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705A -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705A
KR20090076705A KR1020080002794A KR20080002794A KR20090076705A KR 20090076705 A KR20090076705 A KR 20090076705A KR 1020080002794 A KR1020080002794 A KR 1020080002794A KR 20080002794 A KR20080002794 A KR 20080002794A KR 20090076705 A KR20090076705 A KR 2009007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service area
terminal
frequency band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705A/ko
Publication of KR2009007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단말에 무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에 관한 정보,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속하는 상기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되,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는 기지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단말의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서비스 지역별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없이도 단말이 자체적으로 핸드오버 기능을 수행하므로 시청중인 방송을 끊임없이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DMB, 방송, GPS, 주파수, 디지털 방송 수신기,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Terminal Unit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방송을 이동 중에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방송에 대해 주파수 대역이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방송 끊김 현상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직접 튜닝하거나 채널을 스캔하는 과정없이 채널을 지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무선 방송망은 동일 주파수의 간섭 문제로 인해 지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할당하고 있으며, 디지털 무선 방송은 하나의 주파수에 여러 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무선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의 이동에 의하여 지역마다 주파수 및 채널의 변화가 수반되므로, 주파수 및 채널의 변경시마다 사용자가 새로운 주파수 및 채널을 직접 수동으로 설정한다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차량으로 이동시 운전 중 조작으로 인한 안전상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무선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의 이동시 별도의 조작없이도 방송을 지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GPS를 구비한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단말에 무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에 관한 정보,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속하는 상기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되,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는 기지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지역 및 상기 서비스 지역의 방송 채널별 프리셋(preset)값을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 중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서비스 지역의 변경 여 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지역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변경된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지역 및 상기 서비스 지역의 방송 채널별 프리셋값을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 중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지역에 인접한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의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서비스 지역별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없이도 단말이 자체적으로 핸드오버 기능을 수행하므로 시청중인 방송을 끊임없이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하에서 개 시되는 실시예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 방송 시스템은 음향, 영상,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방송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송신기(20; Base Station, BS)를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방송 수신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라디오(radi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기능을 구비한 단말, 디지털 영상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기능을 구비한 단말,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송신기(20)는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기지국, 송출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이동 중에 무선 방송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한 방송에 대하여, 제1 송신기(20-1)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하고, 제2 송신기(20-2)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한다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은 A점에서 제1 송신기(20-1)로부터 특정 방송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A점에서 상기 단말(10)이 제1 송신기(2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제2 송신기(20-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단말(10)은 제1 및 제2 송신기(20-1,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수신감도가 양호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되, 수신감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출된 신호에 튜닝(tuning)한다. A점에서는 제1 송신기(20-1)로부터의 신호가 제2 송신기(20-2)로부터의 신호보다 양호하므로 단말(10)은 제1 주파수 대역에 튜닝하여 방송을 수신한다.
상기 제1 송신기(20-1)의 신호가 미치는 구역(이하 제1 서비스 지역)과 제2 송신기(20-2)의 신호가 미치는 구역(이하 제2 서비스 지역)의 경계인 B점에서, 단말(10)이 제1 송신기(2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A점에서 보다 줄어든다. 반면, 단말(10)이 제2 송신기(20-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A점에서 보다는 증가한다. 단말(10)은 수신감도가 양호한 신호를 검출하여,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에 튜닝하여 방송을 수신한다.
이후 단말(10)이 제2 서비스 지역인 C점으로 이동하면, 제1 송신기(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점차 줄어들고, 제2 송신기(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점차 증가한다. C점에서는 제2 송신기(20-2)로부터의 신호가 제1 송신기(20-1)로부터의 신호보다 양호하므로 단말(10)은 제2 주파수 대역에 튜닝하여 방송을 수신한다. 단말(10)이 이동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 수 대역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되는 것을 핸드오버(handover)라 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방송에 대하여 지역마다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별도의 수동적인 튜닝 작업이 없이도 상기 동일한 방송을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0), 단말(1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120), 방송 주파수를 튜닝하는 튜닝부(130), 튜닝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RF 수신부(140),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딩부(150), 상기 복호화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로 복원하고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처리부(160),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8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상기 단말(10)에 무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에 관한 정보, 상기 서비스 지역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또는 방송국)의 위치,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처리부(160)에 제공한다.
GPS부(120)는 상기 단말(1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처리부(160)로 보낸다.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GPS부(120)에서 측정된 상기 단말(10)의 위치를 상 기 복수의 서비스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지역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10)이 어느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이 위치한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메모리부(110)에서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튜닝부(130)로 보낸다. 즉,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단말(10)의 위치가 이전 서비스 지역에서 새로운 서비스 지역으로 변경(즉, 핸드오버(handover))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면 상기 튜닝부(130)를 상기 이전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이 아닌 상기 새로운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전송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와 상기 스피커(180)로 보낸다. 만약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수신 불가 메시지를 띄우도록 한다.
상기 방송 신호의 검출은 미리 정해진 기준(criterion) 또는 임계값(threshold)과 상기 방송 신호의 감도(또는 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감도가 상기 기준 또는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130)는 튜닝(tuning) 정보(상기 처리부(160)로부터 받은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에 튜닝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RF 수신부(140)로 보낸다.
상기 RF 수신부(14)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상기 디코딩부(150)로 보낸다. 상기 디코딩부(150)는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상기 처리부(160)로 보낸다.
단말의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서비스 지역별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없이 단말 자체적으로 핸드오버 기능을 수행하여 시청중인 방송을 끊임없이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GPS부(120)에서 측정된 상기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10)의 위치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역 및 상기 서비스 지역의 방송 채널별 프리셋(preset) 값을 상기 메모리부(110)로부터 읽어들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서비스 지역과 상기 서비스 지역에 인접한 다른 서비스 지역을 나타내는 맵(map) 및 상기 프리셋 값을 출력한다(S100). 상기 프리셋값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방송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튜닝부(130) 는 상기 서비스 지역에서 상기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한다(S110).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튜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방송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한다(S120). 전술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임계값 또는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제1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처리부(160)는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S130). 서비스 지역의 변경 여부는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모든 서비스 지역과 상기 GPS부(120)에서 측정된 상기 단말(10)의 위치를 비교하여 판단된다. 만약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출력한다(S140).
만약 서비스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처리부(160)는 변경된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새로운 방송 신호를 검출한다(S120).
만약 상기 제1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서비스 지역 이외에 다른 인접 서비스 지역의 제2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한다(S150). 만약 상기 제2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수신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프리셋 값을 출력한다(S100).
만약 상기 제2 방송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튜닝부(130)는 상기 인접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새롭게 튜닝한다(S110).
방송 중 방송 주파수의 대역이 변경되는 새로운 서비스 지역으로 단말이 이동하더라도, 자동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을 직접 컨트롤하여 방송 채널을 다시 검색하여 시청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이동 중에 무선 방송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6)

