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116A - 이젤 - Google Patents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116A
KR20090077116A KR1020080002870A KR20080002870A KR20090077116A KR 20090077116 A KR20090077116 A KR 20090077116A KR 1020080002870 A KR1020080002870 A KR 1020080002870A KR 20080002870 A KR20080002870 A KR 20080002870A KR 20090077116 A KR20090077116 A KR 2009007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clip
easel
clip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997B1 (ko
Inventor
송천섭
Original Assignee
송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천섭 filed Critical 송천섭
Priority to KR102008000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9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지지구에 수직으로 뚫어진 수직유통공에는 상단에 화판고정클립이 장착된 승강봉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중앙지지구의 전면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와 하나의 후방지지대다리로 된 삼각다리를 굴대 설치하여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전방받침대다리와 후방지지대다리는 굵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봉을 다단으로 결합(삽입)하여 신장/단축시키되 최하단의 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 고정클립을 장착한 이젤에 있어서,
상기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에서 최하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는 고정클립의 전면에 화판받침구가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클립뭉치를 장착하고, 승강봉이 상측에서 수직으로 삽입되고 삼각다리가 하측에 설치되는 중앙지지구의 배면에는 승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에서 최하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는 화판받침클립뭉치를 장착하여 화판받침구를 상측으로 접어 보관 또는 휴대하거거나 외측(수평)으로 전개시켜 화판 또는 합판을 받쳐 지지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화판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하거나 화판받침대를 분실하는 폐단을 해소하며, 중앙지지구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승강봉록킹장치에 의해 화판 또는 합판의 크기(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강봉을 록킹/해제시켜 킬 수 있다.
중앙지지구. 고정부재. 승강봉. 화판고정클립. 화판받침대클립뭉치.

Description

이젤{A EASEL}
본 발명은 화판을 받쳐 지지해주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지지구에 수직으로 뚫어진 수직유통공에는 상단에 화판고정클립이 장착된 승강봉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중앙지지구의 전면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와 하나의 후방지지대다리로 된 삼각다리를 굴대 설치하여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전방받침대다리와 후방지지대다리는 굵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봉을 다단으로 결합(삽입)하여 신장/단축시키되 최하단의 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 고정클립을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에서 최하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는 고정클립의 전면에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구를 상측으로 접어주거나 외측(수평)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화판받침클립뭉치를 장착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화판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하지 않고도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화판받침클립뭉치의 화판받침구를 전개시켜 화판 또는 합판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으로 삽입된 승강봉이 상하로 이동되고 삼각다리가 설치되는 중앙지지구의 배면에는 승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강봉을 승강 봉록킹장치에 의해 록킹/해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화구의 일종으로 화판을 받쳐 지지해 주는 이젤을 사용하고 있다.
문화의 발전으로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 및 전문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 층이 두터워 지면서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화방의 사용이 늘어나게 되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용이한 화방도구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그중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이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삼각대는 그 소재가 목재로 구성되어 삼각대 위에 화판을 거치하여 그림을 그리는 데는 용이하지만 야외에서와 같이 풍경화를 그릴 때에는 무겁고 휴대가 용이치 못하다는 단점과 또한 야외에서 그림을 그릴 때에 화판받침틀 위에 단순히 얹어주도록 되어 있을 뿐 화판을 견실하게 지지할 수 없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낙하는 문제가 지적되어 오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화판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해 주는 이젤로는, 국내의 실용신안공보 공보번호 제0137731호“삼각대형 이젤”, 실용신안등록 제204694호“회화용 이젤”, 실용신안등록 제10688호“이젤”, 실용신안공보 제1983-0000501호“캔버스받침대의 지각높이 조절장치”, 국내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51호 “가변지지구가 구비된 회화용 이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9339호“각도조절이 용이한 접지대가 설치된 이젤”및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0400149호“이젤용 화판 상측 고정클립”등이 잘 알려져 있다.
