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896A -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896A
KR20090072896A KR1020070142044A KR20070142044A KR20090072896A KR 20090072896 A KR20090072896 A KR 20090072896A KR 1020070142044 A KR1020070142044 A KR 1020070142044A KR 20070142044 A KR20070142044 A KR 20070142044A KR 20090072896 A KR20090072896 A KR 2009007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information
washing
mai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규
Original Assignee
박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규 filed Critical 박태규
Priority to KR102007014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896A/ko
Publication of KR2009007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및 표백처리를 위한 약품 전처리공정(1); 약품 전처리공정(1)을 거쳐 원단을 세척하는 수세공정(2)과; 세척된 원단을 특정 색으로 염색하는 염색공정(3)과; 염색된 원단을 다시 세척하는 수세공정(4)과; 세척된 원단에 코팅 및 유연재를 도포함과 동시에 원단의 주름제거 및 좌,우 폭 조절을 실시하는 텐타공정(5)과; 텐타공정(5)을 거친 원단을 롤 형태로 감아 주는 롤링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원단 염색가공 공정에 있어서,
염색을 실시할 원단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A') 및 입력부(A")와; 원단 정보, 원단제직회사 정보, 특정 원단에 특정 색상 염색시 가장 바람직한 작업정보 등이 입력되어져 있는 메인컴퓨터부(A)와;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1)의 기기, 수세공정(2)의 기기, 염색공정(3)의 기기, 수세공정(4)의 기기, 텐타공정(5)의 기기, 롤링공정(6)의 기기에 각각 구성되어 메인컴퓨터부(A)에서 하달된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기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제어부(B)를 상호 연동시켜 메인컴퓨터(A)에 의해 원단 특징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염색가공공정이 자동실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
염색, 원단, 화학약품, 수세공정, 텐타공정

Description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System of automatic dying of cloth}
본 발명은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단의 특징 및 재질 그리고 그 염색정보에 따른 가장 적합한 염색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하여 원단의 염색 품질이 최적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원단 염색가공 공정은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종류 즉 원단의 재질과 염색할 색상을 결정 한 다음 다수 염색가공공정을 거쳐 염색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대부분의 염색가공 공정을 작업자가 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각 공정의 기기에 작업조건을 수동으로 입력/실시하고 있어, 원단마다 그 염색 품질의 일관성이 없고, 또 그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 양질의 색상을 얻을 수 없었던 실정이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원단 염색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선택된 원단을 가성소다 또는 표백약품을 이용하여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또는 표백처리하는 약품 전처리공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약품 전처리공정이란, 원단의 제직시 사용되었던 화학약품(풀)을 제 거하거나 또는 표백처리하여 차후 염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정으로 일정온도의 가성소다 또는 표백약품을 가진 약품저장통 내로 상기 원단을 경유 시킨 후 롤 형태로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여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또는 표백처리하여 준다.
이때,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에서는 가성소다 또는 표백약품의 온도 및 그에 경유 된 원단의 보관 시간을 원단의 재질과 제직회사에 따라 달리 실시하여야 한다.
즉, 상기의 원단은 그 재질과 제직회사에 따라 원단의 조직밀집도 및 화학약품의 첨가량이 각기 다르므로 이에 적합한 값의 가성소다 또는 표백약품의 온도와 원단의 경유시간 및 보관시간을 설정해주어야만 적절한 약품처리 및 표백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의 실시시, 작업자가 경험으로 얻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온도 및 시간 등을 단순설정하여 기기를 작동시키고 있는 실정이어서, 원단 특징에 따른 적절한 약품 전처리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단으로부터의 화학약품 제거 및 표백처리가 미숙하였음은 물론 그로 인한 원단의 염색과정까지 악영향을 미쳤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설명의 약품 전처리공정을 끝마친 원단은 위 공정에서 사용된 가성소다를 제거하기 위한 수세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상기 수세공정이란, 약품 전처리공정에서 원단으로부터 화학약품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된 가성소다를 중화 및 원단의 세척을 위한 공정으로서,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을 거친 원단을 알카리약품(가성소다의 산성을 중화시키는 약품)이 함유된 일정온도의 세척수로 일정시간 및 속도로 원단을 경유시켜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세공정 역시 원단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온도와 세척시간 및 원단의 경유 속도 등이 상기 설명과 같이 원단 특징에 맞게 설정실시되어야만 바람직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래에 이 작업 또한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바람직한 세척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실정이었다.
