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918A -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918A
KR20090068918A KR20070136724A KR20070136724A KR20090068918A KR 20090068918 A KR20090068918 A KR 20090068918A KR 20070136724 A KR20070136724 A KR 20070136724A KR 20070136724 A KR20070136724 A KR 20070136724A KR 20090068918 A KR20090068918 A KR 2009006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communication line
heating roller
recycling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060B1 (ko
Inventor
이원형
박태동
김보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7013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히팅 롤러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여 젤리 와 폴리에틸렌을 1차적으로 제거 및 수거하고, 고온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되어 있는 젤리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동을 획득함은 물론, 젤리와 폴리에틸렌도 함께 수거할 수 있고 일련의 공정을 통해 대량작업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적으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할 수 있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되는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이 투입되는 제1 히팅 롤러(heating roller)와 제2 히팅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를 통과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한다.
젤리충전 통신선, 동 케이블, 히팅 롤러, 환경, 대량생산

Description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Recycling device for jelly filling cable and Recyc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히팅 롤러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여 젤리 와 폴리에틸렌을 1차적으로 제거 및 수거하고, 고온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되어 있는 젤리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동을 획득함은 물론, 젤리와 폴리에틸렌도 함께 수거할 수 있고 일련의 공정을 통해 대량작업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적으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할 수 있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선은 개별 피복된 다수의 세선(細線)이 일체로 피복된다. 동케이블과 같은 통신선은 사용장소에 원하는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신선의 루트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케이블을 설치하기 때문에 가설과 운용시에 외부 충격에 강인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통신선은 물, 습기 등에 의해 절연 성능이 저하되기 쉽고 수명이 단축되며, 전송 품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동케이블을 이루는 세선들끼리는 합성유,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방지제, 유기합성물 등의 혼합물인 젤리가 충진 도포됨으로써 절연성을 높이게 된다.
젤리충전 동케이블 통신선은 크게 블랙 폴리에틸렌(Black PE), 알루미늄, 전기동(電氣銅), 폼 폴리에틸렌(Foam PE) 및 젤리 컴파운드(jelly compound)로 구성된다. 이러한 젤리충전 동케이블 통신선이 폐기될 경우 이러한 각 구성물들을 소재별로 분류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구성물 중에서 전기동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젤리 컴파운드를 완전히 제거할 것이 요구된다.
젤리 컴파운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동, 식물성 기름을 용매로 사용하여 젤리를 녹임으로써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젤리를 녹인 후, 젤리 성분과 용매인 동, 식물성 기름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으면 재활용 가치가 떨어지며, 젤리의 제거를 위해 많은 양의 동, 식물성 기름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젤리 컴파운드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화공약품을 용매로 사용하여 젤리를 녹임으로써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공약품은 인체와 자연 환경에 유해하여 취급과 재활용시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출된 젤리 컴파운드와 화공약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투자설비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휘발 성분인 화공약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과다한 운전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순도 높은 동을 수거할 수 있다 할지라도, 젤리와 폴리에틸렌은 대부분 수거하지 못하고 폐기될 수밖에 없으며, 용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야 하므로 운전비용이 많이 들고 일련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고순도의 동을 획득함은 물론, 젤리와 폴리에틸렌도 함께 수거할 수 있고 일련의 공정을 통해 경제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적으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할 수 있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이 투입되는 제1 히팅 롤러(heating roller)와 제2 히팅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를 통과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는 각각 회전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이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은 상기 지면에 대하여 30 내지 45도의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 칼날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 한 쌍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접촉 칼날에 모인 이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의 외부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열 히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 분사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 에어 분사구의 축은 서로 다른 직선상에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구의 사이에는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지면에 수직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방법은 (a)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에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 사이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이물질을 모아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 사이를 통과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젤리충진 통신선의 재활용 방법은 (e)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를 분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과 물리적 방법만을 사용하여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함으로써 