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114Y1 - 도어의 록크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록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114Y1
KR200226114Y1 KR2020000024607U KR20000024607U KR200226114Y1 KR 200226114 Y1 KR200226114 Y1 KR 200226114Y1 KR 2020000024607 U KR2020000024607 U KR 2020000024607U KR 20000024607 U KR20000024607 U KR 20000024607U KR 200226114 Y1 KR200226114 Y1 KR 200226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tcher
case
ratchet member
lock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4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114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록크장치는, 문틀(10)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100)과, 문짝(20)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100)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안이 필요한 연구실, 아파트, 상가, 연립주택, 사무실 등의 경비절감을 위한 시설물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록크장치{A ROCK APPARATUS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의 록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이 필요한 연구실, 아파트, 상가, 연립주택, 사무실 등의 시설물의 현관 및 룸도어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록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도어의 록크는 매번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서만 록킹상태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이 필요한 연구실, 아파트, 상가, 연립주택, 사무실 등의 시설물에 적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에서 도어를 열때 통제실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는 2가지 기능과, 실외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1가지 기능과, 실내에서 무조건 도어를 수동으로 열수 있는 기능을 동시 부여하여, 보안이 필요한 연구실, 아파트, 상가, 연립주택, 사무실 등의 경비절감을 위한 시설물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도어의 록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록크장치는, 도어의 록크장치에 있어서, 문틀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과, 문짝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으로 구성으로서, 상기 제1록크수단은,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제2록크수단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캐처와, 상기 힌지핀에 장착되어 탄발력에 의해 제1캐처를 상기 제2록크수단과 록킹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일측에 장착되어 솔레노이드의 온(ON)동작시 상기 제1캐처가 회동되게 안내하며 또한 솔레노이드의 오프(OFF)동작시 제1캐처가 회동되지 않게 차단하는 슬라이드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록크장치는, 도어의 록크장치에 있어서, 문틀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과, 문짝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으로 구성으로서, 상기 제2록크수단은,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제1록크수단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래칫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를 후진동작시키는 핸들 어세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를 상기 제1록크수단을 향해 밀어주는 제1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핸들 어세이부가 일방향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는 제2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슬라이드가능케 지지되어 그 일측단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또는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래칫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2래칫부재의 전후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래칫부재의 전후동작을 제어하는 제2캐처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래칫부재의 후진동작시 전자신호에 따라 제2캐처와 제1래칫부재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열때 상기 제2캐처와 제1래칫부재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회전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문짝에 설치된 제1록크수단과 문틀에 설치된 제2록크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문짝에 설치된 제1록크수단과 문틀에 설치된 제2록크수단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에 의한 제1록크수단의 솔레노이드의 오프동작에 따라 제1캐처가 회동되지 못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3b는 본 고안에 의한 제1록크수단의 솔레노이드의 온동작에 따라 제1캐처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제1록크수단의 내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고5는 본 고안에 의한 제2록크수단의 내외측 핸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제1록크수단의 제1캐처가 캐처의 후진동작에 따라 도어를 열수없는 상태를 도시한 내부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제1록크수단의 제1캐처가 캐처의 전진동작에 따라 열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내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문틀 20 : 문짝
100 : 제1록크수단 102 : 케이스
104 : 힌지핀 106 : 제1캐처
106a : 절결홈 108 : 스프링
110 : 솔레노이드 112 : 슬라이드축
112a : 작은 외경부 112b : 큰 외경부
200 : 제2록크수단 202 : 케이스
206 : 제1래칫부재 206a : 머리부
206b : 다리부 206c : 걸림블록
208 : 핸들 어세이부 210 : 제1스프링
212 : 제2스프링 214 : 제2래칫부재
214a : 머리부 214b : 다리부