*상기 세척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염색공정에서 염료가 원활하게 염색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세공정을 끝마친 원단은 지정된 염료로 염색작업을 실시하는 염색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염색공정은 수세공정을 거친 원단을 염색기기에 주입하여 일정 속도 및 시간 그리고 온도로 염색기기 내를 경유케 하면서 일정량의 특정 약품과 염료로 염색작업을 실시하는 공정을 말하는 것으로, 위 공정의 설명과 동일하게 이송속도, 시간, 온도 및 약품과 염료의 첨가량이 원단의 특징에 따라 바람직하게 설정실시되어야만 양질의 염색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 또한 단순히 작업자의 경험에만 의존하고 있어, 종래 원단의 염색 불량은 물론 원단의 훼손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었다.
또 상기 염색공정을 끝마친 원단은 위에서 설명된 수세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수세공정을 거친다.
이때, 상기 수세공정에서는 염색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과 원단의 찌꺼기들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단, 초기 수세공정에서 사용되었던 약품은 이번 수세공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 상기 수세공정을 끝마친 원단은 주름 제거 및 코팅 작업을 하는 텐타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상기 텐타공정이란, 원단에 코팅 및 유연재를 도포함과 동시에 원단에 열을 가하여 상기 다수 공정을 통해 발생 된 주름 제거 및 원단의 좌,우 폭을 동일하게 조절하여 주는 공정을 말한다.
그러나 이 역시 모든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상기 공정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텐타공정을 거친 원단은 롤링 공정을 통해 다시 롤 형태로 감아 마무리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원단의 염색가공시 각 공정마다 작업자가 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을 실시하고 있어, 원단 특징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염색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원단의 염색 불량률과 원단의 훼손률이 높았으며 더욱이 각 공정마다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인력부족에 따른 생산성 저하는 물론 염색가공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를 일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원단의 염색가공시 원단 특징에 따른 가장 적합한 염색가공 작업을 메인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실시하여 원단의 품질의 향상과 더불어 불량률 및 작업인력의 최소화를 꾀하도록 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및 표백처리를 위한 약품 전처리공정(1);
약품 전처리공정(1)을 거쳐 원단을 세척하는 수세공정(2)과;
세척된 원단을 특정 색상으로 염색하는 염색공정(3)과;
염색된 원단을 다시 세척하는 수세공정(4)과;
세척된 원단에 코팅 및 유연재를 도포함과 동시에 원단의 주름제거 및 좌,우폭 조절을 실시하는 텐타공정(5)과;
텐타공정(5)을 거친 원단을 롤 형태로 감아 주는 롤링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원단 염색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색을 실시할 원단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A') 및 입력부(A")와;
원단 정보, 원단제직회사 정보, 특정 원단에 특정 색상 염색시 가장 바람직한 작업정보 등이 입력되어져 있는 메인컴퓨터부(A)와;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1)의 기기, 수세공정(2)의 기기, 염색공정(3)의 기기, 수세공정(4)의 기기, 텐타공정(5)의 기기, 롤링공정(6)의 기기에 각각 구성되어 메인컴퓨터부(A)에서 하달된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기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제어부(B)를 상호 연동시켜 메인컴퓨터(A)에 의해 원단 특징에 따른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염색가공공정이 자동실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단의 염색 가공시, 상기 메인컴퓨터부가 원단의 특징정보를 검출 또는 입력받아 해당 원단에 가장 적합한 작업조건으로 염색이 자동실시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염색 품질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됨은 물론 원단의 불량이 없고 나아가 염색가공공정의 자동화로 인한 인력낭비의 최소화 및 단시간 내의 대량 생산으로 생산비용의 절감효과까지 얻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A') 및 입력부(A")와 원단 정보, 원단제직회사 정보, 염색 정보 등이 입력되어져 있는 메인컴퓨터부(A)와 염색가공공정의 다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B)들을 상호 연결구성토록 함은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바, 이를 이용한 원단의 염색가공공정을 살펴 보면,
먼저, 상기 메인컴퓨터부(A)로 원단 제직회사의 정보 및 그 제직회사에서 생산된 원단 정보, 그리고 원단에 따른 가장 적합한 약품 전처리정보, 수세정보, 염 색정보, 수세정보, 텐타정보, 롤링정보 등을 각각 실험을 통해 입력한다.
