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17A -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17A
KR20090071317A KR1020080045514A KR20080045514A KR20090071317A KR 20090071317 A KR20090071317 A KR 20090071317A KR 1020080045514 A KR1020080045514 A KR 1020080045514A KR 20080045514 A KR20080045514 A KR 20080045514A KR 20090071317 A KR20090071317 A KR 2009007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data
shooting
picture data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7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동영상 재생시에 동영상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지화상을 쉽게 독출할 수 있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영 정보 수신부(110)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에 관련된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d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and storing medium hav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본 발명은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에는 동영상을 주로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나, 정지화상을 주로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가 있다. 최근에는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 또는, 연사 기능에 의해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도 존재한다. 한편, 캠코더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병용하여 촬영하는 방법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217357호에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를 그룹화하고, 그룹 내에서 공통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217357호의 기술에 의하면, 동일 그룹 내에 속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공통 커맨드를 수신함으로써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23814호에서는, 촬영시에 근처에 있는 다른 카메라와 촬영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날짜 정보, 위치 정보 등)를 교환하고, 교환된 촬영 정보를 기록하는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23814호의 기술에 의하면, 근처에 함께 있는 전혀 모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메라 사이에 무선으로 자동으로 촬영 정보가 교환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와의 교류를 도모하거나, 다면적인 촬영으로 구성되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23814호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촬영자)나 카메라(기기) 끼리 관련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와의 교류를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운동회 등의 이벤트에서 동영상을 주로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와 정지화상을 주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병용하여 동일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 대해, 촬영 정보를 교환하는 것까지 고려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캠코더에 촬영 및 기록된 신(scene) 중 어떤 시점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되었는지를 사진에 기초하여 판단하거나, 반대로 동영상에 기초하여 어디에 정지화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 때문에, 캠코더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이나 사진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작업량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의 재생시에 동영상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지화상을 쉽게 독출할 수 있는 신규의 개량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정지화상의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영 정보 수신부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촬영 정보 추출부와,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정지화상 데이터 독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 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단,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재생시에 동영상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지화상을 쉽게 독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1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캠코더(100)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10)(제2 기록 매체)에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촬상 장치(기록 장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카메라(102)와,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 와, 통신부(110)와, 포맷화부(112)와, MPEG 인코더(120)와, 마이크로 폰(130)과, 음성 인코더(132)와, MPEG 시스템 인코더(140)와, 미디어 기록부(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는 카메라(102)의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1프레임마다의 동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는 입력된 신호를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의 동영상 데이터는 MPEG 인코더(120)에 보내진다.
통신부(110)는 촬영 정보 수신부의 일 예로, 촬영이 이루어진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정보를 받는다. 통신부(11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서의 촬영마다 촬영 정보를 받을 수도 있고, 한 번에 복수의 촬영 정보를 정리하여 받을 수도 있다. 통신부(100)는 받은 촬영 정보를 포맷화부(112)에 보낸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IEEE 802.11a/b/g, Bluetooth 형식 등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한다.
촬영 정보란,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 촬영된 화상에 대하여 한결같이 정해지는 정보로,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기 종명, 제조 메이커명, 소유자에 관한 정보 등)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가 기록한 기록 미디어(12)(제1 기록 매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메모리 용량, 제품명, 제조 메이커명, 소유자에 관한 정보 등), 기록 미디어(12)에서의 정 지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등이다.
포맷화부(112)는 통신부(110)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받은 촬영 정보를 포맷처리하고, MPEG 인코더(120)에서 기록할 수 있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포맷화부(112)는 생성한 촬영 정보 데이터를 MPEG 인코더(120)에 보낸다.
MPEG 인코더(120)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에서 송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포맷화부(112)에서 송신한 촬영 정보 데이터에 대해 MPEG 규격에 준거한 동영상 압축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MPEG 시스템 인코더(140)에 보낸다. 촬영 정보 데이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정보가 보내진 시각에 해당하는 MPEG 비트 스트림 중의 프레임 헤더에 삽입된다.
