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739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739A
KR20090069739A KR1020070137513A KR20070137513A KR20090069739A KR 20090069739 A KR20090069739 A KR 20090069739A KR 1020070137513 A KR1020070137513 A KR 1020070137513A KR 20070137513 A KR20070137513 A KR 20070137513A KR 20090069739 A KR20090069739 A KR 2009006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holder
imaging device
front len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535B1 (ko
Inventor
정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홀더 수납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필터 홀더를 수납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촬상 장치에는 여러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필터란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촬상 소자에 빛과 색에 관한 반응을 변화시켜주는 장치이다. 즉, 필터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투과시켜 촬영자가 원하는 영상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렌즈부가 촬상 장치의 본체 외부로 돌출된 침통형 경통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필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필터 내주의 가장자리에 나사를 형성하고, 본체 외부로 돌출된 최외각 렌즈의 렌즈 틀의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필터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으로 렌즈 틀에 결합하였다.
또한, 렌즈부가 촬상 장치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영상광의 경로가 굴절되는 굴곡형 침통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필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렌 즈부를 수납하는 촬상 장치의 본체 외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필터 장착 수단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나사 결합으로 촬상 장치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본체에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착 시간이 많이 걸리고 촬상 장치의 부피가 커져 휴대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필터 홀더를 수납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 소자는 CCD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입구는 상기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의 분리 시,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의 단부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필터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추출하는 홈부, 및 필터 홀더를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부의 전면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필터의 탈착 방법이 간단하므로 촬상을 위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터가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중이나 촬상 시에 이물질의 오염으로부터 필터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학 모듈이 촬상 장치 내에 배치된 모 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 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터 및 필터 홀더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는 광학 모듈(100)과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촬상 장치의 전방에 피사체가 배치되게 되는데, 광학 모듈(100)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그 영상광을 내부의 촬상 소자(170)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광학 모듈(100)은 입사되는 영상광의 광축의 경로가 꺾여지는 굴곡형의 구조로 구성되며, 전방 렌즈부(110), 반사 부재(120),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 경통 프레임(160) 및 촬상 소자(170)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 렌즈부(110)는 단일의 렌즈로 구성되며, 영상광의 제1 광축 방향(L1)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전방 렌즈부(110)의 후방에는 촬상된 영상광을 굴절하여 제2 광축 방향(L2)으로 배치된 중간 렌즈부(130)로 유입시키는 반사 부재(120)가 배치된다.
반사 부재(120)는 프리즘 또는 반사 거울 등으로 이루어져, 입사되는 영상광의 각도를 변경하여 반사한다.
중간 렌즈부(130)는 제2 광축 방향(L2)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렌즈군으로 구 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렌즈부(130)가 경통 프레임(160)에 고정됨으로써, 줌 작용(zooming)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중간 렌즈부(130)는 줌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중간 렌즈부(130)가 경통 프레임(160)을 따라 제2 광축 방향(L2)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간 렌즈부(130)를 움직일 수 있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가 배치되게 된다.
포커스 렌즈부(140)는 자동 초점 작용(Auto-focus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포커스 렌즈부(140)는, 포커스 렌즈(141)와, 그 외곽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 구동 장치(142)를 구비한다. 여기서, 포커스 렌즈 구동 장치(142)는 포커스 렌즈(141)를 제2 광축 방향(L2)으로 움직이면서 자동 초점 조절의 기능을 수행한다.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셔터 작용과 노광량 조절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축 방향(L2)을 기준으로 하여 포커스 렌즈부(140)의 후방에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가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포커스 렌즈부(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전방 렌즈부(110), 반사 부재(120),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및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경통 프레임(160)에 장착되는데, 경통 프레임(160)은 중공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광학 모듈(100)의 경통의 기능을 수 행한다.
촬상 소자(170)는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70)는 광전 변환 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가 이용되어도 된다.
본체(200)는 케이스부(210), 필터 홀더 수납부(220), 제어부(미도시), 셔터 스위치(230), 플래시(240), 보조광 수단(250), 표시부(260) 등을 포함한다.
케이스부(210)는 전면(211)의 폭이 측면(212)의 폭보다 큰 슬림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광학 모듈(100)을 포함한 촬상 장치를 수납한다.