본인에 의해 선 출원 등록된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10688호“이젤”와 타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4694호“회화용 이젤”는, 결착헤드(고정부 또는 중앙지지구)의 양 측면과 배면중앙에 다리를 축으로 설치하여 절첩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착헤드의 수직 중앙선상에는 화판의 상면을 억류(고정)시켜 주는 상측고정특이 설치된 지지봉을 삽입하여 고장부재에 의해 고장/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방 양측으로 전개되는 양측의 다리에는 화판을 받쳐 지지하여 주는 하측받침틀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인에 의해 제안된 실용신안공보 제1983-0000501호“캔버스받침대의 지각높이 조절장치”와 타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국내의 실용신안공보 공보번호 제0137731호“삼각대형 이젤”및 국내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51호 “가변지지구가 구비된 회화용 이젤”은, 배면의 저부에 돌설시킨 걸림턱 요입부에 걸림턱을 삽착한 상단지각과 중단지각의 전면 하부에 압간을 형성시키고 중단지각과 하단지각의 배면상부에는 걸림편을 삽설시켜 주고, 상단에는 고정구를형성하여 화판의 상단을 지지토록 된 것으로서, 지각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방법이 지극히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단에 형성된 승강봉 고정구에 의해 화판의 상단을 견고히 지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인에 의해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79339호“각도조절이 용이한 접지대가 설치된 이젤”은, 결착헤드 또는 중앙메인프레임에 다리를 삼각대형상으 로 절첩 전개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고, 결착헤드에 상측고정틀을 설치하고 전면을 향하는 나란한 다리에 하측받침틀을 설치하거나 중앙메인프레임의 상/하측에 상측고정틀과 하측받침틀을 설치하되, 상기 결착헤드 또는 중앙메인프레임에 삼각뿔형상으로 장착되는 각 다리의 하단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편이 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봉의 볼에서 자유롭게 고정봉의 볼에서 회전되도록 된 각도조절이 용이한 접지대가 구비된 이젤에 관한 것으로서, 각 다리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봉의 볼에서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편이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높낮이가 다르더라도 각 다리와 접지편의 각도를 설치면과 부합되도록 조정하여 이젤을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인에 의해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00149호“이젤용 화판 상측 고정클립”은, 수직지지판과 수평지지판을 직각으로 유지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수직지지판에는 가이드돌편을 형성하여 중앙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T홈에 삽입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평지지판의 후단양측에는 배면받침판을 형성하고 수평지지판의 선단부에는 억류클립바가 형성된 한 쌍의 작동레버를 원통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서 된 이젤용화판 상측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작동레바를 작동시켜 배면받침편과 억류클립바와의 사이에 화판의 상단을 억류시키거나 해제시키므로, 화판의 크기(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화판을 억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판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실하게 지지 억류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거의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용이 하게 제조하여 장착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이동 및 작동레바의 작동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이젤(또는 회화용 이젤)들은, 지지력을 강화하여 화판을 고정시키는 것은 유용하지만, 화판을 받쳐 지지하는 화판받침대를 별도로 제조하여 장착시켜주어야 한다는 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화판받침대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점과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돌출부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경우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젤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수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높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지지구에 수직으로 뚫어진 수직유통공에는 상단에 화판고정클립이 장착된 승강봉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중앙지지구의 전면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와 하나의 후방지지대다리로 된 삼각다리를 굴대 설치하여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전방받침대다리와 후방지지대다리는 굵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봉을 다단으로 결합(삽입)하여 신장/단축시키되 최하단의 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 고정클립을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에서 최하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는 고정클립의 전면에 화판받침구가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클립뭉치를 장착하고, 승강봉이 상측에서 수직으로 삽입되고 삼각다리가 하측에 설치되는 중앙지지구의 배면에는 승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에서 최하단봉을 제외한 각 단봉의 하단에는 화판받침클립뭉치를 장착하여 화판받침구를 상측으로 접어 보관 또는 휴대하거거나 외측(수평)으로 전개시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화판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하지 않고도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화판받침클립뭉치의 화판받침구를 전개시켜 