마이크로 폰(130)은 카메라(102)에 의한 동영상 촬영과 동시에 피사체의 음성을 취득하고, 오디오 인코더(132)에 송신한다. 오디오 인코더(132)는 입력된 음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다. 오디오 인코더(132)에서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AAC 방식 등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오디오 인코더(132)는 압축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MPEG 시스템 인코더(140)에 보낸다.
MPEG 시스템 인코더(140)는 MPEG 인코더(120)에서 송신한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인코더(132)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를 파일화 처리하고, MPEG 형식의 파일 데이터를 생성한다. MPEG 시스템 인코더(140)는 동영상 데이 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해 재생시의 동기(同期)를 확보하기 때문에, 타임 스탬프를 관리하고, 기록 미디어(10)에 기록한다. 파일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촬영 정보 데이터는 미디어 기록부(150)에 의해 기록 미디어(10)에 기입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촬상 장치(100)는 CPU를 구비한다. CPU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촬상 장치(100)중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는 MPEG 시스템 인코더(140)로부터 미디어 기록부(150)에의 데이터 송신, 및 미디어 기록부(150)에 의한 기록 미디어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한다.
또한, 캠코더(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도 있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100)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촬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촬영 정보와 함께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10)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12)에 정지화상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촬상 장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는, 예를 들어, 카메라(202)와, 카메라 신호 처리부(204)와, JPEG 인코더(206)와, 미디어 기록부(208)와, CPU(210)와, 촬영 정보 취득부(212)와, 통신부(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204)에는 카메라(202)의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지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의 정지화상 데이터는 JPEG 인코더(206)에 송신된다.
JPEG 인코더(206)는 입력된 정지화상 데이터에 대해 JPEG 형식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하고, 미디어 기록부(208)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미디어 기록부(208)는 기록 미디어(12)에 정지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CPU(21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210)는, 예를 들어, JPEG 인코더(206)로부터 미디어 기록부(208)에의 데이터 송신, 및 미디어 기록부(208)에 의한 기록 미디어(12)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한다.
촬영 정보 취득부(212)는 피사체를 촬영한 시점의 카메라(202), 기록 미디어(12), 사용자 등에 관한 촬영 정보를 CPU(210)를 통해 취득한다. 촬영 정보 취득부(212)는 정지화상의 촬영마다 촬영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촬영 정보는 일시적으로 축적되고, 통신부(214)를 거쳐 캠코더(100)에 보내진다. 통신부(214)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의한 촬영시의 촬영 정보를 캠코더로 보낸다. 촬영 정보의 송신은 촬영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촬영 정보를 일시에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214)는 IEEE 802.11a/b/g, Bluetooth 형식 등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한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도 있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의한 촬영시의 촬영 정보를 촬영마다 취득하고, 취득한 촬영 정보를 캠코더(100)에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3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재생 장치(300)는 기록 미디어(10, 12)에 기록된 동영상 데이터 및 정지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이다. 재생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호스트 CPU(302)와, 제1 미디어 독출부(304)와, 시스템 디코더(306)와, 음성 디코드부(308)와, 비디오 디코드부(310)와, 촬영 정보 추출부(312)와, 제2 미디어 독출부(314)와, JPEG 디코드부(316)와, MUX(320)와, 음성 출력부(322)와, 비디오 출력부(324) 등으로 이루어진다.
호스트 CPU(302)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재생 장치(300)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CPU(302)는 기록 미디어(10, 12)에 기록된 동영상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 를 취득한다.
제1 미디어 독출부(304)는 기록 미디어(10)에 기록된 동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1 미디어 독출부(304)는 독출된 동영상 데이터를 시스템 디코더(306)에 송신한다. 시스템 디코더(306)는 제1 미디어 독출부(306)에 독출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모아 음성 디코드부(308), 비디오 디코드부(310)에 송신한다.
음성 디코드부(308)는 압축 부호화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고, 디코드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322)로 송신한다. 음성 출력부(322)는 송신된 데이터를 DA(디지털-아날로그)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드부(310)는 압축 부호화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고, 디코드된 동영상 데이터를 MUX(320)에 송신한다. 또한 비디오 디코드부(310)는 촬영 정보 추출부(312)에 촬영 정보를 송신한다.
