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793A -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793A
KR20090069793A KR1020070137584A KR20070137584A KR20090069793A KR 20090069793 A KR20090069793 A KR 20090069793A KR 1020070137584 A KR1020070137584 A KR 1020070137584A KR 20070137584 A KR20070137584 A KR 20070137584A KR 20090069793 A KR20090069793 A KR 2009006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rocking
support
shaft
stand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혁
Original Assignee
강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혁 filed Critical 강태혁
Priority to KR102007013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9793A/ko
Publication of KR2009006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육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 밸런스 감각 향상을 위한 운동을 자동적으로 또한 안정적이고, 또한 일정하게 행할 수 있는 밸런스 건강기를 제공한다. 본 밸런스 건강기는, 사용자(H)가 선 상태에서 탑승 가능한 스탠딩 테이블(1)과, 이 스탠딩 테이블(1)을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2)와, 이 요동 기구(2)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20)를 구비한다. 또한, 스탠딩 테이블(1)은 장척 형상을 갖고 있는 동시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48)를 통해 요동 기구(2)에 연결되어 있다.
운동기구, 헬스기

Description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balance sense improvement sport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밸런스 감각을 키우는 동시에 사용자의 근육 운동이나 <1> 스트레치 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밸런스 건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강 붐에 수반하여, 다양한 건강 기구가 개발·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반 상에 사용자(사람)가 기립 자세로 타고, 상기 사용자가 허리를 좌우 번갈아 비트는 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운동 보조기가 공지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운동 보조기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비틀기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대퇴근이나 복근 등의 다른 부분의 운동을 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대퇴부나 복부를 포함하는 전신을 운동시키는 것이라고 하면, 수영이나 스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스키 등은, 하반신을 중심으로 하여 전신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밸런스 감각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스키와 비슷한 운동으로서, 스노우 보드나 서핑, 젊은층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는 스케이트 보드 등이 있다. 이들 운동은, 스키와 동일한 운동 효과(전신의 근육 증강이나 스트레치 운동)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스노우 보드나 서핑을 통해 얻어지는 운동 효과를 자택에서 얻을 수 있는 건 강 기구의 개발 필요성은, 전술한 건강 붐과 더불어 커지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스노우 보드 연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연습 장치는 아치 형상의 레일과, 이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턴부와, 레일에 후단부가 계지되는 스노우 보드와, 이 스노우 보드의 선단부를 회전 및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근방에 설치한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습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스노우 보드에 필요한 기본적인 턴을 수득할 수 있는 동시에, 하반신을 중심으로 한 전신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밸런스 감각을 키울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5-2694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49518호 공보
특허 문헌 2의 스노우 보드 연습 장치를 일반 사용자가 사용한 경우, 그 대부분이 스노우 보드에 의한 활주 방법을 모르는 것이 예상되고, 어떻게 해서 본 장치를 사용하면 좋을지 곤혹스러울 것이 충분히 생각된다. 또한, 이 스노우 보드 연습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로, 그리고 스스로의 동작으로 스노우 보드를 움직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하나의 동작에 정해진 것이 없어, 신체의 각 부위의 운동 속도, 운동 계속 시간 등이 매번 다른 것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전신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어, 그 결과로서 다이어트나 쉐이프업 등을 도모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이 근육을 손상시켜 버린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근육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 밸런스 감각 향상을 위한 운동을 자동적으로 또한 안정적이고, 또한 일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게다가 사용자가 의도한 효과(다이어트효과, 쉐이프 업 효과, 운동 부족 해소 효과 등등)를 과부족 없이 얻을 수 있는 밸런스 건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런스 건강기는, 선 상태로 탑승 가능한 스탠딩 테이블(standing table)과, 이 스탠딩 테이블을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와, 이 요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구동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스탠딩 테이블은 요동 기구를 통해 복잡하게 요동하게 된다. 이에의해, 스탠딩 테이블 상에 선 상태로 타고 있는 사용자의 밸런스가 무너지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밸런스의 무너짐에 저항하도록 신 체의 각 부위의 근육을 움직여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밸런스 감각이 키워지는 동시에, 근육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이 행해지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는 다이어트효과, 쉐이프 업 효과, 운동 부족 해소 등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장척 형상을 갖고 있으면 좋다. 