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496A - 튜브 클램프 - Google Patents

튜브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496A
KR20090078496A KR1020080004357A KR20080004357A KR20090078496A KR 20090078496 A KR20090078496 A KR 20090078496A KR 1020080004357 A KR1020080004357 A KR 1020080004357A KR 20080004357 A KR20080004357 A KR 20080004357A KR 20090078496 A KR20090078496 A KR 20090078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tube
clamp
clamp body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419B1 (ko
Inventor
노형준
Original Assignee
노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준 filed Critical 노형준
Priority to KR102008000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건물의 벽체나 천정에 고정된 비임(1)에 장착되어 튜브(3)를 고정하도록 된 튜브 클램프에 있어서, 고정볼트(4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2)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발(14)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발(14)에는 상기 비임(1)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3)에 걸려지는 걸림턱(16)이 형성된 클램프 바디(1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한 쌍의 걸림발(14) 사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가압부재(20)와,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비임(1)에 결합되는 제2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상기 볼트결합부(12)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20)를 상기 제2가압부재(30) 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 사이에 개재된 튜브(3)를 가압 고정되도록 작동하는 고정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 바디, 제1가압부재, 제2가압부재, 고정볼트, 이탈 방지

Description

튜브 클램프{Tube clamp}
본 발명은 튜브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급중에 주요 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튜브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각 사용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과 배관용 파이프가 필요하며, 이러한 다수의 전선이나 배관용 파이프와 같은 튜브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 설치된다. 전선이나 배관 파이프와 같은 튜브를 건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의 비임을 건물의 천장이나 측벽에 고정하고, 비임에는 클램프를 설치하여, 이 클램프에 튜브를 삽입하고 클램프에 의해 튜브를 가압함으로써 건물의 벽체나 천정 등에 튜브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튜브 고정용 클램프는 튜브를 조여주기 위해 작동하는 주요 부분이 취급 중에 이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나아가, 제품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중에 튜브를 조여서 고정하는 주요 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여, 취급이나 사용하기 편리하고, 아울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튜브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벽체나 천정에 고정된 비임(1)에 장착되어 튜브(3)를 고정하도록 된 튜브 클램프에 있어서, 고정볼트(4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2)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발(14)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발(14)에는 상기 비임(1)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3)에 걸려지는 걸림턱(16)이 형성된 클램프 바디(1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한 쌍의 걸림발(14) 사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가압부재(20)와,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비임(1)에 결합되는 제2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상기 볼트결합부(12)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20)를 상기 제2가압부재(30) 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 사이에 개재된 튜브(3)를 가압 고정되도록 작동하는 고정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요 부분을 이루는 클램프 바디에 튜브를 조여서 고정하기 위한 제1가압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이나 취급 중에 튜브를 조여주도록 작동되는 주요 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 등을 해소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취급시 등에 주요 부분이 이탈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를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부재를 클램프 바디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볼트의 회전 작동에 의해 조작할 수 있으므로, 모든 규격의 튜브에 호환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튜브 고정하기 위해 조여주는 힘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제1가압부재와 지지편의 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가압부재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결합부(12)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발(14)이 구비된 클램프 바디(10)와, 이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 치된 제1가압부재(20)와, 이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가압부재(30)와, 클램프 바디(10)의 볼트결합부(12)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볼트(40)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 