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027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027A
KR20090075027A KR1020080000780A KR20080000780A KR20090075027A KR 20090075027 A KR20090075027 A KR 20090075027A KR 1020080000780 A KR1020080000780 A KR 1020080000780A KR 20080000780 A KR20080000780 A KR 20080000780A KR 20090075027 A KR20090075027 A KR 2009007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low path
valve
dry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469B1 (ko
Inventor
최연식
배상훈
김상진
윤주한
허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69B1/ko
Priority to AT08008625T priority patent/ATE505582T1/de
Priority to US12/149,764 priority patent/US8127576B2/en
Priority to DE602008006125T priority patent/DE602008006125D1/de
Priority to EP08008625A priority patent/EP1990467B1/en
Publication of KR2009007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연결되는 경우에 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트리지와 펌프를 연결시에 사용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된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와 연통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카트리지, 펌프, 일체형 개폐유닛, 개폐밸브, 탄성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건조기{LAUNDRY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연결되는 경우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 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펌프를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부품이 각각 분리되어 있어 사용자가 연결 작업시 작업성의 효율이 떨어지는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와 펌프를 연결하는 경우에 카트리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크기를 늘려 밸브가 카트리지 내부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에 보다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된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와 연통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 또는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이동가능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카드리지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켜 상기 카드리지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유로에 연결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유로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밸브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개폐밸브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개폐밸브는 유로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개폐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물이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유로 내부에서 개폐밸브를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가 유로 내면에 평행하게 접하도록 가이드부에는 다수개의 이격된 블레이드가 형성되며, 유로 내면에 접하는 블레이드의 유로방향 폭은 실질적으로 개폐밸브가 유로 내부에서 이동되는 거리의 1/3이상 2/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개폐밸브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물을 수용하는 카드리지와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을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펌프와 연결된 경우에 개방되어 펌프와 연통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카트리지의 유로에 일체형 개폐유닛을 구비하여 카트리지와 펌프를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둘째, 개폐밸브의 크기를 늘려 카트리지와 펌프를 연결시에 밸브가 유로 내부에서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를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히터"라 함), 열풍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 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4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 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400)가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4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4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430)와, 워터 탱크(43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미도시)와, 스팀발생기(4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20)와, 스팀발생기(4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 저수위전극 및 고수위전극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과 고수위전극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과 저수위전극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4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440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450)가 연결되며, 스팀 호스(45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4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카트리지(200)와 같은 물수용부와 연결되며, 스팀 호스(450)의 선단부 또는 노즐(460)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물수용부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건조기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본 실시예에서처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20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한 수도꼭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물수용부가 수도꼭지로 이루어지면, 설치가 매우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수용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카트리지(200)를 사용하여, 카트리지(200)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카트리지(200)를 스팀발생기(4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44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리고, 카트리지(200)와 스팀발생기(400)의 사이에는 펌프(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3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4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4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팀발생기(4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4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팀발생기(4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물공급원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도 2에서 카트리지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는 펌프(3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200)를 구비하고,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스팀발생기(40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2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220)과, 하부 하우징(22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200)를 하부 하우징(220) 및 상부 하우징(21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2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후술하는 필터(23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210)에는 제1필터(2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210)의 물 유입부(215)에 제1필터(2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2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220)에는 카트리지(2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250)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250)의 내측에는 일체형 개폐유닛(도 4 참조, 290)을 구비하여 카트리지(200)가 분리된 경우에 카트리지(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카트리지(2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카트리지(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로(25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미도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필터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250) 내측의 일체형 개폐유닛(38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필터(330) 및 제2필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한편, 물공급유닛(240)은 카트리지(20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켜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유로(2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부재(246)와, 상기 배출부재(242)를 유로(25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결합부재(248)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트리지(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250)는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소정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내측유로(도 4 참조, 252)와 상기 내측유로(252)와 연통하여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소정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외측유로(도 4 참조, 254)를 포함한다.