스탠딩 테이블이 서핑 보드나 스노우 보드나 스케이트보드와 같은 장척 형상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마치 그것들을 타고 있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가져, 전술한 밸런스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요동 기구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탠딩 테이블은 보다 복잡한 요동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수단은 요동 기구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장치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이 장착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지지축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축을 편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피봇 지지축을 갖고, 상기 제2 지지축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2 지지축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제2피봇 지지축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피봇 지지축과 제2 피봇 지지축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기구의 제1 지지축의 제1 피봇 지지축을 회전 구동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요동 기구에는 지지대를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 는 요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이 요동 수단은,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이 요동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드 지지축과, 이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지지축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되고, 또한 이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에는 상기 캠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면 좋다. 상기 요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봇 지지축과 제2 피봇 지지축과 가이드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또한 요동 기구의 상하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수와 제1 피봇 지지축의 회전수의 비를 1 : 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탠딩 테이블의 요동 운동을 보다 복잡한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신에 걸친 근육 운동이나 스트레치 운동, 밸런스 감각 향상을 위한 운동을 자동적으로 또한 안정적이고, 또한 일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 도1 내지 도4의 X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Y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Z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밸런스 건강기는 사용자(H)가 기립한 자세로 타는 스탠딩 테이블(1)을 갖는다. 이 스탠딩 테이블(1)의 하방에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 동 기구(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요동 기구(2)는 도3에 도시하는 구동 수단(3)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요동 기구(2)와 구동 수단(3)은 기기대(4)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통상 상기 요동 기구(2)와 구동 수단(3)은,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11)로 덮이는 것으로 되어 있
다.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대(4)는 한 쌍의 전후 방향으로 긴 적재판(<76> 5, 5)과, 이 한 쌍의 적재판(5, 5)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기기판(6)을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적재판(5, 5)과 기기판(6)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H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기판(6)의 상부에는, 요동 기구(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기구(2)는, 도4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과, 상기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을 지지하는 지지부(9)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의 상방에는, 그들에 지지되는 지지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축(7)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축(7)을 편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피봇 지지축(12)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축(8)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2 지지축(8)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제2 피봇 지지축(13)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피봇 지지축(12)과 제2 피봇 지지축(13)은, 전후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9, 9)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기기판(6)의 좌우 방향 양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긴 지지부(9)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지지부(9, 9)의 전방부측에 제1 피봇 지지축(12)의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제1지지축(7)은 그 축심을 좌우 방향을 향한 상태로 가설되어 있다. 제1 지지축(7)은 제1 피봇 지지축(12)에 대해 편심되어 있고, 제1 피봇 지지축(1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축(7)은 편심 회전하게 된다. 지지부(9)의 후방부측에는, 제2 피봇 지지축(13)의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제2 지지축(8)은 그 축심을 좌우 방향을 향한 상태로 가설되어 있다. 