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453A -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453A
KR20090063453A KR1020070130821A KR20070130821A KR20090063453A KR 20090063453 A KR20090063453 A KR 20090063453A KR 1020070130821 A KR1020070130821 A KR 1020070130821A KR 20070130821 A KR20070130821 A KR 20070130821A KR 20090063453 A KR20090063453 A KR 2009006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rics
size
pitch
audio source
cy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453A/ko
Publication of KR2009006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오디오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음악 재생시에 출력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작적인 재미를 제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악, 가사출력

Description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method for displaying words and music play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해서 디지털 음악 재생 기기가 다양화, 다기능화 됨으로서, 급격히 기존의 제품들을 대체하여 그 보급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MP3 플레이어의 경우 고성능 CPU 및 DSP의 개발, 저장매체로 사용되는 플래쉬 메모리의 가격하락 및 인터넷의 발전에 의한 컨텐츠 확보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기존의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나 CD 플레이어를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MP3 플레이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탐재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성통화 뿐 아니라 언제나 어디서나 편리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망을 통해 음악 컨텐츠 다운로드가 용이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MP3 플레이어 등의 음악 재생 장치는 음악 재생시에 가사를 출력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가사 표시는 단순히 재생되는 음악에 동기시켜 가사를 표시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 높낮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사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오디오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는, 오디오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시키는 디코더부와;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조절하는 가사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과 매칭되는 가사를 크기 변화시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의하면, 음악 재생시에 출력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작적인 재미를 제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음원 파형을 이용한 주기 횟수를 검출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의 높낮이에 대응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오디오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사 크기의 변화는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과 매칭되는 가사에 대해 그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높이는 소정시간 단위로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기 횟수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높이를 고음, 중간음, 저음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가사 크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높이 구분은 주기 횟수를 소정 범위로 구분하여 그 범위에 포함되는 재생구간의 가사에 대해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높이에 따른 가사 크기 변화 여부를 결정하는 가사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는, 오디오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시키는 디코더부와;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조절하 는 가사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과 매칭되는 가사를 크기 변화시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사 처리부는 오디오 음원의 파형에서 소정시간 단위로 검출되는 주기횟수를 이용하여 음높이에 따른 가사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되는 가사 출력 모드에 따라 가사 크기를 일정하게 또는 크기 변화시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악 파일 재생시 가사 출력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11)와; 컴퓨터(PC) 등으로부터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2)와; 음악 재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음악 파일 및 가사를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여 스피커(15)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코더부(14)와; 상기 재생되는 음악 파일에 동기시켜 음 높이에 따라 가사로 표시되는 글자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가사 처리부(16)와; 상기 음악 재생시에 가사가 표시되고 음악 재생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와; 재생 요청되는 MP3 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주기 횟수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의 높낮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여기서, 상기 음악 파일은 MP3, AAC, WMA 등의 압축된 오디오 음원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양한 타입의 음악 파일을 오디오 음원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키 입력부(11)는 음악 재생 장치의 특정 동작(예컨대, 재생, 볼륨 업/다운, 동작 개시/종료, 곡선택 등)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음악 재생은 물론 FM라디오, 음성녹음 등을 지원할 수가 있다.
또한, 키 입력부(11)는 오디오 음원 재생시에 가사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가사 크기에 변화가 없이 표시하는 일반(normal) 모드 또는 가사 크기에 변화를 주어 표시하는 체인지(change) 모드를 포함하는 가사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2)는 USB(Universal Serial Bus)등의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PC) 등과 연결되어 오디오 음원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음악 재생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는 무선 송수신부가 더 포함되어 인터넷 등을 통해 오디오 음원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는 음악 재생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및 재생을 위한 다양한 오디오 음원, 가사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3)는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음악 재생 장치에 내장된 저장매체 또는 CF, SM, XD, SD 등의 외장형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부(14)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이용하여 압축된 MP3 음원을 원래의 음성 데이터(즉,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재생되는 음악의 곡명, 가수 명 등을 ID3 태그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면, MPEG 레이어3에 공지되어 있는 심리 음향 모델을 적용하여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데이터를 호프만 코딩(huffman coding)을 통해 비트 스트림을 형성하여 압축시킨 MP3 파일에 대해, 디코더부(14)는 상기 역 과정을 통해 압축된 MP3 파일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PCM 형태의 오디오 음원으로 복원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된 MP3 음원을 복원하여 재생하는 과정은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었거나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사 처리부(16)는 오디오 음원이 재생될 때 그 재생시간에 동기되는 가사를 추출하고 상기 가사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7)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가사 크기에 변화가 없는 일반(normal) 모드 또는 가사 크기에 변화를 주는 체인지(change) 모드 등의 가사 출력 모드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가사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되도록 출력한다.
