR101517190B1 (ko) 2015-04-30

Family

ID=413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986A KR101517190B1 (ko) 2008-01-16 2008-01-16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1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68B1 (ko) * 2012-12-20 2014-08-29 (주)노루페인트 내스크레치성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복원방법
US9037047B2 (en) 2011-01-31 2015-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utilizing inks with high solids content
CN105505165A (zh) * 2015-12-25 2016-04-20 澳达树熊涂料(惠州)有限公司 一种抗划伤的双组分水性亮光清面漆及其制备方法
WO2017116133A1 (ko) * 2015-12-29 2017-07-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KR20190096157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KR20210052682A (ko) * 2019-10-30 2021-05-11 장완건설 주식회사 탄소섬유 복합재를 포함하는 내구성, 내열성 및 차열성능이 향상된 우레탄 도막 방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180A (ko)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187B1 (ko) * 1995-12-21 1999-03-20 김장연 고농도 조색제
KR100199086B1 (ko) * 1996-08-12 1999-06-15 김충세 조색제 조성물
KR100687601B1 (ko) * 2000-12-29 2007-02-27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용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착색제
KR100558086B1 (ko) * 2003-12-29 2006-03-07 주식회사 디피아이 하이솔리드 투명 도료의 제조방법
KR20060078982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하이솔리드형 자동차 보수용 상도 피막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7047B2 (en) 2011-01-31 2015-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utilizing inks with high solids content
US9244389B2 (en) 2011-01-31 2016-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utilizing inks with high solids content
KR101435968B1 (ko) * 2012-12-20 2014-08-29 (주)노루페인트 내스크레치성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복원방법
CN105505165A (zh) * 2015-12-25 2016-04-20 澳达树熊涂料(惠州)有限公司 一种抗划伤的双组分水性亮光清面漆及其制备方法
WO2017116133A1 (ko) * 2015-12-29 2017-07-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KR20190096157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KR20210052682A (ko) * 2019-10-30 2021-05-11 장완건설 주식회사 탄소섬유 복합재를 포함하는 내구성, 내열성 및 차열성능이 향상된 우레탄 도막 방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190B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050A (ko) 자동차 보수용 저-브이오씨 하이솔리드형 유색 상도도료조성물
US7473442B2 (en) Multi-component,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related coatings and methods
JP2006520841A (ja) クリアコート組成物としておよびプライマー組成物として有用なポリトリメチレンエーテ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
DE19723504C1 (de)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Decklack oder Klarlack, insbesondere zur Beschichtung von Kunststoffen
AU2011384369B2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acrylic hybrid dispersions
KR101725784B1 (ko) 자동차 보수용 하이솔리드 2액형 도료 조성물
KR20130013452A (ko) 자동차 보수용 투명 도료 조성물
JPH09509692A (ja) 架橋可能であってヒドロキシル基を有するポリ(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を基とする被覆剤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CA2535417A1 (en) Water-based polyurethane-polyethylene compositions
AU2013273313B2 (en) Resins bearing cyclic carbonate groups and cross-linkable compositions of said resins having a low VOC level
CN107075299A (zh) 一种组合物
EP1315767B1 (de) Thermisch oder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r, nicht wässriger beschichtungs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JP4919078B2 (ja) ウレタン塗膜防水用トップコート組成物
US4529765A (en) Coating composition of an acrylic polymer having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and an acrylic polymer having primary amine groups
EP2274389A1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trimethylene ether diol
WO1997012004A1 (de) 3-komponenten-beschichtungsmittel mit hoher lösemittelbeständigkeit und hoher abklebfestigkeit
JP6813476B2 (ja) 乾式消去特性を有する表面を製造することができ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0053913A (ja) 耐候性良好な塗料
KR20060078982A (ko) 하이솔리드형 자동차 보수용 상도 피막 조성물
US9340704B2 (en) Sunlight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KR20170016425A (ko) 외관이 우수한 자동차 보수용 미디움 솔리드 타입 도료 조성물
EP4148095A1 (en) Bio-based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JP2002235035A (ja) 塗料組成物
KR20160080300A (ko) 외관이 우수한 자동차 보수용 미디움 솔리드 타입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