바디(10)는 중앙부에 고정볼트(4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 관통된 볼트 결합의 양단부에 나란한 한 쌍의 걸이발이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걸이발 일단부(즉, 전단부)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며, 걸이발의 타단부(즉, 후단부)에는 경사 가이드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클램프 바디(10)의 양측 걸이발에는 볼트결합부(12)에서 걸림턱(16)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압부재(20)는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클램프 바디(10)의 볼트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에 한 쌍의 후크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제1가압부재(20)는 클램프 바디(10)의 볼트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에 금속으로 된 지지편(50)이 결합된다.
즉, 지지편(50)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양측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 결합공(52)이 제1가압부재(20)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가압부재(20)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편(50)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걸이편이 돌출 형성되어, 이 가이드 걸이편이 클램프 바디(10)의 양측단 걸이발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결합됨으로써, 제1가압부재(20)가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가압부재(20)가 클램프 바디(10)의 양측단 걸이발 사이에서 전후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제의 지지편(50)에는 클램프 바디(10)의 볼트 결합부에 나사 회전식으로 결합된 고정볼트(40)의 단부가 접촉되어, 고정볼트(40)를 조여주는 작동을 할 때, 합성수지로 된 제1가압부재(20)에 고정볼트(40)가 파고들지 않고 제1가압부재(20)가 클램프 바디(10)의 걸림턱(16) 방향으로 원활하게 전진하도록 지지된다. 즉, 제1가압부재(20)가 튜브(3)의 외면에 가압될 때, 눌리는 힘에 의해 고정볼트(40)가 합성수지로 된 제1가압부재(20)에 파고들 가능성이 있으나, 금속제의 지지편(50)에 고정볼트(40)의 단부가 접촉되므로, 고정볼트(40)를 조여주는 순간에 고정볼트(40)가 합성수지제의 제1가압부재(20)에 파고드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제1가압부재(20)가 전진하여 튜브(3)를 제2가압부재(30)(후술함)와 함께 조여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압부재(30)는 중간부의 양측단에 한 쌍의 탄성조임부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중간부와 탄성조임부가 일체화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제2가압부재(30)는 양측단의 한 쌍의 탄성조임부가 채널 형상의 금속제 비임(1)(천정이나 벽체에 고정된 것)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클램프 바디(10)의 한 쌍의 걸이발에 형성된 걸림턱(16)이 금속제의 비임(1) 내부에 형성된 기역자형 걸턱에 걸려져서 클램프 바디(10)가 고정되고, 제1가압부재(20)는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가압부재(30)는 금속제의 비임(1) 외측에 고정되어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 사이에 전선이나 배관과 같은 튜브(3)를 개재시키고,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볼트결합부(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고정볼트(40)를 조여주면 제1가압부재(20)가 제2가압부재(30)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 사이의 튜브(3)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 부분을 이루는 클램프 바디(10)의 양측 걸이발에 가이드공과 금속재의 지지편(50) 양측단의 가이드 돌출편에 의해 제1가압부재(20)가 안정적으로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튜브(3)를 조여서 고정하기 위한 제1가압부재(20)가 이탈되지 않고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사용이나 취급 중에 튜브(3)를 조여주도록 작동되는 주요 부분, 즉, 제1가압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 등을 해소한 효과가 있으며, 취급시 등에 주요 부분이 이탈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3)를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부재(20)를 클램프 바디(10)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볼트(4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조작할 수 있으므로, 모든 규격의 튜브(3)에 호환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튜브(3)를 고정하기 위해 조여주는 힘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금속제의 지지편(50)에는 클램프 바디(10)의 볼트결합부(12)에 결합된 고정볼트(40)의 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오목홈(56)이 형성되어, 지지볼트의 단부가 지지편(50)의 오목홈(56)에 수용되어 조임 작동되므로, 수차례의 반복적인 지지볼트의 조임 작동시에 지지볼트가 틀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가압부재(20)는 고정될 튜브(3)와 마주하는 면에 복수개의 가압돌기(24)가 더 형성되어, 이 복수개의 가압돌기(24)가 튜브(3)의 표면에 접촉되어 균일하게 조여주는 힘을 작용시키므로, 튜브(3)의 일부가 치우친 힘에 의해 찌그러드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복수개의 가압돌기(24)가 튜브(3)의 표면에 가압 밀착되어 조여주는 힘을 더 높일 수 있으므로, 고정된 튜브(3)가 슬립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이발은 측면에서 볼 때 걸림턱(16)의 반대편 단부에 경사 가이드부(18)가 더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클램프 바디(10)를 금속제의 비임(1)(벽체나 천정에 고정된 것) 내부로 삽입하여 걸어주려고 할 때, 상기 경사 가이드부(18)에 의해 클램프 바디(10)의 한 쌍의 걸이발을 보다 용이하게 비임(1)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제1가압부재와 지지편의 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가압부재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7)

