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698A -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698A
KR20090078698A KR1020080004636A KR20080004636A KR20090078698A KR 20090078698 A KR20090078698 A KR 20090078698A KR 1020080004636 A KR1020080004636 A KR 1020080004636A KR 20080004636 A KR20080004636 A KR 20080004636A KR 20090078698 A KR20090078698 A KR 2009007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platform
interface screen
editing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441B1 (ko
Inventor
강교철
최윤석
맹주원
양진석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4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와,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와,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시에 복수의 플랫폼에 대해서 하나의 표준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위지위그 방식으로 작성함으로써, 나머지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동시 편집, 다중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Description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Multi-Platform based User Interface Screen Editing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Concurrent Editing of User Interface Screens}
본 발명은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혹은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창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툴바, 버튼 등의 구성 등을 고려하는 레이아웃(layout)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들은 플로우 레이아웃(flow layout), 그리드 레이아웃(grid layout)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들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있어 최적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함 이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특정 화면을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지정하는 스타일로 공간을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공간에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그림, 소리, 동영상, 정적 텍스트(static text) 등의 아이템(item)들이 배치된다. 이 경우 아이템이 화면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container)가 있어야 한다. 컨테이너들은 레이아웃 스타일, 크기 이외에 여러 가지 제한 속성 등의 고유 속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있어 레이어(layer)라는 개념을 도입할 수 있는데, 레이어 하나하나는 투명한 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에 그림을 그리고 여러 개를 겹치면 마치 하나의 그림처럼 나타나게 되는데, 레이어가 많으면 복잡해질 수 있지만 수정이 필요한 경우 일부 레이어만 수정하면 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들을 돌리는데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며, 하나의 운영 체제 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를 의미하지만 보다 확장된 의미로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장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하드웨어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기능에 맞추기 위해 프로그래밍된다. 특히, 수많은 제품이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기 등의 다중 플랫폼(platform) 환경에서, 대부분의 경우 각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세부적인 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지만, 개발 측면에서는 각각의 플랫폼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정의하거나 기존의 것을 변경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아울러 각각의 플랫폼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를 유지 관리하는 부담도 상당하다.
모바일 단말기는 다양한 화면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화면크기들을 크고 작음에 따라 여러개의 화면크기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래 모바일 단말기 분야에서는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개발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들의 다양한 화면크기군들 중 대표적인 화면크기군을 최소 3개 이상 선정한 후, 선정된 대표 화면크기군 중에서 다시 하나를 선택하여 개발자가 일일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그림 픽셀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를 직접 플랫폼 종속적인 소스 코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이뤄져 왔다. 이러한 수작업은 지원되어야 하는 화면크기군에 대한 수만큼 반복적으로 이뤄져야 하므로 모바일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대상 플랫폼이 변경되는 경우 플랫폼 종속적인 소스코드에 좌표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중복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에 대해 특정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화면을 위지위그(what you see is what you get, WYSIWYG) 방식으로 작성하거나, 룩 앤드 필(look and feel)을 적용하여 화면을 개발하는 개발도구는 현재 모바일 업체나 모바일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몇몇 도구가 출시되어 있다. 하지만 편집과정에서 다양한 화면크기를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위젯을 사용함으로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특정 플랫폼이나 프레임워크에 종속되는 경우가 많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와,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와,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의 동기화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한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의 화면의 크기 비율 및/또는 화면의 해상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고유의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 및 포함되는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을 순차적으로 상하로 오버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에 포함된 자원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포함되는 자원의 유형을 지정하는 속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원의 유형을 지정하는 속성은 푸시 버튼, 라디오 버튼, 그림, 소리, 동영상 또는 정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포함되는 자원의 위치를 지정하는 속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는, 적어 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플랫폼 정보로부터,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 작업 관리기 및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에서의 상기 동기적 배치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한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의 화면의 크기 비율 및/또는 화면의 해상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고유의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 및 포함되는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 아웃을 순차적으로 상하로 오버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에 포함된 자원의 위치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와,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와,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를 포함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상술한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은 동시에 복수의 플랫폼에 대해서 하나의 표준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위지위그 방식으로 작성함으로써, 나머지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해서 중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작성이 완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화면크기별로 XMI 형식의 파일로 저장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특정 플랫폼이나 특정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은 크게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110),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120),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13), 레이아웃 편집단계(140) 및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110)는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자원(resource)이란 푸시 버튼(push button),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그림, 소리, 동영상 또는 정적 텍스트(static text)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아이템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트리 형태로 정의하는 오거니제이션(organization) 편집기 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간의 전이조건을 정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플로(flow) 편집기에 의해 항목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란 개발자가 편집대상으로 선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다중 플랫폼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상기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120)는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상기 플랫폼이란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들을 돌리는데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며, 하나의 운영 체제 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를 의미하지만 보다 확장된 의미로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장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상기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110)에서 선택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120)에서 선택된 플랫폼에서 사용될 것을 예정으로 한다. 상기 표준 플랫폼은 상기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단계(120)에서 선택된 플랫폼 가운데 레이아웃 편집의 기준이 되는 플랫폼을 의미하며, 상기 표준 플랫폼이 아닌 비표준 플랫폼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상기 표준 플랫폼 상의 레이아웃 편집과 자신의 레이아웃 편집이 동기된다.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140)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140)에서 개발자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해서만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편집한다.
