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613A - 스팀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613A
KR20080097613A KR1020070042698A KR20070042698A KR20080097613A KR 20080097613 A KR20080097613 A KR 20080097613A KR 1020070042698 A KR1020070042698 A KR 1020070042698A KR 20070042698 A KR20070042698 A KR 20070042698A KR 20080097613 A KR20080097613 A KR 2008009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team generator
steam
water supply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971B1 (ko
Inventor
배상훈
이동근
최연식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71B1/ko
Priority to US12/149,467 priority patent/US8196439B2/en
Priority to DE102008021853.7A priority patent/DE102008021853B4/de
Publication of KR2008009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스팀발생기 및 물공급원 사이에 위치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하는 펌프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팀건조기에 의하면,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팀, 건조기, 펌프, 연결, 물공급원

Description

스팀건조기 {Steam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카트리지 및 스팀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지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모듈에서 펌프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에서 Ⅴ-Ⅴ선에 따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 200...스팀발생기
220...급수호스 300...카트리지
400...펌프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시에 옷감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다 콤팩트(compact)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스 팀발생기 및 물공급원 사이에 위치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하는 펌프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팀건조기는 상기 물공급원, 펌프 및 스팀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연결수단은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물공급원 및 상기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원은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드로워가이드부; 제1 리브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이드부와 구획되며, 상기 펌프가 고정되는 펌프고정부; 및 제2 리브에 의해 상기 펌프고정부와 구획되며, 상기 스팀발생기가 고정되는 스팀발생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1 리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1 리브에서 상기 드로워가이드부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의 물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파이프; 및 상기 제1 연결파이프와 연통하며, 상기 펌프고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제2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파이프의 내측에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파이프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펌프고정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연결파이프의 펌프고정부 측 단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1 리브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리브에서 상기 드로워가이드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히터"라 함), 열풍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 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 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미도시)와,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 저수위전극 및 고수위전극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과 고수위전극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과 저수위전극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카트리지(300)와 같은 물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원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물공급원이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탈부탁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30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한 수도꼭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 지만, 이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로 이루어지면, 설치가 매우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가 캐비넷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가 장착되는 지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넷(도 참조, 10)에 착탈 가 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700)를 구비하며,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카트리지(300)가 캐비넷(10)에 직접 설치되기보다는 드로워(700)가 캐비넷(10)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스팀건조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건조기에 설치하는 것은 제작공정 및 시간을 증가시키게 되어 생산성 및 생산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종 구성요소들을 별개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도록 제작한 다음, 상기 모듈을 스팀건조기에 설치하도록 하여 제작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드로워(700)가 인입 및 인출하는 경우에 드로워(7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나아가 스팀발생기(도 2 참조, 200)를 지지하는 지지모듈(600)을 구비한다. 지지모듈(600)은 캐비넷(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캐비넷(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나아가 스팀발생기(200)를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모듈(600)은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되며,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모듈(600)이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나아가 후술하는 각종 구성품들을 조립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한편, 지지모듈(600)은 드로워(700)의 이동을 가이드하 는 드로워가이드부(610)와, 스팀발생기(200)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스팀발생기고정부(6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가이드부(610)는 지지모듈(600)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따라서 드로워가이드부(610)의 개구된 전면부를 통하여 드로워(700)가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드로워가이드부(610)는 드로워(7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드로워(700)의 외관에 대응하는 내부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700)가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드로워가이드부(610)의 내부 형상은 이에 대응하여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로워가이드부(610)의 양측 내면에는 가이드턱(612)이 형성되고, 드로워(700)의 양측에는 가이드턱(612)에 대응하는 돌출부(710)가 형성되어, 돌출부(710)가 가이드턱(612)을 따라 이동하여 드로워(700)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팀발생기고정부(650)는 지지모듈(600)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스팀발생기(20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팀발생기고정부(650)의 하부에는 스팀발생기(20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652)가 다수개 형성되며, 스팀발생기고정부(650)의 양측벽에는 고정리브(654)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 경우, 스팀발생기고정부(650)의 양측벽에 형성된 고정리브(654) 사이의 거리는 스팀발생기(200)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팀발생기(200)를 스팀발생기고정부(650)에 안착시키는 경우에 스팀발생기(200)의 하부는 지지리브(652)에 의해 지지되며, 스팀발생기(200)의 양측부는 고정리브(654)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팀발생기(20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스팀발생기고정부(65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스팀발생기고정부(650)의 하부 또는 측면부를 통하여 스팀발생기(200)에 체결되어 스팀발생기(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되어, 드로워가이드부(610)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고, 스팀발생기고정부(650)에 스팀발생기(200)가 안착 및 고정되는 경우에 카트리지(300)와 스팀발생기(200)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바람직하게 드로워가이드부(610)와 스팀발생기고정부(650) 사이에 형성된 펌프고정부(63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펌프고정부(630)는 드로워가이드부(610)와 스팀발생기고정부(650) 사이에 형성되는데, 제1 리브(632)가 드로워가이드부(610)와 펌프고정부(63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리브(636)가 펌프고정부(630)와 스팀발생기고정부(650) 사이에 형성되어, 펌프고정부(630)를 구획지게 된다.