214c : 제5고정축 216 : 제2캐처
216a : 장홀 216b : 사각홀
218 : 제3스프링 220 : 솔레노이드
220a : 작동축 222 : 열쇠
224 : 회전블록 230 : 제1회전체
230a : 푸시블록 230b : 제4고정축
232 : 제2회전체 234 : 제1핸들축
236 : 제2핸들축 238 : 실내측 핸들
240 : 실외측 핸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록크장치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0)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100)과, 문짝(20)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100)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록크수단(100)은, 상기 문틀(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12)에 삽입되어 예를 들어 다수의 체결나사(도시안됨)에 의해 결합되는 케이스(102)와, 상기 케이스(102)의 일측에 힌지핀(104)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제1캐처(106)와, 상기 힌지핀(104)의 외주에 끼워져 그 일측단이 상기 제1캐처(106)의 일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상기 케이스(102)의 일측에 결합되어 그 탄발력에 의해 제1캐처(106)를 상기 제2록크수단(200)과 록킹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비틀림형상의 스프링(108)과, 상기 케이스(102)에 고정되어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솔레노이드(110)와, 상기 솔레노이드(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솔레노이드(104)의 온(ON)동작시 상기 제1캐처(106)가 회동되게 안내하며 또한 솔레노이드(110)의 오프(OFF)동작시 제1캐처(106)가 회동되지 않게 차단하는 슬라이드축(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캐처(106)는 디긋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양쪽 끝단이 상기 힌지핀(104)에 의해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 일측에 회동자유롭게 힌지되고, 그 일측 단부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10)의 온동작시 도3a와 같이 솔레노이드(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축(112)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작은 외경부(112a)와 대향되어 끼워지면서 그 끼워진 거리만큼 제1캐처(106)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솔레노이드(110)의 오프동작시 도3b와 같이 솔레노이드(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축(112)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큰 외경부(112b)와 대향되어 걸리면서 제1캐처(106)가 회동될 수 없도록 하는 절결홈(10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록크수단(200)은, 상기 문짝(2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22)에 삽입되어 예를 들어 다수의 체결나사(도시안됨)에 의해 결합되는 케이스(202)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각각 돌설된 제1 및 제2안내돌출부(204a,204b)의 안내를 받아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제1록크수단(100)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래칫부재(206)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02a)에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를 후진동작시키는 핸들 어세이부(208)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돌설된 제1고정축(204c)에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를 상기 제1록크수단(100)을 향해 밀어주는 태엽형상의 제1스프링(210)과,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돌설된 제2고정축(204d)에 지지되어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가 일방향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는 태엽형상의 제2스프링(212)과,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슬라이드가능케 지지되어 그 일측단이 케이스(202)의 외부로 돌출 또는 케이스(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래칫부재(214)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돌설된 제3고정축(204e)에 지지되어 상기 제2래칫부재(214)의 전후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전후동작을 제어하는 제2캐처(216)와, 상기 제2래칫부재(214)와 제2캐처(216)에 연결되어 제2래칫부재(214)가 전방으로 탄발 지지되게 하는 코일형상의 제3스프링(218)과,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작동축(220a)이 상기 제2캐처(2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2래칫부재(214)의 후진동작시 전자신호에 따라 제2캐처(216)와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220)와, 상기 케이스(2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222)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열때 상기 제2캐처(216)와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회전블록(2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202)는, 상자형상의 몸체와 덮개로 이루어져 서로 다수의 체결나사(도시안됨)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는 상기 문짝(20)의 외부로 돌출되어 문짝(20)의 두께면에 고정되는 전면판(202b)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202b)의 일측 2곳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전단부와 제2래칫부재(214)의 전단부가 케이스(202)의 외부로 돌출 또는 돌입되도록 관통홀(부호도시안됨)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래칫부재(206)는, 상기 케이스(202)의 전면판(202b)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 또는 돌입되는 쐐기형상의 머리부(206a)와, 상기 머리부(206a)의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두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다리부(206b)와, 상기 다리부(206b)의 한쪽 끝단에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의 일측과 접촉되는 걸림블록(20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2)의 몸체와 덮개와의 