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896A -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896A
KR20090066896A KR1020070134640A KR20070134640A KR20090066896A KR 20090066896 A KR20090066896 A KR 20090066896A KR 1020070134640 A KR1020070134640 A KR 1020070134640A KR 20070134640 A KR20070134640 A KR 20070134640A KR 20090066896 A KR20090066896 A KR 2009006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orming
molding
pin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896A/ko
Publication of KR2009006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형홀더(10)에 설치되고 모재(1)가 안착되는 성형다이(25)가 구비되는 하형리테이너(20)와, 상형홀더(50)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다이(25)와 협력하여 상기 모재(1)에 속이 빈 원통형상의 결합부(3)를 성형하는 성형펀치(80)가 구비되는 상형리테이너(55)와,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홀더(50) 및 하형홀더(10)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바(58)와, 이에 연동되는 성형캠(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성형캠(30)은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58)에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3)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결합부(3)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결합공간(3')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결합부(3) 형상이 보다 정교하게 제조될 수 있고, 결합부(3) 성형과정에서 결합부(3)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터미널, 성형캠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Forming apparatus for terminal of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모재(이하 터미널스트랩이라고 한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에는 터미널스트랩이 얹어지고, 상기 펀치는 다이에 얹어진 터미널스트랩을 타격하여 터미널스트랩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의 터미널을 만들어나간다.
이때, 상기 터미널 중에는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전제품에 설치되는 퓨즈를 고정하기 위한 퓨즈터미널의 경우에는 그 선단이 퓨즈에 대응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 이러한 터미널을 퓨즈터미널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퓨즈터미널을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터미널스트랩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퓨즈터미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요부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스트랩(1)은 긴 띠 형상의 금속모재로서, 그 선단에는 터미널형상(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형상(2)은 다시 결합부(3)와 바렐부(5)로 나누어진다.
상기 결합부(3)는 후에 터미널이 완성되면 퓨즈(미도시)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대략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부(3)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결합공간(3')이 형성되어, 후에 퓨즈가 삽입된다. 도 1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있는 결합부(3)는 아직 원통형상으로 절곡되기 전의 모습이고, 그 오른쪽부터는 절곡된 이후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부(3)를 성형하기 위해서 도 2에서 보듯이 프로그레시브금형에는 펀치(P)와 다이(D)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P)와 다이(D)는 서로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원통형의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원통형의 공간 내부에 상기 결합부(3)가 위치하여 원통형상으로 절곡되거나, 혹은 절곡된 상태를 다시 한번 확실하게 고정하는, 소위 어드저스트(adjust)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3)에는 바렐부(5)가 연결된다. 상기 바렐부(5)는 터미널을 와이어(미도시)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형상(2)은 캐리어(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터미널형상(2)의 선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터미널스트랩(1)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8)에는 파일럿공(8')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공(8')에는 파일럿핀(미도시)이 삽입되어 터미널스트랩(1)을 고정하거나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터미널스트랩(1)에서 상기 결합부(3)를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다이 상에 안착된 터미널스트랩(1)을 향해 상기 다이가 접근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펀치(P)가 다이(D)와 협력하여 상기 결합부(3)를 성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부(3)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펀치(P)와 다이(D)가 협력하여 결합부(3)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공간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에 의해 결합부(3)가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3)의 내부에는 결합공간(3')이 형성되므로 펀치(P)와 다이(D)의 상대이동과정에서 상기 결합부(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공간(3')이 찌그러지거나 혹은 결합부(3)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펀치(P)와 다이(D)가 상대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공간(3') 내부로 원통형상의 캠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3)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부(3)가 좀 더 정확한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캠은 상기 펀치(P)와 다이(D)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펀치(P) 및 다이(D)의 상대이동과 연계되어 결합공간(3')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하므로 이를 설계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스트랩에 원통형상의 결합부가 파손되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펀치 및 다이의 상대이동과 동시에 이에 직교한 방향으로 성형캠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형홀더에 설치되고 모재가 안착되는 성형다이가 구비되는 하형리테이너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상형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다이와 협력하여 상기 모재에 속이 빈 원통형상의 결합부를 성형하는 성형펀치가 구비되는 상형리테이너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상형홀더 및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에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결합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결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성형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캠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에 연동되는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플레이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동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재의 결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성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핀은 상기 연동플레이트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결합된 회동편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편은 상기 연동플레이트에 회동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동편과 상기 연동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성형핀을 중심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치우친 위치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성형핀에 상기 상형리테이너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핀은 