여기서, 가사 처리부(16)는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가사 크기에 변화없이 동일한 크기의 가사가 표시되도록 조절하고, 체인지 모드가 선택되면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파형을 통해 검출된 주기 횟수에 따라 가사 크기를 다르게 조절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사 처리부(16)는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파형에서 임의의 시간동안의 왕복되는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주기 횟수가 작은 경우는 가사 크기를 작게 조절하고 주기 횟수가 많은 경우는 가사 크기를 크게 조절하는데, 일반적으로 오디오 음원의 파형의 주기 횟수가 적은 경우는 음이 낮은 경우이며 주기 횟수가 많은 경우는 음이 높은 경우이기 때문에, 상기 주기 횟수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의 높낮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8)는 재생 요청되는 오디오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시키고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주파수 파형의 주기 횟수를 검출하여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오디오 음원 재생전이나 재생시에 가사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일반 모드 또는 체인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선택되는 가사 출력 모드에 따라 가사 크기가 일정하게 또는 크기 변화되어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8)는 일반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에 동기시켜 가사의 크기가 일정하게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다시 체인지 모드로 모드가 변경되면 음의 높낮이에 따라 가사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악 재생시에 출력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작적인 재미를 제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 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음원 파형을 이용한 주기 횟수를 검출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의 높낮이에 대응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생하기 원하는 오디오 음원을 선택하고 재생시킨다(S21).
예를 들면,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음원의 곡명, 가수 명 등의 목록을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디오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오디오 음원 재생전이나 재생시에 가사 크기가 일정하게 또는 크기 변화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가사 출력 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가사 출력 모드는 가사 크기에 변화가 없는 일반(normal) 모드 및 가사 크기에 변화를 주는 체인지(change) 모드로 구분되며 이중 어느 하나를 오디오 음원 재생전이나 재생시에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파형을 통해 주기 횟수를 검출한다(S22).
예를 들면, 도 3과 임의의 시간동안 왕복되는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그 주기 횟수에 따라 가사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a는 주기 횟수를 검출하기 위한 임의의 시간이 1초일 때 1회 주기 횟수가 검출되는 경우이고, 도 3b는 1초에 2회의 주기 횟수가 검출되는 경우의 예시로서, 상기 주기 횟수 검출 시간은 변경가능하다.
또한, 주기 횟수는 음의 높낮이와 연관되는데 임의의 시간동안 많은 주기 횟수가 검출되면 음이 높은 경우이며, 임의의 시간동안 적은 주기 횟수가 검출되면 음이 낮은 경우이다.
이후, 상기 검출된 주기 횟수에 따라 가사 크기를 조절한다(S24). 예를 들면, 오디오 음원이 재생되는 구간의 파형으로부터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주기 횟수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높이(pitch), 즉 음의 높고 낮음에 대응되도록 가사 크기를 조절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주기 횟수를 소정 범위로 구분하고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주기 횟수가 검출되는 구간은 가사 크기를 동일하게 한다.
즉, 주기 횟수의 범위를 1회~50회, 51회~100회, 101회~150회로 구분하고 각각 가사 크기를 10, 15, 20으로 대응시키면, 임의의 시간동안 검출되는 주기횟수가 1회~50회에 포함되면 그 재생구간의 가사 크기는 10로 조절하고, 51회~100회에 포함되면 그 재생구간의 가사 크기는 15로 조절하고, 101회~150회에 포함되면 그 재생구간의 가사 크기를 20으로 조절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가사 크기가 기본으로 1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도 4와 같이 주기 횟수가 1회~50회로 검출되는 ①번 구간은 가사 크기를 10으로 조절하고 주기 횟수가 101회~150로 검출되는 ③번 구간은 가사 크기를 20으로 조절하고 주기 횟수가 51회~100회로 검출되는 ②번 구간은 가사 크기를 15로 조절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기 횟수는 음의 높낮이와 연관되는데 주기 횟수가 1회~50회로 적게 검출되는 ①번 구간은 저음인 구간이고, 51회~100회로 검출되는 ②번 구간은 저음과 고음의 중간인 중간음인 구간이고, 101회~150로 검출되는 ③번 구간은 고음인 구간이다.
따라서, 저음인 ①번 구간은 가사 크기가 10이기 때문에 크기 조절없이 기본 크기의 가사(41)가 표시되고, 고음인 ③번 구간에서는 크기가 20으로 조절된 가사(42)가 표시되고, 중간음인 ②번 구간에서는 크기가 15로 조절된 가사(43)가 표시된다. 여기서, 조절되는 가사 크기는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즉, 현재 재생될 음원의 재생시간에서 수초 이전의 파형에 대해 임의의 시간단위로 주기 횟수를 검출하여 음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가사 크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음원이 재생될 1초 이전의 파형에 대해 0.5초 단위로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점에 화면에 표시될 가사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후,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에 동기시켜 크기가 조절된 가사를 화면에 표시한다(24).
예를 들면, 현재 오디오 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에 동기되어 화면에 표시될 가사를 음의 높낮이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기가 변화되는 가사를 보면서 좀더 음악에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악 재생시에 출력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작적인 재미를 제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음원 파형을 이용한 주기 횟수를 검출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의 높낮이에 대응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가사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기 횟수 검출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가사 크기가 변화되어 표시되는 도면.