펌프(400)는 펌프고정부(630)에 고정되며, 제1 리브(632)에 형성된 펌프연결수단에 의해 카트리지(300)와 연결된다. 즉,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를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밀어넣는 경우, 드로워(700)는 드로워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드로워(700)가 이동을 하여 드로워(700)의 단부가 드로워가이드 부(610)의 후방에 형성된 제1 리브(632)에 닿게 되면, 드로워(700)에 장착된 카트리지(300)는 펌프연결수단을 통하여 펌프(400)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연결수단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펌프(400)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300)의 물이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물이 모두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되거나, 또는 카트리지(300)의 물을 깨끗한 물로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드로워(700)를 잡아당겨 인출시키고, 카트리지(300)를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리브(632, 636)는 지지모듈(600)를 가로질러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가이드부(610), 펌프고정부(630) 및 스팀발생기고정부(650)가 나누어지도록 구획하는 역할, 지지모듈(600)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과 함께 지지모듈(600)에 장착되는 각종 전장품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모듈(600)에는 펌프(400), 스팀발생기(200)와 같은 각종 구성품 및 이들을 연결하는 각종 배선들이 배치되는데, 제1 및 제2 리브(632, 636)가 없다면 드로워(700)를 인출하는 경우에 상기 각종 구성품 및 배선들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이는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종 구성품 및 배선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건조기에서는 지지모듈(600)에 제1 및 제2 리브(632, 636)를 구비하여 지지모듈(600)에 위치하는 각종 구성품 및 배선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리브(632)만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리브(632)의 후방에 제2 리브(636)를 더 구비하여 이중으로 노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고정부(630)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펌프(400)는 펌프고정부(630)에 고정되며, 펌프급수호스(420) 및 펌프연결수단에 의해 물공급원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물공급원을 형성하는 카트리지(300)와 펌프(400)를 연결시키는 펌프연결수단은 제1 리브(632)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1 연결파이프(633)와 제2 연결파이프(634)를 구비한다.
제1 연결파이프(633)는 제1 리브(632)에서 드로워가이드부(도 3 참조, 61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제2 연결파이프(634)는 제1 연결파이프(633)와 연통하여 펌프고정부(6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연결파이프(633)와 제2 연결파이프(634)는 제1 리브(632)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가 드로워가이드(710)를 따라 인입되면 카트리지(도 2 참조, 300)의 연결부(360)가 제1 연결파이프(633)에 연결되며, 펌프급수호스(420)가 제2 연결파이프(634)에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로 공급된다.
한편, 본원발명과 같은 건조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그 내부공간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각종 구성품들을 설치하는 경우에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되어, 각 구성품들의 부피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처럼 지지모듈(600)에 의해 드로워(700), 펌프(400) 및 스팀발생기(200)를 지지하 는 경우에 지지모듈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모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고정부(630)의 길이(L)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펌프고정부(630)의 길이(L)를 줄이게 되면, 펌프급수호스(420)를 제2 연결파이프(634)에 연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펌프급수호스(420)를 제2 연결파이프(634)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펌프급수호스(420)에 제2 연결파이프(634)가 삽입되는 길이가 소정길이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클램프(미도시) 등을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길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지지모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펌프고정부(630)의 길이(L)를 줄이게 되면, 펌프급수호스(420)에 제2 연결파이프(634)가 삽입되는 길이가 현저하게 짧아지게 되어 클램프(미도시) 등을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길이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펌프고정부(630)의 길이(L)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클램프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펌프연결수단을 구비하게 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원발명의 펌프연결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브(632)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1 연결파이프(633)와 제2 연결파이프(634)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제1 리브(632)에 형성되며 드로워(700)의 카트리지(3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파이프(633) 및 제1 연결파이프(633)와 연통하며, 제1 연결파이프(633)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2 연결파이프(634)로 이루어진다.