배출부재(246)는 내측유로(25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부재(246)는 내측유로(25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44) 및 상기 연결부(244)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242)는 연결부(244)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90°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재는 내측유로(25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248)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출부재(246)의 연결부(244)에는 상기 돌기(248)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즉, 배출부재(246)가 내측유로(252)에 연결되는 경우에 돌기(248)가 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배출부재(246)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출부재(246)가 연결되는 경우에 배출부재(246)의 연장부(242)는 카트리지(200)의 바닥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재(246)가 카트리지(200) 바닥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배출부 재(246)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를 펌프(도 2 참조, 30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카트리지(200)가 펌프(300)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카트리지(200)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2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일체형 개패유닛(290)은 상기 카트리지(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250)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로(2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이동가능한 개폐밸브(280)와 상기 개폐밸브(280)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70)와 상기 탄성부재(2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2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200)의 구성인 개폐밸브(280)와 탄성부재(270) 및 고정부재(248)는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개폐밸브(280)는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284)와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부(282)를 포함한다. 개폐부(284)는 유로(25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가능하며 유로(2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그리고, 개폐부(284)는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282)는 개폐부(284)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다수 개의 이격된 블레이드(283)가 유로(250)내면에 평행하게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82)는 물이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유로(250) 내부에서 이동을 가이드하며 개폐밸 브(280)를 유로 내부에서 지지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28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날개로 구성되어 십자날개의 사이로 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83)에는 후술할 탄성부재(27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270)의 일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홈(286)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270)와 상기 개폐밸브(28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유로(250) 내면에 접하는 블레이드(283)의 유로방향의 폭은(A)은 실질적으로 후술할 펌프(300)와 연결시 유로(250) 내면에 접하는 블레이드(283)가 유로(250) 내부에서 유로(250) 내면에 접하여 최대한 이동되는 거리(S)의 1/3 이상 2/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는 실험적으로 블레이드(283)의 유로방향의 폭(A)이 상술한 수치인 경우에 개폐밸브(280)가 펌프(300)와 연결시에 유로(250) 내부에서 뒤틀리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똑바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레이드(283)의 유로방향의 폭(A)이 상술한 수치가 아닌 경우에는, 펌프(300)에서 연장된 파이프(450)가 개폐부(284)를 카트리지(20) 내부를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밀지 않고 경사지게 밀게 되면, 가이드부(282)가 유로(250)내부에서 뒤틀려 개폐밸브(280)가 유로(250) 내부에서 구속될 염려가 있다. 하지만, 블레이드(283)의 이동방향의 폭(A)이 상술한 수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280)가 유로(250) 내부에서 뒤틀리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가 있다.
한편, 가이드부(282)와 외측유로(254)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255) 사이에 는 내부실링부재(285)를 구비하며, 외축유로(254)의 외주면에는 외부실링부재(25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내부실링부재(285)는 개폐밸브(280)와 연동하도록 개폐밸브(28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실링부재(285)가 개폐밸브(280)에 고정되지 않고, 유로(250)의 내부에서 개폐밸브(280)와 별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 물이 제대로 유로(250)를 따라 유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부재(260)는 배출부재(246)를 카트리지(2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탄성부재(270)의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부재에(260)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6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70)의 타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턱(26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70)의 일단은 가이드부(282)에 형성된 걸림홈(286)에 걸리고, 상기 탄성부재(270)의 타단은 고정부재(260)에 형성된 걸림턱(266)에 걸린다. 결국, 상기 탄성부재(270)의 일단은 상기 개폐밸브(270)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부재(270)의 타단은 고정부재(26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270)와 개폐밸브(280) 및 고정부재(260)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국, 탄성부재(270)와 개폐밸브(280) 및 고정부재(260)를 사용자가 카트리지(200)에 장착하는 경우에 각각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탄성부재(270)와 개폐밸브(280) 및 고정부재(26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한번에 장착할 수가 있어 설치가 용이하며 작업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탄성부재(270)는 유로(250)의 내부에서 개폐밸브(280)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 하며, 개폐밸브(280)의 개폐부(284)와 내부실링부재(285)에 의해 외측유로(254)가 폐쇄되도록 한다. 즉, 내부실링부재(285)는 탄성부재(270)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경우에 걸림턱(255)에 밀착되어 외측유로(254)가 폐쇄되도록 한다.
한편, 도5는 카트리지(200)를 펌프(300)의 파이프(450)에 연결하는 경우에 유로 (250)내 일체형 개폐유닛(290)을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를 펌프(300)에서 연장된 파이프(450)에 연결하는 경우에 카트리지(200)에서 연장된 외측유로(254)가 파이프(450)의 내부로 삽입되어 파이프(450)의 내측과 외부실링부재(257)가 접하게 되어 실링이 된다.
