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282A -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282A
KR20090078282A KR1020080004142A KR20080004142A KR20090078282A KR 20090078282 A KR20090078282 A KR 20090078282A KR 1020080004142 A KR1020080004142 A KR 1020080004142A KR 20080004142 A KR20080004142 A KR 20080004142A KR 20090078282 A KR20090078282 A KR 20090078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member
housing
cup holder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이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건 filed Critical 이상건
Priority to KR102008000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282A/ko
Publication of KR2009007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홀딩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상기 안착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컵홀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컵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컵홀더의 홀딩부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컵홀더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컵홀더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S : 수용공간
210 : 구동부 220 : 이동부재
23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컵홀더는 음료용기, 종이컵, 머그컵 등의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장치 또는 도구로서, 사용자가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자동차, 버스, 비행기 등 좌석 부근에 설치되거나, 휴대용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컵홀더 내에 냉온기능을 추가되는 등 컵홀더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컵홀더가 자동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 등에 설치되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컵홀더에 수납된 컵 등이 흔들리게 되면서, 컵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컵홀더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용기, 종이컵, 머그컵 등이 수납되므로 수납되는 용기 또는 컵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능동적으로 흔들림 없이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 또는 컵을 흔들림없이 수납할 수 있는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 또는 컵에 대응되어 흔들림없이 수납할 수 있는 컵홀더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개시한 다.
상기 컵홀더는 상기 홀딩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가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안착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감지부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컵홀더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딩부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하거나, 홀딩을 해제하도록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홀딩부 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상기 안착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컵홀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컵홀더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컵홀더의 홀딩부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컵홀더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컵홀더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측벽(110)에 설치되어 수용공간(S)에 수납되는 용기(20)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컵홀더의 설계, 디자인, 구비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자동차의 콘솔박스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의 암레스트(1) 등의 일부로서도 구성이 가능하며, 컵홀더(1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컵홀더의 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나사(11)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는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용기(20)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등 특정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 그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는 수용공간(S) 내에 수납된 용기(2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30)가 끝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20)와; 이동부재(220)와 연결되어 지지부재(23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10)는 이동부재(220)와 연결되어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솔레노이드, 선형모터(리니어모터), 회전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30)가 선형이동하는 경우 이동부재(220) 또한 선형이동이 필요하므로, 구동부(210)가 회전모터인 경우 웜기어, 볼스크류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운동변환장치가 추가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210)는 후술할 지지부재(220)가 용기(20)를 고정하도록 이동부재(2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후술할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5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구동부(210)와 연결되어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하여 지지부재(230)를 용기(20)의 측벽으로 이동시켜 용기(20)를 지지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끝단에는 지지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지지부재(230)의 이동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구동부(21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용공간(S) 내에 수납된 용기(2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는 대부분의 용기(20)가 그 외주면이 곡면인 것을 고려하여 오목한 곡면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를 부드럽게 지지하도록 고무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거나, 용기(20)의 측면과 접하는 면이 고무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용공간(S)에서 용기(20)를 수납할 때 지지부재(230)가 그 인입 또는 인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이동부재(220)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20)의 측면과 접하는 면이 상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용기(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224)가 추가로 설 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220)의 끝단 및 지지부재(230)의 후면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결합보스들(221, 231)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보스들(221, 231)은 결합핀(222)에 의하여 결합되어, 지지부재(230)는 이동부재(2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24)는 지지부재(23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면서 결합핀(222)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20)에는 지지부재(230)가 상측으로 회전될 때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턱(225)이 추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30)가 하우징(100)의 내면 쪽으로 이동되었을때 지지부재(230)의 표면과 완만한 면을 이루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1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재(2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220) 또한 복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10) 또한 복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하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10)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컵홀더의 홀딩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310), 용기(20)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320), 홀딩부의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3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홀딩부가 수용공간(S)에 인입된 용기(20)을 홀딩하거나 홀딩을 해제하거나, 홀딩부의 초기화 등 사용자가 홀딩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조작패널(311)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수용공간(S) 내에서 용기(20)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여, 제어부(300)가 컵홀더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등에 설치된다.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면(12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2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제어부(300)가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지지부재(230)가 용기(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30)의 이동거리 또는 지지부재(230)와 용기(20) 간의 접촉여부 등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하우징(100)의 내측벽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사용되는 센서에 따라서 용기(20)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3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안착감지부는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컵홀더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홀더의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없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는 초기화 상태에 있게 된다.