촬영 정보 추출부(312)는 비디오 디코드부(310)가 디코드 처리한 데이터로부터 촬영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촬영 정보는 호스트 CPU(320)를 통해 MUX(210)에 송신되고, 동영상의 재생시에 사용된다.
제2 미디어 독출부(314)는 정지화상 데이터 독출부의 일 예로, 촬영 정보 추출부(312)가 추출한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미디어(12)에 기록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2 미디어 독출부(314)는 독출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JPEG 디코드부(316)로 송신한다. JPEG 디코드부(316)는 압축 부호화 처리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고, 디코드 처리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MUX(320)에 송신한다.
MUX(320)는 비디오 디코드부(310)에서 송신된 동영상 데이터, JPEG 디코드 부(316)에서 송신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262)로 송신한다. 비디오 출력부(324)는 송신된 데이터를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재생 장치(300)에 의하면, 캠코더(100)에 의해 기록 미디어(10)에 기록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할 때, 데이터에 포함되는 촬영 정보를 추출한다. 어떤 프레임 헤더에 촬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시점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정지화상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생 장치(300)는 정지화상을 재생하는지, 그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동영상 데이터 및 정지화상 데이터의 재생시에 관련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운동회 등의 이벤트에서 캠코더(100)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 양쪽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 동영상 데이터 및 정지화상 데이터의 관련성이 명확해지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작업이던 데이터의 관리가 쉬워진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100)가 기록하는 동영상 데이터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가 기록하는 정지화상 데이터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100)가 기록 미디어(10)에 기록하는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미디어(1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정지화상이 촬영된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촬영된 정지화상에 관한 촬영 정보가 취득되고, 통신 부(214)를 통해 촬영 정보가 캠코더(100)에 송신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100)가 통신부(110)를 통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정보를 수신한 경우, MPEG 비트 스트림 중의 프레임 헤더에 촬영 정보가 기록된다. 촬영 정보가 기록되는 헤더의 프레임은,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정지화상의 촬영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정지화상을 인코드한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캠코더(100)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정보 화상을 받은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등이다.
또한, MPEG 비트 스트림에는 시퀀스 헤더(sequence header), 영상그룹 헤더(group_of_picture header), 영상 헤더(picture header)의 각각에 유저 데이터(user data)를 삽입할 수 있는 사용자 영역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해당 영역에 촬영 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프레임의 헤더(굵은 선으로 나타낸다.)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 촬영된 정지화상에 관한 촬영 정보가 기록된다.
촬영 정보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 촬영된 정지화상에 대하여 한결같이 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종명, 제조 메이커명, 소유자에 관한 정보 등)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가 기록한 기록 미디어(12)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메모리 용량, 제품명, 제조 메이커명, 소유자에 관한 정보 등), 기록 미디어(12)에서의 정지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동영상 재생시에 어떤 기록 미디어(12)의 어떤 위치에 정지화상이 기록되어 있는지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나 기록 미디어(12)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일명으로 관리되고 있으면, 기록 미디어(12)로부터 다른 기록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등)로 이동한 경우에도 정지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재생 장치(300)는 기록 미디어(12)로부터 정지화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정지화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100)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가 기록한 동영상 및 정지화상의 재생예를 설명한다. 도 5는 표시 장치(330)에 동영상 및 정지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표시 장치(330)는, 예를 들어, 재생 장치(300)의 음성 출력부(322)와 비디오 출력부(324)와 접속되어 있고, 동영상 및 음성의 재생 및 정지화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재생 화면(332)은 표시 장치(330)의 화면 상부에 넓게 표시되고, 복수의 정지화상(338)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330)의 화면 하부에 썸네일(thumbnail) 표시된다. 그리고, 동화상 재생 중에 해당 시각에 정지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정지화상 있음」의 표시(336)가 표시된다. 그리고, 정지화상 썸네일(thumbnail) 중에서 해당하는 정지화상을 명시하거나, 정지화상을 확대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복수의 기록된 정지화상 중 어떤 정지화상이 어떤 시점에 기록된 정지화상인지 특정하는 것이 어렵지만,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촬영 정보에 의하면, 정지화상을 동영상 재생 중에 쉽게 독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영상 및 정지화상의 재생예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화상을 특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4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화부(442) 이외의 각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캠코더(400)는 제1 실시형태의 캠코더(100)와 달리, MPEG 비트 스트림의 프레임 헤더에 촬영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데이터와는 별도로 촬영 정보를 기록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화부(112)는 파일화부(442)에 촬영 정보를 보내고, MPEG 인코더(140)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파일화부(442)에 보낸다. 