Claims (9)

  1. 오디오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크기의 변화는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과 매칭되는 가사에 대해 그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높이는 소정시간 단위로 주기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기 횟수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높이를 고음, 중간음, 저음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가사 크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높이 구분은 주기 횟수를 소정 범위로 구분하여 그 범위에 포함되는 재생구간의 가사에 대해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높이에 따른 가사 크기 변화 여부를 결정하는 가사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 표시 방법.
  7. 오디오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시키는 디코더부와;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음원의 음높이에 따라 가사 크기를 조절하는 가사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음원의 재생시간과 매칭되는 가사를 크기 변화시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처리부는 오디오 음원의 파형에서 소정시간 단위로 검출되는 주기횟수를 이용하여 음높이에 따른 가사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되는 가사 출력 모드에 따라 가사 크기를 일정하게 또는 크기 변화시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 장치.
KR1020070130821A 2007-12-14 2007-12-14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20090063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21A KR20090063453A (ko) 2007-12-14 2007-12-14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21A KR20090063453A (ko) 2007-12-14 2007-12-14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53A true KR20090063453A (ko) 2009-06-18

Family

ID=4099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821A KR20090063453A (ko) 2007-12-14 2007-12-14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9383B2 (en) 2014-07-31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music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9383B2 (en) 2014-07-31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music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data analysis in an audio player
KR101275467B1 (ko)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18095B2 (ja) 電子装置を用いて複数のソングを自動的にビートミック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116383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퀄라이저 기능 자동 설정 방법및 장치
US20070166683A1 (en) Dynamic lyrics display for portable media devices
KR20040102194A (ko) 미디어 데이터 포맷을 위한 메타데이터 유형
KR20040044854A (ko) 가변 비트율 디지털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경과재생 타임키핑용 방법 및 장치
CN101188132A (zh) 数字音频播放器的均衡器功能自动设置方法及其设备
US200900742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262119B2 (en) Recording/transferring program, recording/transferring apparatus, and recording/transferring method
JP2014520352A (ja) エンハンスされたメディア記録およびプレイバック
CN103871439B (zh) 一种音频播放的方法、装置及系统
US20060030961A1 (en) Wireless streaming audio apparatus
CN103843064A (zh) 在特技模式中播放音频
JP2007080304A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楽曲再生方法
JP2008065904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KR20090063453A (ko) 가사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1082260B1 (ko)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캐릭터 표시방법
JP5098896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0775535B1 (ko) 선택이력에 기반한 임의 재생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WO2019051689A1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声音控制方法及声音控制装置
TWI717596B (zh) 音量控制方法及音量控制裝置
KR100775188B1 (ko)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3106789U (ja) 簡易型カラオケ装置
JP4312167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