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201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201A
KR20120123201A KR1020120038497A KR20120038497A KR20120123201A KR 20120123201 A KR20120123201 A KR 20120123201A KR 1020120038497 A KR1020120038497 A KR 1020120038497A KR 20120038497 A KR20120038497 A KR 20120038497A KR 20120123201 A KR20120123201 A KR 20120123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y
overlay area
area
applica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698B1 (ko
Inventor
김승현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698B1/ko
Priority to EP12774837.4A priority patent/EP2700007B1/en
Priority to PCT/KR2012/002997 priority patent/WO2012144817A2/en
Priority to US13/451,155 priority patent/US9117395B2/en
Publication of KR2012012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으로 쿼리한다. 플랫폼은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알린다. 이후 애플리게이션은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고, 플랫폼은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제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overlay)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해 놓은 애플리케이션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칭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로서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d),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UI 영역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UI를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오버레이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UI 영역에 오버레이되는 영역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각종 이미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오버레이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오버레이 영역 상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받는 영역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여러 가지 해상도(resolution)들, 예를 들어 WVGA(Wide Video Graphic Array), HVGA(Half Video Graphic Array), WQVGA(Wide Quarter Video Graphic Array) 등과 같은 다양한 해상도들 중에 어느 하나가 기본 해상도로 설정된다. WVGA는 480*800 픽셀이고, HVGA는 320*480 픽셀이며, WQVGA는 240*400 픽셀이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다른 기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물리적인 해상도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고정된 물리적인 해상도에 기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게 처리해야 한다.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 처리는 컬러 변환(color converting),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ng)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오버레이 영역의 위치와 너비 및 높이가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다. 오버레이 영역을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지정한다는 것은 기본 해상도 내에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본 해상도가 WVGA인 경우 480*800 픽셀 내에서 오버레이 영역이 지정될 수 있다.
하지만 오버레이 영역에 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처리는 여러 가지 제한되는 조건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이후의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거나 오버레이 영역의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의 화면비(aspect ratio)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의 화면비와 다르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와 다를 경우에 만족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오버레이 영역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맞춰 스케일링할 경우에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이미지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설사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같다고 해도 오버레이 영역이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도록 생성되지 못하면 이미지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해상도 중에 서로 다른 물리적 해상도를 가지는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에 공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곤란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처리에 관련된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될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기본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UI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으로 쿼리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받으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UI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한 쿼리를 받으면,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게이션에 의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이 생성되면 상기 플랫폼이 상기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UI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으로 쿼리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이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게이션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이 상기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UI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의해 계산된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플랫폼에 의해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플랫폼으로부터 받아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므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오버레이 영역은 항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될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다 해상도(multi resolution)에 대한 하나의 소스 코드(source code)를 표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기본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통상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영역 지정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영역 지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와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정 상세들이 포함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에 관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하에 설명된 실시 예의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들 및 단어들은 서지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가 가능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다른 장치들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버레이 영역이 이미지 처리의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Television)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오버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애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platform)(104)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102)만을 도시하였으나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104)은 제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로딩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102)은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은 플랫폼(104)의 제어에 의해 버퍼부(106)를 거쳐 디스플레이(118)에 제공됨으로써 디스플레이(118)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플랫폼(104)은 포스트 프로세서(116)를 제어하여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맞춰 이미지 처리를 한다. 통상적으로 포스트 프로세서(116)는 빠른 이미지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되지만,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퍼부(106)는 입력 버퍼(108), 배경면(background) 버퍼(110), 전경면(foreground) 버퍼(112), 병합(merged) 버퍼(114)를 포함한다.