그리고, 파일화부(442)는 촬영 정보에 관한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파일화(化) 처리한다. 파일화 처리된 데이터는 미디어 기록부(150)를 통해 기록 미디어(10)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5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 추출부(510) 이외의 각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재생 장치(500)는 제1 실시형태의 재생 장치(300)와 달리, MPEG 비트 스트림의 프레임 헤더에 기록된 촬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데이터와는 별도로 기록된 촬영 정보가 기록된 파일로부터 촬영 정보를 독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추출부(510)는 제1 미디어 독출부(304)가 기록 미디어(10)로부터 독출한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파일 중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파일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파일에 기록된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정지화상을 독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영상 데이터의 MPEG 비트 스트림의 헤더에 촬영 정보가 기록되지 않아도, 다른 촬영 정보에 관한 파일을 참조함으로써 동영상 재생중에 해당하는 정지화상을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파일에는 정지화상과 동영상의 동기(同期)를 도모하기 때문에, 개개의 촬영 정보에는 촬영시의 시각 등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 낼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캠코더가 기록 미디어에 기록하는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미디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에 동영상 및 정지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캠코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기록 미디어
100: 캠코더
102, 202: 카메라
104, 204: 카메라 신호 처리부
110, 214: 통신부
112: 포맷화부
120: MPEG 인코더
130: 마이크로 폰
132: 음성 인코더
140: MPEG 시스템 인코더
150, 208: 미디어 기록부
200: 디지털 스틸 카메라
206: JPEG 인코더
210: CPU
212: 촬영 정보 취득부
214: 통신부
300: 재생 장치
302: 호스트 CPU
304: 제1 미디어 독출부
306: 시스템 디코더
308: 음성 디코드부
310: 비디오 디코드부
312: 촬영 정보 추출부
314: 제2 미디어 독출부
316: JPEG 디코드부
320: MUX
322: 음성 출력부
324: 비디오 출력부
442: 파일화부
510: 파일 추출부

Claims (6)

  1.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영 정보 수신부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촬영 정보 추출부와,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정지화상 데이터 독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4.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5.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6.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정지화상 촬영시에 촬상 장치가 제1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기록 매체에서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제2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촬영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20080045514A 2007-12-26 2008-05-16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20090071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5255A JP2009159314A (ja) 2007-12-26 2007-12-26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7-00335255 200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17A true KR20090071317A (ko) 2009-07-01

Family

ID=4096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14A KR20090071317A (ko) 2007-12-26 2008-05-16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59314A (ko)
KR (1) KR200900713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4867A (zh) 2009-07-22 2011-0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装置、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JP2012015830A (ja) * 2010-07-01 2012-01-19 Nikon Corp 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272A (ja) * 2002-03-01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静止画表示装置
JP4339020B2 (ja) * 2003-05-28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信号記録再生方法
JP2005136892A (ja) * 2003-10-31 2005-05-26 Canon Inc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撮像システム
JP4148228B2 (ja) * 2005-02-10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制御装置、画像記録再生制御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9314A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9410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EP1981272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JP4958758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4086759A1 (ja) 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9147549A (ja) 動画像記録装置、動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56196B2 (ja) 撮像装置
US8379093B2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s
KR20090064272A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1385168B1 (ko) 화상 데이터 기록장치
JP5118465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71317A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JP5290568B2 (ja) 動画像記録装置、動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04723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446669B2 (ja) 動画データの記録方法及びその再生方法並びに動画データの記録装置及びその再生装置
JP679909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8154099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静止画生成方法
JP5118466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34788A (ja) 記録再生装置
JP5386915B2 (ja) 動画撮像装置、動画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4712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36924A (ja) カメラの画像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