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188B1 -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188B1
KR100775188B1 KR1020060068851A KR20060068851A KR100775188B1 KR 100775188 B1 KR100775188 B1 KR 100775188B1 KR 1020060068851 A KR1020060068851 A KR 1020060068851A KR 20060068851 A KR20060068851 A KR 20060068851A KR 100775188 B1 KR100775188 B1 KR 10077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key
music file
effec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수
송정민
이준엽
진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음을 음악 파일에 믹싱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은, 음악 파일 재생시에 어느 하나 이상의 키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가 입력되는 재생시점 정보와 키에 매칭된 효과음의 종류를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음악 파일 재생시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읽어와 해당 재생시점에 효과음을 믹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악파일, 믹싱

Description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method for mixing music fi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믹싱 기능이 적용된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음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믹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음을 설정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잉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립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음을 음악 파일에 믹싱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레이어(layer)3를 의 미하는 것으로 MPEG 기술의 오디오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MPEG은 MPEG1의 발표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증가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표준에 대한 새로운 필요성으로 인해 MPEG2를 발표하였고, 현재 객체 지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MPEG4까지 발표되었다. 처음 표준화된 MPEG1은 동영상과 오디오를 디지털 저장 장치에 최대 1.5Mbps로 압축, 저장하기 위한 코딩 기술로 모두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중 하나인 오디오 부분에는 3가지의 오디오 코딩 기법이 정의되어 있는데, 각각 레이어1, 레이어2, 레이어3 이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음악 압축 방법의 하나인 MP3 음악이 대중화됨에 따라 MP3 플레이어 및 MP3 음악에 관련된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MP3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MP3 파일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음 등을 믹싱하는 것과 같은 부가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악 파일에 다양한 효과음 등을 믹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를 제공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은, 음악 파일 재생시에 어느 하나 이상의 키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가 입력되는 재생시점 정보와 키에 매칭된 효과음의 종류를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음악 파일 재생시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읽어와 해당 재생시점에 효과음을 믹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과음은 스크래치(Scratch), 히트(Hit), 음성(Voice), 악기(Instrument), 루프(Loop), 스네어(Snare), 테크노 음악(Hihat)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믹싱 가능한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립트는 효과음 믹싱을 위한 효과음 발생위치, 효과음 종류, 파라미터를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큐잉(cueing)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과음은 어느 하나 이상의 키에 매칭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 단계는 음악 파일의 재생전에 효과음을 키에 매칭시키거나 재생되는 음악 파일을 중시시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과음의 볼륨 크기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음악 파일 재생시 임의의 시점에서 키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명령이 입력된 재생시점과 키에 매칭된 효과음의 종류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상기 재생되는 음악 파일과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악 파일 재생시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에 기록된 해당 재생시점에 매칭되는 효과음을 믹싱시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과; 상기 스크립트 정보의 적용 여부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 파일에 효과음의 믹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악 파일로 MP3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음악파일은 AAC, WMA 등의 음악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MP3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믹싱 기능이 적용된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P3 단말기의 동작을 조작하며 MP3 재생시 효과음이 적용되도록 키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11)와; MP3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와; MP3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MP3 파일을 저장하며, 믹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효과음과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와; MP3 파일로 압축된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며 임의의 시간에 적용된 효과음을 믹싱하여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14)과; 상기 효과음이 적용된 MP3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5)와; MP3 재생시 효과음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MP3와 대응되어 있는 스크립크 정보를 저장부에서 읽어와 다양한 효과음이 믹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11)는 재생하고자 하는 MP3 