이때, 상기 메인컴퓨터부(A)에 입력되는 원단 제직회사의 정보와 그 제직회사에서 생산된 원단의 정보란,
현재 제직회사별로 사용되는 제직기의 종류가 다르므로 그 제직기에 대한 정보 및 생산 원단의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각각의 제직회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직기에 따라 원단의 조직밀집도 및 그에 함유되는 화학약품의 배율이 각각 다르게 설정/생산되므로 다수의 제직회사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원단의 조직밀집도 및 화학약품의 첨가량 정보를 메인컴퓨터부(A)에 입력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원단에 따른 가장 적합한 약품 전처리정보, 수세정보, 염색정보, 수세정보, 텐타정보, 롤링정보란,
제직회사별 원단 특징 및 그 원단의 재질에 가장 적합한 염색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자면 특정 제직회사에서 생산된 특정재질의 원단을 특정색상으로 염색할 경우, 그 원단이 약품전처리공정, 수세공정, 염색공정, 수세공정, 텐타공정, 롤링공정에서 어떠한 조건 값에 가장 바람직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지를 실험을 통해 데이타화 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메인컴퓨터부(A)로 다양한 원단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메인컴퓨터부(A)는 검출부(A')를 통해 작업하고자 하는 원단의 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적합한 작업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원단의 정보 및 작업할 색상 정보는 원단에 바코드 또는 특정형 상을 형성하여 이를 검출부(A')를 통해 자동으로 메인컴퓨터부(A)에 입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원단의 정보와 작업할 색상정보를 입력부(A")를 통해 입력하면 된다.
또한 메인컴퓨터부(A)에서 원단의 정보가 입력되어 그 작업정보가 산출되면,
상기 메인컴퓨터부(A)에서는 가장 먼저 약품 전처리공정(1)의 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원단의 특징과 재질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약품전처리 작업을 실시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B)는 하달된 정보에 따라, 약품전처리 기기를 가동시켜,
해당 원단에 적합한 화학약품 투입 및 그 온도 그리고, 원단의 이송속도 제어 및 보관시간을 제어하여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주게 된다.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을 완벽하게 제거하면 차후 염색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1)이 완료되면 메인컴퓨터부(A)에서는 수세공정(2)의 수세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을 세척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B)는 하달된 정보에 따라 수세기기를 가동시켜, 알카리 약품이 함유된 세척수의 온도 세척시간 그리고 원단의 이송속도 등을 해당 원단에 적합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약품 전처리공정(1)에서 사용되었던 가성소다의 중화 및 이물질의 제거를 완벽하게 하여 준다.
*원단의 세척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 차후 염색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세공정(2)이 완료되면 메인컴퓨터부(A)에서는 염색공정(3)의 염색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을 지정된 색상으로 염색작업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B)는 메인컴퓨터부(A)에서 하달된 정보에 따라, 염색기기를 가동시켜, 원단의 이송속도 및 작업시간, 그리고 약품과 염료의 첨가량 및 그 온도를 원단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원단에 특정 색이 보다 뛰어나게 작업 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염색공정(3)이 완료되면 메인컴퓨터부(A)에서는 수세공정(4)의 수세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을 그에 적합한 세척시간 및 온도로 세척토록 한다.
이때, 상기 수세공정(4)에서는 초기 수세공정(2)에서 사용되었던 약품은 사용되지 않는다.
또 상기 수세공정(4)이 완료되면, 메인컴퓨터부(A)에서는 텐타공정(5)의 텐타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을 텐타작업 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B)는 메인컴퓨터부(A)에서 하달된 정보에 따라, 텐타기기를 가동하여 원단에 도포하는 코팅 및 유연재의 양 그리고 원단의 주름제거와 좌,우폭 조절을 위해 원단에 가하게 되는 가열온도를 해당 원단에 적합한 조건으로 설정/작업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텐타공정(5)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메인컴퓨터부(A)에서 롤링공정(6)의 롤링기기에 구성된 제어부(B)로 작업정보를 하달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을 롤 형태로 감아 염색작업을 완료토록 한다.