이에 의해, 파이프(450)의 외측유로(254)를 연결하는 경우에 파이프(450) 내부의 돌출부(455)가 개폐밸브(280)를 카트리지(200)의 내부를 향해서 밀게 되며, 개폐밸브(280)는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을 이기고 내측유로(252)를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개폐밸브(250)의 블레이드(283)의 이동방향의 폭(A)이 블레이드(283)가 유로(250)내부로 최대한 이동되는 거리(S)의 1/3 이상 2/3 이하이므로 개폐밸브(280)가 유로(250) 내부에서 뒤틀리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똑바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밸브(280)가 내측유로(25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내부실링부재(285)가 개폐밸브(280)와 연동하여 내측유로(252)를 함께 이동하게 되며, 개폐밸브(280) 및 내부실링부재(252)의 이동에 의해 내부실링부재(252) 및 걸림턱(255)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물이 가이드부(282)를 형성하는 십자날개 사이의 공간 및 내부실링부재(252)와 걸림턱(255)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조기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건조기를 구동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카트리지(200)를 캐비닛(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사용자는 상술한 일체형 개폐유닛(290)의 구성인 개폐밸브(280)와 탄성부재(270) 및 고정부재(260)를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결합된 일체형 개폐유닛(290)을 유로(250) 내부에 삽입시켜 설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일체형 개폐유닛(290)을 유로(250)에 한번에 설치할 수가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배출부재(246)를 결합부재(248)로 고정시키고 ,일체형 개폐유닛(290)과 펌프(300)를 서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카트리지(200)를 다시 캐비닛(10)에 장착하고 건조기가 구동을 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 펌프(300)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200)에서 스팀발생기(400)로 물이 공급되며, 스팀발생기(400)에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드럼(20)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건조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카트리지 및 스팀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도2에서 카트리지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카트리지에 일체형 개폐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카트리지에 일체형 개폐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6은 일체형 개폐유닛의 구성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일체형 개폐유닛의 구성이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캐비닛 200: 카트리지
246: 배출부재 248: 결합부재
250: 유로 260: 고정부재
266: 걸림턱 270: 탄성부재
280: 개폐밸브 282: 가이드부
284: 개폐부 285: 내부실링부재
286; 걸림홈 450: 파이프

Claims (13)

  1.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된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와 연통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 또는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이동가능한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켜 상기 카트리지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유로에 연결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유로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유로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 기 개폐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물이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유로 내부에서 상기 개폐밸브를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유로 내면에 평행하게 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는 다수개의 이격된 블레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면에 접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유로방향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개폐밸브가 유로 내부에서 이동되는 거리의 1/3 이상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개폐유닛은 상기 개폐밸브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된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와 연통되도록 하는 일체형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080000780A 2007-05-09 2008-01-03 건조기 KR10143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80A KR101430469B1 (ko) 2008-01-03 2008-01-03 건조기
AT08008625T ATE505582T1 (de) 2007-05-09 2008-05-07 Waschmaschine
US12/149,764 US8127576B2 (en) 2007-05-09 2008-05-07 Laundry machine
DE602008006125T DE602008006125D1 (de) 2007-05-09 2008-05-07 Waschmaschine
EP08008625A EP1990467B1 (en) 2007-05-09 2008-05-07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80A KR101430469B1 (ko) 2008-01-03 2008-01-0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27A true KR20090075027A (ko) 2009-07-08
KR101430469B1 KR101430469B1 (ko) 2014-08-18

Family

ID=4133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780A KR101430469B1 (ko) 2007-05-09 2008-01-03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14A (ko) * 2016-02-16 2017-08-2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132B1 (ko) *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0698133B1 (ko)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735707B1 (ko) 2006-09-29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14A (ko) * 2016-02-16 2017-08-2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469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070079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KR20080097613A (ko) 스팀건조기
US20090320313A1 (en) Laundry dryer
KR20080055394A (ko) 스팀 건조기
KR20080054917A (ko) 건조기
EP1990467B1 (en) Laundry machine
KR100921459B1 (ko) 스팀 건조기
KR100662472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0845872B1 (ko) 스팀건조기
KR20080056431A (ko) 스팀건조기
KR101241897B1 (ko) 건조기
KR100857802B1 (ko) 스팀건조기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20090075027A (ko) 건조기
KR101387508B1 (ko) 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265611B1 (ko) 건조기
KR101265610B1 (ko) 건조기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KR101265617B1 (ko) 건조기
KR101008653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