그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편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회동편에는 상기 성형핀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세트스크류가 결합되어 상기 성형핀의 일측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 원통형상의 결합부를 성형하기 위한 펀치 및 다이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는 성형캠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의 결합부 형상이 보다 정교하게 제조될 수 있고, 결합부 성형과정에서 결합부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펀치 및 다이를 상대이동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성형캠이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므로 터미널의 제조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제조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캠의 선단에 구비되는 성형핀이 어느 정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성형핀이 터미널의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성형핀의 선단이 결합부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오삽입이 방지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성형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캠이 터미널스트랩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터미널스트랩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배경기술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차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형홀더(10)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20)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20)는 상기 하형홀더(1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20)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성형다이(25)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다이(25)는 그 상면에 터미널스트랩(1)이 안착되고, 후술할 성형펀치(80)와 협력하여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결합부(3)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성형캠(30)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캠(30)은 아래 에서 설명될 구동바(58)에 연동되어 터미널스트랩(1)의 결합부(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3)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성형캠(30)의 골격은 베이스플레이트(31)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고정되어 후술할 연동플레이트(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에는 고정캡(31')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캡(3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단에 고정되어 연동플레이트(32)의 분리를 방지하고 연동플레이트(32)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에는 연동플레이트(32)가 연결된다. 상기 연동플레이트(3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구동바(58)에 의해 터미널스트랩(1)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플레이트(32)는 구동바(58)에 연동되어, 상기 상형홀더(50) 및 후술할 하형홀더(10)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플레이트(32)에는 롤러(33)가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롤러(33)는 상기 연동플레이트(3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사이로 구동바(58)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바(58)가 상기 롤러(33)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동플레이트(32)는 상기 결합부(3) 방향(도 3의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플레이트(32)에는 회동편(35)이 결합된다. 상기 회동편(35)은 상기 연동플레이트(32)와 소정의 간격(d)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동핀(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편(35)은 도 3의 화살표(③)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편(35)과 상기 연동플레이트(32) 사이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아래에서 설명될 성형핀(38)을 중심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어, 성형핀(38)에 상형리테이너(55)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S)는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회동편(35)의 내부에는 나사산(37)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성형핀(38)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38')과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나사체결됨으로써 성형핀(38)을 회동편(3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편(35)에는 성형핀(38)이 결합된다. 상기 성형핀(38)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대략 바형상으로, 상기 터미널형상(2)의 결합공간(3')에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성형핀(38)에는 나사산(38')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편(35)에 나사체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동편(35)에는 상기 성형핀(38)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세트스크류(39)가 결합되어 상기 성형핀(38)의 일측을 고정한다.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는 상형홀더(5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50)는 구동원에 의해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형홀더(5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5)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5)는 상기 상형홀더(50)와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 기 백킹플레이트(5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55)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구동바(5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바(58)는 상기 상형리테이너(55)를 따라 상기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성형캠(3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바(58)는 상기 상형홀더(50) 및 하형홀더(10)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바(58)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성형캠(30)을 이동시킨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파일럿핀(60)이 구비된다. 상기 파일럿핀(60)은 터미널스트랩(1)의 파일럿공(8')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바렐펀치(70)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펀치(70)는 상기 터미널형상(2)의 바렐부(5)를 고정하여 상기 결합부(3)의 성형과정에서 터미널스트랩(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성형펀치(8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펀치(80)는 상기 성형다이(25)와 협력하여 상기 결합부(3)를 성형하거나 혹은 성형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성형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터미널형상(2)의 결합부(3)를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상기 성형다이(25)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형상(2)은 상기 성형펀치(8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50)가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파일럿핀(60)은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파일럿공(8')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위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바렐펀치(70)는 터미널형상(2)의 바렐부(5)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형홀더(5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바(58)도 함께 이동된다.(도 3의 화살표①방향) 이 과정에서 상기 구동바(58)의 선단은 상기 연동플레이트(32)의 롤러(33) 사이에 삽입되어 미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플레이트(32)는 상기 결합부(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②방향)