  1. 단말에 무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에 관한 정보,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속하는 상기 서비스 지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되,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는 기지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읽어들인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tuning)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닝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RF 수신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딩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전송하는 방송 신호의 출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5.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지역 및 상기 서비스 지역의 방송 채널별 프리셋(preset)값을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 중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서비스 지역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지역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변경된 서비스 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6.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지역 및 상기 서비스 지역의 방송 채널별 프리셋값을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셋값 중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지역에 인접한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송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상기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KR1020080002794A 2008-01-09 2008-01-09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KR20090076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94A KR20090076705A (ko) 2008-01-09 2008-01-09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94A KR20090076705A (ko) 2008-01-09 2008-01-09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05A true KR20090076705A (ko) 2009-07-13

Family

ID=4133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94A KR20090076705A (ko) 2008-01-09 2008-01-09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621A (ko) * 2010-02-04 2011-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자동 채널 선택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78783B1 (ko) * 2012-02-28 2014-03-27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621A (ko) * 2010-02-04 2011-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자동 채널 선택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78783B1 (ko) * 2012-02-28 2014-03-27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63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WO2006025491A1 (ja) 携帯端末装置
JP2004320406A (ja) 地上デジタル自動選局方法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054923B2 (en) Radio receiver
JP2005184219A (ja)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20090076705A (ko) 이동 디지털 방송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JP5177654B2 (ja) 無線受信端末装置および受信チャンネルのスキャン方法
KR100724981B1 (ko)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EP1755229A1 (en) Receiver apparatus
EP2866363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JP2009188492A (ja) 移動体デジタル放送受信チューナ
JP2007096760A (ja) 車載用受信装置、及び、車載用受信装置の受信制御方法
JP2013236312A (ja) 放送エリア情報生成システムおよび放送エリア情報生成方法
KR20070052460A (ko) 방송수신기기 및 그의 채널 제어방법
JP2003273759A (ja) 移動体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195041A (ja) 放送受信装置
JP2000209071A (ja) 車載用受信装置
JP5284831B2 (ja) 受信装置、携帯端末、受信装置の放送圏外検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005231A (ja) 受信装置
JP2009089280A (ja) 移動受信機及び移動受信機の放送局のプリセット方法
JP2004336093A (ja) 放送受信装置
JP2007129389A (ja) 受信装置
JP2015088829A (ja) 放送受信装置
JP2010103724A (ja) デジタルテレビ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