케이스부의 전면(211)의 일 측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전방 렌즈부(110)에 입사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로 개구된 창(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촬상 장치의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덮개부(21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덮개부(214)는 촬상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 제1 덮개부(214)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지만, 도 3 및 도 4의 경우에는 제1 덮개 부(214)가 닫힌 상태에서 필터 홀더(400)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덮개부(214)는 반드시 닫힘과 열림 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 투과율이 높은 투명 보호막을 배치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본체(200)를 밀폐하면서 전방 렌즈부(110)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투과율의 저하 없이 통과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케이스부(210)의 일 측면(212)에는 인입구(215)가 형성되어 있다.
인입구(215)는 장공형의 슬롯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필터 홀더(400)는 인입구(215)를 통하여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구(215)가 케이스부(210)의 일 측면(212)에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입구는 케이스부의 저면 또는 상면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인입구(213)가 케이스부(210)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부에는 복수개의 인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인입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인입구에 복수개의 필터부가 각각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입구(215)에는 제2 덮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홀더 수납부(220)의 입구인 인입구(215)를 통하여 촬상 장치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촬상 장치의 내부에 이물이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인입구(215)에 제2 덮개부(216)를 형성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덮개부(216)가 인입구(215)의 일 측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제2 덮개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부(210)의 전면 창(213)과 전방 렌즈부(110) 사이의 공간에는 필터(300)를 장착한 필터 홀더(400)가 수납될 수 있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가 형성된다.
필터 홀더의 수납부(220)의 중앙에는 필터(300)를 통과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홀더(400)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필터 홀더(400)에 사용할 필터(300)를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홀더(400)는 본체(200)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와 분리되지 않은, 즉 본체(200)의 일부로 구성된 필터 홀더(400)에 필터(300)를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일 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는 필터 홀더(400)가 슬라이딩 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된 필터 및 필터 홀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필터(300)의 종류로는 UV 필터(ultraviolet filter),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 PL 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FL 필터(flourescent filter), 클로즈업 필터(close-up fil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UV 필터는 자외선 때문에 피사체가 뿌옇게 찍히는 경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이고, ND 필터는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켜 색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필터이고, PL 필터는 반사광을 조절해주는 편광 필터로 비금속 표면에 생기는 반사체의 반사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고, FL 필터는 형광등아래서 촬상한 영상의 보정을 위한 필터이고, 클로즈업 필터(close-up filter) 접사촬영을 할 때 사용하는 필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300)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터 홀더(400)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410), 안착부(420), 홈(430) 및 돌기부(440)를 포함한다.
베이스(410)는 직사각형의 판상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는 베이스(410)를 손으로 잡고 인입구(215)로 밀어 넣음으로써,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입할 수 있다.
필터 홀더(400)의 중앙에는 필터(30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베이스(410)의 표면과 단차를 갖도록 안착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420)의 중앙에는, 필 터(300)를 통과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300)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필터(300)가 사용되었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필터 홀더(400)의 개구부(421)의 형상도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만약 필터의 형상이 달라진다면 필터 홀더의 개구부의 형상도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착부(420)의 양 측에는 두 개의 홈(430)이 형성되어 있는데, 베이스(410)에 안착된 필터(300)를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로부터 필터(3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안착부(420)에 형성된 홈(430)에 두 개의 손가락을 집어 넣어 필터(300)를 잡고 필터 홀더(400)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홀더(400)에 두 개의 홈(430)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필터 홀더(400)의 일 단부에는,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돌기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에 형성된 돌기부(440)를 잡고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필터 홀더(400)를 분리하거나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440)를 잡아서 끌어 당겨 필터 홀더(400)를 분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 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에 SD 메모리 카드 등을 본체에 착탈시키기 위한 구조로 많이 사용되는 구조, 즉, 필터 홀더 수납부의 내부에 스프링과 걸쇠가 배치됨으로써, 필터 홀더의 장착시에는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내부의 걸쇠에 걸리고, 장착된 필터 홀더를 분리하기 위해서 필터 홀더를 오히려 필터 홀더 수납부쪽으로 밀면 걸쇠의 걸림이 해제되어 압축된 스프링이 원복되면서 필터 홀더가 자동으로 분리되는 구성을 차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는, 단일의 필터 홀더 수납부(220)가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구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복수개의 필터 홀더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렇게 되면,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필터 홀더가 동시에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부(210)의 상면에는 셔터 스위치(230)를 구비되어 있고, 전면(211)에는 플래시(240) 및 보조광 수단(250)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촬상 소자(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피사체의 촬영, 촬상 소자(170)의 제어, 영상 처리 기능 및 메모리 기능 등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260)는 촬상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어 촬상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260)는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60)는 촬상 장치(10)의 상태 표시뿐만 아니라,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거나 촬상된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우선, 촬상 장치가 촬상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촬상할 피사체를 결정하고, 전방 렌즈부(110)의 전방에 피사체를 배치시키고 초점을 맞춘 후 셔터 스위치(230)을 누르면, 제1 광축 방향(L1)으로 입사한 영상광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 필터(300) 및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다.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 영상광은 반사 부재(120)에서 굴절되어 제2 광축 방향(L2)으로 진행하여,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를 경유하여, 촬상 소자(170)에 결상되게 된다.