화판 또는 합판을 받쳐 지지할 수 있고 화판받침대를 분실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중앙지지구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승강봉록킹장치에 의해 화판 또는 합판의 크기(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강봉을 록킹/해제시켜 킬 수 있도록 이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판받침구를 형성하는 화판받침면과 합팜받침홈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화판 또는 합판의 하단을 안정되고 정확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당접하는 고정클립의 전면과 화판받침구의 내면중에서 어느 일면을 하측이 수직선상보다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화판받침구가 상측으로 약간 상향되도록 함으로서 화판 또는 합판을 더욱 견실하게 지지할(받쳐 줄) 수 있도록 된 이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각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와 후 방지지대다리를 4단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3단으로 되는 종래의 이젤보다 소형화하고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이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수직으로 통공된 수직유통공(3)에는 상측에 화판고정클립(10)이 일체로 장착된한 승강봉(8)을 삽입하고,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되,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제1단봉(21-1)(22-1)(23-1)에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과 제4단봉(21-4)(22-4)(23-4)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장전하고,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을 일체형으로 장착하며,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는 접지대(9)를 장착한 이젤에 있어서,
상기 전방받침대다리(20-1)(20-2)를 형성하는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화판받침구(31)가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장착한 것과;
승강봉(8)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 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가 하측에 설치되는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는 승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중앙지지구의 배면에는 고정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장착된 면의 전방 내측을 수평하게 직사각형으로 연통시켜 장전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으로 직사각형의 가압편을 내설시켜 줌으로서, 상기 선단에 돌편이 형성된 고정부재의 축 회전을 통해 중앙지지구의 수직유통공에 내부를 승·하강하는 승강봉을 정확하게 가압시켜 고정·해제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을 자유롭게 할수 있고, 장착몸체의 전측 선단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향하는 걸림턱에 의해 안착된 화판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젤의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거의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제조하고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와 후방지지대다리를 다단(4단)으로 형성하여 인입·인출시켜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전방 및 후방다리를 3단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소형으로 조립시켜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면을 수직면(0-3)에서 하단 상부로 경사지게 ∠θ₃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장착몸체를 축 회전시켜 수직편의 수직면과 연접되었을 때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90°로 연접되는 것보다 수직으 로 작용하는 전단응력을 작게 하여 크랙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지력을 강화한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에서 중앙지지구(2) 부분만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에서 화판받침클립뭉치(30)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은, 중앙지지구(2)의 중앙을 수직하게 연통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승강봉(8)과; 상기 승강봉(8)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단을 고정하는 화판고정클립(10)과; 상기 중앙지지구(2)의 내측에는 가압편(7)을 매설하고 배면에는 상기 중앙지지구(2)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높낮이 조절되는 승강봉(8)을 고정할 수 있는 승하강봉록킹장치을 형성한 것과;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정면과 배면에는 자유롭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절첩·전개가 가능토록 결합 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을 각각 형성한 것과;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 의 전방으로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수직으로 통공된 수직유통공(3)에는 상측에 화판고정클립(10)을 일체형으로 장착한 승강봉(8)을 삽설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고,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절첩·전개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제1단봉(21-1)(22-1)(23-1)에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과 제4단봉(21-4)(22-4)(23-4)를 순차적으로 장전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 외주면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였고, 상기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는 구 관절로 형성된 접지대(9)를 장착하였다.