파일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 받고, 선택된 MP3 파일은 오디오 처리 수단(14)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14)은 압축된 MP3를 원래의 음원으로 복원(decoding)하며, 예를 들면 디코더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된 음원은 스피커 (15)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즉, 압축된 MP3 파일을 복원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되었거나,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압축된 MP3 파일이 재생될 때 키 입력부(11)는 임의의 시간에 효과음이 적용되도록 버튼 등이 눌러지는 조작과 같은 어느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도 2는 재생되는 MP3 파일의 파형을 나타내며 키를 입력받은 시점을 효과음 발생 위치(Action 1~n)로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효과음 발생 위치에 입력된 해당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Effect A~D)이 믹싱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3)는 믹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효과음을 저장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스크래치(Scratch), 히트(Hit), 음성(Voice), 다양한 악기(Instrument), 루프(Loop), 스네어(Snare) 드럼, 다양한 테크노 음악(Hiha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원들을 저장하며, 상기 효과음은 단말기의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출하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1)는 휠 네이게이션 등의 다양한 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 믹싱 기능을 더욱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MP3 파일의 재생시 스피커(15)를 통해 음악이 출력됨과 동시에 입력되는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 또한 스피커(15)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어떠한 효과음이 믹싱되는지 들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키가 입력된 효과음 발생 위치와 그 키에 매칭되어 설정된 효과 음은 스크립트 형식으로 생성되어 저장부(13)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는 효과음의 믹싱을 수행하기 위한 효과음의 발생 위치, 효과음의 종류 등을 소정의 배열로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MP3 원곡에 적용될 믹싱을 위한 위치와 효과음은 스크립트 정보로 저장되고, 스크립트 정보는 상기 MP3 원곡과 대응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효과음의 발생 위치는 MP3가 재생시 키가 입력되는 시점에서의 해당 재생시간 또는 해당 오디오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에 효과음을 매칭시켜 설정하는 방법과 스크립트의 저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6)는 MP3 파일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할 MP3 파일의 믹싱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믹싱이 적용되도록 선택되어 있으면 저장부(13)에 저장된 스크립트 정보를 읽어와 오디오 처리 수단(14)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14)은 MP3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스크립트 정보에 따라 효과음 발생 위치에 해당 효과음을 믹싱시켜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MP3 파일 재생시 키 입력부(11)를 통해 어느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그 키가 입력되는 MP3 재생시점에 적용하며, 상기 적용된 효과음은 MP3 파일 재생과 함께 소리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키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키가 입력된 MP3 재생 시점과 그 키에 매칭 되어 있는 효과음의 정보가 스크립트로 저장부(13)에 저장되고, 다시 MP3 파일 재생시 스크립트 적용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처리 수단(14)에서는 스크립트에 저장된 키 입력 시점과 그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재생되는 MP3에 믹싱시켜 효과음이 적용된 MP3가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효과음은 MP3 뿐만 아니라 AAC, WMA 등의 음악파일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DJ가 즉석에서 분위기에 맞게 음악에 스크래치 등의 효과음을 믹싱해 들려주는 듯한 디징(DJing) 기능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효과음을 적용함으로서 예를 들면, 발라드인 원곡 MP3 파일을 테크노 스타일 등의 리믹스된 새로운 MP3 파일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믹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11)를 통해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MP3 파일 중 재생하고자 하는 MP3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다(S11).
이때, 선택된 MP3 파일은 원래의 음원으로 복원(decoding)되어 스피커(15)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압축된 MP3 파일이 재생될 때 사용자는 효과음이 적용되기 원하는 시점에서 버튼 등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키를 입력한다(S12).
즉, 키 입력부(11)는 효과음이 적용되도록 버튼 등의 조작을 통해 가해지는 키를 입력받으며, 상기 키 입력부(11)는 각종 버튼, 터치패드, 휠 네이게이션 등의 다양한 키패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되는 MP3 파일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 조작을 통해 다양한 효과음을 믹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효과음으로 스크래치(Scratch), 히트(Hit), 음성(Voice), 다양한 악기(Instrument), 루프(Loop), 스네어(Snare) 드럼, 다양한 테크노 음악(Hiha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원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효과음은 단말기의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출하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음은 키 입력부(11)에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MP3 기능을 겸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키 입력부(11)를 구성하는 9개의 숫자 버튼에 상기 효과음 중 어느 하나를 매칭할 수 있다.
즉, 1번 버튼에 음성(예:O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음성)을 매칭시키고, 2번 버튼에 스네어 드럼 소리를 매칭시킨다. 또한 휠 네비게이션에 스크래치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MP3가 재생될 때 효과음이 매칭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가해지는 키를 입력받아, 그 키가 입력된 MP3의 재생시점에 해당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믹싱한다.