인체와 환경에 무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되는 젤리충전 통신선으로부터 고순도의 동뿐만 아니라, 젤리를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련의 장치들이 자동화되고 공정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므로 대량작업에 적합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1차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1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2차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이하, "재활용 장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1차 장치(100)와 2차 장치(2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장치는 1차 장치(100)만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2차 장치(200)는 생략되거나 다른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1차 장치(100)는 한 쌍의 히팅 롤러(110, 120)와 이물질 제거부(135) 및 컨베이어 벨트(1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히팅 롤러(110, 120)는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를 구비한다.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는 각각 회전중심축(115, 125)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는 직경이 적어도 4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젤리충전 통신선(C)의 세선 직경이 대략 0.4~1.0mm인 점을 고려한 결과이다. 또한,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의 표면 온도는 300도씨까지 승온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 온도가 150~160도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젤리충전 통신선(C)을 이루는 젤리 컴파운드와 일부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의 간격은 젤리충전 통신선(C)의 세선 직경이 대략 0.4~1.0mm인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세선의 직경보다 대략 20% 정도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는 젤리충전 통신선(C)의 통과시 온도 편차가 ±5도씨 이하인 것이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의 각 회전중심축(115, 125)을 공통으로 포함하는 평면(P)은 지면(E) 또는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면(P)은 지면(E)에 대하여 α= 30~45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용융된 액상 젤리 컴파운드와 반액상의 폴리에틸렌이 젤리충전 통신선(C)의 표면에 묻어나지 않은 상태로 중력에 의해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의 하단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평면(P)과 지면(E)이 이루는 각이 30도 미만으로 설정되면 액상 젤리 컴파운드가 히팅 롤러(110, 120)의 하단부로 모이지 않고 바로 중력 방향으로 낙하되어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수거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평면(P)과 지면(E)이 이루는 각이 45도를 초과하면 젤리충전 통신선(C)의 자중(自重)을 활용할 수 없어 히팅 롤러(110, 120)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C)을 투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젤리충전 통신선(C)이 히팅 롤러(110, 120) 사이로 통과하면 원형 형상에서 납작한 형상으로 전환된다. 더불어, 젤리 컴파운드의 녹는점이 폴리에틸렌보다 낮으므로 젤리 컴파운드가 먼저 용융되어 히팅 롤러(110, 120)의 하단부로 모이게 된 다. 또한, 폴리에틸렌도 일부가 용융되어 액상의 젤리 컴파운드를 젤리충전 통신선(C)의 외부로 밀어내면서(폴리에틸렌보다 젤리 컴파운드의 밀도가 작으므로) 젤리충전 통신선(C)은 일부 폴리에틸렌과 전기동으로 구성된 납작한 형상으로 변경된다.
이물질 제거부(135)는 접촉 칼날(130)과 배관(140) 및 전열 히터(150)를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부(135)는 히팅 롤러(110, 120)의 표면에 묻은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긁어내어, 다음에 투입되는 젤리충전 통신선(C)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이물질 제거부(135)는 긁어낸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수집하고 이송하여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유가품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물질 제거부(135)는 제1 히팅 롤러(110)와 제2 히팅 롤러(120) 측에 하나씩 구비되나, 편의상 도 2에서는 제2 히팅 롤러(120) 측에 구비된 것만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제2 히팅 롤러(120) 측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135)에 대해서만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접촉 칼날(130)은 제2 히팅 롤러(1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제2 히팅 롤러(120)의 표면에 묻은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촉 칼날(130)은 도 2와 같이 제2 히팅 롤러(120)의 높이 방향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축(125)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접촉 칼날(130)에 의해 제거된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접촉 칼날(130)의 연장면은 제2 히팅 롤러(120)에서 멀어질수록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140)은 접촉 칼날(130)에 의해 수거된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수거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관(140)의 단부에는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배관(140)의 외부에는 전열 히터(150)가 구비되어 배관(140)의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배관(140) 내부의 온도가 떨어질 경우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이 배관(140) 내부에서 응고되어 배관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전열 히터(150)로는 도 2와 같이 열선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고온의 스팀 분사기 등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1차 장치(100)는 한 쌍의 히팅 롤러(110, 120)를 이용하여 젤리충전 통신선(C)을 가열하여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키고, 압력을 가해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젤리충전 통신선(C)의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이들을 분리해낸다. 더불어, 1차 장치(100)는 이물질 제거부(135)를 이용하여 히팅 롤러(110, 120)의 표면에 묻은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긁어내어 다음 젤리충전 통신선(C)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긁어낸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차 장치(200)는 이송 롤러(210)와 에어 분사구(220)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210)는 젤리충전 통신선(C)을 지지하면서 이송한다. 에어 분사구(220)에서 젤리충전 통신선(C)으로 고온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므로, 젤리충전 통신선(C)의 일부가 에어의 압력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롤러(210)가 구비된다. 