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687A - 벌크 화물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화물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687A
KR20090062687A KR1020070130080A KR20070130080A KR20090062687A KR 20090062687 A KR20090062687 A KR 20090062687A KR 1020070130080 A KR1020070130080 A KR 1020070130080A KR 20070130080 A KR20070130080 A KR 20070130080A KR 20090062687 A KR20090062687 A KR 2009006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boom
vertical post
unit
elev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완
송인창
문성식
김태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687A/ko
Publication of KR2009006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로 안내하는 경사진 디스챠지 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벌크 화물층의 성장을 방지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높이 변화 및 그에 따른 붐 컨베이어 장치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벌크 화물을 외부 누출 없이 완전하게 하역할 수 있는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포스트;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하는 다수의 버켓; 수직 포스트에 장착되며, 하강하는 버켓에서 쏟아진 화물이 얹혀진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 및 턴 테이블에 형성된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유니트; 및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수직 포스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붐 구조물, 붐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이송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붐 컨베이어 장치, 붐 컨베이어 장치와 연결된 연결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붐 구조물의 제 1 종단부가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파일런 구조물을 포함하는 크레인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유니트는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연장된 2개의 연장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은 붐 구조물의 제 2 종단부에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보조 컨베이어 장치는 연장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 브라켓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풀리 및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며, 보조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와 붐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는 단일의 벨트가 감겨져 있 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와 붐 컨베이어 장치는 동일한 속도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벌크 화물, 하역 장치

Description

벌크 화물 하역 장치{Apparatus for unloading bulk cargo}
본 발명은 벌크 화물 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입자가 배출구 인접 영역에 적체되지 않으며 화물의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화물의 누출 없이 운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벌크 화물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적재된 석탄, 철광석 등과 같은 벌크 화물은 항만에 설치된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통하여 하역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벌크 화물 하역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좌측부는 벌크 화물이 적재된 선박(S)을 도시하며, 우측부는 항구의 도크(dock)에 설치된 벌크 화물 하역 장치(1)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벌크 화물 하역 장치(1)는 선박(S) 내에 적재된 벌크 화물(B; 이하, 편의상 "화물"이라 칭함)을 선박 외부로 이송시키는 엘리베이터 유니트(10) 및 엘리베이터 유니트(10)에 의하여 이송된 화물을 하역 위치(또는 도크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니트(20)를 포함한다.
선박(S)의 홀더 내에 적재된 화물(B)을 하역함으로써 높이가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물(B)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유니트(10)는 화물의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항상 수직을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유니트(10)의 수직 포스트(11)에 장착된 프레임(11-1)과 크레인 유니트(20)의 붐 구조물(21)은 사절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붐 구조물(21)의 작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유니트(10)는 상, 하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유니트(10)는 선박(S)의 홀드(hold) 내에 위치하는 수직 포스트(11),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수직 포스트(11)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하는 다수의 버켓(도시되지 않음; bucket) 및 수직 포스트(11)에 장착되어 수직 포스트(1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선박(S)의 홀더 내에 적재된 화물(B)은 버켓에 담겨진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11)를 따라 이송되며, 이후 턴 테이블 상에 하역된다. 이후, 턴 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화물은 배출구를 통하여 크레인 유니트(20)의 붐 구조물(21) 내에 설치된 붐 컨베이어 장치(21-1)로 이송된다.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로서, 엘리베이터 유니트(10)의 수직 포스트(11), 버켓(12) 및 턴 테이블(13) 그리고 붐 구조물(21) 내에 설치된 붐 컨베이어 장치(21-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유니트(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켓(12)은 수직 포스트(11)에 설치된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선박(S)의 홀더에 적재된 화물(B)은 버켓(12)에 담겨진 상태로 수직 포스트(11)의 상부로 이송된다.
수직 포스트(11)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버켓(12)은 뒤집힌 상태가 되며, 따라서 버켓(12)에 담겨진 화물(B)은 수직 포스트(11)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링 형의 턴 테이블(13) 상으로 낙하한다. 이후, 빈 버켓(12)은 선박(S)의 홀더로 다시 이동하여 위의 동작을 반복한다.
턴 테이블(13)은 수직 포스트(1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외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형(ring shaped) 가이드 프레임(14) 내에서 회전하며, 가이드 프레임(14)의 일 부분에는 개방부인 배출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1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프레임(14)에 고정되어 턴 테이블(13) 상에 위치한 스크레이퍼(scraper; 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한다.
도 2b는 도 2a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위에서 설명한 턴 테이블(13), 가이드 프레임(14), 배출구(14-1) 및 스크레이퍼(14-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턴 테이블(13)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화물(B)이 스크레이퍼(14-2)와 접촉하면, 화물(B)은 스크레이퍼(14-2)에 의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배출구(14-1)를 통하여 붐 컨베이어(21-1)로 낙하한다.
한편, 붐 구조물(21)은 제 1 종단부가 엘리베이터 유니트(10)의 수직 포스트(11)에 장착된 프레임(11-1)에 대응(사절 링크로 연결)되고, 제 2 종단부는 파일런 구조물(22)과 힌지 연결되어 파일런 구조물(22)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 하 회전 운동하며 엘리베이터 유니트(10) 전체의 높이를 변화시킨다.
