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15Y1 -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615Y1
KR200424615Y1 KR2020060013963U KR20060013963U KR200424615Y1 KR 200424615 Y1 KR200424615 Y1 KR 200424615Y1 KR 2020060013963 U KR2020060013963 U KR 2020060013963U KR 20060013963 U KR20060013963 U KR 20060013963U KR 200424615 Y1 KR200424615 Y1 KR 200424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vibrating
vibra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무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텍 21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텍 21, 김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텍 21
Priority to KR2020060013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체지방 분해 및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드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진동 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체의 특정 부위를 진동시킴으로써 근육의 수축/이완을 통해 체지방을 분해하고 다어어트 효과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운동 기구와 이에 더하여 스트레칭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운동 기구, 다이어트, 체지방 분해, 스트레칭

Description

운동 기구{Exercis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상체 베드, 하체 베드 및 진동 베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진동 기구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받침부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받침부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체 베드,
106 : 다리,
110 : 제1 고정 프레임,
120 : 상체 베드,
122 : 제2 고정 프레임,
130 : 발목 받침부,
140 : 원통형 프레임,
150 : 제1 고정바,
160 : 제2 고정바,
170 : 발바닥 고정바,
200 : 진동 베드,
210 : 진동 기구부.
본 고안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체지방 분해 및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이어트 등의 효과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 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고 있는 운동 기구는 예컨대 런닝 머신, 스테퍼 또는 자전거 등으로서 이들은 대부분 근력 강화 또는 유산소 운동 등을 통해 다이어트 등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인체의 특정한 부위를 진동(vibration)시킴으로써 특정 부위 및 인체 전반에 걸쳐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체지방을 분해하고 다이어트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몇몇 형태의 운동 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취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인체의 근육 등을 가벼운 신장을 느낄 때까지 서서히 뻗은 후 다시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통해 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운동 기구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구는 구조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진동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스트레칭과 진동 효과를 결합시켜 근육의 수축/이완, 체지방 분해 및 다이어트 등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운동 기구도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의 특정 부위를 진동시킴으로써 근육의 수축/이완을 통해 체지방을 분해하고 다어어트 효과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운동 기구와 이에 더하여 스트레칭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드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진동 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 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베드부는 상체 베드와 하체 베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 베드는 상기 상체 베드와 하체 베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베드는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는 진동 기구부; 및 상기 진동 기구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 기구부에 의해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기구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캠; 상기 캠의 베이스 부에 장착되는 원형의 편심판; 및 상기 편심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은 양단부 부근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드부와 평행한 평면상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발목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 및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 외부에 돌출되는 크랭크를 포함하며,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크랭크의 외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크랭크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바; 및 상기 프레임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발바닥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베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베드의 저부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상체 베드는 상기 하체 베드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구는 하체 베드(100), 상체 베드(120) 및 진동 베드(200)를 포함한다.
하체 베드(10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다리 부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하체부를 지지하며, 도 1에서는 하체 베드(100)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일 예로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을 고무나 우레탄과 같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체 베드(100)의 하부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빔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 프레임(110)이 위치하여, 하체 베드(100)가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두 개의 파이프(104)가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 파이프(104)에는 아치 형태의 단면을 갖는 다리(10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106)의 상부면에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08)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그립부(108)는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그립부(108)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류, 예를 들어 전원 스위치나 작동 스위치 등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체 베드(12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등과 어깨 및 머리 등의 상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하체 베드(100)와 마찬가지로 상체 베드(120)가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빔으로 구성되는 제2 고정 프레임(122)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은 진동 기구부(210)와 힌지(128)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체 베드(120)를 하체 베드(100) 쪽으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0) 중 상기 하체 베드(100)측 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다리(106)와 더불어 프레임을 지면에 지지하는 제1 지지 파이프(1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파이프(112)의 단부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휠(11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의 상체 베드(120)측 단부의 하부에 제1 지지 파이프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2 지지 파이프(124)가 설치된다. 다만, 상기 제2 지지 파이프(122)는 상기 상체 베드(120)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한 경우에만 상체 베드(120)를 지지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의 중앙부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갖는 받침부(126)가 장착되는데, 상기 받침부(126)의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받침부(1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2)의 저면로부터 돌출되게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되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상체 베드(120)와 하체 베드(100)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체 베드(120)와 하체 베드(100)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힌지(128)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체 베드(120)와 하체 베드(100)의 사이에는 진동 베드(200)가 위치한다. 상기 진동 베드(200)는 사용자가 누운 경우, 사용자의 허리 부근에 위치하게 되며, 진동 기구부(210)와 진동판을 포함하는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위치한 평면부(206)와 양측면에 위치하는 경사부(202, 204) 및 상기 진동 기구부(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202, 204)는 사용자의 허리를 중앙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에 진동이 가해져도 사용자의 허리가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진동 기구부(210)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212)가 위치하며, 상기 구동 모터(212)의 회전축(214)은 상기 진동 기구부(210)의 내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회전축(214)에는 편심 회전체(21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회전체(216)의 외주부에 캠(218)이 끼워진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저면에서 상기 캠(218)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1 베어링(232)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저면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제2 베어링(234)이 고정된다. 상기 제1 베어링(232)의 사이에는 제1 고정축(236)이 위치하며, 상기 제2 베어링(234)의 사이에는 제2 고정축(238)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캠(218)의 단부를 상기 제1 고정축(236)이 관통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2 고정축(238)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는 좌우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212)가 회전하면, 상기 편심 회전체(216)가 상기 회전축(214)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 회전체(216)와 연결된 캠(218)의 단부는 상하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회전축(214)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가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타단부는 이와 반대 방향의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는 상기 구동 모터(212)의 회전에 의해서 시소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진동 베 드(200)가 시소와 같이 진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진동을 가하여 근육을 수축/이완함으로써 체지방 분해 효과 및 다이어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되,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체 베드(100)의 좌측(도 6 기준)에는 발목 받침부(130)가 위치한다. 상기 발목 받침부(130)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프레임(140)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프레임(140)의 하부에는 원통형 프레임(1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바(150)가 고정되는데, 상기 제1 고정바(15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목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원통형 프레임(14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고정바(15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고정바(160)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바(150, 16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발바닥 고정바(170)가 위치한다. 상기 발바닥 고정바(170)는 원통형 프레임(140)에 부착된 아치형 브라켓(172)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제1 고정바(150) 및 제2 고정바(160)가 각각 사용자의 발목 저면 및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바(160)를 제1 고정바(15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 능하게 장착하는 실시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프레임(140)의 하단부에는 크랭크 축(142)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0)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 축(142)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원통형 프레임(140)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궤도를 따라서 공전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발목 받침부(13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가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제1 고정바(150) 및 제2 고정바(160)는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위치는 스트레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 해당된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1 고정바(150) 및 제2 고정바(160) 등은 상대적으로 가는 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며, 도 6에서 상기 제1 고정바(150) 및 제2 고정바(160) 등이 a로 표시된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하체는 길이방향으로 약간 스트레칭됨과 동시에 도 6에서 하측 방향으로도 치우치게 되므로 동시에 두 가지 방향의 스트레칭을 경험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이 계속되어 상기 제1 고정바(150) 및 제2 고정바(160) 등이 b로 표시된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하체가 길이방향으로 최대로 스트레칭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회전이 반복되면, 사용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구동 모터를 계속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90도 간격으로 수초 간 정지시킬 수도 있고, 스위치를 통해서 회전 방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인체의 특정 부위를 진동시킴으로써 근육의 수축/이완을 통해 체지방을 분해하고 다어어트 효과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운동 기구와 이에 더하여 간단한 기구적 구성에 의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히 누운 상태에서 다이어트 및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하고 간단한 구동부에 의해 고장의 위험이 낮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명도 연장되는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드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진동 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상체 베드와 하체 베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 베드는 상기 상체 베드와 하체 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베드는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는 진동 기구부; 및
    상기 진동 기구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 기구부에 의해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캠;
    상기 캠의 베이스 부에 장착되는 원형의 편심판; 및
    상기 편심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양단부 부근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드부와 평행한 평면상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발목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 및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 외부에 돌출되는 크랭크
    를 포함하며,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크랭크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크랭크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바; 및
    상기 프레임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발바닥 고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베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베드의 저부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상체 베드는 상기 하체 베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KR2020060013963U 2006-05-24 2006-05-24 운동 기구 KR200424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63U KR200424615Y1 (ko) 2006-05-24 2006-05-24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63U KR200424615Y1 (ko) 2006-05-24 2006-05-24 운동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584A Division KR100757046B1 (ko) 2006-05-24 2006-05-24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615Y1 true KR200424615Y1 (ko) 2006-08-28

