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16B1 -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16B1
KR100775316B1 KR1020040066909A KR20040066909A KR100775316B1 KR 100775316 B1 KR100775316 B1 KR 100775316B1 KR 1020040066909 A KR1020040066909 A KR 1020040066909A KR 20040066909 A KR20040066909 A KR 20040066909A KR 100775316 B1 KR100775316 B1 KR 10077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enu
segment
layout
brow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515A (ko
Inventor
차영인
오태호
김연희
권오현
남기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16B1/ko
Priority to CN2005800356797A priority patent/CN101044772B/zh
Priority to US11/573,865 priority patent/US9426651B2/en
Priority to PCT/KR2005/002726 priority patent/WO2006019275A1/en
Publication of KR2006001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16B1/ko
Priority to US13/029,800 priority patent/US20110207445A1/en
Priority to US15/243,667 priority patent/US102120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이 파일로 저장되는 단계와; B)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에 상기 파일로 저장된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와; C) 상기 세그먼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들에 대한 표시 형식이 단말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메뉴의 미적 감각이 증대되고 서비스 이용자가 메뉴 내용을 감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메뉴, 레이아웃, 뷰 타입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Menu Provided To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 및 표시 형식을 결정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를 도시한 왑 페이지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입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50 : 컨텐츠 제공자
170 : 외부 서버
200 : 통합 관리 장치
300 : 중앙 관리 장치
310 : 컨텐츠 제공자 접속 장치
330 : 전송 장치
330-A : 접속 감지 모듈
330-B : 렌더링 모듈
350 : 인터페이스 장치
400 : 서비스 관리 장치
401 : 세그먼트 관리 모듈
403 : 메뉴 관리 모듈
420 : 컨텐츠 관리 모듈
600 : 단말기 정보 관리 장치
본 발명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메뉴를 시각적으로 디자인하여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소형/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요즘의 이동 단말기는 정보 습득,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의 추가로, 현재 이동 통신 사업자들 또는 이들과 제휴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각종 컨텐츠의 상당 부분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기반으로 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현 시점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대부분의 단말기는 음성 통신을 주 목적으로 하여 제작되어 화면, 즉 LCD 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각 메뉴에 포함되는 선택 항목들의 수가 작고 전체적인 메뉴의 뎁스(Depth)가 깊게 설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왑 메뉴들이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이용자들에게 동일한 형태의 메뉴가 제공되므로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쉽게 메뉴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메뉴를 시각적으로 디자인하여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 되는 메뉴 구현 방법은,
A)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이 파일로 저장되는 단계;
B)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에 상기 파일로 저장된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 및
C) 상기 세그먼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들에 대한 표시 형식이 단말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은,
ⅰ)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장치에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된 세그먼트 및 브라우저 타입이 검색되는 단계; 및
ⅱ) 상기 검색된 세그먼트에 설정된 레이아웃을 갖는 메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에 따른 메뉴의 표시 형식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은,
가)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의 표시 형식이 설정되는 단계;
나)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을 검색하여, 상기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설정된 표시 형식을 갖는 상기 메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는 통합 관리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감지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관리모듈;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를 관리하며, 상기 세그먼트에 메뉴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한 세그먼트 관리 모듈;
상기 메뉴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 및 상기 메뉴의 표시 형식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관리 모듈; 및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된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메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관리모듈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따른 메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렌더링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메뉴의 미적 감각이 증대되고 서비스 이용자가 메뉴 내용을 감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통신 망(120) 및 통합 관리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른 응용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50) 및/또는 외부 서버(170)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다.
통신 망(120)은 유선 망 및 무선 망을 포함하며, 가입자 단말기(100), 컨텐츠 제공 장치(150), 및 외부 서버(170)를 연결한다.
가입자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핸드폰, PD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유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입자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입자 단말기(100)를 이동 단말기에 한정하여 설명하며, 참조 번호 또한 가입자 단말기(100)와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하지만, 가입자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s)는 각종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이다.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자 접속 장치, 중앙 관리 장치, 전 송 장치, 및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개방 구조를 갖고 있어 다른 솔루션(Solution)과 함께 구현될 수 있는 융통성 및 모듈성을 구비한 포탈 플랫폼(Portal Platform)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같은 무선 사업에 관련된 세계적 규정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상기 컨텐츠 제공자의 서비스와 컨텐츠, 및 가입자의 메뉴를 집적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기반 가입 및 CP 정책에 기반으로 한 인증 모델을 제공한다.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용 검색 엔진을 제공하여,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로 키 워드에 의한 검색 및 코드를 이용한 검색이 수행될 수 있도록 왑 페이지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150)는 통신 망(120)을 통하여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에서 계정을 부여 받고 가입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서비스를 등록한다. 이 때,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150)가 가입자 단말기(100)로 서비스 제공 즉, 컨텐츠 제공에 필요한 전체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통합 관리 장치(200)는 외부 서버(17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170)의 일 예로는 과금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171)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통합 관리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자 접속장치(310), 전송 장치(330), 인터페이스 장치(350), 및 중앙 관리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300)는 서비스 관리 장치(400), 및 단말기 정보 관리 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는 통신 망(120)을 통하여 통합 관리 장치(200)의 전송 장치(330)에 접속한다.