도 2는 통상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예시도이다.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의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118)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102)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오버레이 영역(200)을 생성한다. 이처럼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200)은 버퍼부(106)의 입력 버퍼(108)에 설정된다. 입력 버퍼(108)에 설정된 오버레이 영역(200)은 플랫폼(104)의 제어에 의해 포스트 프로세서(116)에 의해 이미지 처리된다. 이미지 처리된 오버레이 영역(202)은 배경면 버퍼(110)에 저장되고, 전경면 버퍼(112)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킹 칼라 이미지(204)와 병합되어 병합 버퍼(114)를 통해 디스플레이(118)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18)의 화면(206) 상에 오버레이 영역(208)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물리적인 해상도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스트 프로세서(116)는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고정된 물리적인 해상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게 처리해야 한다.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 처리는 예를 들어 컬러 변환(color converting),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ng) 등이 있을 수 있다.
컬러 변환은 애플리케이션(102)이 생성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애플리케이션(102)에 설정된 컬러를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컬러로 변환하는 것이다. 스케일링은 애플리케이션(102)이 생성한 오버레이 영역을 애플리케이션(102)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해상도 간의 비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해상도에서 너비와 높이가 다를 경우, 예를 들어 WVGA인 경우 480*800 픽셀 중에 짧은 쪽인 480 픽셀이 너비에 해당하고 긴 쪽인 800 픽셀이 높이에 해당한다. 애플리케이션(102)의 기본 해상도가 WVGA(480*800 픽셀)이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HVGA(320*480 픽셀)인 경우에 WVGA의 480 픽셀이 HVGA의 320 픽셀에 대응되지 않게 화면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면, 포스트 프로세서(116)는 WVGA의 480 픽셀이 HVGA의 320 픽셀에 대응하도록 오버레이 영역(200)을 스케일링한다. 회전은 애플리케이션(102)의 의도에 따라 오버레이 영역(20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포스트 프로세서(116)가 오버레이 영역(200)의 이미지를 처리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되는 조건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레이 영역(200)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거나 오버레이 영역의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HVGA인 경우 오버레이 영역(200)의 스케일링된 이후의 너비 및 높이가 16의 배수로 제한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오버레이 영역(200)의 위치, 즉 너비 축인 X축 좌표와 높이 축인 Y축 좌표로 정의되는 기준 위치의 X축 좌표와 Y축 좌표가 홀수이지 않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스트 프로세서(116)에 의한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의 화면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의 화면비와 다르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와 다를 경우에 만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같은경우에도 오버레이 영역이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도록 생성되지 못하면 이미지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도록 플랫폼(104)에 의해 계산된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생성하고 플랫폼(104)에 의해 디스플레이(118)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102)은 애플리케이션(102)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플랫폼(104)으로 쿼리(query)한다. 플랫폼(104)은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영역 지정 흐름도이다. 도 3에 보인 흐름도는 제어부(100)의 애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104)이 서로 연관되게 수행하는 단계들을 보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영역 지정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애플리케이션(102)의 기본 해상도는 WVGA이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는 HVGA인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도 3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102)은 (300)단계에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설정하고, (302)단계에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플랫폼(104)으로 쿼리한다. 애플리케이션(102)이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 즉 플랫폼(104)으로 쿼리하는 오버레이 영역의 예를 도 4a에 보였다.
도 4a는 애플리케이션(102)이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402)이 WVGA 화면(400)의 480*800(너비*높이) 픽셀을 기반으로 300*300(너비*높이) 픽셀로 설정된 예를 보인다. 즉 오버레이 영역(402)이 WVGA 화면(400)의 480*800 픽셀 내에서 300*300 픽셀로 설정된다. 상기 (300)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102)이 도 4a처럼 설정한 오버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값은 (X축 좌표, Y축 좌표, 너비, 높이) = (0, 0, 300, 300)이 된다. X축 좌표와 Y축 좌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 즉 WVGA 화면(400) 내에서 오버레이 영역(402)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데, 도 4a에서는 좌측 상단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원점 (0, 0)이 기준 위치로 설정된 예를 보인다. X축 좌표와 Y축 좌표는 각각 원점 (0, 0)으로부터 기준 위치까지의 픽셀 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102)이 상기 (302)단계에서 플랫폼(104)으로 쿼리하는 오버레이 영역의 값은 (0, 0, 300, 300)이 된다.