  1. 건물의 벽체나 천정에 고정된 비임(1)에 장착되어 튜브(3)를 고정하도록 된 튜브 클램프에 있어서, 고정볼트(4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2)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발(14)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발(14)에는 상기 비임(1)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3)에 걸려지는 걸림턱(16)이 형성된 클램프 바디(1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한 쌍의 걸림발(14) 사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가압부재(20)와,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비임(1)에 결합되는 제2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상기 볼트결합부(12)에 나사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20)를 상기 제2가압부재(30) 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 사이에 개재된 튜브(3)를 가압 고정되도록 작동하는 고정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20)와 제2가압부재(3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압부재(20)는 상기 고정볼트(40)의 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금속재의 지지편(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20)는 상기 고정볼트(40)의 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두 개의 후크부(2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의 지지편(50)에는 상기 걸림후크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52)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22)에 상기 지지편(50)의 결합공(52)을 끼워서 상기 제1가압부재(20)에 상기 금속재의 지지편(50)을 원터치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양측 걸림발(14)에는 상기 볼트결합부(12)에서 상기 걸림턱(16)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재의 지지편(50)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진 가이드편(5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50)의 상기 가이드편(54)이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상기 걸림발(14)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제1가압부재(20)가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50)에는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볼트결합부(12)에 결합된 고정볼트(40)의 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오목홈(56)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의 단부가 상기 지지편(50)의 오목홈(56)에 수용되어 조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10)는 고정볼트(4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2)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발(14)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발(14)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1가압부재(20)는 고정될 튜브(3)와 마주하는 면에 복수개의 가압돌기(2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이발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걸림턱(16)의 반대편 단부에 경사 가이드부(18)가 더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KR1020080004357A 2008-01-15 2008-01-15 튜브 클램프 KR101026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57A KR101026419B1 (ko) 2008-01-15 2008-01-15 튜브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57A KR101026419B1 (ko) 2008-01-15 2008-01-15 튜브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496A true KR20090078496A (ko) 2009-07-20
KR101026419B1 KR101026419B1 (ko) 2011-04-07

Family

ID=4133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357A KR101026419B1 (ko) 2008-01-15 2008-01-15 튜브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2Y1 (ko) * 2010-08-26 2013-07-3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보강 프레임
KR101406115B1 (ko) * 2013-12-02 2014-06-12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고정장치
KR102640277B1 (ko) * 2023-11-07 2024-02-27 주식회사 이티에스코리아 이탈방지 기능이 적용되고 조립성이 향상된 일체형 튜브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792B1 (ko) * 2023-06-02 2023-11-07 송기정 튜브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231Y2 (ko) 1973-06-27 1978-05-16
JPS547597Y2 (ko) * 1975-12-20 1979-04-09
JPS5437994Y2 (ko) 1976-07-06 1979-11-13
JPS5445199Y2 (ko) * 1977-04-18 1979-12-2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2Y1 (ko) * 2010-08-26 2013-07-3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보강 프레임
KR101406115B1 (ko) * 2013-12-02 2014-06-12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고정장치
KR102640277B1 (ko) * 2023-11-07 2024-02-27 주식회사 이티에스코리아 이탈방지 기능이 적용되고 조립성이 향상된 일체형 튜브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419B1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5825E1 (en) Fast beam clamp
KR101026419B1 (ko) 튜브 클램프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FR2512863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e carreaux pour plafonds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KR101406115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고정장치
US8464987B1 (en) Adjustable conduit clamp
US2384158A (en) Hanger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487132B1 (ko) 원터치 행거
KR200411822Y1 (ko) 배관 클램프
KR20090051729A (ko) 파이프 배관 고정용 배관 클램프
KR101559987B1 (ko) 다양한 구조의 건축 자재 연결이 가능한 클램프
JP2007298113A (ja) 長尺体支持具
KR200454530Y1 (ko) 클램프
KR200442096Y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고정구
KR20090078498A (ko) 원터치 작동식 튜브 클램프
KR200435325Y1 (ko) 전력선 고정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US8938862B2 (en) Tie-down strap with braking system and method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JP5893718B1 (ja) 配線支持金具
JP2009035875A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接合金具
KR200478037Y1 (ko) 천장틀 고정 장치
JP6852900B2 (ja) 配管取付け金具
CN216921142U (zh) 墙壁挂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