즉, 본원발명에서 제2 연결파이프(634)는 펌프급수호스(420)를 연결하는 경우에 클램프 등의 체결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연결파이프(633)를 향하여 소정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연결파이프(634)의 구성은 도 5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파이프(633)의 내측에 격벽(635)을 구비하고, 제2 연결파이프(634)는 격벽(635)에서 펌프고정부(도 4 참조, 6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격벽(6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파이프(633)의 내측을 따라 제1 연결파이프(633)의 펌프고정부(630)측 단부에서 소정간격(A)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연결파이프(634)는 제1 리브(632)의 표면에서 펌프고정부(6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격벽(635)에서 펌프고정부(6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제2 연결파이프(634)에 의하면 제1 리브(632)의 표면을 따라 제2 연결파이프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A만큼의 길이를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클램프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길이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즉, 펌프급수호스(420)를 제2 연결파이프(634)에 연결하는 경우에 펌프급수호스(420)와 제2 연결파이프(634)가 접하는 부분이 A만큼 더 길어지게 되므로, 펌프급수호스(420)를 제2 연결파이프(634)에 고정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633, 634)는 평평한 제1 리브(632)를 따라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 브(632)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640)에 형성된다.
돌출부(640)는 제1 리브(632)에 펌프고정부(630)에서 드로워가이드부(6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640)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633, 634)가 돌출부(640)에 형성되면, 펌프급수호스(420)를 보다 용이하게 제2 연결파이프(634)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돌출부(640)가 펌프고정부(630)에서 드로워가이드부(6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므로, 제2 연결파이프(634)의 길이를 돌출부(630)의 돌출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약, 도 4에서 돌출부(640)가 없다면, 펌프고정부(630)의 길이(L)를 줄이는 경우에 제2 연결파이프(634)의 길이를 길게 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왜냐하면, 펌프급수호스(420)가 절곡되어 연결되므로, 충분히 절곡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원발명에서는 제1 리브(632)에 돌출부(640)를 형성하고, 돌출부(640)에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633, 634)를 형성하게 되므로, 돌출부(640)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제2 연결파이프(634)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연결파이프(634)의 길이를 길게하는만큼, 펌프급수호스(420)와 연결되는 경우에 접하는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원발명에서 제2 연결파이프(634)는 제1 연결파이프(634)의 내측을 따라 펌프고정부(630)측 단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격벽(635)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633, 634)는 제1 리브(632)의 돌출부(640)에 형성되므로, 격벽(635)이 제1 연결파이프(633)를 따라 단부에서 이격된 길이(A)와 돌출부(640)의 돌출된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제2 연결파이프(634)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연결파이프(634)를 길게하는 만큼 펌프급수호스(420)를 연결하는 경우에 체결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펌프급수호스(420)를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팀건조기의 구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기를 구동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카트리지(300)를 캐비넷(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카트리지(300)를 다시 캐비넷(10)에 장착한다.