상기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150)는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140)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상기 비표준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150)를 통하여 상기 표준 플랫폼과 상기 비표준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편집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비표준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간의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140)의 동기화 과정은 상기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단계(120)에서 선택된 N개의 플랫폼에 대응하는 N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1, 210-N)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1번 플랫폼이 상기 표 준 플랫폼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표준 플랫폼인 1번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1)은 고유의 화면 해상도에 대한 정보로서 x1(211-1) 및 y1(213-1)을 가지고, 상기 비표준 플랫폼인 N번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N)은 고유의 화면 해상도에 대한 정보로서 xN(211-N) 및 yN(213-N)을 가진다.
즉, 상기 1번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1) 상에서의 레이아웃이 좌표값 (X1, Y1)에 대하여 편집된다고 할 때, 상기 N번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N) 상에서의 레이아웃은 좌표값 (X1 * (xN / x1), Y1 * (yN / y1))에 대하여 편집되는 것으로 동기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이용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 컨테이너 레이아웃의 오버랩으로부터 최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종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생성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310, 320, 330)과 상기 컨테이너 레이아웃의 상하 오버랩 위치 정보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레이아웃 #1(310)은 1이라는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를 부여 받고, Head Image 푸쉬 버튼, Left 푸쉬 버튼, Right 푸쉬 버튼을 아이템 으로 가지며, Head Image 푸쉬 버튼은 최상단에 배치되고 Left 푸쉬 버튼은 좌변에 배치되고 Right 푸쉬 버튼은 우변에 배치된다는 레이아웃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컨테이너 레이아웃 #2(320)는 2라는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를 부여 받고, Navi01 푸쉬 버튼, Navi02 푸쉬 버튼, Navi03 푸쉬 버튼을 가지며, Navi01 푸쉬 버튼은 최하단 좌변에 배치되고 Navi02 푸쉬 버튼은 최하단 중앙에 배치되고 Navi03 푸쉬 버튼은 최하단 우변에 배치된다는 레이아웃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컨테이너 레이아웃 #3(330)은 3이라는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를 부여 받고, Menu01 푸쉬 버튼, Menu02 푸쉬 버튼, Menu03 푸쉬 버튼, Menu04 푸쉬 버튼을 가지며, 중앙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서대로 Menu01 푸쉬 버튼, Menu02 푸쉬 버튼, Menu03 푸쉬 버튼, Menu04 푸쉬 버튼이 배치된다는 레이아웃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대상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레이아웃 #1, #2, #3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었고, 상기 컨테이너 레이아웃들의 상하 오버랩 위치는 먼저 선택된 것이 나중 선택된 것의 아래에 놓인다고 미리 정하였다면, 레이어 최상층부터 레이어 최하층으로의 순서는 차례대로 컨테이너 레이아웃 #3, 컨테이너 레이아웃 #2, 컨테이너 레이아웃 #1이 된다.
상기 컨테이너 레이아웃들은 레이어로서 기능하므로 상층 레이어의 특정 위치에 아이템이 배치되지 않는 이상 하층 레이어의 상기 특정 위치에 배치된 아이템이 최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난다.
최종적으로 컨테이너 레이아웃 #1(310), 컨테이너 레이아웃 #2(320), 컨테이너 레이아웃 #3(330)이 상하 오버랩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는 크게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410), 편집 작업 관리기(4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4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4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플랫폼 정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식별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자원의 식별자, 상기 자원의 크기, 상기 자원의 위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집 작업 관리기(420)는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플랫폼 정보로부터,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장치이다. 상기 편집 작업 관리기(420)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일 수 있다.
