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573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573A
KR20090077573A KR1020080003596A KR20080003596A KR20090077573A KR 20090077573 A KR20090077573 A KR 20090077573A KR 1020080003596 A KR1020080003596 A KR 1020080003596A KR 20080003596 A KR20080003596 A KR 20080003596A KR 20090077573 A KR20090077573 A KR 2009007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bucket
in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512B1 (ko
Inventor
강용철
이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사
Priority to KR102008000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5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공급 가능하며, 물통과 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통(100)과; 상기 물통(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100)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72,172')가 관통 형성되는 저수캡(170)과;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8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와 물통(100) 사이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패킹(400)이 구비되며, 이러한 밀폐패킹(400)은 다수회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통(100)과 본체(200)에 2 이상의 부분이 접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습기의 사용이 편리하며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가습기, 저수캡, 패킹, 누수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통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공급 가능하며, 물통과 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실내의 공기가 적절한 습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깨끗한 물을 입자화(粒子化)하여 실내의 공기 중에 제공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가습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물통과, 이러한 물통을 지지하며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 등으로 이루어지며, 물통과 본체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물통에 형성되는 급수구는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러한 밸브는 물통이 본체와 결합할 때 본체 상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급수구를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물통에 구비된 밸브를 밀어올려, 급수구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물통 내부의 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물통의 하단에 물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통 내부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물통을 뒤집어서 물유입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습기에서는, 물통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물통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 공급을 위해서는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다음 뒤집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물통과 본체 사이에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패킹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패킹은 물통가 본체에 각각 일면만이 접촉하게 되므로, 밀폐가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상면에 물유입구를 형성하여 물통 상방으로부터 물의 공급이 가능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통 내부에 저수캡이 더 형성되고, 이러한 저수캡에 형성된 다수의 물 유입구가 물통커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과 본체 사이에 다수 벤딩(bending)된 밀폐패킹을 구비하여 물의 누수가 완전히 차단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저수캡과; 상기 저수캡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 는 개폐수);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본체와 물통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밀폐패킹은, 다수회 벤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통과 본체에 2 이상의 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기에 따르면, 물통의 상면에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물유입구는 물통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물통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커버를 개방하여 물통 상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즉, 종래와 같이 물통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뒤집어야 하는 불편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통과 본체 사이에 다수회 벤딩(bending)된 밀폐패킹을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패킹이 물통의 저면과 본체의 상면 여러 부분에 동시에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패킹이 물통과 본체에 여러 부분 접촉하게 되면, 밀폐 효과가 증대되므로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는, 크게 물이 저장되는 물통(100)과,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물통(100)의 전방(도 1에서는 좌측)에 구비되는 전면패널(300)과,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베이스(31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100)은 본체(20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물통(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물이 수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통(100)의 내부에는 정수필터(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정수필터(110)는 상기 물통(100) 내부의 물을 정수하여 상기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물통(100)의 일측(도 1에서는 좌측)에는 배출관(120)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20)은 진동자에 의해 입자화된 물방울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관(120)의 상단부에는 배출되는 증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노즐(130)이 구비된다.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입구인 물유입구(140)가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물유입구(14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물이 상기 물통(100)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유입구(140)는 물통커버(14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물통커버(142)는 상기 물유입구(140)와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유입구(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통커버(142)를 상기 물유입구(1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물통커버(142)는 상기 물통(100)에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상기 물통커버(142)가 원위치 되어 물 통(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물통커버(142)의 상면에는 손잡이(14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44')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손잡이(14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켜 물통커버(142)를 닫거나 열게 된다.
상기 물통커버(142)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축삽입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축삽입부(146)의 내부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82)의 상단이 삽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축삽입부(146)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축삽입부(146)의 내측에는 사각형상의 축삽입홈(146')이 형성된다. 상기 축삽입홈(146')은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82)의 상단 외면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도 2 참조)
한편, 상기 물통(100)의 상단 내부에는 축지지체(148)가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체(148)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8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통(10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통(100)의 하단에는 물공급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부(150)는 상기 물통(100) 내부의 물이 상기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물공급부(150) 상측에 상기 정수필터(11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통(100)의 내부에는 저수캡(170)이 구비된다. 상기 저수캡(170)은 상기 물통(1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저수캡(170)은 상방이 차폐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 어져, 하단 테두리가 상기 물통(100)의 하단에 스크류(screw)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저수캡(17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저수캡(170)의 내부에 상기 정수필터(110)가 수용된다.
