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342A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342A
KR20090063342A KR1020070130651A KR20070130651A KR20090063342A KR 20090063342 A KR20090063342 A KR 20090063342A KR 1020070130651 A KR1020070130651 A KR 1020070130651A KR 20070130651 A KR20070130651 A KR 20070130651A KR 20090063342 A KR20090063342 A KR 2009006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air
storage unit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723B1 (ko
Inventor
이동재
정경선
현기탁
황근배
신진혁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및 먼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관;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 및 먼지가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 유닛;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 및 상기 분배 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먼지의 일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된다.
먼지, 분ㄹl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는 먼지 분리 유닛과,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 핸들 및 상기 연결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먼지 분리 장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종래의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 유닛으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흡입되는 경우, 흡입된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 걸리게 되어 유로를 막으므로,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 걸리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을 분해한 상태에서 먼지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먼지 분리 유닛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미리 분리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집진 장치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먼지의 비움이 용이한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및 먼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관;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 및 먼지가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 유닛;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 및 상기 분배 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먼지의 일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에 의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먼지 분리 유닛으로 이동하기 전에 집진 장치로 유입되어 저장되므로, 큰 먼지가 먼지 분리 유닛으로 유입되어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 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에 휴지 등과 같은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 및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므로, 각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동시에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의 외부에 먼지 분리 유닛 및 분배 유닛이 구비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무게가 가벼워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1)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10)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장치(20)와, 상기 집진 장치(20)및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과 연통되며,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분배 유닛(30)과,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관(4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유동 안내관(40)은 도시되지 않은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분배 유닛(3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유입된 공기는 분지되어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이동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은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의 싸이클론부(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흡입부(120)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배 유닛(30)에는 상기 한 쌍의 흡입부(120)로 공기가 나뉘어 흐르록 하는 분지부(후술함)가 제공된다.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먼지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즉 먼지가 회전하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밀도가 비교적 큰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밀도가 비교적 작은 먼지 또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도가 작은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후술할 필터 부재에 밀도가 작은 먼지가 쌓이지 않게 되어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먼지 분리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공기 배출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합쳐진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20)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 및 상기 분배 유닛(30)으로부터 유입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는 청소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 및 분배 유닛(30)과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먼지 분리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단에는 한 쌍의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입부(120)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서 각각 발생되어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부에서 상기 각 싸이클론 유동이 만나게 된 다. 이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부(120) 측에서 발생된 싸이클론 유동 보다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 모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공간에서 단일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유동 세기가 커져 먼지 분리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된 먼지는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의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머리카락 등과 같은 먼지는 정전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입구측 또는 내부에 쉽게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 측에서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머리카락 등과 같은 먼지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에 붙지 않고, 상기 집진 장치(20)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116)이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공(116)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15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부재(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52)와, 상기 체결부(152)에서 연장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며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부(1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54)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홀(1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홀(156)을 거쳐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 장치(20)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2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는, 원통 형상의 외벽(211)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212)의 일측에는 상기 분배 유닛(30)에서 유입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212)의 타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2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부(212)와 상기 외벽(211)의 일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를 정의하고, 상기 구획부(212)와 상기 외벽(211)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30)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30)의 체적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의 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는 상기 분배 유닛(30)으로부터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홀(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는 상기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 공기 및 미세 먼지가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바이 패스 홀(224)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 홀(224)은 상기 먼지 유입홀(222)의 양측에 다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바이패스 홀(224)은 상기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유입된 큰 먼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공기는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 유입홀(22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입홀(222) 및 바이패스 홀(224)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외벽(211)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4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 및 제 2 먼지 저장부(230)의 상측을 동시에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4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먼지 유입홀(242)이 형성된다. 상기 먼지 유입홀(242)은 상기 먼지 배출부(130)와 연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 형성되는 먼지 유입홀(222)을 제 1 먼지 유입홀이라 하고, 상기 커버 부재(240)에 형성되는 먼지 유입홀(242)을 제 2 먼지 유입홀이라 한다.
한편, 상기 분배 유닛(30)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301)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301)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0)의 외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0)와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는 라운드 면(302)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1)의 라운드 면(302)에는 상기 분배 유닛(30)과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305)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통홀(305)은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 및 다수 개의 바이패스 홀(2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305)은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 및 다수 개의 바이패스 홀(224)과 동시에 연통된다.
즉, 상기 분배 유닛(30)의 먼지 및 공기는 상기 연통홀(305) 및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 먼지 중,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 미세 먼지 및 공기는 상기 다수 개의 바이패스 홀(224)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에 저장되고, 미세 먼지는 상기 바이패스 홀(224)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케이스(301)의 상면(303)에는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유입된 공기가 두 개의 유로로 분지되어 유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분지부(311, 312)가 형성된다. 상기 분지부(311, 312)는 제 1 분지부(311)와 상기 제 2 분지부(3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분지부(311, 312)는 상기 케이스(301)의 상면(303)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흡입부(120)와 각각 연통된다. 이와 달리 상기 한 쌍의 분지부(311, 312)는 상기 케이스(301)의 상면에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안내관(40)은 상기 분배 유닛(30)과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안내관(40)에는, 상기 분배 유닛(30)의 내부에 위치되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 안내관(41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배출 안내관(410)은 공기 및 먼지가 배출되는 배출구(412)가 포함된다. 상기 배출구(412)는 상기 분배 유닛(3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12)는 상기 분배 유닛(30)의 라운드 면(302)과 이격되며, 상기 라운드 면(302)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412)와 상기 라운드 면(302)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4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12)는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 및 상기 연통홀(305)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구(412)가 상기 라운드 면(302)에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배출 안내관(410) 내부를 유동하는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통홀(305) 및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12)의 외주에는 상기 배출구(4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연통홀(305)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41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414)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배출구(41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가이드 리브(414)는 상기 배출구(412)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414) 중 일부는 상기 케이스(301)의 라운드 면(302)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리브(414)에 의해서 상기 배출구(4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연통홀(305)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휴지 등과 같은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414)는 상기 배출구(302를 통하여 배출되는 휴지 등과 같은 먼지가 상기 제 1 먼지 유입홀(20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414)에 의해서 상기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통로(416)를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안내관(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홀(415)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안내관(410) 내부의 공기 및 미세 먼지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 홀(415)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유동 안내관(4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안내관(40)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배출 안내관(410)을 따라 유동하고, 상기 배출구(412)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출 안내관(410)의 일부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바이패 스 홀(415)을 통하여 상기 배출 안내관(410)에서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12)를 통하여 배출되는 먼지 및 공기의 일부는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통홀(305) 및 제 1 먼지 유입홀(222)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0)로 유입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이하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0)에 저장되고, 미세 먼지(이하 도 5에서 1점 쇄선으로 표시) 및 공기(이하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는 상기 바이패스 홀(224)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412)를 통하여 배출되는 미세 먼지 및 일부 공기는 상기 통로(416)를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3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 유닛(30)으로 배출된 미세 먼지 및 공기는 분지되어 상기 한 쌍의 분지부(311, 31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분지부(311, 31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한 쌍의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모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기 먼지 배출부(130)로 배출되고, 배출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2 먼지 유입홀(242)을 통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30)로 유 입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150)의 홀(156)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40)를 따라 이동하여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집진 장치의 제 1 먼지 저장부(220)에 저장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큰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지 등과 같은 먼지가 기 집진 장치(20)에 저장됨에 따라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30)에 저장된 먼지의 비움시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7)

