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715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715B1
KR102489715B1 KR1020200144185A KR20200144185A KR102489715B1 KR 102489715 B1 KR102489715 B1 KR 102489715B1 KR 1020200144185 A KR1020200144185 A KR 1020200144185A KR 20200144185 A KR20200144185 A KR 20200144185A KR 102489715 B1 KR102489715 B1 KR 10248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optical path
joint
path changing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049A (ko
Inventor
주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715B1/ko
Priority to US17/353,748 priority patent/US11700442B2/en
Priority to CN202111010092.8A priority patent/CN114527617A/zh
Priority to CN202122085753.5U priority patent/CN215599485U/zh
Publication of KR2022005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광로변환수단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제1조립체;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렌즈 모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PDA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된 전자장치들은 대체로 박형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카메라 모듈을 위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다.
카메라 모듈은 원거리 촬상이 가능하면서 전자장치의 협소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한 카메라 모듈은 광로변환수단과 렌즈 모듈 그리고 렌즈 모듈와 이미지센서 간의 광축을 일치 또는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제1프리즘과 렌즈 모듈, 렌즈 모듈와 제2프리즘, 제2프리즘과 이미지센서의 광축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제1프리즘, 렌즈 모듈, 제2프리즘이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1프리즘, 렌즈 모듈, 제2프리즘 간의 광축 정렬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광로변환수단과 렌즈 모듈 그리고 광로변환수단과 이미지센서 간의 광축정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광로변환수단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제1조립체;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로변환수단과 렌즈 모듈 그리고 광로변환수단과 이미지센서 간의 광축정렬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불량율을 경감시키고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조립체의 제1접합부와 제2조립체의 제2접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조립체의 제3접합부와 제3조립체의 제4접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조립체와 제3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조립체와 제3조립체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 8은 차폐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동작감지, 화상촬상, 얼굴인식, 홍채인식, 가상현실구현, 증강현실구현 등 화면촬상 및 동영상촬영이 필요한 모든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분리 가능한 복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조립체, 제2조립체, 제3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조립체는 내지 제3조립체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조립체와 제3조립체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의 결합순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는 카메라 모듈의 촬상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는 제1광로변환수단과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제2조립체는 제2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제3조립체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광로변환수단은 카메라 모듈의 입사동(또는 개구)을 통해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은 프리즘, 반사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4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을 3매 이하 또는 5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은 제1광로변환수단과 마찬가지로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은 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렌즈 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은 프리즘, 반사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제2광로변환수단에 의해 굴절 또는 반사되는 빛을 수렴하도록 배치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는 제2광로변환수단을 통해 굴절 또는 반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는 결합 및 광축 정렬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고, 제2조립체는 제2접합부과 제3접합부를 포함하고, 제3조립체는 제4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합부 내지 제4접합부는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의 결합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광축 정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는 렌즈 모듈의 광축과 교차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제3접합부 및 제4접합부는 이미지센서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접합부 내지 제4접합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는 제2접합부의 면적과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며, 제3접합부는 제4접합부의 면적과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접합부 내지 제4접합부는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과 제2접합부 그리고 제3접합부과 제4접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접합부 내지 제4접합부는 접착부재의 내부유입을 차단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 내지 제4접합부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의 이동을 통한 광축 정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는 제1조립체의 광축(렌즈 모듈의 광축)과 제2조립체의 광축(제2광로변환수단의 입사면의 광축)이 허용범위에서 일치될 수 있도록 제1접합부 또는 제2접합부를 따라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조립체 또는 제3조립체는 제2조립체의 광축(제2광로변환수단의 출사면의 광축)과 제3조립체의 광축(이미지센서의 광축)이 허용범위에서 일치될 수 있도록 제3접합부 또는 제4접합부를 따라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를 유해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부재는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차폐 부재는 제1조립체 및 제2조립체를 덮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부재는 유해전자파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차폐 부재의 재질이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분리 가능한 복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조립체, 제2조립체, 제3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조립체 내지 제3조립체는 카메라 모듈의 촬상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는 제1광로변환수단과 제1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제2조립체는 제2광로변환수단 및 제2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제3조립체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광로변환수단은 카메라 모듈의 입사동(또는 개구)을 통해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은 프리즘, 반사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은 제1광로변환수단과 마찬가지로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은 제1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1렌즈 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은 프리즘, 반사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제2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수렴하도록 배치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는 제2렌즈 모듈에 의해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결상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제2조립체(200), 제3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체(100)는 제1하우징(110), 제1광로변환수단(120), 렌즈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조립체(1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조립체(100)는 제1광로변환수단(120)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조립체(100)는 렌즈 모듈(130)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제1광로변환수단(120), 렌즈 모듈(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은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광로변환수단(120) 및 렌즈 모듈(130)을 일체로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직육면체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에서 빛의 입사되는 이루어지는 일면의 일부영역 및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일면의 일부영역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제1하우징(110)에 배치된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제2광축(C2)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프리즘, 반사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광로변환수단(120)의 형태가 프리즘 및 반사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130)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상면(imaging plane)에 결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렌즈 모듈(130)은 카메라 모듈(10)의 초점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30)은 3매 이상의 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13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3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30)은 2매 이하 또는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30)은 렌즈 배럴(13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132)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구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2광축(C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2광축(C2) 