상기 전송 장치(330)의 접속 감지 모듈(330-A)에서는 접속된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를 검출한다. 상기 가입자 ID는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즉, MIN, 또는 MDN) 및 Client ID 중 하나이다.
단말기 정보 관리 장치(600)는 단말기 관리 모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기 관리 모듈(610)에서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단말기 관리 모듈(610)에서는 가입자 ID에 따른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단말 정보가 상기 단말기 관리 모듈(610)에서 검색된다.
서비스 관리 장치(400)는 세그먼트 관리 모듈(401) 및 메뉴 관리 모듈(4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그먼트는 운영자가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생성한 서비스 그룹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세그먼트에 가입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운영자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세그먼트를 그룹핑하여 세그먼트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그먼트 관리 모듈(401)에는 가입자 ID에 상응하는 세그먼트 또는 세 그먼트 그룹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어떤 세그먼트에 가입되어 있는지 검색 가능하다. 또한, 세그먼트가 지원하는 메뉴 및 메뉴가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어떤 레이아웃(Layout)으로 디스플레이 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뉴 관리 모듈(403)은 상기 메뉴에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 및 메뉴 항목의 표시 형식을 관리한다.
이 때, 전송 장치(330)의 렌더링 모듈(Rendering Module; 330-B)에서는 상기 메뉴를 상기 단말기 정보에 따라 메뉴의 레이아웃(또는 템플릿; Template) 및/또는 메뉴의 항목들에 대한 표시 형태(View Type)를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렌더링 모듈(330-B)에는 메뉴의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웃의 일 예가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뉴의 각 항목들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형태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표시 형태로는 도 11에 도시 된 바와 같은 텍스트 형식(900), 도 12 및 도 13에 도시 된 바와 같은 인덱스 형식(1000, 1100), 도 14에 도시 된 바와 같은 인덱스 언더바 형식(1200), 및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은 픽토그램 형식(700)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를 구현하기 위한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은 운영자에 의해 생성된 후,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S310).
운영자는 세그먼트를 생성 및/또는 수정할 때 저장된 레이아웃 중 하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S320). 운영자에 의해 세그먼트에 레이아웃이 설정되면, 상기 세그먼트에 가입한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제공되는 메뉴가 상기 레이아웃을 갖고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응용 예에서, 상기 세그먼트에 레이아웃이 설정될 때, 상기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메뉴의 각 계층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이 설정된다. 동일한 세그먼트에 속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 9의 하위 계층 메뉴로써 서로 다른 레이아웃으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또한, 메뉴의 각 항목들에 대한 표시 형식은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S350).
부언하면, 상기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저장 위치 정보(컨텐츠 접속 포인트; Content Entry Point)가 연결된 CP(Content Provider) 접속 메뉴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연결되지 않은 디렉토리 메뉴(Directory Men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레이아웃은 디렉토리 메뉴에만 설정되지만, 표시 형식은 디렉토리 메뉴 뿐만 아니라 CP 접속 메뉴에도 설정된다.
또한, 상기 메뉴의 레이아웃은 메뉴의 항목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에 따라 문자의 폰트가 운영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로 메뉴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장치(200)의 전송 장치(33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전송 장치(330)의 접속 감지 모듈(330-A)에서 상기 가입자 ID를 검출한다(S410, S420).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어떤 세그먼트에 가입되어 있는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Browser) 타입을 검색한다(S430). 즉, 각 세그먼트에서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뉴는 서로 상이하므로, 통합 관리 장치(200)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가 어떤 세그먼트에 가입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세그먼트를 검색한 경우, 상기 세그먼트에서 제공하는 메뉴 및 상기 세그먼트에 설정된 레이아웃을 독출한다.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타입에 따른 메뉴의 표시 형식을 독출한다.
상기 메뉴, 메뉴의 레이아웃, 및 메뉴의 표시 형식을 기반으로 상기 세그먼트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전송 장치(330)의 렌더링 모듈(330-B)에서 재구성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440). 전송된 메뉴가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450).