  1. 공기 및 먼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관;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 및 먼지가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 유닛;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 및
    상기 분배 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유동 안내관을 따라 안내되는 먼지의 일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에는 복수 개의 분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분지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흡입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부는, 상기 분배 유닛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먼지 및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 안내관이 포함되 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에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먼지 분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안내관은 배출구가 포함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통홀과 이격되는 먼지 분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먼지가 상기 연통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는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는 먼지 유입홀과,
    상기 먼지 유입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분배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홀이 포함되는 먼지 분리 장치.
KR1020070130651A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51A KR101411723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51A KR101411723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42A true KR20090063342A (ko) 2009-06-18
KR101411723B1 KR101411723B1 (ko) 2014-06-25

Family

ID=409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51A KR101411723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82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216B1 (ko) * 2001-10-0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82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723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7413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пыли в пылесосе
KR100594584B1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07441B1 (ko) 그릴부재, 이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 청소기
KR10083336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5333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1691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16910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6158072B2 (ja) 電気掃除機
KR10106596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20090063342A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5392393B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を備えた電気掃除機
RU24126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пыли в пылесосе
KR100859033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5831518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5831519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106598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70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100010162A (ko) 진공청소기
KR10080977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09776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5472417B1 (ja) 遠心分離装置
KR10141180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12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2004215760A (ja) 電気掃除機
JP5821980B2 (ja) 遠心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