방향 및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배럴(134)이 반드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34)은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제1조립체(100)는 카메라 모듈(10)의 초점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제1광로변환수단(120)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150)은 제1구동자석(152) 및 제1구동코일(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자석(152)은 제1광로변환수단(1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구동코일(154)은 제1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자석(152)과 제1구동코일(154)의 배치위치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된 형태와 반대로 제1구동자석(152)과 제1구동코일(154)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구동수단(150)은 제1광로변환수단(120)을 소정범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150)은 제1광축(C1) 또는 제1광축(C1)과 평행한 제1구동 축을 중심으로 제1광로변환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수단(150)을 통한 제1광로변환수단(120)의 구동방향이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150)은 제1구동 축과 교차하는 제2구동 축을 중심으로 제1광로변환수단(1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구동수단(150)은 제1광로변환수단(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카메라 모듈(10)의 손떨림에 의한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1조립체(100)는 렌즈 모듈(130)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수단(160)은 제2구동자석(162) 및 제2구동코일(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자석(162)은 렌즈 배럴(13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구동코일(164)은 제1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구동자석(162)과 제2구동코일(164)의 배치위치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된 형태와 반대로 제2구동자석(162)과 제2구동코일(164)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구동수단(160)은 렌즈 배럴(130)을 대체로 제2광축(C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구동수단(160)은 렌즈 배럴(130)을 제2광축(C2) 방향으로 구동시켜 카메라 모듈(10)의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조립체(200)는 제2하우징(210),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조립체(2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2조립체(200)는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1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하우징(21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면 및 출사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210)의 적어도 2개 측면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면 및 출사면을 통해 빛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하우징(210)에 배치된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제3광축(C3)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카메라 모듈(10)의 광경로가 제1광축(C1)과 대체로 교차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3광축(C3)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프리즘, 반사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형태가 프리즘 및 반사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조립체(200)는 제3구동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는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움직이도록 구성된 제3구동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수단(250)은 제3구동자석(252) 및 제3구동코일(2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자석(252)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구동코일(254)은 제2하우징(2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3구동자석(252)과 제3구동코일(254)의 배치위치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된 형태와 반대로 제3구동자석(252)과 제2구동코일(254)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구동수단(25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소정범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구동수단(250)은 제2광축(C2)과 제3광축(C3)이 교차 또는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3구동수단(250)을 통한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구동방향이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구동수단(25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위치를 변경하여 렌즈 모듈(130)의 초점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카메라 모듈(10)의 손떨림에 의한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3조립체(300)는 제3하우징(310), 기판(320), 이미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조립체(3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하우징(310)은 기판(320) 및 이미지 센서(3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3하우징(310)의 내측 또는 일면에는 기판(320) 및 이미지 센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하우징(310)은 상하가 개방된 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하우징(310)의 형태가 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320)은 제3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3하우징(31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320)은 전술된 구동수단(150, 160, 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320)과 구동수단(150, 160, 250)은 가연성 기판 또는 하우징(110, 210, 310)에 형성되는 인쇄전극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320)에는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320)의 일면 또는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10)의 구동에 필요한 수동소자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기판(320)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330)는 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광로변환수단(120), 렌즈 모듈(130),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CMO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광로변환수단(120, 220)을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초점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모듈(10)의 광경로를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박형화도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을 개별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광학요소들(즉, 제1광로변환수단(120), 렌즈 모듈(130), 제2광로변환수단(220)) 간의 광축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 및 정렬시킬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는 상호 결합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100)는 제1접합부(102)를 포함하고, 제2조립체(200)는 제2접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02, 202)는 하우징(110, 2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102)는 제1하우징(1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접합부(202)는 제2하우징(2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는 대체로 렌즈 모듈(130)의 광축(C21) 및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방향 광축(C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02, 202)는 하우징(110, 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102)는 제1하우징(110)의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너비(W1)로 형성되고, 제2접합부(202)는 제2하우징(210)의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너비(W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너비(W1) 및 제2너비(W2)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너비(W1) 및 제2너비(W2)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의 두께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너비(W1) 및 제2너비(W2)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1접합부(102) 및 제2접합부(202)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제1접합부(102)의 제1너비(W1)와 제2접합부(202)의 제2너비(W2)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조건은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 간의 충분한 접합부적을 제공하면서, 제1접합부(102)에 대한 제2접합부(202)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제2접합부(202)에 대한 제1접합부(102)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는 접합부(102, 202)에 도포되는 접착부재(800)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는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 사이 또는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의 측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8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100) 또는 제2조립체(200)는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가 맞닿은 상태 또는 제1접합부(102)와 제2접합부(202) 사이에 접착부재(800)가 도포된 상태에서 광축(C21, C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의 이동은 렌즈 모듈(130)의 광축(C21)과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방향 광축(C22) 간의 정렬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30)의 광축(C21)과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방향 광축(C22)은 제1조립체(100) 또는 제2조립체(200)를 접합부(102, 202)의 너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치시킬 수 있다.
