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130A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130A
KR20090077130A KR1020080002902A KR20080002902A KR20090077130A KR 20090077130 A KR20090077130 A KR 20090077130A KR 1020080002902 A KR1020080002902 A KR 1020080002902A KR 20080002902 A KR20080002902 A KR 20080002902A KR 20090077130 A KR20090077130 A KR 2009007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piece
locking
cam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234B1 (ko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08000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2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여,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 로킹, 잠금쇠, 록

Description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손잡이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여,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록 장치로서, 한국등록실용 제 376513호(이하, 종래기술)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일측에서 도어(1)가 개폐되도록 왕복이동되는 잠금구(11)와, 내측에서 상기 잠금구(11)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구(12)로 이루어져 도어(1)의 내측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손잡이(20)와; 상기 베이스(10)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20)와 연동되어 일면에 문자와 점자가 표시된 표시부(30)와; 상기 도어(1)의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표시부(30)의 문자와 점자가 나타나도록 다수개 천공된 하우징(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바나 사각바 형태의 잠금구를 좌우로 왕복이동시켜 도어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사용 유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화장실의 사용 유무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손잡이의 회전각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도어록을 잠글 때에는 손잡이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록을 열 때에는 잠글 때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해야 하므로, 용변이 급한 상황에 처한 이가 화장실을 이용할 때, 당황하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장치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제한을 두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잠금장치에서, 몸체; 상기 몸체에 축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축에 설치되는 캠;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 상기 잠금편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잠금편의 잠금과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장치 손잡이의 회전방향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잠금장치에서, 상기 캠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캠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며, 상기 잠금편에는 상기 돌출부 끝단이 삽입되는 V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와 홈이 형성되어 있어, 잠금 및 열림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잠금장치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제한을 두지 않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므로,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잠금편에 형성되는 홈이 있어, 잠금 및 열림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 몸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잠금장치 걸림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 표시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이며,
도 7은 종래기술인 도어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축(210)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축(210)에 설치되는 캠(250)과 상기 캠(250)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잠금장치의 몸체(100)는 베이스 판과,상측벽,하측벽,좌측벽,우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상측벽,하측벽,좌측벽,우측벽에 의해 뒷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좌측벽 또는 우측벽 중 하나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우측벽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160)이 뚫려있다.
따라서, 캠(250)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잠금편(300)의 끝단은 상기 구멍(160)을 삽입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몸체(100)의 좌,우 측벽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편(110,111,1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10)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벽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111,112)은 우측벽 내부의 상,하 코너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에 후술하는 몸체덮개(150)를 덮을 때, 상기 지지편(110, 111,112)에 의해, 상기 몸체덮개(150)가 상기 몸체(100)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 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덮개(150)는 상기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 형상이다.
상기 몸체덮개(150)에는, 상기 몸체덮개(15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원형상의 구멍(132)이 뚫려있으며, 상기 구멍(132)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나사구멍(191,192)을 갖는 기둥(181,18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둥(181,182)의 길이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도어에 설치될 때, 상기 도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하 내부에는 나사구멍(121,122)을 갖는 "ㄴ"형상의 결합편(141,14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나사구멍(121,122)과, 상기 몸체덮개(150)에 형성된 구멍(123,124)이 연통 되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와 상기 몸체덮개(150)는 결합 된다.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몸체(10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원형상의 구멍(130)이, 상기 구멍(132)과 연통 되도록 뚫려 있다.
상기 구멍(130,132)에는 후술하는 손잡이(200)의 몸통(209)과 축(210)이 삽입 관통된다.
상기 손잡이(200)는 원판형상인 회전판(230)의 앞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밀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230)의 뒷면에는 회전판(230)의 중심에서 이어지는 몸통(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209)에는, 상기 몸통(209)의 단면적 보다 작은 축(210)이 상기 몸통(209)의 중심에서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몸통(209)과 축(210)의 단면은 후술할 캠(250)과 표시판(500)이 함께 연동할 수 있는 타원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130,132)에는 상기 손잡이(200)의 몸통(209)과 축(210)이 삽입 관통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30)의 움직임을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와 회전판(230) 사이에는 패킹(240)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209)에는, 상기 몸통(209)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에 구멍(131)이 형성된 캠(250)이 끼워진다.
상기 몸통(209)의 외주면에는 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20)에는 상기 캠(250)의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스냅링(221)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20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250)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캠(250)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251,252)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상기 몸체(100)에는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30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편(300)은 T자 형태이고, 좌측면에는 V자 형태의 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편(300)에는, 상기 잠금편(30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30)에는 상기 잠금편(300)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10)가 삽입되되, 상기 탄성부재(310)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편(300)의 내측면에는 돌기(340)가 상기 구멍(33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구멍(330)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340)에 의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잠금편(300)이 슬라이딩 될 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캠(250)이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편(300)에 형성된 V자 형태의 홈(320)에 상기 돌출부(251,251)의 끝단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잠금편(300)이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은 같은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 베이스 판의 내부면에는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을 가이드하는 돌출편(1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162)에 의해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은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고, 슬라이딩 된다.