특히 상기 구관절 형태로 구성된 접지대(9)는 평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구관절을 조절하여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화판고정클립(10)과 승강봉(8)의 배면에는 나사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체결시켜 승강봉(8)과 일체형으로 결합·형성시켜 줌으로서, 화판고정클립(10)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측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화판고정클립(10)이 고정부착된 승 강봉(8)의 상단에는 커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더 형성하여 마감부분을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는 승·하강되는 승강봉(8)을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승하강봉록킹장치을 형성시켜 주었으며, 이를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는 장착홈(2-1)을 형성하고 일측 선단에 돌편(4-1)이 형성된 고정부재(4)를 장착하여 핀(5)을 수평으로 삽입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하였고, 상기 고정부재(4)가 장전된 장착홈(2-1)의 전방 내측으로 수평하게 직사각형으로 연통시켜 장전홈(6)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장전홈(6)에는 직사각형의 가압편(7)을 내설하여 선단에 돌편(4-1)이 형성된 고정부재(4)의 축 회전을 통해 중앙지지구(2)의 수직유통공(3)을 승·하강하는 승강봉(8)을 가압시켜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 외주면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 중에서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은 전방을 향하여 화판받침구(31)를 일체로 형성한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더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다단(4단)으로 형성하여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3단으로 되는 종래의 이젤보다 소형화하고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형성하도록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화판받침구(31)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의 전방에는 지지면(38)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면(38)의 중앙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고 외면에는 장착공(39-1)이 통공된 돌출편(39)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또한, 수평편(33)과 외면에 수평으로 통공하여 연통공(34-2)을 형성한 한 쌍의 수직편(34)으로 형성된 장착몸체(32)를 형성하였고, 각 수직편(34) 사이에는 환상요홈(37)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돌출편(39)이 장착몸체(32)의 환상요홈(37)에 장전되도록 하고 돌출편(39)의 장착공(39-1)과 수직편(34)의 연통공(34-2)을 연접하여 서로 연통시킨 상태에서 수평핀(40)을 장입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돌출편(39)에 환상요홈(37)을 장전시켜 수평핀(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장착몸체(3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수평편(33)과 수직편(34)으로 형성된 장착몸체(32)를 형성하되, 상기 장착몸체(32)의 일측 선단에는 완곡형태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3-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수직편(34)의 배면과 외면 중앙에는 수평으로 통공된 연통공(34-2)과 수직면인 지지면(34-1)을 형성하고, 각 수직편(34) 사이에는 환상요홈(37)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수평편(33)의 상부에 상면과 하측으로 단턱진 면에는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을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특히, 수평편(33)의 상부에 상면과 하측으로 단턱진 면에 형성된 화판받침 면(35)과 합판받침홈(36)을 각각 수평선(0-1)과 수평선(0-2)에서 내측 하단으로 ∠θ₁과 ∠θ₂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며, 올바르게는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에 형성된 ∠θ₁과∠θ₂는 각각 수평선(0-1)과 수평선(0-2)에서 내측 하단으로 5 ∼ 20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화판받침구(31)를 하향으로 전개한 상태에서도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하단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면(38)을 수직면(0-3)에서 하측 상부로 ∠θ₃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였고, 올바르게는 수직선(0-3)에서 하측 상부 0.1 ∼ 5도 이내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기 지지면(38)에 직각으로 연접되는 장착몸체(32)가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수직편(34)에 가압되는 전단응력을 미약하나마 줄여 주어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단에서 견고하게 받쳐 줄 수 있도록 하여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서로 당접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및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과 화판받침구(31)의 내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하측이 수직선상보다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화판받침구(31)가 상측으로 약간 상향 되도록 함으로서 화판(50) 또는 합판(51)을 더욱 견실하게 지지할(받쳐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젤(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가방(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에 인입된 이젤(1)을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중앙지지구(2)의 수직유통공(3)에 중앙으로 삽설된 승강봉(8)과 절첩·전개 가능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폭과 높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이젤(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중앙지지구(2)의 장착홈(2-1)에 장전되고 핀(5)의 결합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 된 고정부재(4)의 일측을 축 회전시켜 상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승강봉(8)을 가압시켜 억류하던 가압편(7)을 해제시키면서 승강봉(8)의 높이를 조절하고, 중앙지지구(2)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하단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의 억류상태를 완전히 해제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의 절첩된 상태를 하향으로 인출시켜 높이를 조절한 다음 소정의 각으로 전개하면서 위치를 잡는다.
