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05B1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05B1
KR101411705B1 KR1020070117693A KR20070117693A KR101411705B1 KR 101411705 B1 KR101411705 B1 KR 101411705B1 KR 1020070117693 A KR1020070117693 A KR 1020070117693A KR 20070117693 A KR20070117693 A KR 20070117693A KR 101411705 B1 KR101411705 B1 KR 10141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pace
air
separat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347A (ko
Inventor
신효철
황만태
양해석
김영호
정회길
지헌평
고무현
서진욱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05B1/ko
Priority to PCT/KR2008/001458 priority patent/WO2008114968A1/en
Priority to EP08723495.1A priority patent/EP2131712B1/en
Priority to CN2008800139407A priority patent/CN101668465B/zh
Priority to AU2008227382A priority patent/AU2008227382B2/en
Publication of KR2009005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347A/ko
Priority to US12/537,697 priority patent/US83165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제 1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및 상기 제 1 공간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며, 복수 개의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2 공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지, 분리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Dust separating apparatus}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는 먼지 분리 유닛과,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 핸들 및 상기 연결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먼지 분리 장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종래의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 유닛으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흡입되는 경우, 흡입된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 걸리게 되어 유로를 막으므로,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 걸리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을 분해한 상태에서 먼지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먼지 분리 유닛으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며, 분리된 먼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분지부;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지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2 공간에 저장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와, 상기 집진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가지는 집진 장치; 및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흡입부를 가지는 먼지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로 공급할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배출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어 저장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먼지 분리 유닛으로 이동하기 전에 집진 장치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되므로, 큰 먼지가 먼지 분리 유닛으 로 유입되어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집진 장치에 저장되므로, 집진 장치에서 분리된 큰 먼지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 유닛의 내부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므로,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부가 먼지 분리 유닛의 양측에 형성되고, 먼지 배출부가 먼지 분리 유닛의 중앙부에 형성됨에 따라, 먼지 분리 유닛의 중앙부에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어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1)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10)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장치(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은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의 싸이클론부(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흡입부(120)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에는 상기 한 쌍의 흡입부(120)로 공기가 나뉘어 흐르록 하는 분지부(160)가 제공된다. 상기 분지부(16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중앙부로 이동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먼지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즉 먼지가 회전하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밀도가 비교적 큰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밀도가 비교적 작은 먼지 또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도가 작은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후술할 필터 부재에 밀도가 작은 먼지가 쌓이지 않게 되어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먼지 분리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공기 배출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합쳐진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20)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는 청소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과 연통된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단에는 한 쌍의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입부(120)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입부(120)에는 분지부(160)가 연결된다. 상기 분지부(160)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싸이클론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지부(160)가 상기 싸이클론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6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62)와, 상기 유입부(16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한 쌍의 분지유로(164, 1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162)는 상기 집진 장치(20)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162)를 통하여 상기 분지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각 분지 유로(164, 166)로 나뉘어 유동하며, 상기 각 분지 유로(164, 166)와 연통된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서 각각 발생되어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부에서 상기 각 싸이클론 유동이 만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부(120) 측에서 발생된 싸이클론 유동 보다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 모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공간에서 단일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유동 세기가 커져 먼지 분리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된 먼지는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의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머리카락 등과 같은 먼지는 정전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입구측 또는 내부에 쉽게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 측에서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머리카락 등과 같은 먼지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에 붙지 않고, 상기 집진 장치(20)로 원활히 배 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 커지는 확관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상기 확관부(112)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 확관부(11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에서 발생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확관부(112)에서 용이하게 모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112)에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히 모이게 되는 경우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먼지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116)이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공(116)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15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부재(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52)와, 상기 체결부(152)에서 연장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며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부(1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54)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통공(1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통공(156)을 거쳐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 장치(20)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는, 원통 형상의 제 1 벽(211)과, 상기 제 1 벽(211)의 일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벽(212)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면을 이루는 저벽(21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벽(21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벽(212)의 반경은 상기 제 1 벽(211)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210)는 원통 형상의 제 1 벽(211)과 제 2 벽(212)의 일부가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바디(210)는, 상기 제 1 벽(2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공간(A)과, 상기 제 1 벽(211) 및 제 2 벽(212)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공간(B)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A)의 하측은 제 1 먼지 저장부(222)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B)은 제 2 먼지 저장부(224)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4)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211)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에는 공기에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 가이드(27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214)를 통하여 상기 제 1 벽(2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제 1 벽(211)의 내부에서 상기 분리 가이드(270) 에 의해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다. 즉, 상기 흡입구(21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공기와 먼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호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벽(211)의 상측 부는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챔버(221)를 정의한다. 즉, 상기 제 1 공간(A)의 상측은 먼지 분리 챔버(221)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공간(A)의 하측은 제 1 먼지 저장부(222)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먼지 분리 챔버(221)와 제 1 먼지 저장부(2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공간(A)을 기능적으로 나눈 것이며, 상기 먼지 분리 챔버(221)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의 구조적인 경계는 정해지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A)에 많은 양의 먼지가 쌓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는 상기 제 1 공간(A) 전체에 해당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챔버(221)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에 저장되고, 공기는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분리 가이드(270)는 상기 커버 부재(250)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50)가 상기 집진 바디(210)에 결합되면, 상기 분리 가이드(270)는 상기 제 1 벽(21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분리 가이드(27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및 하면에 개구부(272, 27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내부에는 배출 유로(27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 부재(250)에 형성된 배출부(252)를 통하여 상기 분지부(160)로 이동된다. 