제2 지지축(8)도 제2 피봇 지지축(13)에 대해 편심되어 있고, 도4의 화살표 A와 같이 제2 지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1 지지축(7)과 제2 지지축(8)의 상방에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를 개방한 지지대(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지지축(7, 8)은 복수의 지지축 받침 부재(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의 전후 좌우 4점으로부터 각각 지지축 받침 부재(14)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2개의 지지축 받침 부재(14)의 선단부에는 보스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15)가 제1 지지축(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2개의 지지축 받침 부재(14)의 선단부에 설치된 보스부(15)가, 제2 지지축(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보스부(15)는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의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지지대(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대(10)의 상면에 사용자(H)가 타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이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전후 방향으로, 지지대(10) 상면보다 소정 거리만큼 낮은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판(16)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판(16) 상면에, 탄성을 갖지 않는 연결 부재(17)를 통해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탠딩 테이블(1)은, 서프 보드나 스케이트 보드 등의 탑승판과 대략 동일 형상인 장척 형상의 판형으로 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각 단부가 상방을 향해 만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 기구(2)의 횡측에는, 제1 피봇 지지축(12)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3)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우측의 지지부(9)의 외측에 전동 모터(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모터(20)의 구동축의 회전이, 이 구동축의 전방부측에 설치된 기어 박스(21) 내의 웜 기어 기구(22)에 의해 제1 피봇 지지축(12) 주위의 회전으로 변경되어, 이 제1 피봇 지지축(12)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전동 모터(2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피봇 지지축(12)이 회전한다. 그리고, 그에 수반하여 편심 상태의 제1 지지축(7)은 상하 및 전후로 편심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지지대(10) 및 스탠딩 테이블(1)은 상하 전후로 요동하게 된다. 2 지지축(8)은 제1 지지축(7)의 회전에 연동(추종)하여, 도4 중의 화살표 A와 같이 제2 피봇 지지축(13) 주위로 전후 요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동일한 운동을 스탠딩 테이블(1)은 행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요동 기구(2)는, 전후에 배치된 제1 지지축(7)과 제2 지지축(8)과의 사이에, 지지대(10) 및 스탠딩 테이블(1)을 좌우 방향(각 지지축의 축심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2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요동 수단(25)은,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0)를 좌우로 요동시키는 <91> 요동 부재(26)와, 이 요동 부재(26)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축(27)과, 요동 부재(26)를 슬라이드 지지축(27)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가이드 부재(28)를 갖고 있다. 요동 부재(26)는, 슬라이드 지지축(27)에 장착되는 본체부(29)와, 이 본체부(2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30, 30)를 갖고 있다. 본체부(29)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판 형상 또는 상자 형상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 본체부(29)에는 슬라이드 지지축(27)을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31)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31)은 본체부(29)의 전후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30)는 좌우 한 쌍으로 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돌기부(30)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0)의 지지축 받침 부재(14)의 중도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부(30)에 끼움 지지되는 결합축(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축은, 그 축심을 슬라이드 지지축(27)에 직교하는 방향(전후방향)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축의 양단부가 지지축 받침 부재(14)의 전후 벽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축이 한 쌍의 돌기부(30)에 끼움 지지됨으로써 지지대(10)는 요동 부재(26)의 요동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축을 통해 지지대(10)를 요동 부재(26)로 연결시키는 구성에 의해, 지지대(10)의 요동 부재(26)로의 장착·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27)은, 전후로 이격된 상태에서 한 쌍 배치되고, 요동 부재(26)를 지지하고 있다. 각 슬라이드 지지축(27)은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요동 부재(26)의 삽입 관통 구멍(3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지지축(27)의 양단부는, 상기 각 지지부(9)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2)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9)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33)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33)이 끼워 맞추어지는 무단의 캠 홈(34)이 가이드 부재 피봇 지지축(37)의 축심에 대해 경사 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핀(33)에는 캠 홈(34)에 결합되는 결합 링(35)이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 결합 링(35)은 가이드 핀(33)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8)는 그 축심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부재 피봇 지지축(37)에 의해, 지지부(9)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피봇 지지축(37)의 축심은, 제1 지지축(7)과 제2 지지축(8)의 축심에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 피봇 지지축(37)의 일단부에는, 종동 기어(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동 기어(38)는 제1 지지축(7)의 일단부[웜 기어 기구(22)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의 단부]에 설치된 구동 기어(39)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 기어(39)의 이빨 수(齒數)와 종동 기어(38)의 이빨 수의 비는, 1 : 2로 되어 있다. 전술한 전동 모터(20)[구동 수단(3)]에 의해 제1 피봇 지지축(1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축(7)이 편심 회전하고, 지지대(10)는 상하 방향,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동시에, 지지대(10)는 요동 수단(25)에 의해 좌우 방향[각 지지축의 축심 방향 또는 슬라이드 지지축(27)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때, 상기 구동 기어(39)와 종동 기어(38)의 이빨 수의 비가 1 : 2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축(7)이 2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가이드 부재(28)가 1회전한다. 