이상 전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의 특징과 그 재질에 따른 다양한 염색가공정보를 메인컴퓨터부(A)에 데이타화시켜, 특정 원단의 염색시 해당 원단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염색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 원단의 염색 효율를 극대화시켜 그 품질을 높이고 나아가 원단의 불량률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메인컴퓨터부 A' : 검출부
A" : 입력부 B : 제어부
1 : 약품 전처리공정 2 : 수세공정
3 : 염색공정 4 : 수세공정
5 : 텐타공정 6 : 롤링공정

Claims (1)

  1.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및 표백처리를 위한 약품 전처리공정(1);
    약품 전처리공정(1)을 거쳐 원단을 세척하는 수세공정(2)과;
    세척된 원단을 특정 색으로 염색하는 염색공정(3)과;
    염색된 원단을 다시 세척하는 수세공정(4)과;
    세척된 원단에 코팅 및 유연재를 도포함과 동시에 원단의 주름제거 및 좌,우폭 조절을 실시하는 텐타공정(5)과;
    텐타공정(5)을 거친 원단을 롤 형태로 감아 주는 롤링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원단 염색가공 공정에 있어서,
    염색을 실시할 원단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A') 및 입력부(A")와;
    원단 정보, 원단제직회사 정보, 특정 원단에 특정 색상 염색시 가장 바람직한 작업정보 등이 입력되어져 있는 메인컴퓨터부(A)와;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1)의 기기, 수세공정(2)의 기기, 염색공정(3)의 기기, 수세공정(4)의 기기, 텐타공정(5)의 기기, 롤링공정(6)의 기기에 각각 구성되어 메인컴퓨터부(A)에서 하달된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기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제어부(B)를 상호 연동시켜 메인컴퓨터(A)에 의해 원단 특징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염색가공공정이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KR1020070142044A 2007-12-28 2007-12-28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KR20090072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2044A KR20090072896A (ko) 2007-12-28 2007-12-28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2044A KR20090072896A (ko) 2007-12-28 2007-12-28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896A true KR20090072896A (ko) 2009-07-02

Family

ID=4133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2044A KR20090072896A (ko) 2007-12-28 2007-12-28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8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318B2 (en) Method for decolorizing a denim fabric using ozone
CN105603658B (zh) 一种平幅绳状高效水洗机
EP1990456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ärben eines textilen Substrates
CN108385313A (zh) 一种仿皮绒的定型工艺
CN105862459A (zh) 弹力涤粘布的染色工艺
CN108729086A (zh) 一种纬编空气层麂皮绒面料的皱印处理方法
EP3700341A1 (en) Improved ring dye process and material produced thereof
KR20150071838A (ko) 섬유의 염색방법
US4501039A (en) Sheet-dye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72896A (ko) 원단 자동염색 가공시스템
TR201809591A2 (tr) Ultrasoni̇k çamaşir temi̇zleme ve kurutma modülü
KR100618419B1 (ko) 원단의 염색 전처리용 다줄 연속 정련장치
CN109162042B (zh) 一种麂皮绒面料的加工方法
US201602376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n elongate textile article
KR100958770B1 (ko) 원단에 제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US5334224A (en) Method for continuous pretreatment of a cloth
US5321864A (en) Continuous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leaching a textile fabric web
Islam Identif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dyeing fault, causes and controlling method for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JP2816599B2 (ja) 紡織製品ウェブの捺染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11705529A (zh) 一种面料的一浴法短流程染色工艺
CN202298171U (zh) 四用型平蒸机
GB2083847A (en) Wet heat treating textiles
US20220120033A1 (en) Dye range, improved dye range processes, and yarns and fabrics produced therefrom
CN110055766A (zh) 适合条码印刷和扫描的黑色涤纶商标带的制造方法
DE10201500604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behandeln von Wäschestüc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