즉, MP3 재생시간의 10초 부분에 1번 버튼을 입력하면 "O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음성"이 믹싱되고, 12초 부분에 휠 네비게이션을 입력하면 스크래치 소리가 입력되며, 이와 같이 MP3 재생시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다양한 효과음을 믹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음을 설정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효과음을 설정하기 위한 키 버튼명(20,30,40)과,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음 선택 메뉴(21), 적용될 효과음의 볼륨(volume)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메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효과음 설정 화면의 구성은 변경 가능하며 키 입력부(11)에 포함된 방향키의 조작을 통해 스크롤바(23)를 이동시키면 나머지 키 버튼의 효과음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먼저, 방향키의 상/하 조절 버튼의 조작을 통해 KEY1(20)의 효과음 선택 메뉴(21)로 이동하고, 방향키의 좌/우 조절 버튼을 조작하면 스크래치(Scratch), 히트(Hit), 음성(Voice), 다양한 악기(Instrument), 루프(Loop), 스네어(Snare) 드럼, 다양한 테크노 음악(Hihat)등의 설정될 효과음의 이름이 변경되면서 표시된다.
이때 루프(LOOP)를 선택하여 확인 등의 버튼을 누르면 도 4(b)와 같이 루프(LOOP)효과음 중에서 세부 효과음을 설정할 수 있도록 1.LOOP[Club Mix](21-a), 2.LOOP[Hardcore](21-b), 3.LOOP[Euro Dance](21-c), 4.LOOP[Funky](21-d), 5.LOOP[Beatbox](21-e) 등의 다양한 세부 효과음이 메뉴로 표시되며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즉 1. LOOP[Club Mix](21-a)가 선택되었다고 하면 상기 KEY1(20)에 LOOP[Club Mix](21-a) 효과음이 매칭된다.
또한 믹싱될 효과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메뉴(22)로 이동하여 믹싱될 효과음의 크기, 즉 상기 매칭시킨 LOOP[Club Mix](21-a) 효과음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각 키와 매칭되도록 설정한 효과음과 효과음의 볼륨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KEY1(20)과 KEY2(30)에 동일한 효과음을 설정할 수 있으며 효과음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KEY1(20) 및 KEY2(30)에 음성(예:O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음성)이 크기가 다르게 설정되었다면 MP3 파일 재생시 1번 버튼을 누르면 "O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음성"의 크기가 최대로 믹싱되고, 2번 버튼을 누르면 "O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음성"이 그보다 작은 크기로 믹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키에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효과음과 효과음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음은 재생되는 MP3를 일시 중지하여 각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중지된 시점 이후에 재생되는 MP3에 상기 변경된 효과음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효과음은 믹싱하기 원하는 MP3의 재생전에 미리 설정하거나 MP3 재생시에 일시 중시시켜 효과음을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미 설정된 어느 하나 이상의 키의 효과음을 MP3 재생시에도 변경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효과음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 재생시 특정 위치를 기억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그 위치부터 다시 재생하도록 하는 큐잉(cueing)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윤정-어머나 의 경우 "어머나 어머나 이러지 마세요"라는 가사로 재생된다. 이때 큐잉 기능을 적용하면 어느 임의의 구간만을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어머나 나 나 나"와 같이 "나"를 반복해서 재생하도록 하거나 큐잉 기능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어머나 나 나 어머 어머 어머나 이러지 마세요 요 요 요" 와 같이 "나"와 "어머"와 "요"를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잉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시점(51)을 이용하여 재생되는 음원을 이동시키면서 큐잉을 적용할 특정 위치를 설정한다.
즉, 재생중인 음원을 일시 정지 시킨 후 "어머나"의 "나" 가 재생되는 부분을 찾기 위해 음원 파형을 좌/우로 이동시키고, 이동되는 위치에서 짧은 구간 MP3파일을 스피커(15)로 재생시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악 파일 재생시 효과음, 큐잉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기 원하는 시점에 키를 입력하고, 상기 키가 입력될 때 키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효과음을 믹싱시킴으로써, DJ가 즉석에서 분위기에 맞게 음악을 믹싱해 들려주는 듯한 디징(DJ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가 입력된 시점과 그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의 종류는 스크립트(script)로 생성하여 저장한다(S13).