지지대(10)의 전후, 상하, 좌우의 왕복 운동은 동시에 행해지므로, 평면에서 보면 지지대(10)는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즉, 도6의 화살표 B 또는 C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화살표 B, C의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해, θ = 약 45°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8)의 축심과, 전술한 제1 지지축(7) 및 제2 지지축(8)의 축심은 수평 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10을 기초로 하여, 밸런스 건강기의 작동 태양에 대해 설명한다. 밸런스 건강기에는, 원격 조작 가능한 리모콘(40)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H)는 스탠딩 테이블(1)에 선 상태에서 리모콘(40)에 의해 밸런스 건강기의 온/오프(ON/OFF) 조작이나, 지지대(10)의 요동 동작의 강약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0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콘(40)의 컨트롤러를 팔에 시계와 같이 장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리모콘(40)의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밸런스 건강기를 온으로 하면, 구동 수단(3)을 통해 요동 기구(2)가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20)에 의해 제1 피봇 지지축(12)이 회전 구동하고, 이에 의해 제1 지지축(7)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심 주위로 편심 회전한다. 제2 지지축(8)은, 이 제1 지지축(7)의 회전에 따라서 제2 피봇 지지축(13) 주위로 전후 요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지지축(7)과 제2 지지축(8)의 움직임에 의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연결된 스탠딩 테이블(1)은, 전후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복잡한 왕복 운동을 한다. 덧붙여, 스탠딩 테이블(1)은 요동기구(2)의 요동 수단(2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스탠딩 테이블(1)은 복잡한 요동 운동을 행하게 되어, 상기 스탠딩 테이블(1) 상에 서있는 사용자(H)는, 스탠딩 테이블(1)의 요동 운동에 의해 자세를 무너뜨리게 되므로, 밸런스를 잡으려고 전신을 움직이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이어트나 허리의 피로 회복 등에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사용자의 밸런스 감각이 키워지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탠딩 테이블(1)의 지지대(10)에의 장착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연장판(16)[지지대(10)]과 스탠딩 테이블(1)과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17) 대 신에, 스탠딩 테이블(1)의 지지대(10)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수단(45)은 스탠딩 테이블(1)의 전방부 및 후방부이며 그 하면에 설치된 상부 돌편(46)과, 연장판(16)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돌편(47)을 갖고 있고, 이들 상하의 돌편(46, 47)끼리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축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 수단(45)은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48)를 복수 갖고 있고, 정면에서 보아 상기 하부 돌편(47)을 좌우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48)의 상단부는 스탠딩테이블(1)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48)의 하단부는 지지대(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48)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탠딩 테이블(1)은 지지대(10)에 대해 좌우(장척 방향을 향하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스탠딩 테이블(1)이 우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에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을 좌측으로 밀어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상기 지지 부재(48)에서 발생하고, 스탠딩 테이블(1)이 좌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에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을 우측으로 밀어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상기 지지 부재(48)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스탠딩 테이블(1) 상에 타고 있는 사용자(H)의 밸런스를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더욱 복잡하게 무너뜨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며 상기 지지 부재(48)의 장착 위치가 상이하다. 즉, 상기 지지 부재(48)의 상단부는 스탠딩 테이블(1)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48)의 하단부는 하부 돌편(47)의 양 근방에 연결되고, 그 배치 형태는 정면에서 보아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이라도, 스탠딩 테이블(1) 은 지지대(10)에 대해 좌우(장척 방향을 향하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스탠딩 테이블(1)이 우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에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1)을 좌측으로 밀어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상기 지지 부재(48)에서 발생하고, 스탠딩 테이블(1)이 좌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에는 스탠딩 테이블(1)을 우측으로 밀어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상기 지지 부재(48)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스탠딩 테이블(1) 상에 탄 사용자(H)의 밸런스를 제2 실시 형태보다도 더욱 복잡하게 무너뜨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와 같이 변경·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 수단(45)에 이용하는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이라도 좋고, 고무 등의 재질인 것으로 해도 좋다. 유압 실린더 등이나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스탠딩 테이블(1)은 장척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사각형이나 원 형상이라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도1은 밸런스 건강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2는 밸런스 건강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밸런스 건강기의 정면도이다.
