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881B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881B1
KR102464881B1 KR1020200111081A KR20200111081A KR102464881B1 KR 102464881 B1 KR102464881 B1 KR 102464881B1 KR 1020200111081 A KR1020200111081 A KR 1020200111081A KR 20200111081 A KR20200111081 A KR 20200111081A KR 102464881 B1 KR102464881 B1 KR 10246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isposed
fixtur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129A (ko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이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기 filed Critical 이용기
Priority to KR102020011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881B1/ko
Priority to PCT/KR2020/015437 priority patent/WO2022050490A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47G2023/0283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 컵을 수납하고, 수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컵 홀더로서, 감지기 설치부;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부로는 상기 컵이 배치되는 컵 지지대; 사용자의 물건 접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된 상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측으로 컵이 수납되면 제1 및 제2 고정돌기가 컵 표면에 접하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력이 인가되어도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이를 감지하여 컵 수납 상태가 해제되고, 컵을 제거하거나, 컵을 놓으면 다시 컵 수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된 컵에 대하여 소정의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므로, 컵에 담겨진 음료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홀더에 컵이 접근하면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수납이 되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수납 상태가 해제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컵 홀더는 음료용기, 종이컵, 머그컵 등의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장치 또는 도구이다.
컵 홀더는 사용자가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책상이나 의자 등에 설치된다. 또한, 자동차, 버스, 비행기 등 구조물 및 좌석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컵홀더 내에 냉온기능을 추가되는 등 컵홀더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컵 홀더가 배치된 책상이나 의자 등에 소정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컵 홀더에 수납된 컵 등이 흔들리면서, 컵에 담긴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된 컵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컵이 컵 홀더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지만, 컵에 담긴 음료 등의 음용을 위해 고정 수단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수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과정에 많은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5-0088075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으로 컵을 수납할 수 있고, 내측에 수납된 컵이 흔들리지 않도록 컵 수납 상태가 유지되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이를 감지하여 컵 수납 상태가 해제되고, 컵에서 손을 놓으면 다시 컵 수납 상태로 설정되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된 컵에 대하여 소정의 열을 인가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으로 컵을 수납하고, 수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컵 홀더로서, 감지기 설치부; 일정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컵 지지대 본체와, 상기 컵 지지대 본체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부로는 상기 컵이 배치되는 컵 지지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된 상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1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구와,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상기 제1 고정구와 대향하여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2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일단은 상기 복수의 제1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전자변과, 일정 길이를 갖고 단부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위 회전 로드를 포함하고, 일단은 복수의 상기 제1 고정구 중 상기 전자변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고정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회전 로드를 포함하는 컵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기 설치부은, 일정 높이를 갖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지지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컵 지지대 본체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컵 지지대는, 상기 컵에 대하여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여 상기 컵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기 설치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의 손잡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상기 컵의 손잡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1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구와,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상기 제1 고정구와 대향하여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2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일단은 상기 복수의 제1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전자변과, 일정 길이를 갖고 단부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위 회전 로드를 포함하고, 일단은 복수의 상기 제1 고정구 중 상기 전자변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고정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회전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1 고정구의 타단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고정구의 타단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내측으로 컵이 수납되면 제1 및 제2 고정돌기가 컵 표면에 접하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력이 인가되어도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이를 감지하여 컵 수납 상태가 해제되고, 컵을 제거하거나, 컵을 놓으면 다시 컵 수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된 컵에 대하여 소정의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므로, 컵에 담겨진 음료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센서, 제2 센서, 수신부, 제어부 및 홀딩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홀딩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자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홀딩부의 컵 수납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딩부가 감지기 설치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에 컵이 수납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센서, 제2 센서, 수신부, 제어부 및 홀딩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는 감지기 설치부(110), 컵 지지대(120), 감지부(130), 제어부(140), 홀딩부(150)를 포함한다.