즉, MP3 파일 재생시 어느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하면 그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이 재생되는 MP3에 믹싱되고, 상기 효과음이 믹싱되는 소리는 MP3 재생과 동시에 스피커(15)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MP3의 재생이 종료된 후 또는 임의의 시점에 저장 키를 누르면 상기 키가 입력된 시점과 그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의 정보가 스크립트로 저장되어 효과음 믹싱을 위한 정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크립트는 효과음의 믹싱을 수행하기 위한 효과음 발생 위치, 효과음의 종류 등을 소정의 배열로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즉, MP3 재생시 키가 입력된 시점과 해당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믹싱할 수 있도록 시간 또는 프레임 단위로 효과음 발생 위치를 지정하고 효과음의 종류마다 각각 고유번호를 지정하여 스크립트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6(a)와 같이 스크립트는 효과음의 발생위치(61), 효과음의 종류(62), 파라미터(6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열이며, 상기 배열의 구조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효과음의 발생 위치(61)는 MP3 파일의 재생시간 또는 프레임 단위로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효과음의 종류(62)는 각 효과음에 지정된 고유번호로 기록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63)는 큐잉 기능 등을 수행할 때 반복 재생을 위해 이동할 위치 또는 반복 횟수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6(b)와 같이 생성된 스크립트는 어떤 MP3에 적용되야 할지 설정하기 위해 스크립터 헤더(71)에 효과음을 적용할 MP3 원곡의 제목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목은 MP3 파일의 태그에 포함되어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 (Title) 등의 정보 또는 파일명이 저장될 수 있으며, 효과음이 기록된 스크립트와 MP3 원곡을 매칭시킬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가능하다.
또한 44.1kHz로 샘플링된 오디오 데이터의 1프레임은 26msec의 시간을 갖게되는데 키가 입력된 시점의 프레임과 그 키에 해당하는 효과음을 고유번호로 저장한다.
상기 효과음을 고유번호로 저장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MP3 파일 재생시에도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b)를 설명하면, "장윤정-어머나" MP3 파일에 적용할 스크립트이며, 2프레임(frame)에 효과음 1번(예:스크래치)을 믹싱, 5프레임에 효과 3번(예:큐잉)을 적용하고 2프레임으로 이동, 10프레임에 효과음 7번(예:스네어)을 믹싱 등의 키가 입력된 시점과 그 키에 해당하는 효과음이나 큐잉 기능을 배열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프레임 단위와 효과음의 고유번호로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 정보는 MP3 원곡과 매칭되어 저장되거나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별도의 파일로 저장시에는 예를 들면, 장윤정-어머나의 스크립트 파일의 교환을 통해 서로 다른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장윤정-어머나.MP3에 적용하면 효과음을 믹싱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가 적용되어 효과음이 믹싱된 MP3가 재생될 때 어느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하여 추가로 효과음을 믹싱할 수 있으며, 믹싱된 효과음을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는 편집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효과음이 믹싱되어 MP3가 재생될 때, 임의의 키를 누르면 그 키 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이 적용되고, 상기 키가 눌러진 효과음 발생 위치 등의 정보가 기존 스크립트 정보에 추가로 저장되어 새로운 스트립트 정보를 만들게 된다.
이후, 스크립트가 적용된 MP3를 재생하도록 하면 상기 MP3에 매칭되어 있는스크립트 정보에 기록된 효과음 발생 위치에 해당하는 MP3 재생시점에 효과음을 믹싱시켜 재생한다(S14).
즉, 제어부(16)에서는 재생시킬 MP3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부(13)에서 읽어와 MP3 파일에 효과음이 믹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 수단(14)에서는 상기 스크립트의 정보에 따라 MP3가 재생될 때 효과음의 발생 위치, 즉 효과음이 적용될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MP3의 해당 재생시간에 효과음이 믹싱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믹싱된 MP3는 스피커(15)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MP3 재생시 어느 하나 이상의 키 입력을 통해 해당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믹싱할 수 있어 단순히 MP3 파일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종래의 기능에서 벗어나 재미있는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할 효과음을 스크립트로 저장하기 때문에 MP3 원곡을 변경시키지 않아 저작권 문제에 저촉(抵觸)되지 않으며, 효과음을 적용하여 인코딩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MP3 원곡을 재생하면서 스크립트 정보에 따라 효과음을 믹싱하기 때문에 별도의 음원칩 등의 프로세서가 필요없으며, 믹싱된 MP3 파일을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모리의 용량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DJ가 즉석에서 분위기에 맞게 음악을 믹싱해 들려주는 듯한 디징 (DJing) 기능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악 파일을 리믹스된 음악 파일로 만들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재미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의하면, MP3 등과 같은 음악 파일에 효과음을 적용하여 믹싱할 수 있어 단순히 MP3 파일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종래의 기능에서 벗어나 재미있는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MP3 원곡을 재생하면서 스크립트 정보에 따라 효과음을 믹싱하기 때문에 별도의 음원칩 등의 프로세서가 필요없으며, 믹싱된 MP3 파일을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모리의 용량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운로드 받은 MP3 원곡의 변화없이 효과음 발생 위치와 상기 발생 위치에 적용할 효과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이용하여 MP3 원곡에 다양한 효과음을 믹싱함으로써 저작권 문제에 저촉(抵觸)되지 않는다.