제1접합부(102) 및 제2접합부(202)는 접착부재(800)의 내부 침투를 억제하거나 또는 접착부재(80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합부(102) 또는 제2접합부(20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800)를 수용하기 위한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제1접합부(102)에 한해 홈(1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접합부(202)에도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제2조립체와 제3조립체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제2조립체(200) 및 제3조립체(300)는 상호 결합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는 제3접합부(204)를 더 포함하고, 제3조립체(300)는 제4접합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접합부(204) 및 제4접합부(302)는 제2하우징(210) 및 제3하우징(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접합부(204)는 제2하우징(210)의 타단에 형성되고, 제4접합부(302)는 제3하우징(3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는 대체로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출사방향 광축(C31) 및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접합부(204) 및 제4접합부(302)는 제2하우징(210) 및 제3하우징(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접합부(204)는 제2하우징(210)의 타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3너비(W3)로 형성되고, 제4접합부(302)는 제3하우징(310)의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4너비(W4)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너비(W3) 및 제4너비(W4)는 제2하우징(210)과 제3하우징(310)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3너비(W3) 및 제4너비(W4)가 제2하우징(210)과 제3하우징(310)의 두께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너비(W3) 및 제4너비(W4)는 제2하우징(210) 및 제3하우징(3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3접합부(304) 및 제4접합부(302)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접합부(304)의 제3너비(W3)와 제4접합부(302)의 제4너비(W4)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조건은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 간의 충분한 접합부적을 제공하면서, 제3접합부(204)에 대한 제4접합부(302)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제4접합부(302)에 대한 제3접합부(204)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제2조립체(200) 및 제3조립체(300)는 접합부(204, 302)에 도포되는 접착부재(800)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 및 제3조립체(300)는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 사이 또는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의 측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8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2조립체(200) 및 제3조립체(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 또는 제3조립체(300)는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가 맞닿은 상태 또는 제3접합부(204)와 제4접합부(302) 사이에 접착부재(800)가 도포된 상태에서 광축(C31, C3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조립체(200) 및 제3조립체(300)의 이동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출사방향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 간의 정렬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출사방향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은 제2조립체(200) 또는 제3조립체(300)를 접합부(204, 302)의 너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치시킬 수 있다.