상기 저수캡(17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72,172')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72,172')는 상기 저수캡(170)에 관통 형성되어 물 유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입구(172,172')는 상기 저수캡(17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단유입구(172)와, 상기 저수캡(170)의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단유입구(17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는 상하로 동일선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단유입구(172)와 하단유입구(172')는 상하로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리브(184)에 의해 상기 상단유입구(172)와 하단유입구(172')는 동시에 개폐된다.
상기 저수캡(170)의 상단에는 축지지부(17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부(174)는 상기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82)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원형의 축지지홈(1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축지지홈(174')에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82)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된다.
상기 저수캡(170)의 상측에는 개폐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180)은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폐수단(180)은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82)과, 상기 유입구(172,172')와 접하는 개폐리브(18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82)은 상기 축지지체(148)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축삽입홈(146')과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단은 상기 축지지홈(174')과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리브(184)는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와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축(182)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리브(184)는 대략 'ㄱ'자(도 1에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이 상기 회전축(182)과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8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폐리브(184)에 의해 상기 유입구(172,172')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개폐수단(180)은 상기 물통커버(14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180)을 구성하는 회전축(182) 상단이 상기 물통커버(142)에 형성된 축삽입홈(146')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물통커버(142)를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수단(18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리브(184)에 의해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가 차폐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72,172')를 통해서는 물이 상기 저수캡(17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물통커버(142)는 물통(100)으로부터 체결이 풀린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물통커버(142)의 손잡이(144')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물통커버(142)가 물통(1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유입구(140)를 통해 물통(100)의 상방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물통(100) 내부에 물이 수용된다. 즉, 상기 저수캡(170) 외측에 물이 수용된다.
상기 본체(200)의 좌측(도 1에서) 부분에는 물을 입자화시키는 진동자(21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자(210)는 상기 물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진동을 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진동자(210) 주위에는 진동자(210) 및 트랜지스터(transistor, 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히트싱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히트싱크 일측에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이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진동자(210)의 하측에는 소정 크기의 저수실(220)이 형성된다. 상기 저수실(220)은 상기 물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상단부에는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한 물유입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물유입부(230)는 상기 물통(100)의 물공급부(150)와 대응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150)를 통과한 물이 상기 물유입부(230)를 통해 본체(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저수실(220)과 물유입부(230) 사이에는 급수관(240)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240)은 소정 크기의 관(pipe)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유입부(230)를 통해 본 체(200)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저수실(22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급수관(240)에는 히터(242)가 구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240)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상기 히터(242)에 의해 가열된다.
도 3은 상기 물통커버(142)가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여 물통(10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개폐수단(1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리브(184)는 상기 저수캡(17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통커버(142)가 체결되어 상기 개폐리브(184)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수의 물유입구(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저수캡(170) 외부의 물통(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저수캡(17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캡(17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정수필터(110)에 정수된 다음, 상기 급수관(240)을 통해 상기 저수실(220)로 공급되는 것이다.
도 4에는 상기 물공급부(150)와 물유입부(23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는 상기 물통(100)이 상기 본체(200)로부터 분리된 경우의 물공급부(150)와 물유입부(230)의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50)에는 물통(10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물통급수구(15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물통(100)의 하단에는 소정 크기의 물통급수구(15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물통급수구(152)의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밸브(154)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통급수구(152)의 내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급수구(152)의 상측에는 급수밸브(154)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밸브(154)는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부(150)의 하단에는 체결단(156)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156)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200)의 체결홈(27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체결단(156) 내측에는 급수밸브지지단(160)의 하단과 급수밸브스프링(162)이 수용된다.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은 상기 급수밸브(154)를 지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은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급수밸브지지단(160)의 상단에는 상기 급수밸브(154)가 고정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체결단(156)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156) 내측에는 급수밸브스프링(162)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밸브스프링(162)은 상기 급수밸브(154)가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차폐하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급수밸브스프링(162)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의 중앙부를 감싸고 있으며, 하단은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의 하단과 접하고, 상단은 상기 체결단(156)의 내면 상단 즉, 상기 물통급수구(152)가 형성된 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스프링(162)은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의 하단을 하 측으로 밀게 되고, 이러한 급수밸브스프링(162)의 힘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밸브(154)가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150)의 하단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밀폐패킹(400)의 접촉돌기(460,462)가 수용되어 밀착되는 다수의 접촉홈(158,158')이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단(156)의 외측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단차진 면에 각각 제1접촉홈(158)과 제2접촉홈(158')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홈(158)과 제2접촉홈(158')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접촉돌기(460)와 제2접촉돌기(462)가 각각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접하게 된다.