사이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포개어지면서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다리부(206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케이스(202)의 몸체와 덮개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202a)에 각각 지지되는 제1 및 제2회전체(230,232)와, 상기 케이스(202)의 몸체와 덮개의 외부에서 상기 제1회전체(230)와 제2회전체(232)의 회전중심에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됨과 동시에 서로 대응되는 끝단이 요철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핸들축(234,236)과, 상기 케이스(202)의 외측에서 상기 제1핸들축(234)과 제2핸들축(236)의 단부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결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핸들(238)(2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체(230)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다리부(206b)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블록(206c)에 접촉되어 제1회전체(230)의 회전시 걸림블록(206c)을 밀어 제1래칫부재(206)의 전체가 후진동작되도록 푸시블록(230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블록(230a)의 끝단 상면에는 상기 제2스프링(212)의 끝단이 걸리도록 제4고정축(230b)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래칫부재(214)는, 상기 케이스(202)의 전면판(202b)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 또는 돌입되는 쐐기형상의 머리부(214a)와, 상기 머리부(214a)의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2캐처(216)의 하부에 포개어지는 다리부(214b)와, 상기 다리부(214b)의 끝단에 상향되게 돌설되어 상기 제2캐처(216)의 장홀(216a)내에 수용되는 제5고정축(21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캐처(216)는, 기역자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두변이 만나는 코너부분이 상기 케이스(202)에 돌설된 제3고정축(204e)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케 지지되고, 상기 코너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3고정축(204e)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제2래칫부재(214)의 제5고정축(214c)이 수용되도록 장홀(216a)이 형성되며, 그 일측단에는 상기 회전블록(224)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면서 제2캐처(216)의 전체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사각홀(216b)이 형성되고, 그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2래칫부재(214)의 제5고정축(214c)과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도록 제6고정축(216c)이 상향되게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3스프링(218)의 양측단은 상기 제2래칫부재(214)에 돌설된 제5고정축(214c)과 제2캐처(216)에 돌설된 제6고정축(216c)에 각각 고정되어 인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블록(224)은 실외에서 상기 열쇠(222)의 회전동작에 의해 동시 연동되어 90°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캐처(216)에 형성된 사각홀(216b)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일자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2c는 상기 케이스(202)의 몸체 내면에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후진동작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실외에서 도어를 열수 있는 방법으로는 문틀(10)에 장착된 제1록크수단(100)과 문짝(20)에 장착된 제2록크수단(2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수 있는 2가지와, 상기 제2록크수단(200)에서 수동으로 열수 있는 1가지로 분류된다.
즉, 실외에서 제1록크수단(1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는 방법은, 먼저 통제실에서 스위치(도시안됨)를 온 동작시키면 이 신호에 따라 마이콤이 동작되면서 문틀(10)에 장착된 케이스(102)내의 솔레노이드(11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고, 이 솔레노이드(110)는 인가된 전원에 따라 동작되면서 솔레노이드(110)에 연결된 슬라이드축(112)을 잡아당기게 되며, 이 슬라이드축(112)은 그 작은 외경부(112a)와 상기 케이스(102)에 힌지핀(10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1캐처(106)의 절결홈(106a)이 서로 대응되게 일치되어 끼워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실외에서 실외측 핸들(240)을 잡고(회전시키지 않아도 됨) 도어를 앞으로 당기면, 제2록크수단(200)측 제1래칫부재(206)의 머리부(206a)가 문짝(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크수단(100)측 제1캐처(106)를 밀게 되고, 이 제1캐처(106)는 힌지핀(10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안쪽으로 회동되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절결홈(106a)이 상기 슬라이드축(112)의 작은 외경부(112a)에 끼워진다.
즉, 제1록크수단(100)측 제1캐처(106)는 상기 절결홈(106a)이 슬라이드축(112)의 작은 외경부(112a)에 일치될 경우에만 소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외측 핸들(240)을 잡아 당길 경우 이 힘에 의해 제2록크수단(200)측 제1래칫부재(206)와 충돌하여 밀리면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래칫부재(206)와 걸림상태가 해제됨은 물론,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실외에서 제2록크수단(2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는 방법은, 먼저 통제실에서 또 다른 스위치(도시안됨)를 온 동작시키면 이 신호에 따라 마이콤이 동작되면서 문짝(20)에 장착된 케이스(202)내의 솔레노이드(22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고, 이 솔레노이드(220)는 인가된 전원에 따라 동작되면서 솔레노이드(220)에 연결된 작동축(220a)을 잡아당기게 되며, 이 작동축(220a)은 그 끝단에 연결된 제2캐처(216)를 일방향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제2캐처(216)는 케이스(202)에 돌설된 제3고정축(204e)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제2캐처(216)의 일측단과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된다.