제3접합부(204) 및 제4접합부(302)는 접착부재(800)의 내부 침투를 억제하거나 또는 접착부재(80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접합부(204) 또는 제4접합부(30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800)를 수용하기 위한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는 제3접합부(204)에 한해 홈(2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4접합부(302)에도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0)은 독립된 광학요소(제1광로변환수단(120), 제2광로변환수단(220), 이미지 센서(330))를 각각 구비한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을 분리 구성하여 광학요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에 각각 형성된 접합부(102, 202, 204, 302)를 통해 광학요소 간의 광축 정렬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10)의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를 유해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 중 2개 이상을 유해전자파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차폐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부재(4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차폐 부재(400)의 재질이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400)는 금속분말이 포함된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10)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의 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를 결합하는 제1공정, 및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를 결합하는 제2공정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의 결합순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의 광축정렬 및 조심조정이 가능한 범위에서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의 결합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1) 제1공정
카메라 모듈(10)은 광학요소들 간의 광축정렬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광학요소들 간의 광축이 오차범위에서 일치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은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의 제조 시에는 광학요소들 간의 광축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광학요소들 간의 광축의 일치여부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를 통해 변환되는 전기신호를 통해 광학요소들의 광축정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센서(330)가 포함된 제3조립체(300)와 제2조립체(200) 간의 접합을 제일 먼저 수행한다.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의 결합작업은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 간이 광축정렬작업과 동시 또는 광축정렬작업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 간의 광축정렬은 제2조립체(200)의 제2광로변환수단(220)으로 조사한 광신호와 제3조립체(300)의 이미지 센서(330)를 통해 수신된 전기신호 간의 특성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와 제2조립체(200) 간의 광축정렬은 제3조립체(300)를 검사장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2조립체(200)의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과 일치되도록 제2조립체(200)를 광축(C3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2조립체(200)의 이동은 제3조립체(300)와 맞닿은 상태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제3조립체(300)와 이격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조립체(200)의 적절한 이동을 통해 제2조립체(200)의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이 일치되면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를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200)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에 대해 제1크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조립체(200)의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이 어느정도 일치되면,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 사이 또는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의 측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를 임시로 접합할 수 있다. 이후, 제2조립체(200)의 조심조정을 통해 제2조립체(200)의 광축(C31)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C32)이 오차범위에서 일치되면, 접착부재를 완전히 경화시켜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2) 제2공정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조립체(100)와 제3조립체(300)를 포함한 제2조립체(200)를 결합할 수 있다.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 간의 결합은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 간의 결합과 유사하다.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의 결합작업은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 간이 광축정렬작업과 동시 또는 광축정렬작업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 간의 광축정렬은 제1조립체(100)의 제1광로변환수단(220)으로 조사한 광신호와 제3조립체(300)의 이미지 센서(330)를 통해 수신된 전기신호 간의 특성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 간의 광축정렬은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의 결합 몸체를 검사장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조립체(100)의 광축(C21)이 제2조립체(200)의 광축(C22)과 일치되도록 제1조립체(100)를 광축(C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1조립체(100)의 이동은 제2조립체(200)와 맞닿은 상태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제2조립체(200)와 이격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조립체(100)의 적절한 이동을 통해 제1조립체(100)의 광축(C21)과 제2조립체(200)의 광축(C22)이 일치되면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를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체(100)를 제2조립체(200)의 광축(C22)에 대해 제2크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조립체(100)의 광축(C21)과 제2조립체2(00)의 광축(C22)이 어느정도 일치되면,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 사이 또는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의 측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를 임시로 접합할 수 있다. 이후, 제1조립체(100)의 조심조정을 통해 제1조립체(100)의 광축(C21)과 제2조립체(200)의 광축(C22)이 오차범위에서 일치되면, 접착부재를 완전히 경화시켜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 간의 광축이 허용오차범위에서 일치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음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참고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제1조립체(100), 제2조립체(200), 제3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조립체(100) 내지 제3조립체(300)를 수용하기 위한 차폐 부재(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체(100)는 제1하우징(110), 제1광로변환수단(120), 제1렌즈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조립체(1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조립체(100)는 제1광로변환수단(120) 및 제1렌즈 모듈(130) 중 하나 이상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제1광로변환수단(120), 제1렌즈 모듈(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은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광로변환수단(120) 및 제1렌즈 모듈(130)을 일체로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직육면체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에서 빛의 입사되는 이루어지는 일면의 일부영역 및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일면의 일부영역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제1하우징(110)에 배치된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제2광축(C2)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1광로변환수단(120)은 프리즘, 반사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광로변환수단(120)의 형태가 프리즘 및 반사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렌즈 모듈(130)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2렌즈 모듈(230)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렌즈 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립체(200)는 제2하우징(210), 제2광로변환수단(220), 제2렌즈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조립체(2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2조립체(200)는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1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하우징(210)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면 및 출사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210)의 적어도 2개 측면은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입사면 및 출사면을 통해 빛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하우징(210)에 배치된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제3광축(C3)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카메라 모듈(12)의 광경로가 제1광축(C1)과 대체로 교차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3광축(C3)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광로변환수단(220)은 프리즘, 반사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2광로변환수단(220)의 형태가 프리즘 및 반사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렌즈 