플랫폼(104)은 상기 (302)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0, 0, 300, 300)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306)단계에서 근사 영역을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린다. 이하의 설명에서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오버레이 영역(402)의 스케일링된 이후의 너비 및 높이가 16의 배수로 제한되며, 기준 위치의 X축 좌표와 Y축 좌표가 홀수이지 않도록 제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플랫폼(104)이 계산한 근사 영역의 예는 도 4b에 보였다.
플랫폼(104)은 오버레이 영역(402)인 300*300 픽셀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200*200 픽셀의 영역(406)에 관해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408)을 계산한다. WVGA는 480*800 픽셀이고, HVGA는 320*480 픽셀이므로, WVGA의 너비 픽셀:HVGA 너비 픽셀 = 480:320으로서 3:2가 된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 영역(402)이 HVGA 화면(404)에 관련되어 3:2로 스케일링된 영역(406)인 200*200 픽셀이 플랫폼(104)이 근사 영역을 계산하는 기준 영역이 된다. 기준 영역(406)의 너비 픽셀 200에 가까우면서도 16의 배수를 만족하는 수는 192와 208인데, 192와 208은 모두 동일하게 200에 대해 8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플랫폼(104)이 계산한 근사 영역은 192*192 픽셀과 208*208 픽셀이 된다. 이처럼 2가지 근사 영역이 계산될 경우, 넓은 근사 영역 또는 좁은 근사 영역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려줄 수도 있고, 2가지를 모두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려주어 애플리케이션(102)이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2가지 근사 영역이 계산될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는 애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104) 중에 누가 한 가지를 선택할 것인지 미리 설정된다. 도 4b는 192*192 픽셀과 208*208 픽셀 중에 208*208 픽셀이 근사 영역(408)으로 선택된 예를 보인다. 또한 오버레이 영역(402)의 기준 위치는 (0,0)으로서 X축 좌표와 Y축 좌표가 모두 홀수가 아니므로 근사 영역(408)의 기준 위치도 그대로 (0,0)이 된다. 만일 오버레이 영역(402)의 기준 위치의 X축 좌표와 Y축 좌표 중에 홀수가 있다면 그 홀수에 근사한 짝수값이 근사 영역(408)의 기준 위치로 플랫폼(104)에 의해 계산된다. 이 경우에도 근사값이 2가지가 될 수 있는데, 2가지 중에 애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104) 중에 누가 한 가지를 선택할 것인지 미리 설정된다.
이처럼 계산된 근사 영역(408)의 208*208 픽셀은 3:2로 스케일링된 200*200 픽셀에 관해 계산된 것이므로, 플랫폼(104)은 스케일링되지 않은 근사 영역을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려야 한다. 이에 따라 플랫폼(104)은 근사 영역(408)의 값 (0, 0, 208, 208)의 스케일링이 되지 않는 값인 (0, 0, 312, 312)을 상기 (306)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린다. 즉, 플랫폼(104)은 208을 스케일링 비율인 3:2에 대응되는 2:3 비율에 따른 312로 바꿔 애플리케이션(102)에 알린다.
애플리케이션(102)은 (306)단계에서 플랫폼(104)으로부터 받은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308)단계에서 생성하여, 입력 버퍼(108)에 설정한다. 도 4c는 애플리케이션(102)이 플랫폼(104)으로부터 받은 근사 영역(408)인 (0, 0, 312, 312)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410)을 생성한 것을 보인다.