Family

ID=4177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963U KR200424615Y1 (ko) 2006-05-24 2006-05-24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6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38B1 (ko) 2011-06-08 2011-12-08 민진영 이중 제어 음파 진동 운동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38B1 (ko) 2011-06-08 2011-12-08 민진영 이중 제어 음파 진동 운동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JP2992286B2 (ja) 運動装置とその使用方法
KR101115545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US5634887A (en) Power massager
JP6276439B1 (ja) 膝関節刺激装置
US7887464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assisting human walking motion for rehabilitation purposes
JP2008264320A (ja) 運動補助装置
JP2007283004A (ja) 下肢運動補助装置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0757046B1 (ko) 운동 기구
KR200424615Y1 (ko) 운동 기구
KR20080004148A (ko) 자동 허리운동기구
KR100678659B1 (ko) 스트레칭 기구
JP2009219576A (ja) 振動トレーニング装置
JP5598753B2 (ja) 脊椎矯正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JPWO2010041615A1 (ja) 脊椎矯正装置
JP3101513U (ja) 足首運動自動装置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JP2009291320A (ja) 揺動装置
JP2009153613A (ja) 運動補助装置
KR20090069793A (ko)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KR200409386Y1 (ko) 스트레칭 기구
WO2010123374A1 (en) Device for a muscle training apparatus
KR200396988Y1 (ko) 기마 운동기
JP2020110377A (ja) 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