상기 위치를 잡을 때에는 설치 면의 정도에 따라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안착부재(9)를 조절하면 되는데, 설치 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구관절로 구성된 안착부재(9)를 조정하여 지면과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 및 후방지지대다리(20-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준다.
또한, 상기에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에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화판받침클립뭉치(30)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의 동일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장착몸체(32)를 수직하게 하방으로 축 회전시켜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면(38)과 장착몸체(32)의 수직편(34)에 지지면(34-1)이 서로 연접되도록 하여 준다.
상기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면(38)는 수직면(0-3)에서 하측 상부로 ∠θ₃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였고, 올바르게는 수직선(0-3)에서 하측 상부 0.1 ∼ 5도 이내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기 지지면(38)에 직각으로 연접되는 장착몸체(32)가 예각을 이루면서 연접되도록 하여 수직편(34)에 가압되는 전단응력을 최소한으로 줄여 주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단에서 견실하게 받쳐 지지하도록 하여 지지력을 강화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평상태 또는 예각상태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화판(50) 또는 합판(51)을 장착몸체(3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화판받침면(35) 또는 합판받침홈(36)에 위치시켜 준다.
특히 상기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는, 수평편(33)의 수평선(0-1)과 수평선(0-2)에서 내측 하부로 ∠θ₁과 ∠θ₂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였고, 올바르게는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에 형성된 ∠θ₁과∠θ₂는 각각 수평선(0-1)과 수평선(0-2)에서 내측 하단으로 5 ∼ 20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화판받침구(31)를 하향으로 전개한 상태에서도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하단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화판받침면(35) 또는 합판받침홈(36)에 화판(50) 또는 합판(51)을 위치 시키고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중앙지지구(2)의 정면에 화판(50) 또는 합판(51)의 배면이 경사지게 거치시켜 준다.
상기 화판(50) 또는 합판(51)을 거치한 상태에서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억류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승강봉(8)은 고정부재(4)를 상방으로 축 회전시켜 승강봉(8)의 배면을 가압시켜 고정하던 가압편(7)의 억류상태를 해제시켜 주고, 승강봉(8)을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측 높이만큼 서서히 상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봉(8)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화판고정클립(10)의 ㄱ자편(11)에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단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화판고정클립(10)은, 우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축핀(14)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작동레바(12)의 파지부(12-1)를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ㄱ자편(11)에 연접된 억류물림바(13)을 서서히 이격되게 하고, ㄱ자편(11)의 내측으로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측이 장전됨과 동시에 억류물림바(13)가 연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던 작동레바(12)을 힘을 서서히 줄여 주면서 억류물림바(13)가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전면 상단부를 억류하도록 하여 고정시켜 주면 되며, 이를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도시 하였다.