이때, 실외측 핸들(2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외측 핸들(240)과 제2핸들축(236)을 매개로 연결된 제2회전체(232)와 제1회전체(230)가 동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회전체(23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둘레 일측에 일체로 돌설된 푸시블록(230a)이 동시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다리부(206b)에 돌설된 걸림블록(206c)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처럼, 제1래칫부재(206)는 후진동작될때 케이스(202)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설된 제1 및 제2안내돌출부(204a,204b)의 안내에 따라 소정위치로 후진되면서 그 머리부(206a)가 케이스(202)의 전면판(202b)에 형성된 관통홀(부호도시안됨)속으로 삽입됨으로써 문틀(10)에 장착된 제1록크수단(100)측 제1캐처(106)와 문짝(20)에 장착된 제2록크수단(200)측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실외측 핸들(240)을 당기면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실외에서 제2록크수단(200)을 이용하여 도어를 수동으로 열수 있는 방법은, 먼저 실외에서 열쇠(222)를 사용하여 회전블록(224)에 결합시킨 후 열쇠(222)를 회전시키면 회전블록(224)의 일측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회전블록(224)의 일측과 연결된 제2캐처(216)의 사각홀(216b)이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캐처(216)의 전체는 케이스(202)에 돌설된 제3고정축(204e)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제2캐처(216)의 일측단과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된다. 이때, 제1래칫부재(206)는 상술한 솔레노이드(220)의 방식과 같이 실외측 핸들(240)을 회전시킬때 후진동작되면서 문틀(10)에 장착된 제1록크수단(100)측 제1캐처(106)와 문짝(20)에 장착된 제2록크수단(200)측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주기 때문에 실외측 핸들(240)을 회전시키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실내에서 제1록크수단(10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는 방법은, 먼저 실내측 핸들(23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래칫부재(206)가 후진동작되면서 문틀(10)에 장착된 제1록크수단(100)측 제1캐처(106)와 문짝(20)에 장착된 제2록크수단(200)측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어가 무조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록크장치는, 문틀과 문짝에 제1록크수단과 제2록크수단을 서로 대응되게 마주하도록 각각 장착하고, 상기 제1록크수단이 전원공급에 의해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구성하며, 제2록크수단이 전원공급에 의해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게 하거나 또는 실외에서 열쇠조작에 의해 잠금상태가 수동조작으로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안이 필요한 연구실, 아파트, 상가, 연립주택, 사무실 등의 경비절감을 위한 시설물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도어의 록크장치에 있어서,
    문틀(10)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100)과, 문짝(20)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100)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200)으로 구성으로서,
    상기 제1록크수단(100)은, 케이스(102)의 일측에 힌지핀(104)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제2록크수단(200)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캐처(106)와, 상기 힌지핀(104)에 장착되어 탄발력에 의해 제1캐처(106)를 상기 제2록크수단(200)과 록킹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스프링(108)과, 상기 케이스(102)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110)와, 상기 솔레노이드(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솔레노이드(110)의 온(ON)동작시 상기 제1캐처(106)가 회동되게 안내하며 또한 솔레노이드(110)의 오프(OFF)동작시 제1캐처(106)가 회동되지 않게 차단하는 슬라이드축(1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처(106)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10)의 온동작시 상기 슬라이드축(112)의 작은 외경부(112a)와 대향되어 끼워지면서 그 끼워진 거리만큼 제1캐처(106)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솔레노이드(110)의 오프동작시 슬라이드축(112)의 큰 외경부(112b)와 대향되어 걸리면서 제1캐처(106)가 회동될 수 없도록 하는 절결홈(10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3. 도어의 록크장치에 있어서,
    문틀(10)에 장착되어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제1록크수단(100)과, 문짝(20)에 장착되어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또한 실외에서는 상기 제1록크수단(100)의 해제동작이나 또는 열쇠조작 및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는 제2록크수단(200)으로 구성으로서,