홀딩부의 초기화 상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사용자가 용기(20)을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키게 되면, 안착감지부(320)는 용기(20)의 인입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안착감지부(320)의 인입신호에 의하여 제어부(3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의 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켜 용기(20)을 홀딩하게 된다. 즉,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가 용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물론 안착감지부(320)의 용기(20)의 유무 감지없이 사용자가 용기(20)을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킨 후에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홀딩부의 구동부(210) 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켜 용기(20)을 홀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홀딩부의 지지부재(230)는 용기(20)를 가압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종이컵과 같이 약한 부재의 용기(20)의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동감지부(330)는 지지부재(230) 및 용기(20) 간의 거리 등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며, 용기(20)에 접촉 또는 근접하였을 때 구동부(210)를 정지시켜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230)가 정지된 위치가 용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위치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하는 경우 지지부재(230)는 지지위치에 지속하여 위치되며, 사용자가 용기(20)를 다시 인입할 때 지지부재(230)는 용기(20)의 크기에 맞도록 위치됨으로써 별도의 이동없이 용기(20)를 홀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용공간(S)에 인입되는 용기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홀딩부를 초기화 시켜 지지부재(2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켜 달라지 크기를 가지는 용기(20)에 맞도록 지지부재(230)를 재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사용자가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하는 경우 안착감지부(320)는 용기(20)가 없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300)는 홀딩부를 초기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310)을 조작하여 홀딩부의 홀딩을 해제 한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부(320)가 저면에 설치되어 용기(20)가 바닥에서 떨어졌을 때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하여 홀딩부의 홀딩을 자동으로 해제 한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컵홀더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인입되었을 때 안착감지부(320)가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한다.
제 2 단계 : 안착감지부(320)로부터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인입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킨다.
제 3 단계 : 이동감지부(330)가 지지부재(230)가 이동하여 용기(20)와 접촉되었을 때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제 4 단계 : 이동감지부(330)로부터 지지부재(320)가 용기(20)와 접촉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지지부재(320)를 정지시킨다.
한편 컵홀더의 제어방법은 제4단계 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초기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2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여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한번 용기가 인입되면 용기의 크기에 맞춰 지지부재를 이동시킨 후 용기의 크기에 대응된 상태를 유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 또는 근접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 또는 근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및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인 이동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가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안착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 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감지부는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6.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 또는 근접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 및 용기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딩부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하거나, 홀딩을 해제하도록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8.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10.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 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홀딩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 또는 근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및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인 이동감지부와;
    상기 안착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컵홀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
  11. 제 10항에 따른 컵홀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가 인입되었을 때 상기 안착감지부가 상기 제어부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안착감지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가 인입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감지부가 상기 지지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용기와 접촉 또는 근접되었을 때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용기와 접촉 또는 근접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정지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초기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의 제어방법.
KR1020080004142A 2008-01-14 2008-01-14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8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42A KR20090078282A (ko) 2008-01-14 2008-01-14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42A KR20090078282A (ko) 2008-01-14 2008-01-14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82A true KR20090078282A (ko) 2009-07-17

Family

ID=4133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142A KR20090078282A (ko) 2008-01-14 2008-01-14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2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829A (ko) * 2015-01-30 2016-08-09 울산과학기술원 지적장애인용 커피 머신
CN106379214A (zh) * 2016-09-30 2017-02-08 宁波东昊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带感应装置的自动夹持杯托
KR2021002674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유락 건조 장치가 구비된 텀블러 세척 장치
KR20220055244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동식 컵 홀더
KR102442918B1 (ko) * 2021-07-08 2022-09-14 주식회사 티에스시 음료 혼합효율을 높이는 차량용 컵홀더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829A (ko) * 2015-01-30 2016-08-09 울산과학기술원 지적장애인용 커피 머신
CN106379214A (zh) * 2016-09-30 2017-02-08 宁波东昊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带感应装置的自动夹持杯托
KR2021002674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유락 건조 장치가 구비된 텀블러 세척 장치
KR20220055244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동식 컵 홀더
KR102442918B1 (ko) * 2021-07-08 2022-09-14 주식회사 티에스시 음료 혼합효율을 높이는 차량용 컵홀더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8282A (ko)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EP1803608B1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Gripping Device
JP4488946B2 (ja) カップホルダー
US20190217788A1 (en)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KR100806356B1 (ko)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05739A1 (en) Cup holder with sensor
US20110199182A1 (en) Sensor actuated storage compartment
US7350757B2 (en) Push type cup holder
US7051985B2 (en) Drawer device
CN205498793U (zh) 储物总成及包括内饰的车辆内饰总成
US8469246B2 (en) Cup holder for vehicle
US20180345875A1 (en)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JP2008221993A (ja) 容器ホルダ装置
TWM572484U (zh) Wireless charging stand
JP2003165370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US20180345842A1 (en) Mechanism for holding at least one article
JP2008221992A (ja) 容器ホルダ装置
JP2008114653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4454468B2 (ja) 蓋付き電動カップホルダ
JP5103996B2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KR102574129B1 (ko) 전동식 컵 홀더
KR101189350B1 (ko) 차량의 전동식 컵 홀더
JPH10291436A (ja) 車両用可倒式アームレスト
KR20050045430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2464881B1 (ko)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