이처럼 애플리게이션(102)에 의해 근사 영역(408)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410)이 생성되면, 플랫폼(104)은 (310)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410)의 이미지를 버퍼부(106)와 포스트 프로세서(116)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18)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플랫폼으로부터 받아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므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오버레이 영역은 항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될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다 해상도에 대한 하나의 소스 코드를 표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기본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가 WVGA이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HVGA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해상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가 이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플랫폼에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각각 원격에 위치한 프로그램 제공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오버레이 영역 지정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오버레이 영역 지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어 오버레이 영역 지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 판단, 사용자 인증 및 결재 정보 확인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부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7)

  1.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으로 쿼리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받으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모듈에 의해 제한되는 조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들과 상기 근사 영역은, 각각,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 중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X축 좌표 및 Y축 좌표와, 해당 영역의 너비 및 높이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이후의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는 조건과,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기준 위치가 제한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5.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한 쿼리를 받으면,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게이션에 의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이 생성되면 상기 플랫폼이 상기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모듈에 의해 제한되는 조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들과 상기 근사 영역은, 각각,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 중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X축 좌표 및 Y축 좌표와, 해당 영역의 너비 및 높이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이후의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는 조건과,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기준 위치가 제한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9.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으로 쿼리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이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게이션이 상기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이 상기 생성된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모듈에 의해 제한되는 조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들과 상기 근사 영역은, 각각,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 중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X축 좌표 및 Y축 좌표와, 해당 영역의 너비 및 높이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이후의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는 조건과,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기준 위치가 제한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13.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버레이 영역을 지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플랫폼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의해 계산된 근사 영역에 해당하는 오버레이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플랫폼에 의해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본 해상도에 기반하여 생성하고자하는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플랫폼으로 쿼리하고, 상기 쿼리된 오버레이 영역에 관해 미리 정해진 오버레이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근사 영역을 계산하여 상기 플랫폼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모듈에 의해 제한되는 조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들과 상기 근사 영역은, 각각,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영역 중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X축 좌표 및 Y축 좌표와, 해당 영역의 너비 및 높이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 조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된 이후의 오버레이 영역의 너비 및 높이가 제한되는 조건과,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기준 위치가 제한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영역 지정 장치.
KR1020120038497A 2011-04-19 2012-04-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96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97A KR101961698B1 (ko) 2011-04-19 2012-04-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EP12774837.4A EP2700007B1 (en) 2011-04-19 2012-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PCT/KR2012/002997 WO2012144817A2 (en) 2011-04-19 2012-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US13/451,155 US9117395B2 (en) 2011-04-19 2012-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7012P 2011-04-19 2011-04-19
US61/477,012 2011-04-19
KR1020120038497A KR101961698B1 (ko) 2011-04-19 2012-04-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01A true KR20120123201A (ko) 2012-11-08
KR101961698B1 KR101961698B1 (ko) 2019-03-25

Family

ID=6590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97A KR101961698B1 (ko) 2011-04-19 2012-04-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6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083A (ja) * 2007-09-28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90078698A (ko) * 2008-01-15 2009-07-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090199252A1 (en) * 2008-01-31 2009-08-06 Philippe Wieczorek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083A (ja) * 2007-09-28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90078698A (ko) * 2008-01-15 2009-07-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090199252A1 (en) * 2008-01-31 2009-08-06 Philippe Wieczorek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698B1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00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US10984169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 dynamic loupe for displayed information
US9530187B2 (en) Controlling element layout on a display
EP2625685B1 (en)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US8933971B2 (en) Scale factors for visual presentations
US20140062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zoom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11954464B2 (en) Mini program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30036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template-based content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401007B2 (en) Image providing system, apparatus for same, and image providing method
US20130159899A1 (en) Display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CN105760070B (zh) 用于同时显示更多个项的方法和设备
US11024257B2 (en) Android platform bas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JP4854797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US2014018958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6169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의 오버레이 영역 지정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13703653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32534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4327208B (zh) 一种图例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1494074B1 (en) Systems for ac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an interface
CN113721818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201226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me
KR101941968B1 (ko) 스캐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스캐치 서비스 프로그램
KR101874938B1 (ko) Uwb를 이용하는 다시점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3835792A (zh) 绘制页面元素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