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958A -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958A
KR20090069958A KR1020070137795A KR20070137795A KR20090069958A KR 20090069958 A KR20090069958 A KR 20090069958A KR 1020070137795 A KR1020070137795 A KR 1020070137795A KR 20070137795 A KR20070137795 A KR 20070137795A KR 20090069958 A KR20090069958 A KR 2009006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oily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360B1 (ko
Inventor
마수현
조성아
박창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3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3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액상 또는 젤상을 나타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통하여 내수성과 뛰어난 클렌징력을 가짐과 동시에 기존에 비해 사용성과 마사지감이 향상되고 물세안 후 잔여감이 개선된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 * 비이온성계면활성제 * 이온성계면활성제 * 씻김성 * 내수성

Description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Oily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통하여 기존보다 마사지감과 도포성이 개선되고 물세안 후 오일감이 감소된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더러움이나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한 클렌징 화장료로서 크림상, 유액상, 젤상, 오일상, 액상 등이 있으며, 제형적 분류에 따르면 에멀젼, 유성, 수성 타입이 있다.
수성 타입의 경우 물과 폴리올을 이용한 베이스에 소량의 오일과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여 클렌징 효과를 부여한 것으로, 사용감이 산뜻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메이크업 제거력이 낮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유성 타입을 대표하는 클렌징 오일은 수상을 포함하지 않고 100% 오일을 사용한 것으로 메이크업과 외부에서 피부에 부착되는 더러움과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여 탁월한 클렌징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점도가 낮은 오일상이므로 흐르기 쉬워 사용시 불편함이 있고 사용감도 다양화하기 어려우며, 사용 후 오일이 피부에 남아 있게 되면 씻김성이 나빠져서 반드시 물세안 후 이중 세안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제품의 개발이 늘고 있어 클렌징 효과가 가장 탁월한 오일 타입의 제품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클렌징 시장에서 가치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일정량의 수상을 포함하여 젖은 손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유성 점도조절제를 사용하여 쉽게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을 개선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물세안 후 잔여감의 측면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비율을 바꾸더라도 큰 진보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뛰어난 메이크업 제거력과 내수성을 지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액상, 또는 젤상의 클렌징 조성물의 제형을 만듦과 동시에 사용시 도포용이성, 마사지감 및 세안 후 잔여감을 크게 개선시킨 유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내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적절한 조합 및 비율을 이용하여 기존 유성 클렌징 제품의 씻김성에 대한 고질적인 문제점을 크게 개선함과 동시에 마사지감과 도포성 또한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 제,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기로는 탄소수 C10-5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 실리콘의 탄화수소기는 직쇄형, 분지형을 포함하는 것이며, 다중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 디메틸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친수기로는 폴리글리세릴 계,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계, 글루코시드 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우릴 글루코시드, 데실 글루코시드 등의 글루코시드계, PEG-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1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계,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올리에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릴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씻김성이 나빠지고 5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게 되면 피부 건조증 유발과 단가 증가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엄격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사용하는 오일과의 상용성을 고려하고 화장료의 피부 안정성과 사용 후 피부 자극의 최소화를 위해 아미노산계 또는 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메틸 카프로일 타우레이트와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디움 라우레스-1 포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물질들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과 제형 안전성을 고려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며, 상기 범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때 물의 헹굼성이 특히 향상된다. 혼합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헹굼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상 성분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종 이상을 메이크업 제거력과 안정도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식물성오일, 실리콘 오일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한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탄화수소오일이 효율적이며 유성 성분의 굴절률(Reflective index, 빛이 등방성(等方性)을 갖는 두 종류의 매질(媒質)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굴절하게 되는데, 이 때 입사각과 굴절각 사이에 성립되는 스넬의 법칙(굴절의 법칙)에서 상수(常數)의 값을 동일하게 맞추면 투명도를 맞출 수 있다.
유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9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 함유된다. 또한 유상 성분에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등의 실리콘오일을 씻김성과 제형 안정도를 고려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0 중량%를 혼합하게 되면 립스틱 및 아이메이크업 제품과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과의 혼합이 용이해져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 바 람직하게는 3~30중량% 함유되는 것이 충분한 내수성을 가질 수 있으면서 헹굼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수상에는 물 이외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 다가알코올류 또는 폴리올에 소수기를 부가시켜 개질 시킨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5~4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수상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수상의 함량이 50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수상을 포함하지 않아도 제형은 만들어질 수 있으나 점도가 너무 낮아 도포시 쉽게 흘러내리는 등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일정량 이상의 수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제형은 수상을 함유한 오일 제형으로서, 외관상 투명 혹은 반투명하게 보이는 단일상의 제형을 의미하며 계면활성제 및 유상의 함량 및 성분비에 따라 젤 또는 액상타입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중량%를 나타낸다.
[참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선정된 원료에 대해서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함량을 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한 유상, 수상, 계면활성제상, 수상의 함량대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수상 정제수 7.5 9.5 9.5 19.5 19.5 10 5 10 10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5 10 10
유상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30 30 30 30 30 30 35 40 40
트리에틸헥사노인 20 20 20 20 20 20 20 20 20
사이클로메치콘 10 10 10 - - 10 - 10 10
계면활성제상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5 - 10
데실 글루코시드 10 10 10 10 10 10 20 10 -
PEG-1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2 - - - - - - - -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0.5 0.5 - 0.5 - - - - -
라우레스-1 포스페이트 - - 0.5 - 0.5 - - - -
제조 방법은 우선 유상과 계면활성제상을 70℃까지 가온하고 200~400rpm에서 교반한 다음, 여기에 70℃까지 가온된 수상을 투입하여 10분간 혼합을 진행하였다. 혼합 후 30℃로 냉각하여 24시간 동안 30℃ 항온 챔버에서 보관한 뒤 상분리나 현탁이 없는 제형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사용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0명의 전문 패널이 도포성, 마사지 용이성, 씻김성, 클렌징력 및 내수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클렌징용 제품의 사용법에 따라 화장한 얼굴에 사용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우수하다’, ‘나쁘다’ 두 항목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내수성 측정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30중량%의 물을 첨가한 것의 클렌징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도표에 나타낸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전문 패널이 제시한 평가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 20명 중 15명 이상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 20명 중 10~14명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 20명 중 6~9명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 20명 중 5명 이하가 「우수하다」라고 회답.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도포성
마사지 용이성
씻김성 ×
클렌징력 ×
내수성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오일 타입의 클렌징용 제품인 비교예 1~4는 도포성이 좋고, 마사지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내수성도 우수하였지만, 오일의 잔여물이 피부에 남아 씻김성은 그다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5는 전반적으로 사용성에 대하여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씻김성에 있어서 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히 개선되었으며, 클렌징력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기로 탄소수 C10-5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 실리콘을 사용하고, 친수기로 폴리글리세릴계,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계 및 글루코시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 실리콘은 알킬 또는 디메틸 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또는 인산계 음이 온성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탄화수소,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식물성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9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또는 사이클로메치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물; 및 다가알코올 또는 폴리올에 소수기를 부가시켜 개질 시킨 성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 또는 폴리올에 소수기를 부가시켜 개질 시킨 성분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헥실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 또는 폴리올에 소수기를 부가시켜 개질 시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4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37795A 2007-12-26 2007-12-26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795A KR101441360B1 (ko) 2007-12-26 2007-12-26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795A KR101441360B1 (ko) 2007-12-26 2007-12-26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958A true KR20090069958A (ko) 2009-07-01
KR101441360B1 KR101441360B1 (ko) 2014-09-17