도4는 요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5는 요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6은 요동 기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7은 요동 기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건강기의 정면도이다.
도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밸런스 건강기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밸런스 건강기의 사용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스탠딩 테이블
2 : 요동 기구
3 : 구동 수단
7 : 제1 지지축
8 : 제2 지지축
9 : 지지부
10 : 지지대
12 : 제1 피봇 지지축
13 : 제2 피봇 지지축
25 : 요동 수단
26 : 요동 부재
27 : 슬라이드 지지축
28 : 가이드 부재
33 : 가이드 핀
34 : 캠 홈
48 : 지지 부재

Claims (9)

  1. 사용자가 선 상태로 탑승 가능한 스탠딩 테이블과,이 스탠딩 테이블을 전후 또는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와, 요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장척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요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스탠딩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수단은 요동 기구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는, 기 스탠딩 테이블이 장착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고, 기 제1 지지축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축을 편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피봇 지지축을 갖고, 상기 제2 지지축은, 축심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 기 제2 지지축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제2피봇 지지축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피봇 지지축과 제2 피봇 지지축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기구의 제1 지지축의 제1 피봇 지지축을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건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에는, 지지대를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이 요동 수단은, 지대에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요동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드 지지축과, 이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지지축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에는 상기 캠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에는 지지대를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이 요동 수단은, 지지대에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이 요동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드 지지축과, 이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지지축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에는 상기 캠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피봇 지지축과 제2 피봇 지지축과 가이드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에는 지지대를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이 요동 수단은, 지지대에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이 요동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1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드 지지축과, 이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지지축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에는 상기 캠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수와 제1 피봇 지지축의 회전수의 비가, 1 : 2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구.
KR1020070137584A 2007-12-26 2007-12-26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KR20090069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84A KR20090069793A (ko) 2007-12-26 2007-12-26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84A KR20090069793A (ko) 2007-12-26 2007-12-26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93A true KR20090069793A (ko) 2009-07-01

Family

ID=4132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84A KR20090069793A (ko) 2007-12-26 2007-12-26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97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70U (ko) 2018-11-16 2020-05-26 이정심 전신균형운동기구
CN111359161A (zh) * 2020-03-31 2020-07-03 魏平波 一种具有记录调节功能的神经科用平衡诊疗仪
KR20220040892A (ko) 2020-09-24 2022-03-31 김주장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KR20230002245U (ko) 2022-05-18 2023-11-27 이승범 운동 강도 및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 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70U (ko) 2018-11-16 2020-05-26 이정심 전신균형운동기구
CN111359161A (zh) * 2020-03-31 2020-07-03 魏平波 一种具有记录调节功能的神经科用平衡诊疗仪
KR20220040892A (ko) 2020-09-24 2022-03-31 김주장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KR20230002245U (ko) 2022-05-18 2023-11-27 이승범 운동 강도 및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202A (ko) 밸런스 건강기
JP4832064B2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US6964614B1 (en) Riding device
TWI401103B (zh) Sports device
US5792028A (en) Running exercise machine
US7867146B2 (en) Horse-riding simulating physical fitness device
JP2009056182A (ja) 揺動型運動装置
KR20090069793A (ko)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CN201239472Y (zh) 摇动型运动装置
US4948124A (en) Exercise machine and toy
KR20100053051A (ko) 승마형 운동기구
JP5598753B2 (ja) 脊椎矯正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EP3056183B1 (en) Exercis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9291320A (ja) 揺動装置
KR20080035935A (ko) 런닝머신장치
KR101260268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1077490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JP5033236B2 (ja) 運動装置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200361425Y1 (ko) 승마용 기구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JP2008011897A (ja) 乗馬型身体鍛練機
KR200424615Y1 (ko) 운동 기구
TWI649110B (zh) Fitness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