상기 돌출편(162)에는 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0)의 우측 끝단에는 지지편(17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덮개(150)의 내면에도 상기 돌출편(162)과 대응하는 또 다른 돌출편(1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홈(140)과 지지편(170)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되고, 상기 탄성부재(310)가 상기 잠금편(3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는 상기 잠금편(300)의 끝단이 상기 구멍(160)을 통해 삽입 관통될 때, 상기 잠금편(300)을 수용할 수 있는, 걸림구(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400)는 뒷면이 개방된 반달 형상이지만, 상기 걸림구(400)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바꿀 수도 있다.
상기 걸림구(400)의 좌측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4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편(300)의 일단이 상기 구멍(160)과 구멍(420)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구(400)의 내부면에는 돌출부(40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8)에는 상기 구멍(420)과 연통 되는 구멍(409,410)이 상,하로 이격 되어 뚫려 있다.
한편, 걸림구덮개(450)는 상기 걸림구(400)에 대응되는 판 형상이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우측에는 앞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07)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7)에는 상,하로 이격되는 나사구멍(411,4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411,421)은 상기 걸림구덮개(450)를 상기 걸림구(400)에 결합했을 때, 상기 돌출부(408)에 형성되는 구멍(409,410)과 연통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멍(409,410)과 나사구멍(411, 421)이 연통 되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걸림구(400)와 걸림구덮개(45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좌측면에는 지지편(441,44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멍(4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441,442)은 상기 걸림구(400) 좌측면의 상,하부 양끝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걸림구덮개(450)와 상기 걸림구(400)의 결합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에는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구멍(431,432)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431,432)에는 못이나 나사 등을 삽입하여, 상기 걸림구덮개(450)를 벽이나, 도어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뒷면에는 이중 테이프를 더 부착함으로써,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사용중임을 외부에 알리는 표시판(5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시판(500)은 원판형상이고, 상부면은 4등분 되어 있다.
상기 표시판(500)의 상부면에는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상,하 및 좌,우가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 유무를 확인하는 내용으로는 "사용중", "비었음" 등의 글자나, 빨간색과 파란색 등의 색으로도 표현이 가능 하지만, LED 램프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표시판몸체(600)는 하부면이 개방된 타원모양이다.
상기 표시판몸체(600)의 중심에는 원형 구멍(511)이 뚫려있다.
또한, 상기 구멍(5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상기 표시판(500)의 상부면이 표출될 수 있도록, 구멍(501,502)이 이격 되어 뚫려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501,502)은 다수로 형성되어, 본 발명 잠금장치의 사용 유무를 좀 더 확실하게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판(500) 상부면의 중심에는 일자홈(52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일자홈(523)은 상기 구멍(511)에 삽입되어, 상기 표시판(500)과 표시판몸체(600)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일자홈(523)에는 동전이나 드라이버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비상시 외부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판(500) 하부면의 중심에는 관 형상의 축(51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축(510)은 상기 축(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축(510)은 후술하는 표시판덮개(650)의 구멍(133)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축(210)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판(500)은 상기 손잡이(200)와 함께 연동한다.
한편, 표시판덮개(650)는 상기 표시판몸체(600)에 대응되는 판 형상이다.
상기 표시판덮개(650)의 중심에는 구멍(133)이 뚫려있다.
상기 구멍(133)의 외주면에는 보스(17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510)의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구멍(133)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구멍(193,194)이 이격 되어 뚫려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193,194)은 상기 나사구멍(191,192)과 연통 되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표시판덮개(650)와 상기 몸체덮개(150)를 결합한다.
상기 표시판덮개(650) 하부의 양쪽에는 나사구멍을 갖는 지지편(171,17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표시판몸체(6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편(171,172)에 대응되고, 연통 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멍과 상기 지지편(171,172)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표시판몸체(600)와 상기 표시판덮개(650)를 결합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50)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251,252)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상기 캠(250)의 돌출부(251,252)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잠금편(300)이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열려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작동하여 캠(250)이 회전되면, 돌출부(251,252)가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251)가 잠금편(300)의 홈(320)에 삽입되고, 상기 잠금편(300)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수축되면서, 상기 잠금편(300)의 일단을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시켜, 잠금 상태가 된다.
이때, 다시 손잡이(200)를 작동하여 캠(250)이 회전되면, 돌출부(251,252)가 다시 상,하로 배치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이완되면서, 잠금편(300)을 몸체(100)의 내부로 복귀시켜, 열림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장치 손잡이(200)의 회전방향에 제한을 두지 않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므로,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특히, 공중화장실의 잠금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 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잠금장치 걸림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 표시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
도 7은 종래기술인 도어록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지지편 111 : 지지편 112 : 지지편
121 : 나사구멍 122 : 나사구멍 123 : 구멍 124 : 구멍
130 : 구멍 131 : 구멍 132 : 구멍 133 : 구멍
140 : 홈 141 : 결합편 142 : 결합편 150 : 몸체덮개
160 : 구멍 161 : 돌출편 162 : 돌출편 170 : 지지편
171 : 지지편 172 : 지지편 173 : 보스 181 : 기둥
182 : 기둥 191 : 나사구멍 192 : 나사구멍 193 : 나사구멍
194 : 나사구멍 200 : 손잡이 209 : 몸통 210 : 축
220 : 홈 221 : 스냅링 230 : 회전판 240 : 패킹
250 : 캠 251 : 돌출부 252 : 돌출부 300 : 잠금편
310 : 탄성부재 320 : 홈 330 : 구멍 340 : 돌기
400 : 걸림구 407 : 돌출부 408 : 돌출부 409 : 구멍
410 : 구멍 411 : 나사구멍 420 : 구멍 421 : 나사구멍
431 : 구멍 432 : 구멍 441 : 지지편 442 : 지지편
450 : 걸림구덮개 500 : 표시판 501 : 구멍 502 : 구멍
510 : 축 511 : 구멍 523 : 일자홈 600 : 표시판몸체
650 : 표시판덮개