상기 본체(200)에 형성되는 물유입부(230)의 상단에는 본체급수구(25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급수구(250)는 상기 물통급수구(152)와 대응되는 것으로, 원통의 관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상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통과한 물이 상기 본체급수구(250)를 통해 본체(200)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급수구(250) 내측에는 원뿔대 형상의 상방돌기(25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방돌기(252)의 상단은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상방돌기(252)는 상기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방돌기(252) 외측에는 물이 유동하는 통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와 물통(100)의 결합시, 상기 상방돌기(252)는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물통급수구(152)가 개방되도록 한다.(도 4 의 확대도 참조)
그리고, 상기 물유입부(230)의 상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각 단차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홈(260,260')이 각각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패킹홈(260,260')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1패킹홈(260)과 상측에 위치한 제2패킹홈(2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급수구(250)의 상단 외측에는 체결홈(270)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70)은 상기 체결단(15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체결홈(270)에 상기 체결단(156)의 하단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본체(200)와 물통(100) 사이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패킹(4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물유입부(230)와 물공급부(150) 사이에는 밀폐패킹(400)이 구비되어 물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패킹(400)은, 다수회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패킹(400)은 상하와 측방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밀폐패킹(400)은 상기 물유입부(230)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밀폐패킹(400)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홈(270)에 수용되는 내측리브(410)와, 상기 내측리브(410)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수직 절곡된 제1단차면(420)과, 상기 제1단차면(420)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중앙리브(430)와, 상기 중앙리브(4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단차면(440)과, 상기 제2단차면(440)의 외측단으로부 터 하방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리브(4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리브(410)의 하단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내측단부(4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측단부(412)는 상기 체결홈(270)의 하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측단부(412) 상면에 상기 체결단(156)의 하단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리브(450)는 상기 내측리브(410)와 중앙리브(430)의 길이를 더한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패킹(400)에는 다수의 접촉돌기(460,46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460,462)는 상기 물공급부(150)에 형성되는 접촉홈(158,158')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차면(4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제1접촉돌기(460)와, 상기 제2단차면(44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제2접촉돌기(46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물통(100)이 본체(200)와 결합되면, 상기 제1접촉돌기(460)는 상기 제1접촉홈(158)에 수용되고, 상기 제2접촉돌기(462)는 상기 제2접촉홈(158')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밀폐패킹(400)에는 다수의 고정돌기(470,472)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단차면(42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소정 크기의 제1고정돌기(47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면(44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472)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돌기(470,472)는 상기 다수의 패킹홈(260,26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물통(100)이 본체(200)에 결합되면, 상기 제1고정돌기(470)는 상기 제1패킹홈(260)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2고정돌기(472)는 상기 제2패킹홈(260')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고정돌기(470,472)가 패킹홈(260,260')에 끼워져 밀폐패킹(400)이 고정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폐패킹(400)은, 상기 물통(100)과 본체(200)에 2 이상의 부분이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물통(100)이 상기 본체(200)에 결합되면, 상기 밀폐패킹(400)의 제1단차면(420)과 제2단차면(440) 그리고, 내측단부(412) 및 외측리브(450)가 각각 상기 물통(100)과 본체(200)에 접하게 된다.(도 4의 확대도 참조)
이와 같이, 상기 밀폐패킹(400)이 상기 물공급부(150)와 물유입부(230)의 여러 부위에 동시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물통(100)과 본체(2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가 완전히 방지된다.