Family

ID=4132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795A KR101441360B1 (ko) 2007-12-26 2007-12-26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841A (ko) * 2016-12-08 2019-08-02 로레알 클렌징 적합 조성물
KR102063179B1 (ko) * 2018-11-09 2020-01-08 주식회사 피코스텍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5665A (ko) * 2019-05-24 2020-1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EP4255377B1 (en) * 2020-12-02 2024-04-10 Unilever IP Holdings B.V.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glycinate surfactant, polyol and nonionic surfactant comprising alkyl glucosi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905A (ja) * 1991-03-12 1993-08-20 Lion Corp 皮膚クレンジング用ゲル組成物
KR930009601A (ko) * 1991-11-15 1993-06-21 도바 다다스 클렌징 화장품
US6524594B1 (en) * 1999-06-23 2003-0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Foaming oil gel compositions
KR100754750B1 (ko) * 2006-01-04 2007-09-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841A (ko) * 2016-12-08 2019-08-02 로레알 클렌징 적합 조성물
US11039998B2 (en) 2016-12-08 2021-06-22 L'oreal Composition suitable for cleansing
KR102063179B1 (ko) * 2018-11-09 2020-01-08 주식회사 피코스텍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5665A (ko) * 2019-05-24 2020-1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EP4255377B1 (en) * 2020-12-02 2024-04-10 Unilever IP Holdings B.V.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glycinate surfactant, polyol and nonionic surfactant comprising alkyl glucos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360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314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4274491B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0997503B1 (ko) 유성 세정료
JP3657148B2 (ja) 透明化粧料
JP6006152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CN103585040A (zh) 抗水性液晶化妆品用乳剂组合物及其应用
TWI432219B (zh) 油性液體潔膚用組合物
JP6026615B1 (ja) バイコンティニュア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503923B1 (ko)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41360B1 (ko)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6715396B1 (ja) 化粧料用組成物
JP6644606B2 (ja) 液状油性化粧料
KR20140038545A (ko)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6022061A (ja) 透明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150076477A (ko) 지속적인 보습 효능을 갖는 오일 세안료 조성물
KR20210097323A (ko) 점도가 높은 클렌징 오일 겔
KR101221231B1 (ko)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JP6772570B2 (ja) オイルゲル状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H10316527A (ja) 低刺激性化粧料
JPH10310506A (ja) 低刺激性化粧料
JP2018035104A (ja) 液状油性の皮膚洗浄用組成物
KR20160121723A (ko) 액정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8179584A (ja) 透明状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58524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18154557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