감지기 설치부(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내측으로는 컵(1)이 수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해 수납되는 컵(1)은 측면으로는 손잡이(2)가 배치되고,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하단으로는 소정 직경의 받침이 배치되는 형태이다. 여기서는 상기한 컵(1)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컵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기 설치부(110)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감지기 설치부(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컵(1)이 감지기 설치부(110)의 안팎으로 출입하며 컵(1)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감지기 설치부(110)의 내경은 수납 예정인 컵(1)의 하부 직경에 대응한다.
컵 지지대(120)는 감지기 설치부(110)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컵 지지대(120)의 상부로는 컵(1)과 수납을 위해 컵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컵 지지대(120)는 컵 지지대 본체(122)와 회전축 지지대(128)를 포함한다.
컵 지지대 본체(122)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컵 지지대 본체(122)의 내주와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내벽(126)과 외벽(124)이 각각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외벽(124)은 소정의 높이와 원호 길이를 이루고 있으며, 컵 지지대 본체(122)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외벽(124)과 외벽(124)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후술하는 제1 고정돌기(1544)가 출입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대(128)는 소정의 크기를 플레이트 형상으로, 컵 지지대 본체(12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회전축 지지대(128)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축(1542)과 제2 회전축(1552)이 연결된다.
한편, 컵 지지대(120) 상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컵(1)에 대하여 소정의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여, 컵(1)에 저장된 액체(예를 들어, 커피, 우유, 차를 포함함)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온도 조절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감지기 설치부(110)에 배치된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후술하는 홀딩부(150)에 의한 컵(1)의 수납 상태 설정과 수납 상태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감지부(130)는 제1 센서(132A)를 포함한다.
제1 센서(132A)는 감지기 설치부(11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컵 고정 잠금해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52)는 전자변(152)를 ON 동작시켜, 컵 고정장치를 해지한다.
제1 센서(132A)의 감지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132A)는 초음파, 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30)는 제2 센서(132B) 및 수신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132B)는 컵(1)의 손잡이(2)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를 파지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신호는 무선 신호이다. 여기서, 제2 센서(132B)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부(134)는 제2 센서(132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수신부(134)는 제1 센서(132A)와 동일하게 감지기 설치부(110)의 일측 상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컵 손잡이(2)를 파지하면, 후술하는 홀딩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홀딩부(150)는 감지기 설치부(11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감지기 설치부(110)에 수납되는 컵(1)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홀딩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컵(1)의 수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컵(1)의 수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후, 컵(1)이 없거나 컵을 잡았다는 신호가 없으면, 다시 컵(1) 수납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홀딩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딩부(150)는 전자변(152), 제1 고정구(1540), 제2 고정구(1550), 회전 로드(1560)를 포함한다. 또한, 홀딩부(150)는 제1 연결 로드(1546)와 제2 연결 로드(1556)를 더 포함한다.
전자변(152)은 감지기 설치부(1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전자변(152)은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로드(1524)가 전자변 본체(1522)를 따라 이동하며 전체 길이가 가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자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변(152)은 전자변 본체(1522)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자변 본체(1522)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동작 로드(1524)를 포함한다. 전자변(152)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동작 로드(1524)의 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보조 동작 로드(1528)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 동작 로드(1528)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1 고정구(15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동작 로드(1524)의 외주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526)이 배치된다.
전자변(152)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제어부(14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가 전자변(152)으로 입력되면, 동작 로드(1524)가 전자변 본체(152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40)에서 제어 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면, 전자변 본체(1522)는 원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스프링(1526)은 전자변 본체(1522)이 타단으로 이동한 동작 로드(1524)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여, 동작 로드(1524)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한다.
제1 고정구(1540)와 제2 고정구(1550)는 컵 지지대(120) 상에서 컵(1)의 하부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고정구(1540)와 제2 고정구(1550)는 컵(1)의 하단부에 접하며, 컵(1)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컵(1)의 수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제1 고정구(15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고정구(1540)는 2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고정구(1540)는 중간부에 배치된 제1 회전축(1542)에 의해 회전축 지지대(128)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고정구(154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구(1540)의 일단으로는 컵(1)의 하부 측면에 접하며 컵(1)을 고정하는 제1 고정돌기(1544)가 돌출된다. 제1 고정돌기(1544)는 제1 고정구(1540)의 일단 측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제1 고정돌기(1544)의 단부는 첨(尖)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고정돌기(1544)가 돌출되는 제1 고정구(1540)의 일단은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연결 로드(1546)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연결 로드(1546)의 길이는 제1 고정구(1540)의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제1 연결 로드(1546)의 양단은 제1 고정구(1540)의 타단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로 배치된 제1 고정구(1540)가 서로 연동하도록 한다.