상기 물통(100)이 상기 본체(20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물유입부(230)와 물공급부(150)의 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에는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밀폐패킹(400)은 상기 물유입부(230) 상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으며, 도 5와 같이 상기 급수밸브(154)는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완전히 차폐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통한 물의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통(100)을 상기 본체(200)의 상면에 얹어 놓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단(156)은 상기 체결홈(270)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패킹(400)의 상하면에는 상기 물통(100)의 하면과 본체(200)의 상면이 각각 접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물통(100)이 본체(200)에 얹어지면, 도 4와 같이 상기 상방돌기(252)는 상기 급수밸브지지단(16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상기 급수밸브(154)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통급수구(152)는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급수구(152)를 통과한 물통(100) 내부의 물이 본체급수구(25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전반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상기 유입구(172,17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구성과 그 작동방법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방법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 및 작동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개폐수단(500)은,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물유입구(1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통커버(510)와, 상기 물통커버(5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통커버(510)는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물유입구(140)와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유입구(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통커버(510)를 상기 물유입구(1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물통커버(510)는 상기 물통(100)에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상기 물통커 버(510)가 원위치 되어 물통(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물통커버(510)의 상면에는 손잡이(51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12)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손잡이(512)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켜 물통커버(510)를 닫거나 열게 된다.
상기 물통커버(510)의 저면 중앙부는 '-'자 형태의 걸림부(514)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부(514)의 양단(전후)에는 상기 물통(100)의 상면에 걸어지는 걸림턱(514')이 전후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커버(510)가 상기 물통(100)에 장착되면, 상기 걸림턱(514')이 상기 물통(100)의 상면에 걸어지게 되므로, 물통커버(51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물통커버(510)의 하측에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상단과 접하는 접촉단(516)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더 형성된다. 상기 접촉단(516)은 가는 환봉 형태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통(100)의 상단 내부에는 축지지체(550)가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체(550)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통(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폐부재(520)가 수용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520)의 상단부는 상기 축지지체(5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반부를 이루는 중심부(522)와, 상기 중심부(522)로부터 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개폐부(5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부(52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지지체(550)와 저수캡(17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524)는,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와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중심부(522)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부(524)는 상기 개폐리브(184)와 같이 대략 'ㄱ'자(도 7에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이 상기 중심부(522)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522)와 개폐부(524) 사이에는 힌지축(526)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526)은 상기 중심부(522)가 상하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부(524)가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힌지축(5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캡(17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지지부(526')에 의해 양단(전후)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힌지축(5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물통커버(510)가 상기 물유입구(140)를 차폐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172,17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중심부(522)의 외주면에는, 상단지지테(530)와 하단지지테(5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단지지테(530)는 상기 중심부(522)의 상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522)가 상기 축지지체(550)의 상측으로 일정 부분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며, 상기 하단지지테(532)는 상기 중심부(522)의 하반부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540)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저수캡(170)의 상단에는 축지지 부(17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축지지부(174)의 내부에는 원형의 축지지홈(1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축지지홈(174')에 상기 개폐부재(520)의 중심부(522)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축지지부(174)의 상단에는 탄성부재홈(17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홈(174")은,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540)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상기 축지지홈(174')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홈(174")은, 상기 축지지홈(174')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540)의 외경보다는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홈(174")에는 탄성부재(540)가 수용된다.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중심부(522)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부재(54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탄성부재홈(174")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테(532)에 접하고,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홈(174")의 저면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중심부(522)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통커버(510)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부재(520)가 원위치하여 상기 유입구(172,172')를 차폐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물통커버(510)가 개방되어, 상기 개폐부재(520)에 의해 상기 유입구(172,172')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단(500)의 작용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7은 상기 물통커버(510)가 개방된 상태이며, 이때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172,172')는 모두 닫힌 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유입구(172,172')를 통해 저수캡(17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통커버(510)를 닫게 되면, 도 8과 같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물통커버(510)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물유입구(140)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물통커버(510)의 접촉단(516)이 상기 개폐부재(520)의 중심부(522) 상단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중심부(522)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힌지축(52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8에서)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520)의 개폐부(524)는 상기 유입구(172,172')로부터 이격되므로, 유입구(172,172')를 통해 상기 저수캡(170)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커버(510)를 누른 상태에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턱(514')이 물통(100) 상면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물통커버(510)의 이탈은 방지된다.