이에 따라 상기 연동플레이트(32)의 선단에 결합된 회동편(35)도 결합부(3) 방향으로 이동되고, 회동편(35)에 고정된 성형핀(38)은 상기 결합부(3)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3')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편(35)은 회동편(35)에 의해 상기 연동플레이트(32)에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핀(38)의 선단이 상기 결합공간(3')의 입구에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성형핀(38)은 회동편(35)의 회전에 의해 결합공간(3')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어 성형핀(38)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35)과 연동플레이트(32) 사이의 탄성부재(S)에 의해 이러한 회동편(35)의 회전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핀(38)이 상기 결합공간(3')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성형펀치(80)는 상기 결합부(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타격하게 된다. 즉, 상기 성형펀치(80)와 성형다이(25)가 협력하여 상기 결합부(3)의 외주면을 곡면으로 만들어주 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핀(38)이 상기 결합공간(3')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성형펀치(80)에 의해 결합공간(3')이 찌그러지거나 혹은 결합부(3)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핀(38)은 상기 구동바(58)에 의해 자연스럽게 결합공간(3')으로 이동되므로 성형캠(30)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치 않게 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핀(38)이 손상되거나 혹은 마모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우선 상기 세트스크류(39)를 회동편(35)으로부터 분리하고, 나사결합된 상기 성형핀(38)을 회동편(35)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즉, 성형캠(3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성형핀(38)만을 교체하면 된다. 물론, 작업자는 터미널형상(2)의 설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성형핀(38)을 그에 적합한 성형핀(38)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동플레이트(32)와 성형핀(38) 그리고 회동편(35)은 일체가 되어 상기 성형캠(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핀(38)은 상기 회동편(35)에 나사체결되는 대신 압입되거나 세트스크류(39)만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퓨즈터미널의 원통형상의 결합부(3)를 성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레시브금형을 통해 제작되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을 갖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미널스트랩을 이용한 퓨즈터미널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퓨즈터미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요부구성이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캠이 터미널스트랩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12: 백킹플레이트
20: 하형리테이너 25: 성형다이
30: 성형캠 31: 베이스플레이트
32: 연동플레이트 33: 롤러
35: 회동편 36: 회동핀
38: 성형핀 50: 상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5: 상형리테이너
58: 구동바 60: 파일럿핀
70: 바렐펀치 80: 성형펀치

Claims (6)

  1. 하형홀더에 설치되고 모재가 안착되는 성형다이가 구비되는 하형리테이너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상형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다이와 협력하여 상기 모재에 속이 빈 원통형상의 결합부를 성형하는 성형펀치가 구비되는 상형리테이너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상형홀더 및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에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결합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결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성형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캠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에 연동되는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플레이트의 선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 며 상기 연동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재의 결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성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핀은 상기 연동플레이트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결합된 회동편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편은 상기 연동플레이트에 회동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과 상기 연동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성형핀을 중심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치우친 위치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성형핀에 상기 상형리테이너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핀과 상기 회동편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에는 상기 성형핀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세트스크류가 결합되어 상기 성형핀의 일측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KR1020070134640A 2007-12-20 2007-12-2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KR20090066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40A KR20090066896A (ko) 2007-12-20 2007-12-2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40A KR20090066896A (ko) 2007-12-20 2007-12-2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896A true KR20090066896A (ko) 2009-06-24

Family

ID=4099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640A KR20090066896A (ko) 2007-12-20 2007-12-2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8145A (zh) * 2020-06-09 2020-09-04 程新华 一种建筑装饰件的加工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8145A (zh) * 2020-06-09 2020-09-04 程新华 一种建筑装饰件的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3514B (zh) 一种内轮架自动冲压模具
CN101569907A (zh) 折弯模具
PT2590275E (pt) Dispositivo para posicionamento de condutores
JP5058525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90066896A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성형장치
EP2772925A1 (en) Wire-length-adjusting device provided with wire replacement mechanism
KR20040111312A (ko) 방진구 브래킷용 단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4401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벤딩장치
KR101564048B1 (ko) 성형용 금형의 위치맞춤장치
JP5851249B2 (ja) ブランク収容装置および方法
CN202290851U (zh) 一种镶块式挤压模具
US20170087736A1 (en) Hydraulic Punch Machine, and Punch Carrier for a Punch Machine
US20160256909A1 (en) Mandrel
CN101428311B (zh) 弯管装置
KR101808224B1 (ko) 절곡기의 절곡날 착, 탈 장치
CN102189216B (zh) 一种压铆钉模
KR20100034301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펀칭장치
CN107803434A (zh) 一种成形稳定的模具
KR200388533Y1 (ko) 헤딩 머신의 소재 절단 장치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101397233B1 (ko) 핀 코어 빼기용 지그
KR20200007348A (ko) 2 캐비티 주조기용 4 슬라이드 금형
CN220614809U (zh) 一种注塑模具快速换镶针机构
CN117299976B (zh) 一种分体式成型的五金精密模具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