제2 고정구(15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고정구(1550)는 2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고정구(1550)는 중간부에 배치된 제2 회전축(1552)에 의해 회전축 지지대(128)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2 고정구(155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구(1550)의 일단으로는 컵(1)의 하부 측면에 접하며 컵(1)을 고정하는 제2 고정돌기(1544)가 돌출된다. 제2 고정돌기(1544)는 제1 고정구(1540)의 일단 측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제2 고정돌기(1544)의 단부는 첨(尖)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고정구(1540)와 제2 고정구(1550)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 로드(1556)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연결 로드(1556)의 길이는 제2 고정구(1550)의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제2 연결 로드(1556)의 양단은 제2 고정구(1550)의 타단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제2 고정구(1550)가 서로 연동하도록 한다.
회전 로드(1560)는 전자변(152)의 길이 변화 시, 제1 고정구(1540)의 동작에 제2 고정구(1550)가 연동하도록 한다.
회전 로드(156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단위 회전 로드(1562)의 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회전 로드(1560)의 타단으로는 제1 고정구(1540)의 타단과 제2 고정구(1550)의 타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홀딩부(15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감지기 설치부(110) 내측에 유지된다.
사용자가 컵 손잡이(2)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100)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제1 센서(132A)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센서(132A)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40)는 컵(1)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변(152)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동작 로드(1524)가 전자변 본체(152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전자변(152)의 이동에 따라, 전자변(15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고정구(1540)의 타단이 당겨진다.
전자변(1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고정구(1540)의 동작은 제1 연결 로드(1546)에 이웃하는 제1 고정구(1540)로 전달되고, 회전 로드(1560)를 통해 제2 고정구(1550)로 전달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고정돌기(1544)와 제2 고정돌기(1554)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홀딩부의 컵 수납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홀딩부(150)는 감지기 설치부(110)의 내측에서 컵 지지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동작하지만,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고 홀딩부(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며 홀딩부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딩부가 감지기 설치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고정돌기(1544)와 제2 고정돌기(1554)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어 있어, 사용자의 컵(1)이 컵 홀더(100)에 수납 가능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100)의 컵 지지대(120)에 컵(1)이 놓여진 후, 사용자가 감지기 설치부(110)에서 멀어지면, 제1 센서(132A)는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면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전자변(152)의 길이 가변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전자변(15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또한, 홀딩부(15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동작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0)는 전자변(15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변(152)의 원상태로 복귀되면 제1 고정구(1540)와 제2 고정구(155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고, 이때 제1 고정돌기(1544)와 제2 고정돌기(1554)는 컵(1)의 표면에 접하여 컵(1)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에 컵이 수납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컵 지지대(120)에 배치된 온도 조절부는 컵(1)에 대하여 소정의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며, 컵(1)에 담겨있는 소정 액체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컵(1)을 다른 위치로 이동하거나, 컵(1)에 저장된 액체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사용자는 홀딩부(150)에 의해 수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컵(1)의 손잡이(2)를 파지한다.