즉, 상기 분지부(160)의 유입부(162)는 상기 배출부(252)과 연통된다.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저벽(213)과 일정 간격(G)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하측에는 공기가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관통홀(2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의 공기는 상기 분리 가이드(270)와 상기 저벽(213)의 간격부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273)를 통하여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22)의 공기는 상기 관통홀(274)을 통하여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5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4)에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24)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23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 부재(230)는, 중공의 회전축(232)과, 상기 회전축(232)에서 연장되는 가압판(234)이 포함된다. 상기 저벽(213)에는 상기 회전축(232)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축(215)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2)의 일부는 상기 고정축(215)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232)에는 상기 회전축(23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종동 기 어(240)가 결합된다. 상기 종동 기어(24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232)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240)와 상기 회전축(2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 기어(240) 및 회전축(232)에 체결 부재(236)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240)는 구동 기어(242)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어(242)는 압축 모터(244)의 축과 결합된다. 상기 구동 기어(242) 및 압축 모터(244)는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240)와 상기 구동 기어(242)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244)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244)와 결합된 구동 기어(242)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242)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 기어(242)와 맞물린 종동 기어(240)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종동 기어(240)와 결합된 상기 가압 부재(230)가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244)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230)는 양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먼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제 1 벽(211) 내부의 먼지 분리 챔버(221)로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22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하측으로 이동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관통홀(274) 및 개구부(273)를 통하여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된다.
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 가이드(270)에 감기거나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하측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배출부(252)를 통하여 상기 분지부(16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60)로 이동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각 분지 유로(164, 166)로 나뉘어 진 후에 상기 각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미세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 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중앙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기 먼지 배출부(13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부(130)로 배출된 먼지는 상기 먼지 유입부(25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의 제 2 먼지 저장부(224)로 유입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150)의 통공(156)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각 공기 배출부(140)를 따라 이동하여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진 장치(20) 내에서 공기에서 휴지 등과 같 은 큰 이물이 먼저 분리되도록 하며,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20)의 제 1 먼지 저장부(2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재차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 후에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20)의 제 2 먼지 저장부(224)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진 장치에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일차적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큰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으로 큰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 유닛(10)에서 큰 먼지가 공기 유로를 막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20)에 저장되므로, 저장된 큰 먼지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1 벽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1 벽(211)에는 흡입구(214)가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211)에는 상기 제 1 벽(211)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이드부(21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216)는 상기 흡입구(214)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14)를 통하여 상기 제 1 벽(2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216)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분리 가이드(270)에 부딪히게 된다.
그리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분리 가이드(270)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공기에서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분리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분리 가이드(270)의 외측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배출 유로(275)로 유입된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분리 가이드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분리 가이드(280)의 하측에는 다수 개의 걸림 리브(28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리브(284)는 상기 분리 가이드(280)의 하측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리브(284)의 하측 단부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벽(213)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되는 걸림 리브(284)에 의해서 상기 각 걸림 리브(284) 사이에는 제 1 먼지 저장부(222)의 공기가 상기 분리 가이드(28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28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 가이드(280)의 하측에는 상기 분리 가이드(28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유입홀(287)이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분리 가이드(280)는 저면이 상기 저벽(213)과 밀착되 고, 상기 분리 가이드(280)의 하측에는 유입홀(286)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86)에 의해서 상기 걸림 리브(284)가 정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분지부 및 집진 장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집진 장치(30)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310)와, 상기 집진 바디(3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 부재(350)와, 상기 집진 바디(310)의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C)과 제 2 공간(D)으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구획부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집진 바디(310)에 형성되는 제 1 구획부(312) 및 제 2 구획부(313)와, 상기 커버 부재(350)에 형성되는 제 3 구획부(35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는 상기 집진 바디(310)의 내주면에서 상기 집진 바디(310)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는 일직선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의 사이 공간에는 후술할 가압 부재의 회전축이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구획부(352)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50)가 상기 집진 바디(310)에 결합되면, 상기 제 3 구획부(352)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부(312, 313)의 상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간(C)은 제 1 먼지 분리부(322)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 공간(D)은 제 2 먼지 분리부(324)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310)에는 흡입구(314)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314)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에는 상기 흡입구(314)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에서 휴지 등과 같은 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 가이드(370)가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분리 가이드(370)는 상기 커버 부재(350)에 결합된다. 상기 분리 가이드(370)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개구부(3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 가이드(370)의 측벽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7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350)에는 상기 분리 가이드(37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36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유동 가이드(360)는 상기 커버 부재(35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저면 가이드(361)와, 상기 저면 가이드(361)와 상기 커버 부재(350)를 연결하는 측면 가이드(362)가 포함 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 가이드(361)는 상기 구획부(35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262)는 상기 커버 부재(35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 가이드(3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360)가 상기 커버 부재(350)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부재(350)의 저면, 상기 유동 가이드(360) 및 상기 제 3 구획부(352)에 의해서 공기 유로(3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 가이드(361)에는 상기 분리 가이드(37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355)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통홀(3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64)의 주위에 상기 분리 가이드(37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350)에는 상기 공기 유로(355) 상의 공기가 제 1 실시예의 싸이클론부(110)의 각 흡입부(120)로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한 쌍의 배출부(353, 354)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집진 장치(30)에 분지부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배출부(353, 354)는 분지 유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50)에는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35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30)에는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3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부재(33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 및 제 2 먼지 저장 부(324)에 저장된 먼지를 동시에 압축시킨다.