촬상 소자(170)는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 전기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이루어진다.
영상 처리부에서는 감마보정 등이 이루어지는데, 감마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 하는 것을 감마보정이라 한다.
영상 처리부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레벨을 8비트 휘도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 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촬영이 완성된다.
다음은, 사용자가 촬상 장치의 필터를 탈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촬영 시에 필터(300)를 사용하기로 결정을 하였으면, 해당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인입구(215)에 충분히 밀어 넣어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수납시킨다.
이때,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안착시킨 후,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인입구(215)에 밀어 넣는다. 한편,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에 결합된 장치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베이스(410)를 잡을 필요 없이 촬상 장치의 본체(200)의 일부를 잡고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안착시킨 후,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인입구(215)에 밀어 넣는다.
인입구(215)에 들어간 필터 홀더(400)는, 필터 가이드부(미도시)에 인도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수납된다.
촬영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필터(300)를 제거할 필요를 느끼면, 장착된 필터 홀더(40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440)을 손으로 잡고, 본체(200)의 외부로 잡아 당김으로써, 필터(3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를 수납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에 결합된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의 단부가 본체(200)에 결합 된 채로 필터(300)만 필터 홀더(400)로부터 분리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다른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다른 필터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필터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필터의 탈착 방법이 간단하므로, 촬상을 위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굴곡형 카메라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에 공간에 필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중이나 촬상시에 이물질의 오염으로부터 필터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뿐만 아니라, 영상 캠코더,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학 모듈이 촬상 장치 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 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터 및 필터 홀더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0: 광학 모듈 110: 전방 렌즈부
120: 반사 부재 130: 중간 렌즈부
140: 포커스 렌즈부 15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
160: 경통 프레임 170: 촬상 소자
200: 본체 210: 케이스부
211: 케이스부 전면 212: 케이스부 측면
213: 케이스부 전면 창 214: 제1 덮개부
215: 인입구 216: 제2 덮개부
220: 필터 홀더 수납부 230: 셔터 스위치
240: 플래시 250: 보조광 수단
260: 표시부 300: 필터
400: 필터 홀더 410: 베이스
420: 안착부 430: 홈부
440: 돌기부

Claims (10)

  1.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CD 소자인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는 상기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가 더 구비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의 분리 시,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필터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추출하는 홈부, 및 필터 홀더를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전면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137513A 2007-12-26 2007-12-26 촬상 장치 KR10144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ko) 2007-12-26 2007-12-26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ko) 2007-12-26 2007-12-26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39A true KR20090069739A (ko) 2009-07-01
KR101448535B1 KR101448535B1 (ko) 2014-10-08

Family

ID=4132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ko) 2007-12-26 2007-12-2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2311A (zh) * 2022-05-16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微成像方法、显微成像模组、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15B1 (ko) * 2020-11-02 2023-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29A (ja) * 1995-05-26 1996-12-03 Nikon Corp フィルタホルダ付きレンズ鏡筒
JP2003005005A (ja) * 2001-06-27 2003-01-08 Sony Corp フィルター部材のホルダーへ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2311A (zh) * 2022-05-16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微成像方法、显微成像模组、终端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535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0455B1 (en) Camera and camera system
US7920782B2 (en) Imaging device
JP5128245B2 (ja) 撮像装置
JP3645702B2 (ja) 電子カメラ
US2006009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hot pixels in a digital camera
TWI400552B (zh) Camera device
JP2005006122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ボディおよび交換レンズ
US20090147123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US20090153705A1 (en) Image-capturing element and image-capturing apparatus
JP200623528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判別制御方法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劣化判定方法
US766591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704053B1 (en) Digital camera
JP4018456B2 (ja) 撮像装置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48535B1 (ko) 촬상 장치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JP2007005912A (ja) 電子撮像装置
US8123418B2 (en) Imaging device
JP201113013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光学系
CN115461681A (zh) 胶片照相机用智能手机的附件
JP2000059655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90077488A (ko) 촬상 장치
JP2006235077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04304827A (ja) 電子カメラ
JP2012063716A (ja) ハイブリッドファインダ装置、撮像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ファインダ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