제2 센서(132B)는 손잡이(2)의 파지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수신부(134)를 통해 수신된 후,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제어부(140)는 전자변(152)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이에 따라 전자변(152)의 길이가 감소되어 홀딩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는 컵(1)을 들어올려 컵(1)에 담겨진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측으로 컵이 수납되면 제1 및 제2 고정돌기가 컵 표면에 접하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력이 인가되어도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컵을 잡으면 이를 감지하여 컵 수납 상태가 해제되고, 컵을 제거하거나, 컵을 놓으면 다시 컵 수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된 컵에 대하여 소정의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므로, 컵에 담겨진 음료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컵 홀더 110: 감지기 설치부
120: 컵 지지대 130: 감지부
140: 제어부 150: 홀딩부

Claims (8)

  1. 측면으로는 손잡이가 배치된 컵을 내측에 수납하고, 수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컵 홀더로서,
    감지기 설치부;
    일정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컵 지지대 본체와, 상기 컵 지지대 본체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부로는 상기 컵이 배치되는 컵 지지대;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 파지 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기 설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된 상기 컵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1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구와,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상기 제1 고정구와 대향하여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으로는 상기 컵의 표면에 접하는 제2 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일단은 상기 복수의 제1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자변과,
    일정 길이를 갖고 단부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위 회전 로드를 포함하고, 일단은 복수의 상기 제1 고정구 중 상기 전자변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고정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회전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기 설치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물건 접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 감지 센서와,
    상기 컵의 손잡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설치부은,
    일정 높이를 갖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컵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컵 지지대 본체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컵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대는,
    상기 컵에 대하여 열 또는 냉각열을 인가하여 상기 컵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상기 컵의 손잡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컵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1 고정구의 타단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고정구의 타단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KR1020200111081A 2020-09-01 2020-09-01 컵 홀더 KR10246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81A KR102464881B1 (ko) 2020-09-01 2020-09-01 컵 홀더
PCT/KR2020/015437 WO2022050490A1 (ko) 2020-09-01 2020-11-05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81A KR102464881B1 (ko) 2020-09-01 2020-09-01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29A KR20220029129A (ko) 2022-03-08
KR102464881B1 true KR102464881B1 (ko) 2022-11-08

Family

ID=8049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81A KR102464881B1 (ko) 2020-09-01 2020-09-01 컵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4881B1 (ko)
WO (1) WO202205049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202A (ja) * 1998-11-16 2000-05-2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004041613A (ja) * 2002-07-16 2004-02-12 Keiji Shimabukuro 表示機能を有する飲食用容器保持具
KR100806356B1 (ko) * 2006-12-07 2008-02-27 이상건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JP2008247090A (ja) * 2007-03-29 2008-10-16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64A (ko) * 2013-12-26 2015-07-06 갑을오토텍(주)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컵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202A (ja) * 1998-11-16 2000-05-2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004041613A (ja) * 2002-07-16 2004-02-12 Keiji Shimabukuro 表示機能を有する飲食用容器保持具
KR100806356B1 (ko) * 2006-12-07 2008-02-27 이상건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JP2008247090A (ja) * 2007-03-29 2008-10-16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29A (ko) 2022-03-08
WO2022050490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9309A1 (en) Smart drink container
US3842981A (en) Apparatus for removably holding a liquid beverage container
US9642485B2 (en) Beverage holder
EP2432349B1 (en) Dispensing cap
US5664718A (en) Drink holder
US10279721B1 (en) Container for securely holding conventional cups with lids thereon
US5630523A (en) Interconnected fluid containers
US20010032866A1 (en) Beltclip mounted beverage holder
US20080169688A1 (en) Baby bottle holder and tether system
US20150216338A1 (en) Portable food service assembly
JP6141404B2 (ja) 異なる大きさのレセプタクルの為の保持システムを備えた注出器
KR102464881B1 (ko) 컵 홀더
US10961040B2 (en) Cup sleeve structure
US20190343313A1 (en) Adjustable container holder
US20180134493A1 (en) Collapsible mug handle
EP3213655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robust, collapsible handle
US5383586A (en) Pull out cup and can holder
GB2259239A (en) A plate with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a cup
US20140231608A1 (en) Adjustable Beverage Holder
KR100806356B1 (ko)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54287A1 (en) Serving Pitcher with Integrated Cup Holder
US11523696B2 (en) Portable food service assembly
US20190023357A1 (en) Foldable Watercraft Table
US20210386230A1 (en) Insulated self-righting cup holder
EP1239245B1 (en) Device for Supporting objects for a refrigera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