이송 롤러(210)는 서로 평행하도록 2열로 배열되며, 각 열은 작은 롤러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서로 평행한 2열은 각 열을 이루는 작은 롤러들이 마주보도록 배열되기 보다는, 젤리충전 통신선(C)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 롤러(210)는 지면에 수직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 가지 측면이 고려된 것이다. 첫째, 에어 분사구(220)는 좌우로 배치되는 것이 상하로 배치되는 것보다 설치가 용이하다. 둘째, 이송 롤러(210)가 수평으로 배열되면 젤리충전 통신선(C)에 잔류되어 있는 젤리 컴파운드를 고온 고압의 에어로 제거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에어 분사구(220)는 컨베이어 벨트(160)에 의해 이송된 젤리충전 통신선(C)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 분사구(22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 에어 분사구(220)의 축은 서로 다른 직선상에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에어 분사구(220)의 축이 동일 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열되면 각 에어 분사구(220)가 서로 마주보게 되어, 젤리충전 통신선(C)의 동일한 지점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이 경우 젤리충전 통신선(C)의 이송에 제약이 가해져 원활한 이송이 힘들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에어 분사구(220)의 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에어 분사구(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2차 장치(200)는 1차 장치(100)를 거친 젤리충전 통신선(C)에 잔류되어 있는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 등을 말끔하게 제거하여 고순도의 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히팅 롤러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는 단계(S10), 히팅 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이물질을 수거 및 이송하는 단계(S30), 젤리충전 통신선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는 단계(S40), 및 젤리충전 통신선에 고온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0단계는 제1 히팅 롤러와 제2 히팅 롤러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젤리충전 통신선은 히팅 롤러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게 되며, 그 결과 젤리 컴파운드와 일부 폴리에틸렌이 용융되고 젤리충전 통신선의 외부로 밀려나와 히팅 롤러의 하단으로 흐르게 된다.
20단계는 10단계를 통해 히팅 롤러에 묻은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긁어내는 단계이다. 한 쌍의 히팅 롤러에는 각각 접촉 칼날이 접촉되어 있어, 히팅 롤러의 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이 제거되어 접촉 칼날의 연장부에 쌓이게 된다.
30단계는 20단계를 통해 접촉 칼날의 연장부에 쌓인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을 배관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접촉 칼날의 연장부는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이 배관으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가도록 한다. 한편, 배관의 외부에는 열선 등으로 배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배관 내부로 이송되는 젤리 컴파운드 등이 응고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40단계는 10단계에서 제1 히팅 롤러와 제2 히팅 롤러 사이를 통과한 젤리충전 통신선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40단계는 20단계 및 30단계와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0단계를 통해 대부분의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이 제거되며, 미량의 젤리 컴파운드 등이 젤리충전 통신선의 표면에 잔류될 수 있다. 50단계는 이와 같이 젤리충전 통신선의 표면에 잔류된 젤리 컴파운드 등을 고온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말끔히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써 젤리충전 통신선으로부터 고순도의 동을 수거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젤리 컴파운드와 폴리에틸렌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화공약품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인체와 환경에 무해하며, 일련의 장치들은 자동화되고 공정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므로 대량작업에 적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동과 젤리를 수거할 수 있어, 통신 동케이블을 비롯하여 내부 절연과 방습을 위해 젤리가 충전되는 다양한 통신선에 적용되어, 폐기되는 젤리충전 통신선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1차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1차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장치 중 2차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 재활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1차 장치 110 - 제1 히팅 롤러
120 - 제2 히팅 롤러 130 - 접촉 칼날
135 - 이물질 제거부 140 - 배관
150 - 전열 히터 160 - 컨베이어 벨트
200 - 2차 장치 210 - 이송 롤러
220 - 에어 분사구

Claims (12)

  1. 폐기되는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젤리충전 통신선이 투입되는 제1 히팅 롤러(heating roller)와 제2 히팅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를 통과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히팅 롤러는 각각 회전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이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은 상기 지면에 대하여 30 내지 45도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 칼날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 한 쌍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접촉 칼날에 모인 이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이 재활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부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열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 분사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 에어 분사구의 축은 서로 다른 직선상에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구의 사이에는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지면에 수직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11. 폐기되는 젤리충전 통신선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에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 사이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이물질을 모아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히팅 롤러와 상기 제2 히팅 롤러 사이를 통과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e)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된 상기 젤리충전 통신선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방법.