상세히, 상기 가압 부재(330)는, 회전축(332)과,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 1 가압판(334)과,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326)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 2 가압판(33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판(334) 및 제 2 가압판(336)은 상기 회전축(332)과 일체로 형성되며, 일직선을 이룬다. 즉, 상기 제 1 가압판(334)과 제 2 가압판(336)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판(336)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가압판(334)의 상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310)의 저벽(311)에는 고정축(315)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32)의 일부가 상기 고정축(315)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332)에는 상기 회전축(33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종동 기어(340)가 결합된다. 상기 종동 기어(340)는 상기 집진 바디(31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332)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40)와 상기 회전축(3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 기어(340) 및 회전축(332)에 체결 부재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40)는 제 1 실시예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 및 압축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기 가압 부재의 회전 방식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가압 부재(330)에 의해서 상기 각 먼지 저장부(322. 324)에 저장된 먼지를 동시에 압축시킬 수 있으므로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먼저, 상기 흡입구(314)를 통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로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에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분리 가이드(370)의 개구부(371) 및 유입홀(372)을 통하여 상기 분리 가이드(370)의 내부로 이동된다. 반면, 휴지 등과 같은 큰 먼지는 공기에서 분리되어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 가이드(370)로 유입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공기 유로(355)로 유입된 후에 상기 각 배출부(353, 354)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부(353, 354)를 통과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각 흡입부(120)를 따라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된 공기 및 미세 먼지는 상기 싸이클론부(110)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상호 분리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4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이동되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 및 먼지 유입부(356) 통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324)로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 분리가 이루어지는 중에 상기 가압 부재(330)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가압판(334)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322)의 먼지를 압축시키고, 상기 제 2 가압판(336)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324)의 먼지를 압축시킨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1)

  1.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분지부;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지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복수의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2 공간에 저장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바디는, 상기 제 1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제 1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 가이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드의 하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드의 저면은 상기 제 1 공간의 저면에 접촉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에는 상기 각 흡입부로 공기가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분지 유로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는, 상기 먼지 유입부 측으로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먼지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 배출부는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서 상기 먼지 유입부와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8.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와, 상기 집진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가지는 집진 장치; 및
    상기 집진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흡입부를 가지는 먼지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로 공급할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와,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배출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에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의 내부에는 흡입된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가이드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저장된 먼지를 동시에 압축시키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 1 공간에 위치되는 제 1 가압판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 2 공간에 위치되는 제 2 가압판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20070117693A 2007-03-16 2007-11-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693A KR101411705B1 (ko) 2007-11-19 2007-11-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CT/KR2008/001458 WO2008114968A1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EP08723495.1A EP2131712B1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CN2008800139407A CN101668465B (zh) 2007-03-16 2008-03-14 真空吸尘器及其灰尘分离设备
AU2008227382A AU2008227382B2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US12/537,697 US8316507B2 (en) 2007-03-16 2009-08-07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693A KR101411705B1 (ko) 2007-11-19 2007-11-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347A KR20090051347A (ko) 2009-05-22
KR101411705B1 true KR101411705B1 (ko) 2014-07-02

Family

ID=4085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693A KR101411705B1 (ko) 2007-03-16 2007-11-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528A1 (ko) * 2020-12-09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24B1 (ko) * 2018-03-28 202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989A (ko) * 2004-10-29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23916B1 (ko) 2005-07-12 2006-09-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먼지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989A (ko) * 2004-10-29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23916B1 (ko) 2005-07-12 2006-09-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먼지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528A1 (ko) * 2020-12-09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347A (ko)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9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0623916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1148125B1 (ko) 사이클론 청소기
JP3699679B2 (ja) 電気掃除機
KR101250077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EP1714602B1 (en) Cyclone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128770B2 (en) Cyclone dust-collector
KR10063566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485695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07441B1 (ko) 그릴부재, 이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 청소기
US20050172586A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JP2004321777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6003798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EP2170144A1 (en)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2006110320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JP4809200B2 (ja) 真空掃除機
JP4169735B2 (ja) 電気掃除機
KR10141117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70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KR10054537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1411723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044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80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