또한 DJ가 즉석에서 분위기에 맞게 음악을 믹싱해 들려주는 듯한 디징 (DJing) 기능을 단말기를 통해 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음악 파일 재생시 어느 하나 이상 입력되는 키에 매칭되어 있는 효과음을 믹싱시키며, 다양한 음악 파일을 리믹스된 음악 파일로 만들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재미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음악 파일 재생시에 어느 하나 이상의 키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가 입력되는 재생시점 정보와 키에 매칭된 효과음의 종류를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음악 파일 재생시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읽어와 해당 재생시점에 효과음을 믹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음은 스크래치(Scratch), 히트(Hit), 음성(Voice), 악기(Instrument), 루프(Loop), 스네어(Snare), 테크노 음악(Hihat)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믹싱 가능한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는 효과음 믹싱을 위한 효과음 발생위치, 효과음 종류, 파라미터를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큐잉(cueing)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음은 어느 하나 이상의 키에 매칭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음악 파일의 재생전에 효과음을 키에 매칭시키거나 재생되는 음악 파일을 중지시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음의 볼륨 크기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8. 음악 파일 재생시 임의의 시점에서 키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명령이 입력된 재생시점과 키에 매칭된 효과음의 종류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상기 재생되는 음악 파일과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악 파일 재생시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정보에 기록된 해당 재생시점에 매칭되는 효과음을 믹싱시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과;
    상기 스크립트 정보의 적용 여부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 파일에 효과음의 믹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68851A 2006-07-24 2006-07-24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77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51A KR100775188B1 (ko) 2006-07-24 2006-07-24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51A KR100775188B1 (ko) 2006-07-24 2006-07-24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188B1 true KR100775188B1 (ko) 2007-11-12

Family

ID=3906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851A KR100775188B1 (ko) 2006-07-24 2006-07-24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0974A1 (en) * 2008-12-05 2011-10-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ime-based script trickplay sequences for automatically authoring cliplets from a media str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16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파일들을 편집하는 방법
KR20040084061A (ko) * 2003-03-26 200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연주 및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7317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에서 음악 파일 편집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060085863A (ko) * 2005-01-25 2006-07-28 (주)이한씨앤티 오디오파일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디오파일 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16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파일들을 편집하는 방법
KR20040084061A (ko) * 2003-03-26 200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연주 및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7317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에서 음악 파일 편집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060085863A (ko) * 2005-01-25 2006-07-28 (주)이한씨앤티 오디오파일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디오파일 편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0974A1 (en) * 2008-12-05 2011-10-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ime-based script trickplay sequences for automatically authoring cliplets from a media str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8095B2 (ja) 電子装置を用いて複数のソングを自動的にビートミック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A2233443C (en) Karaoke system and contents storage medium therefor
US11688377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KR20060116383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퀄라이저 기능 자동 설정 방법및 장치
KR201100401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40039266A (ko) 확장 미디어 레코딩 및 재생
JP4122936B2 (ja) ミキシング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230343315A1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JP4182590B2 (ja) 携帯カラオケシステム
WO2011087460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audio file, and a method and a device for playing at least one audio file
KR100775188B1 (ko) 음악 파일의 믹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0077960A (ja) 音響特性調整方法および再生装置ならびに記録媒体
WO2007060605A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items
JP3859200B2 (ja)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1035404A1 (en) An area setting and a play executing method for repeat-playing in a digital audio player
JP4107212B2 (ja) 楽曲再生装置
JP3213389U (ja) マルチサウンドトラックの即時編集に用いられる電子装置
JP3829513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
KR101464797B1 (ko) 객체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저작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이를 이용하는 오디오 저작 방법 및 오디오 재생 방법
KR20100068756A (ko) 식별정보에 의해 출력이 조절되는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5033826A (ja)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97330B2 (ja) 楽曲再生装置及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
KR100793023B1 (ko) 오디오 음원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38854A (ko) 악보와 가사가 함께 제공되는 음악 파일 형식 및 제공 방법
WO2019051689A1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声音控制方法及声音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