또한,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크기(폭과 높이)에 따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한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화판받침구(31)를 사용하면 되는데,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크기(폭과 높이)가 작은 경우에는 제1고정클립(24-1)의 돌출편(39)에 수평핀(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 된 장착몸 체(32)를 하방으로 축 회전시켜 상기 장착몸체(3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화판받침면(35) 또는 합판받침홈(36)에 화판(50) 또는 합판(51)을 안착시켜 사용하면 되고,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크기(폭과 높이)가 큰 경우에는 제3고정클립(24-3)의 돌출편(39)에 수평핀(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 된 장착몸체(32)를 하방으로 축 회전시켜 상기 장착몸체(3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화판받침면(35) 또는 합판받침홈(36)에 화판(50) 또는 합판(51)을 안착시켜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이젤(1)의 사용을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의 방법에 역순으로 해제하면 되고, 그 해제 방법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에서 중앙지지구 부분만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에서 화판받침클립뭉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젤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젤 2: 중앙지지구 3: 수직유통공
4: 고정부재 5: 핀 6: 장전홈
7: 가압편 8: 승강봉 10: 화판고정클립
11: ㄱ자편 12: 작동레바 13: 억류물림바
14: 축핀 20-1: 전방받침대다리 20-2: 전방받침대다리
20-3: 후방지지대다리 30: 화판받침대클립뭉치 31: 화판받침구
32: 장착몸체 33: 수평편 34: 수직편
35: 화판받침면 36: 합판받침홈 37: 환상요홈
38: 지지면 39: 돌출편 40: 수평핀

Claims (9)

  1.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수직으로 통공된 수직유통공(3)에는 상측에 화판고정클립(10)이 일체로 장착된 승강봉(8)을 삽입하고,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되,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제1단봉(21-1)(22-1)(23-1)에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과 제4단봉(21-4)(22-4)(23-4)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장전하고,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을 일체형으로 장착하며,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는 접지대(9)를 장착한 이젤에 있어서,
    상기 전방받침대다리(20-1)(20-2)를 형성하는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화판받침구(31)가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2.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수직으로 통공된 수직유통공(3)에는 상측에 화판고정클립(10)이 일체로 장착된 승강봉(8)을 삽입하고,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양 측과 후면 중앙에는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되,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제1단봉(21-1)(22-1)(23-1)에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과 제4단봉(21-4)(22-4)(23-4)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장전하고,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을 일체형으로 장착하며,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는 접지대(9)를 장착한 이젤에 있어서,
    상기 전방받침대다리(20-1)(20-2)를 형성하는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화판받침구(31)가 굴대 설치된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장착한 것과;
    승강봉(8)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삼각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가 하측에 설치되는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는 승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한 것; 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승강봉(8)을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승하강봉록킹장치는:
    상기 중앙지지구(2)의 배면에는 장착홈(2-1)을 형성하여 일측 선단에 돌편(4-1)이 형성된 고정부재(4)를 장착하고 핀(5)을 수평으로 삽입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부재(4)가 장전된 장착홈(2-1)의 전방 내측으로 수평하게 직사각형으로 연통시켜 장전홈(6)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장전홈(6)에는 직사각형의 가압편(7)을 내설하여 선단에 돌편(4-1)이 형성된 고정부재(4)의 축 회전을 통해 중앙지지구(2)의 수직유통공(3)을 승·하강하는 승강봉(8)을 가압시켜 고정·해제되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형성하도록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화판받침구(31)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는 지지면(38)을 형성하고, 지지면(38)의 중앙으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고 외면에는 장착공(39-1)이 통공된 돌출편(39)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수평편(33)과 외면에 수평으로 통공하여 연통공(34-2)을 형성한 한 쌍의 수직편(34)으로 형성된 장착몸체(32)를 형성하고, 각 수직편(34) 사이에는 환상요홈(37)을 형성한 것과;