상기 브라우저의 타입에는 텍스트를 지원하는 텍스트용 브라우저(1.x)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용 브라우저(Next Generation Browser) 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 형식(View Type)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의 표시 형식이 설정된다(S510).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검색한다(S520).
상기 단말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을 검색하고,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설정된 표시 형식을 갖는 상기 메뉴를 이동 단마릭로 전송한다(S530, S540, S550).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 및 표시 형식을 결정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를 도시한 왑 페이지이다.
도 6에 도시 된 웹 페이지(40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중 무선 인터넷 운영자(Mobile Network Operator, 이하 운영자라 한다)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에 대한 레이아웃이 결정된다. 상기 메뉴의 레이아웃은 상기 운영자가 제공하는 메뉴의 하부 계층마다 상이한 레이아웃이 설정된다.
일 예로, 이동 단말기로 통신망(120)을 이용하여 통합 관리 장치(200)에 접속하면,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메인 메뉴가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으로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게임] 항목이 선택되 는 경우, 도 10에 도시 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으로 메뉴가 이동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도 8에서 [뮤직]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 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으로 메뉴가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각 항목들이 아이콘 형식으로 배열되는 레이아웃을 제1 템플릿, 도 10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좌측에 메뉴가 형성되고, 화면의 우측에 선택된 메뉴의 하부 메뉴 또는 그 내용이 배열되는 레이아웃을 제2 템플릿, 도 1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시트(Sheet) 형태로 배열되는 레이아웃을 제3 템플릿이라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템플릿은 소정의 파일로 저장되어 있어, 운영자가 도 6의 웹 페이지(400)에서 메뉴의 레이아웃 이름(즉, 템플릿 이름; 410)을 입력하고, 선택할 템플릿 파일(430) 지정하고, 상기 레이아웃에 대한 간단한 설명(450)을 입력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메뉴의 표시 형태가 어떻게 설정되는지를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의 웹 페이지에서 참조 번호 510의 선택 창(Window)을 통하여 메뉴의 제목에 대한 표시 형식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8의 참조번호 610과 같은 이미지형 제목, 도 10의 참조번호 810과 같이 메뉴의 경로를 표시하는 형식의 제목, 및 도 13의 참조번호 1110과 같은 아이콘 형 제목 등과 같이 다양한 표시 형식이 구현된다.
또한, 도 7의 웹 페이지를 통하여 브라우저에 따른 메뉴의 항목 표시 방법이 설정된다. 참조 번호 530은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가 텍스트용 브라우저(1.x) 인 경우 표시 형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상기 브라우저가 텍스트용 브라우저인 경우 지원하는 표시 형식은 텍스트, 인덱스, 및 인덱스 언더바(Index Under-bar) 등이 있다.
또한, 참조 번호 5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인 경우 지원하는 표시 형식은 텍스트, 인덱스, 인덱스 언더바, 및 픽토그램 등이 있다. 상기 픽토그램(700)의 일 예가 도 9에 구현되어 있다.
상기 픽토그램은 도 7의 웹 페이지 참조번호 550에서 설정된다.
또한, 메뉴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의 모양이 참조번호 560을 통해 설정된다.
게다가, 상기 메뉴에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문자의 폰트가 설정될 수 있는데, 메뉴 전체의 문자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메뉴에 표시되는 문자의 위치에 따라 즉, 상위 단에 위치하는지 하위 단에 위치하는지, 또는 텍스트용인지에 따라 문자의 폰트(Font)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도 7의 참조 번호 570 참조).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메뉴의 레이아웃 및 메뉴의 항목들의 표시 형식에 다양성 및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에 연결된 다수의 하위 계층에 각각의 다른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어 시각적인 단조로움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쉽게 메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6)

  1. A)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이 파일로 저장되는 단계;
    B)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에 상기 파일로 저장된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 및
    C) 상기 세그먼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들에 대한 표시 형식이 단말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세그먼트에 레이아웃이 설정될 때,
    상기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메뉴의 각 계층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연결된 CP 접속 메뉴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연결되지 않은 디렉토리(Directory)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CP 접속 메뉴에는 레이아웃 및 표시 형식이 각각 설정되며, 상기 디렉토리 메뉴에는 표시 형식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레이아웃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에 따라 문자의 폰트가 운영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5. 제 1 항, 제 3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텍스트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인 경우, 텍스트, 인덱스, 및 인덱스 언더바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각 항목의 표시 형식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C-2)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인 경우, 텍스트, 인덱스, 인덱스 언더바, 및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각 항목의 표시 형식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6. ⅰ)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장치에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된 세그먼트 및 브라우저 타입이 검색되는 단계; 및
    ⅱ) 상기 검색된 세그먼트에 설정된 레이아웃을 갖는 메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에 따른 메뉴의 표시 형식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우저 타입은,
    텍스트를 지원하는 텍스트용 브라우저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용 브라우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에 레이아웃을 설정할 때, 상기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메뉴의 각 계층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레이아웃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에 따라 문자의 폰트가 운영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ⅰ)는,
    ⅰ-1)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장치의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ⅰ-2) 상기 전송 장치에서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 및 디바이스 ID를 검출하는 단계; 및