반대로 상기 물통커버(5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물통(100)으로부터 분리하a면,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520)가 원위치되어 도 7과 같이 상기 유입구(172,172')가 모두 차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수단이 회전에 의해 저수캡의 유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물공급부와 물유입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물공급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물유입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2실시예에서 물통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2실시예에서 물통커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물통 150. 물공급부
152. 물통급수구 154. 급수밸브
160. 급수밸브지지단 162. 급수밸브스프링
180,500. 개폐수단 200. 본체
230. 물유입부 250. 본체급수구
400. 밀폐패킹 540. 탄성부재

Claims (11)

  1.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통(100)과;
    상기 물통(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100)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72,172')가 관통 형성되는 저수캡(170)과;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80,5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80)은,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82)과;
    상기 회전축(18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72,172')와 접하는 개폐리브(18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72,172')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리브(184)는 상기 다수의 유입구(172,172')를 동시에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00)의 상단에는,
    물통(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14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구(140)는 물통커버(14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80)은,
    상기 물통커버(14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유입구(172,172')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통(100)과;
    상기 본체(200)와 물통(100)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패킹(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밀폐패킹(400)은, 다수회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통(100)과 본체(200)에 2 이상의 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00)과 밀폐패킹(4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밀착되는 다수의 접촉홈(158,158')과 접촉 돌기(460,46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물유입구(1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통커버(510)와;
    상기 물통커버(5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저수캡(170)의 유입구(172,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20)는,
    힌지축(5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물통커버(510)가 상기 물유입구(140)를 차폐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172,17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20)의 일측에는,
    상기 물통커버(510)의 개방시, 상기 개폐부재(520)가 원위치되어 상기 유입구(172,172')가 차폐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5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80003596A 2008-01-11 2008-01-11 가습기 KR10094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596A KR100947512B1 (ko) 2008-01-11 2008-01-11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596A KR100947512B1 (ko) 2008-01-11 2008-01-11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573A true KR20090077573A (ko) 2009-07-15
KR100947512B1 KR100947512B1 (ko) 2010-03-12

Family

ID=4133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596A KR100947512B1 (ko) 2008-01-11 2008-01-11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8257B (zh) * 2010-10-15 2012-11-07 美的集团有限公司 悬浮式超声波空气加湿器的溢流装置
CN102095235B (zh) * 2011-02-16 2013-02-13 贺发民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51Y1 (ko) * 1984-04-25 1987-03-28 대우전자주식회사 가습기의 정수 장치
JP2000283509A (ja) * 1999-03-30 2000-10-13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KR20030082888A (ko) * 2002-04-16 2003-10-23 이근원 상부주수(上部注水)형 가습기의 물통
JP2005061758A (ja) * 2003-08-19 2005-03-10 Sharp Corp 給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512B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4137062A (ru) Напол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разливочной машины и разливочная машина
US9788702B1 (en) Dripping mop
KR100947512B1 (ko) 가습기
US8490948B2 (en) Apparatus for flow control and shutoff
BRPI0608489B1 (pt) Dispensador, e montagem de dispensador
KR20100068578A (ko)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KR20180007663A (ko) 정수 필터
RU2458199C2 (ru) Паровой утюг с впускным отверстием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KR100663920B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0745124B1 (ko)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KR200488259Y1 (ko) 거품발생 샤워장치
CN102579244B (zh) 便携式清洗器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JP3620039B2 (ja) 液体容器の栓体
KR100947508B1 (ko) 가습기
KR200190459Y1 (ko) 액체구두약용기
KR100502951B1 (ko) 연수기용 재생용기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JP3857158B2 (ja) 洗浄液注出容器の流量調整機構
KR101336545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KR200387251Y1 (ko) 청소용 전동 브러시
KR20210009037A (ko) 치아 세정기 부착가능한 샤워기헤드
KR200393373Y1 (ko) 부구를 이용한 공기배출밸브
CN210688583U (zh) 一种应用于加湿器的水箱结构
KR200393975Y1 (ko) 물병의 공기흡입밸브의 마찰력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