    상기 돌출편(39)이 장착몸체(32)의 환상요홈(37)에 장전되도록 하고 돌출편(39)의 장착공(39-1)과 수직편(34)의 연통공(34-2)을 연접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핀(40)을 장입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5. 청구항 4에 있어서, 돌출편(39)에 장전하여 수평핀(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장착몸체(32)는:
    수평편(33)과 수직편(34)으로 형성된 장착몸체(32)를 형성하되, 상기 장착몸체(32)의 일측 선단에는 완곡형태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3-1)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수직편(34)의 외면과 배면에는 수평으로 통공된 연통공(34-2)과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방에 형성된 지지면(38)에 연접되는 수직면인 지지면(34-1)을 형성하고, 각 수직편(34) 사이에는 환상요홈(37)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평편(33)의 상부에 상면과 하측으로 단턱진 면에는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수평편(33)의 상부에 상면과 하측으로 단턱진 면에 형성된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을 각각 수평선(0-1)과 수평선(0-2)에서 내측 하단으로 ∠θ₁과 ∠θ₂만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7. 청구항 4에 있어서,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면(38)은 하단이 수직면(0-3)에서 전방으로 ∠θ₃만큼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8. 청구항 6에 있어서, 화판받침면(35)과 합판받침홈(36)에 형성된 ∠θ₁과∠θ₂는 5 ∼ 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9. 청구항 7에 있어서,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3고정클립(24-3)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면(38)의 기울기 ∠θ₃는 0.1 ~ 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KR1020080002870A 2008-01-10 2008-01-10 이젤 KR10096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70A KR100964997B1 (ko) 2008-01-10 2008-01-10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70A KR100964997B1 (ko) 2008-01-10 2008-01-10 이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16A true KR20090077116A (ko) 2009-07-15
KR100964997B1 KR100964997B1 (ko) 2010-06-21

Family

ID=4133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870A KR100964997B1 (ko) 2008-01-10 2008-01-10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178A (zh) * 2014-12-02 2015-03-25 安徽工程大学 一种画架装置
WO2016036037A1 (en) * 2014-09-02 2016-03-10 Cj Cgv Co., Ltd. Movable table for projector
CN112869438A (zh) * 2021-01-13 2021-06-01 尹莹 一种具有多方向伸缩调节的油画绘画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9502B (zh) * 2018-06-27 2020-07-21 湖南城市学院 一种室外美术画板支撑架
CN108944253B (zh) * 2018-07-27 2020-12-01 王超强 一种便于展铺的户外用艺术设计绘画装置
KR101978252B1 (ko) 2018-11-19 2019-05-14 방승현 이젤
CN112895798A (zh) * 2021-02-08 2021-06-04 梅茹 一种用于教育管理的隔板可调节的画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731Y1 (ko) * 1995-12-14 1999-04-01 허기호 삼각대형 이젤
KR200156322Y1 (ko) 1997-02-06 1999-09-01 김학무 회화용 이젤
JP2004148792A (ja) 2002-10-28 2004-05-27 Kojiro Takase 小型イーゼルにキャンバスを複数取ける装置及其の時使用される部品の製作方法
KR200432395Y1 (ko) 2006-08-31 2006-12-01 김학무 안전성을 확보한 이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37A1 (en) * 2014-09-02 2016-03-10 Cj Cgv Co., Ltd. Movable table for projector
CN105900011A (zh) * 2014-09-02 2016-08-24 Cjcgv株式会社 用于投影仪的可移动台
CN104442178A (zh) * 2014-12-02 2015-03-25 安徽工程大学 一种画架装置
CN112869438A (zh) * 2021-01-13 2021-06-01 尹莹 一种具有多方向伸缩调节的油画绘画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997B1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997B1 (ko) 이젤
US8272605B2 (en) Secur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for outdoor free-standing umbrellas
US4609174A (en) Foldable easel
US8348072B2 (en) Tension-mounted pole caddy
KR200398598Y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50079949A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43176B1 (ko) 이젤과 제도판을 겸하는 책상
US20080060562A1 (en) Extendable assembly for supporting sofa table
KR101265298B1 (ko) 가변다리를 구비한 간이침대
KR100894071B1 (ko) 휴대용 독서대 겸용 책상
CN209660817U (zh) 一种背包式环境设计用折叠支撑架
CN216479997U (zh) 一种支撑脚架和支撑装置
CN204908482U (zh) 一种新型美术绘画架
CN108348079A (zh) 安装装置
CN207607297U (zh) 一种高中生用美术画板支撑装置
CN208228638U (zh) 一种升降课桌
CN209359928U (zh) 电子移动设备托架
CN201424110Y (zh) 一种全折叠脚踏板机构
CN205344334U (zh) 一种艺术设计专业用的画架
KR20080004290U (ko) 수평조절장치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201438797U (zh) 支撑脚架及设有该支撑脚架的电子装置
CN217381184U (zh) 一种增压机构及使用该增压机构的支撑杆
KR102569839B1 (ko)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CN219374140U (zh) 一种用于厨房的可移动储物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