모듈(230)은 제1렌즈 모듈(13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면(imaging plane)에 결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렌즈 모듈(230)은 카메라 모듈(12)의 초점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조립체(300)는 제3하우징(310), 기판(320), 이미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조립체(30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하우징(310)은 기판(320) 및 이미지 센서(3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3하우징(310)의 내측 또는 일면에는 기판(320) 및 이미지 센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하우징(310)은 상하가 개방된 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하우징(310)의 형태가 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서(330)는 기판(320)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330)는 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광로변환수단(120), 제1렌즈 모듈(130), 제2광로변환수단(220), 제2렌즈 모듈(230)을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CMO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2)은 복수의 광로변환수단(120, 220)을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초점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상당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모듈(130, 230)을 포함하므로, 렌즈 모듈(130, 230) 간의 거리조정을 통한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조립체
102 제1접합부
110 제1하우징
120 제1광로변환수단(또는 제1프리즘)
130 제1렌즈 모듈
200 제2조립체
202 제2접합부
204 제3접합부
220 제2하우징
220 제2광로변환수단(또는 제2프리즘)
230 제2렌즈 모듈
300 제2조립체
302 제4접합부
310 제3하우징
320 기판
330 이미지 센서
400 차폐부재

Claims (13)

  1. 제1광로변환수단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제1조립체;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2조립체와 접합하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1접합부와 접합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를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부와 상기 제1접합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갖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 및 상기 제2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3조립체와 접합하는 제3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조립체는 상기 제3접합부와 접합하는 제4접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와 상기 제4접합부를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와 상기 제4접합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갖는 카메라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 및 상기 제4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유해전자파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 상기 제2조립체, 및 상기 제3조립체 중 2개 이상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광로변환수단 및 제1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제1조립체;
    상기 제1렌즈 모듈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제1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광로변환수단 및 제2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립체;
    상기 제2조립체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2조립체와 접합하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1접합부와 접합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상기 제1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유해전자파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 상기 제2조립체, 및 상기 제3조립체 중 2개 이상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와 상기 제4접합부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44185A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모듈 KR10248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85A KR102489715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모듈
US17/353,748 US11700442B2 (en) 2020-11-02 2021-06-21 Camera module
CN202111010092.8A CN114527617A (zh) 2020-11-02 2021-08-31 相机模块
CN202122085753.5U CN215599485U (zh) 2020-11-02 2021-08-31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85A KR102489715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49A KR20220059049A (ko) 2022-05-10
KR102489715B1 true KR102489715B1 (ko) 2023-01-18

Family

ID=798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85A KR102489715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00442B2 (ko)
KR (1) KR102489715B1 (ko)
CN (2) CN21559948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15B1 (ko) * 2020-11-02 2023-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9474A (ja) * 2012-12-13 2014-06-30 Olympus Corp 撮像ユニット、内視鏡装置および撮像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448535B1 (ko) * 2007-12-26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80363A (zh) * 2004-11-19 2006-05-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薄形数码相机
JP4788953B2 (ja) * 2005-11-16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ズームレンズ
US9285566B2 (en) * 2013-08-08 2016-03-15 Apple Inc. Mirror tilt actuation
CN104469105B (zh) * 2013-09-13 2019-10-01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KR102248937B1 (ko) * 2014-01-14 2021-05-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789810B1 (en) * 2017-01-12 2022-09-28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KR102640659B1 (ko) * 2017-01-19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US10969652B2 (en) * 2018-01-10 2021-04-06 Apple Inc. Camera with folded optics having moveable lens
US11092773B2 (en) * 2018-01-26 2021-08-17 Apple Inc. Folded camera with actuator for moving optics
KR102135096B1 (ko) 2018-05-2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WO2019225978A1 (en) 2018-05-23 2019-11-28 Lg Electronics Inc. Camera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2433193B1 (ko) 2018-07-27 2022-08-17 자화전자(주) 모듈 결합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JP7293698B2 (ja) * 2019-02-07 2023-06-20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
KR102090625B1 (ko) * 2019-11-11 2020-03-18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89715B1 (ko) * 2020-11-02 2023-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35B1 (ko) * 2007-12-26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JP2014119474A (ja) * 2012-12-13 2014-06-30 Olympus Corp 撮像ユニット、内視鏡装置および撮像ユニッ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0442B2 (en) 2023-07-11
CN215599485U (zh) 2022-01-21
CN114527617A (zh) 2022-05-24
US20220141360A1 (en) 2022-05-05
KR20220059049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4566A1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KR101612204B1 (ko) 광 스플리터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
KR102357534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767937B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08200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090062472A (ko) 카메라 모듈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KR101092124B1 (ko)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장치의 제조 방법
US11703655B2 (en) Lens assembly
KR20150092867A (ko) 카메라 모듈
KR100803245B1 (ko) 분리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US20220252863A1 (en) Optical apparatus
KR102489715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7197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64640A (ko) 카메라 모듈
KR102505442B1 (ko) 카메라 모듈
US20050111106A1 (en) Optical element assembly formed of multiple optical elements such as prism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in image pickup function section
US20220279099A1 (en)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reflection module
US20100045846A1 (en) Image pickup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device
CN212588392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2547417B1 (ko) 광학기기
KR102661823B1 (ko) 광학기기
KR20170129506A (ko) 카메라 모듈
KR102435574B1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KR20210007184A (ko) 광학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