상기 편집 작업 관리기(420)는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데 있어 레이어로서 동작하는 컨테이너 레이아웃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430)는 상기 편집 작업 관리기(420)가 선택한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비표준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장치이다. 상기 편집 작업 관리기(420)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4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에 있어 레이어로서 동작하는 컨테이너 레이아웃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비표준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간의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이용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 컨테이너 레이아웃의 오버랩으로부터 최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편집 대상 화면 선택 단계 120 : 편집 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
130 :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 140 : 레이아웃 편집 단계
150 :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
210-1 : 플랫폼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210-N : 플랫폼 #N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310 : 컨테이너 레이아웃 #1 320 : 컨테이너 레이아웃 #2
330 : 컨테이너 레이아웃 #3 340 : 최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410 :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편집 작업 관리기
4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를 포함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의 동기화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한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의 화면의 크기 비율 및/또는 화면의 해상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고유의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 및 포함되는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을 순차적으로 상하로 오버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에 포함된 자원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포함되는 자원의 유형을 지정하는 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 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의 유형을 지정하는 속성은 푸시 버튼, 라디오 버튼, 그림, 소리, 동영상 또는 정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포함되는 자원의 위치를 지정하는 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플랫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및 상기 플랫폼 정보로부터,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 작업 관리기 및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를 구비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에서의 상기 동기적 배치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한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의 화면의 크기 비율 및/또는 화면의 해상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고유의 컨테이너 레이아웃 식별자 및 포함되는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 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을 순차적으로 상하로 오버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기는,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레이아웃에 포함된 자원의 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레이아웃을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하여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편집대상 플랫폼 선택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하는 표준 플랫폼 선택 단계;
    상기 표준 플랫폼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배치하는 레이아웃 편집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편집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편집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 상기 표준 플랫폼을 제외한 플랫폼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자원들의 위치를 동기적으로 배치하는 레이아웃 동기화 단계를 포함하는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편집 방법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80004636A 2008-01-15 2008-01-15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0962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636A KR100962441B1 (ko) 2008-01-15 2008-01-15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636A KR100962441B1 (ko) 2008-01-15 2008-01-15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698A true KR20090078698A (ko) 2009-07-20
KR100962441B1 KR100962441B1 (ko) 2010-06-14

Family

ID=4133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636A KR100962441B1 (ko) 2008-01-15 2008-01-15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4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201A (ko) * 2011-04-19 201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
WO2013085615A1 (en) * 2011-12-06 2013-06-13 Google Inc. Edition designer
WO2013094880A1 (ko) * 2011-12-23 2013-06-27 Kim Jung-Ha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프레임에디팅방법 및 프레임에디팅시스템
WO2014027773A1 (ko) * 2012-08-16 2014-02-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반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에 대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608675A (zh) * 2017-09-27 2018-01-19 微景天下(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文档对象模型的跨平台前端开发系统及方法
CN112558961A (zh) * 2020-12-24 2021-03-26 北京中交兴路车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呈现引导蒙版的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2474A (ja) 2004-02-24 2005-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設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79834B2 (ja) 2004-04-23 2011-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Gui設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75316B1 (ko) * 2004-08-24 2007-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201A (ko) * 2011-04-19 201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
WO2013085615A1 (en) * 2011-12-06 2013-06-13 Google Inc. Edition designer
JP2015505083A (ja) * 2011-12-06 2015-02-16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ディションデザイナー
WO2013094880A1 (ko) * 2011-12-23 2013-06-27 Kim Jung-Ha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프레임에디팅방법 및 프레임에디팅시스템
WO2014027773A1 (ko) * 2012-08-16 2014-02-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반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에 대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608675A (zh) * 2017-09-27 2018-01-19 微景天下(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文档对象模型的跨平台前端开发系统及方法
CN107608675B (zh) * 2017-09-27 2020-05-01 微景天下(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文档对象模型的跨平台前端开发系统及方法
CN112558961A (zh) * 2020-12-24 2021-03-26 北京中交兴路车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呈现引导蒙版的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441B1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rno et al. One model, many interfaces
KR101456506B1 (ko)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도구 및 저작 방법
US10032484B2 (en) Digital video builder system with designer-controlled user interaction
US11216253B2 (en) Application prototyping tool
CN105487864B (zh) 代码自动生成的方法和装置
KR100962441B1 (ko)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060225094A1 (en) Enabling 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views in content aggregation frameworks
CN103092612B (zh) 实现安卓操作系统3d桌面贴图的方法及电子装置
US7966560B2 (en) Laying out web components using mounting and pooling functions
Smith et al. Android recipes: a problem-solution approach
US20170286068A1 (en) Development support system
JP2008269575A (ja) ソースコード生成装置
US20060225091A1 (en) Customizing and personalizing views in content aggregation frameworks
US20110126171A1 (en) Dynamic native editor code view facade
WO2013109858A1 (en) Design canvas
CN114153442A (zh) 基于可视化组件的大屏可视化页面配置方法和系统
JP2001306310A (ja) Gui部作成支援方法及び装置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方法
JP2009129223A (ja) 画像編集装置と画像編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編集方法
JP2009140382A (ja) 画像編集装置と画像編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編集方法
JP5014491B2 (ja) 同時編集を支援する多重プラットフォーム基盤の使用者インタフェース画面編集方法および装置
KR101118536B1 (ko)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CN111010600A (zh) 一种基于分布式云拼接的平铺融合开窗方法和显示屏
JP4582701B2 (ja) 画面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15426520A (zh) 一种对直播间的直播场景进行布置的方法、装置及设备
JP2009129224A (ja) 画像操作装置と画像操作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