    ⅰ-3)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된 세그먼트가 검색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의 브라우저 타입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바이스 ID로부터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2. 제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ID는 MIN, MDN, 및 클라이언트 ID 중 하나이고, 상기 디바이스 ID는 URI, User Agent, 및 폰 타입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3. 가)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각 항목의 표시 형식이 설정되는 단계;
    나)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을 검색하여, 상기 브라우저 타입에 따라 설정된 표시 형식을 갖는 상기 메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가)는,
    가-1)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가 텍스트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인 경우, 텍스트, 인덱스, 및 인덱스 언더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각 항목의 표시 형식으로 설정되는 단계; 및
    가-2)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인 경우, 텍스트, 인덱스, 인덱스 언더바, 및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각 항목의 표시 형식으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방법.
  15.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의 운영을 관리하는 통합 관리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감지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관리모듈;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를 관리하며, 상기 세그먼트에 메뉴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한 세그먼트 관리 모듈;
    상기 메뉴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브라우저 타입 및 상기 메뉴의 표시 형식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관리 모듈; 및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된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메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관리모듈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따른 메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렌더링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모듈은,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상기 메뉴의 각 항목들을 텍스트 형식, 인덱스 형식, 인덱스 언더바 형식, 및 픽토그램 형식 중 어느 한 형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KR1020040066909A 2004-08-18 2004-08-24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09A KR100775316B1 (ko) 2004-08-24 2004-08-24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CN2005800356797A CN101044772B (zh) 2004-08-18 2005-08-18 用于在移动通信系统及其设备中提供内容的方法
US11/573,865 US9426651B2 (en) 2004-08-18 2005-08-18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05/002726 WO2006019275A1 (en) 2004-08-18 2005-08-18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13/029,800 US20110207445A1 (en) 2004-08-18 2011-02-17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15/243,667 US10212052B2 (en) 2004-08-18 2016-08-22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09A KR100775316B1 (ko) 2004-08-24 2004-08-24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15A KR20060018515A (ko) 2006-03-02
KR100775316B1 true KR100775316B1 (ko) 2007-11-08

Family

ID=3712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909A KR100775316B1 (ko) 2004-08-18 2004-08-24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41B1 (ko) * 2008-01-15 2010-06-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시 편집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86A (ko) * 2001-09-10 2002-03-09 이상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JP2002342659A (ja) * 2001-02-22 2002-11-29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取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659A (ja) * 2001-02-22 2002-11-29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取得システム
KR20020018986A (ko) * 2001-09-10 2002-03-09 이상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15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0512B (zh) 对移动设备的标记数据的解释
CN101512513B (zh) 提供工具栏服务的方法与设备
US8527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retrieving information service on mobile terminal
CN102812452B (zh) 用于显示缓存网页的系统、服务器、终端、方法、以及记录该方法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0710022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upload using a mobile terminal
KR20090101494A (ko) 고정 데이터 및 모바일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방법
CN106095453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1601036A (zh) Web页面上的导航点
CN103294351B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WO2005101874A1 (en) A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ersonal webpage contents and a system thereof
KR100700626B1 (ko) 매쉬업 서비스 시스템
US20070094071A1 (en) Pushing content to browsers
KR20010106590A (ko) 통신상의 웹사이트 통합 검색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KR100775316B1 (ko)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72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페이지를 저장하여 정보제공을 하는방법
JP2006053664A (ja) 識別マーク登録方法、電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82646A (ko) 디지털 맵 환경에서 위치 기반의 블로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236606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ccessing information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Fernando et al. A framework to develop location based services applications using OGC map services
JP2005165872A (ja) 携帯端末向けコンテンツ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805928B2 (ja) 地図表示方法及び経路案内方法
KR100626714B1 (ko) 휴대전화기용 웹 페이지 검색장치
JP2003167835A (ja) 会員登録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1302390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iki previews
EP1282873A1 (en) Dynamic content spreadsheet creation utilizing restricting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