이어서, 건조기가 구동을 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 펌프(400)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400)에서 스팀발생기(200)로 물이 공급되며, 스팀발생기(200)에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드럼(20)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대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되는 프런트 로딩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조대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는 탑 로딩 방식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원을 형성하는 카트리지(300)가 캐비넷(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공급원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건조된 상태의 의 류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생길 수 있는 구김 또는 주름을 별도의 다림질을 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리브에 형성되는 제2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펌프의 급수호스를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스팀발생기 및 물공급원 사이에 위치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하는 펌프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 펌프 및 스팀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연결수단은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물공급원 및 상기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은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드로워가이드부; 제1 리브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이드부와 구획되며, 상기 펌프가 고정되는 펌프고정부; 및 제2 리브에 의해 상기 펌프고정부와 구획되며, 상기 스팀발생기가 고정되는 스팀발생기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1 리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1 리브에서 상기 드로워가이드부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의 물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파이프; 및
    상기 제1 연결파이프와 연통하며, 상기 펌프고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제2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파이프의 내측에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파이프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펌프고정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연결파이프의 펌프고정부 측 단부에서 소정간격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1 리브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리브에서 상기 드로워가이드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KR1020070042698A 2007-05-02 2007-05-02 스팀건조기 KR10139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98A KR101396971B1 (ko) 2007-05-02 2007-05-02 스팀건조기
US12/149,467 US8196439B2 (en) 2007-05-02 2008-05-01 Laundry machine including a support module with a drawer based detachable water supply
DE102008021853.7A DE102008021853B4 (de) 2007-05-02 2008-05-02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98A KR101396971B1 (ko) 2007-05-02 2007-05-02 스팀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613A true KR20080097613A (ko) 2008-11-06
KR101396971B1 KR101396971B1 (ko) 2014-05-20

Family

ID=3980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98A KR101396971B1 (ko) 2007-05-02 2007-05-02 스팀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96439B2 (ko)
KR (1) KR101396971B1 (ko)
DE (1) DE10200802185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306A1 (en) 2005-12-30 2007-07-05 Gilboe Kevin J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1B1 (ko) *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60205B1 (ko) * 2007-03-06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348719B1 (ko) 2007-03-06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432585B1 (ko) * 2007-03-06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348718B1 (ko)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441917B1 (ko) * 2007-03-06 2014-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US8181359B2 (en) * 2007-04-25 2012-05-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TE533881T1 (de) 2008-04-30 2011-12-15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374767T3 (es)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DE102008042264B4 (de) * 2008-09-22 2016-11-10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Ausrüstung von Wäsche und zur Durchführung geeignetes Wäschebehandlungsgerät
EP2251480B1 (en) * 2009-05-11 2017-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appliance
DE102009026773B4 (de) * 2009-06-05 2019-07-18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Ausrüstung von Wäsche und zur Durchführung geeignetes Wäschebehandlungsgerät
EP2287389A1 (en) * 2009-08-18 2011-0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eam injection arrangement for a laundry appliance, and laundry appliance
DE102014105036B4 (de) 2014-04-09 2023-08-03 Miele & Cie. Kg Geschirrspüler oder Waschmaschine mit Bedienvorrichtung
DE102021104575A1 (de) 2021-02-25 2022-08-25 Miele & Cie. Kg Wärmepumpentrockn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rmepumpentrocknungsgerät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458B1 (de) * 1987-01-28 1991-09-18 Electrolux-Juno Küchentechnik GmbH Vorrichtung zum Zugeben von Wasser zur Dampferzeugung in ein Gargerät
US5337703A (en) * 1993-07-14 1994-08-16 Trouvay & Cauvin Steam generator
DE60216640D1 (de) * 2002-03-01 2007-01-18 Ayla Cev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lbständigen glätten
KR20050060560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KR101132331B1 (ko) * 2004-07-14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235193B1 (ko) * 2005-06-13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2439B1 (ko) 2005-10-0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20070042698A (ko) 2005-10-19 2007-04-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불량지폐입금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방법
EP1862575A1 (en) * 2006-06-01 2007-12-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mestic appliance with a steam unit constructed as a module
KR100698134B1 (ko) *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2B1 (ko) *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6661A1 (en) 2008-11-13
DE102008021853A1 (de) 2008-11-06
US8196439B2 (en) 2012-06-12
DE102008021853B4 (de) 2021-03-04
KR101396971B1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7613A (ko) 스팀건조기
KR101328920B1 (ko) 건조기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US8181359B2 (en) Laundry machine
KR101253179B1 (ko) 건조기
KR101208532B1 (ko) 건조기
WO2008133444A2 (en) Steam laundry dryer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0845872B1 (ko) 스팀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1241897B1 (ko) 건조기
KR100833868B1 (ko) 스팀건조기
KR101387508B1 (ko) 건조기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857800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KR101430469B1 (ko) 건조기
KR101208533B1 (ko) 건조기
KR101208534B1 (ko) 건조기
KR100873129B1 (ko) 세탁 장치
KR101265610B1 (ko) 건조기
KR101422025B1 (ko) 건조기
KR20110004743A (ko) 건조기용 스팀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