KR20070136724A 2007-12-24 2007-12-24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KR10094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6724A KR100943060B1 (ko) 2007-12-24 2007-12-24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6724A KR100943060B1 (ko) 2007-12-24 2007-12-24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18A true KR20090068918A (ko) 2009-06-29
KR100943060B1 KR100943060B1 (ko) 2010-02-17

Family

ID=4099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6724A KR100943060B1 (ko) 2007-12-24 2007-12-24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2657A (zh) * 2015-12-21 2016-06-01 济南陆枋志合信息技术有限公司 利用废旧独芯电缆生产铜带的系统
CN107895614A (zh) * 2017-11-30 2018-04-10 江西省互电气有限公司 一种电缆热剥离回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219A (ja) * 1993-01-27 1994-08-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ユニットの被覆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JPH06242323A (ja) * 1993-02-17 1994-09-02 Fujitsu Ltd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方法
JPH1014047A (ja) * 1996-06-21 1998-01-16 Hitachi Cable Ltd プラスチック被覆線の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2657A (zh) * 2015-12-21 2016-06-01 济南陆枋志合信息技术有限公司 利用废旧独芯电缆生产铜带的系统
CN105632657B (zh) * 2015-12-21 2017-10-17 闳诚科技有限公司 利用废旧独芯电缆生产铜带的系统
CN107895614A (zh) * 2017-11-30 2018-04-10 江西省互电气有限公司 一种电缆热剥离回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060B1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060B1 (ko) 젤리충전 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재활용 방법
KR100792596B1 (ko) 마른고추 세척장치
KR101602947B1 (ko) 알루미늄관 수지 코팅장치
KR200476774Y1 (ko) 냉각기의 튜브 번들 세척기
CN104350590A (zh) 具有滴水边缘构造的衬底载体
CN206233905U (zh) 一种油田管道刮蜡装置
RU2018122292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лимерных нановолокон путем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формования волокна из раствора или расплава полимера, волокнообразующий электрод для этого спосо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лимерных нановолокон, оснащенное, по крайней мере, одним волокнообразующим электродом
CN107366025A (zh) 一种蚕茧蒸煮装置
KR101254916B1 (ko) 골프공 세척장치
CN104795179B (zh) 一种防地面积水的电缆冷却装置
KR20150028394A (ko) 젤리 충전 통신케이블의 절연 젤리 회수방법
KR101402972B1 (ko)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CN111210947A (zh) 一种用于汽车线束的自动生产线及工艺
KR101466692B1 (ko) 용제 추출 장치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CN203704618U (zh) 一种干燥机改进装置
JP5787401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廃材再生用ドライヤ
KR20160032966A (ko) 이물질 제거장치
JP5849114B2 (ja) 水流を利用したもやし移送システム
JP6585931B2 (ja) 食材洗浄装置
CN204566624U (zh) 三层螺杆挤出机
CN214234795U (zh) 套环紧固件上蜡装置
KR20130076533A (ko) 스트립 박리 장치용 에어나이프
KR200469764Y1 (ko) 기판 세정 장치
CN214516367U (zh) 一种除浮游异物的载带自动清洗烘干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