    상기 제2록크수단(200)은,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제1록크수단(100)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래칫부재(206)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를 후진동작시키는 핸들 어세이부(208)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를 상기 제1록크수단(100)을 향해 밀어주는 제1스프링(210)과,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가 일방향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는 제2스프링(212)과,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슬라이드가능케 지지되어 그 일측단이 케이스(202)의 외부로 돌출 또는 케이스(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래칫부재(214)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2래칫부재(214)의 전후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전후동작을 제어하는 제2캐처(216)와, 상기 케이스(202)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래칫부재(214)의 후진동작시 전자신호에 따라 제2캐처(216)와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220)와, 상기 케이스(2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222)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열때 상기 제2캐처(216)와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회전블록(2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칫부재(206)는, 상기 케이스(202)의 전면판(202b)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 또는 돌입되는 머리부(206a)와, 상기 머리부(206a)의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두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다리부(206b)와, 상기 다리부(206b)의 한쪽 끝단에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의 일측과 접촉되는 걸림블록(206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세이부(208)는, 상기 케이스(202)내에 회전 자유롭게 포개어지도록 케이스(202)의 관통홀(202a)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회전체(230,232)와, 상기 케이스(202)의 몸체와 덮개의 외부에서 상기 제1회전체(230)와 제2회전체(232)의 회전중심에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됨과 동시에 서로 대응되는 끝단이 요철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핸들축(234,236)과, 상기 케이스(202)의 외측에서 상기 제1핸들축(234)과 제2핸들축(236)의 단부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결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핸들(238)(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230)는, 그 둘레 일측에 돌설되어 상기 제1래칫부재(206)의 걸림블록(206c)에 접촉되면서 제1회전체(230)의 회전시 걸림블록(206c)을 밀어 제1래칫부재(206)의 전체가 후진동작되게 하는 푸시블록(230a)과, 상기 푸시블록(230a)의 끝단 상면에 돌설되어 상기 제2스프링(212)의 끝단이 걸리게 하는 제4고정축(230b)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칫부재(214)는, 상기 케이스(202)의 전면판(202b)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 또는 돌입되는 쐐기형상의 머리부(214a)와, 상기 머리부(214a)의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2캐처(216)의 하부에 포개어지는 다리부(214b)와, 상기 다리부(214b)의 끝단에 상향되게 돌설되어 상기 제2캐처(216)의 장홀(216a)내에 수용되는 제5고정축(21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처(216)는, 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래칫부재(214)의 제5고정축(214c)이 수용되게 하는 장홀(216a)과, 그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블록(224)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면서 제2캐처(216)의 전체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사각홀(216b)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래칫부재(214)와 제2캐처(216)는 인장력을 가진 제3스프링(218)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10.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224)은 상기 제2캐처(216)에 형성된 사각홀(216b)을 이용하여 제2캐처(216)와 제1래칫부재(206)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도록 90°의 각도로 회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크장치.
KR2020000024607U 2000-08-30 2000-08-30 도어의 록크장치 KR200226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07U KR200226114Y1 (ko) 2000-08-30 2000-08-30 도어의 록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07U KR200226114Y1 (ko) 2000-08-30 2000-08-30 도어의 록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114Y1 true KR200226114Y1 (ko) 2001-06-01

Family

ID=7305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607U KR200226114Y1 (ko) 2000-08-30 2000-08-30 도어의 록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1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CN105298225A (zh) 插锁
WO2010095831A2 (ko) 도어락
US4941697A (en) Over-loading idling lock set
KR20140148049A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200226114Y1 (ko) 도어의 록크장치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22505Y1 (ko) 도어록 잠금장치
KR101164584B1 (ko)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RU218618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ей жилых домов
KR100940861B1 (ko)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