Claims (2)

  1. 몸체;
    상기 몸체에 축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축에 설치되는 캠;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
    상기 잠금편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잠금편의 잠금과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캠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며,
    상기 잠금편에는 상기 돌출부 끝단이 삽입되는 V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1020080002902A 2008-01-10 2008-01-10 잠금장치 KR10091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02A KR100918234B1 (ko) 2008-01-10 2008-01-10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02A KR100918234B1 (ko) 2008-01-10 2008-01-10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30A true KR20090077130A (ko) 2009-07-15
KR100918234B1 KR100918234B1 (ko) 2009-09-21

Family

ID=4133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902A KR100918234B1 (ko) 2008-01-10 2008-01-10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08Y1 (ko) * 2013-03-15 2014-09-26 오충곤 도어록의 잠금봉 밀림 방지장치
KR101487733B1 (ko) *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도어의 점등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42B1 (ko) * 2018-06-15 2019-05-24 오세민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549B2 (ja) 1999-10-12 2009-02-25 株式会社平和 ロック機構
JP2003214411A (ja) * 2002-01-24 2003-07-30 Hitoshi Nishitani 偏芯固定金具
JP4137741B2 (ja) * 2003-08-07 2008-08-20 三菱マテリアルシ−エムアイ株式会社 ロックピン駆動構造
KR100648505B1 (ko) * 2005-02-03 2006-11-27 장응순 이륜차용 시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08Y1 (ko) * 2013-03-15 2014-09-26 오충곤 도어록의 잠금봉 밀림 방지장치
KR101487733B1 (ko) *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도어의 점등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234B1 (ko) 200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738B2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20140035041A (ko) 룸 사용 알림과 사용시 열림 방지 기능을 가진 도어록 장치
KR20160015907A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18234B1 (ko) 잠금장치
KR1009032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JP2008308943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200290648Y1 (ko) 화장실용 도어록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238414Y1 (ko)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200360630Y1 (ko) 자성체를 이용한 유리문 도어록 장치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JP2009024335A (ja) 錠装置
JPH0526209Y2 (ko)
JP2006257651A (ja) 扁平状プッシュプル式レバー体構造物
KR100283439B1 (ko) 출입문 안전 잠금장치
KR100450580B1 (ko) 출입문용 키박스장치
KR200195994Y1 (ko) 문 괘·해정장치
JP4506589B2 (ja) 施錠表示装置
KR200301881Y1 (ko) 손잡이가 장착된 강화유리문 양도어 개폐장치
JP3097596U (ja) 両用式のスーツケース用センターロック
KR200226114Y1 (ko) 도어의 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