파일런 구조물(22) 내에는 붐 컨베이어 장치(21)와 겐트리 컨베이어 장 치(23)를 연결하는 수직의 연결 통로(22-1)가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턴 테이블(13) 상에 적재된 화물(B)이 배출구(1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화물(B)은 붐 구조물(21) 내의 붐 컨베이어 장치(21-1) 상으로 낙하하며, 이후, 화물(B)은 연결 통로(22-1) 및 겐트리 컨베이어(23)를 통하여 도크 컨베이어 장치(30)로 이송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유니트(10)의 배출구(14-1)와 붐 구조물(21) 내의 붐 컨베이어 장치(21-1) 사이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프레임(11-1)에 고정된 디스챠지 슈트(15)가 위치하며, 따라서 배출구(14-1)에서 배출된 화물(B)은 디스챠지 슈트(15)를 따라서 붐 컨베이어 장치(21-1) 상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화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디스챠지 슈트(15)의 표면 상에는 화물(B)의 미세 분말이 쌓이게 되며, 특히 계속적으로 낙하하는 화물(B)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싸여 있는 화물이 다져진 상태로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물층(B-1)은 디스챠지 슈트(15)의 표면을 따라서 턴 테이블(13) 하부까지 성장한다.
여기서, 배출구(14-1)를 제외한, 링형 가이드 프레임(14) 하단부 전체 외주면에 걸쳐 링형 클리너 챔버(16)가 고정되어 있어 링형 가이드 프레임(14)과 턴 테이블(13)과의 사이에서 비산된 화물을 저장하게 된다. 클리너 챔버(16) 내부에서 턴 테이블(13)의 가장자리 하단면에 장착된 로터리 클리너(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며, 따라서 클리너 챔버(16) 내에 쌓인 화물은 디스챠지 슈트(15)로 이송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챠지 슈트(15) 표면으로부터 턴 테이블(13) 저면까지 성장한 화물층(B-1)도 로터리 크리너에 의하여 강제로 분리된 후 클리너 챔버(16) 내로 유입되며, 따라서 클리너 챔버(16) 내에 화물이 과도하게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리너 챔버(16) 내에 과도한 양의 화물(B)이 채워지면, 턴 테이블(1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7)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턴 테이블(13)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붐 컨베이어 장치(21)로의 화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화물 하역 장치의 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클리너 챔버 (16)내의 화물을 제거하고 또한 디스챠지 슈트(15)에 형성된 화물층(B-1)을 제거할 수 밖에 없어 화물 하역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챠지 슈트(15)를 설치하지 않은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선박(S)에 적재된 화물(B)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변화하는 엘리베이터 유니트(10)의 높이, 즉, 배출구(14-1)와 붐 컨베이어 장치(21-1)의 위치 관계 즉, 높이차이를 고려할 때 적절한 방안으로 간주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벌크 화물 하역 장치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크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로 안내하는 경사진 디스챠지 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벌크 화물층의 성장을 방지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높이 변화 및 그에 따른 붐 컨베이어 장치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벌크 화물을 외부 누출 없이 완전하게 하역할 수 있는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포스트;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하는 다수의 버켓; 수직 포스트에 장착되며, 하강하는 버켓에서 쏟아진 화물이 얹혀진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 및 턴 테이블에 형성된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유니트; 및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수직 포스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붐 구조물, 붐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이송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붐 컨베이어 장치, 붐 컨베이어 장치와 연결된 연결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붐 구조물의 제 1 종단부가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파일런 구조물을 포함하는 크레인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유니트는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연장된 2개의 연장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은 붐 구조물의 제 2 종단부에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보조 컨베이어 장치는 연장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 브라켓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풀리 및 아이들 롤러를 포함한다.
한편, 보조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와 붐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는 단일의 벨트가 감겨져 있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와 붐 컨베이어 장치는 동일한 속도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에서는 턴 테이블의 배출구에 경사진 디스챠지 슈트를 설치하지 않고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벌크 화물이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턴 테이블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높이 변화 및 그에 따른 붐 컨베이어 장치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벌크 화물을 외부 누출 없이 완전하게 하역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는 선박 내에 적재된 벌크 화물(B; 이하, 편의상 "화물"이라 칭함)을 이송하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 및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에 의하여 이송된 화물(B)을 하역 위치(또는 도크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니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구성하는 크레인 유니트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유니트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도 3에서 는 편의상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일부 및 크레인 유니트의 붐 구조물 내에 설 치된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엘리베이터 유니트(200)는 선박(도 1의 S)의 홀드 내에 위치하는 수직 포스트(210),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수직 포스트(210)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하는 다수의 버켓(220) 및 수직 포스트(210)에 장착되어 수직 포스트(2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230)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유니트(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켓(220)은 수직 포스트(210)에 설치된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체인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한다.
선박의 홀더에 적재된 화물은 버켓(220)에 담겨진 상태로 수직 포스트(210)의 상부로 이송된다. 상사점을 통과한 버켓(220)은 뒤집어진 상태가 되며, 따라서 버켓(220)에 담겨진 화물(B)은 수직 포스트(2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턴 테이블(230) 상으로 낙하한다. 이후, 빈 버켓(220)은 선박의 홀더로 다시 이동하여 위의 동작을 반복한다.
턴 테이블(230)은 수직 포스트(2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외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형 가이드 프레임(24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부(250)에 의하여 회전한다. 가이드 프레임(240)의 일 부분에는 개방부인 배출구(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2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프레임(240)에 고정되어 턴 테이블(230) 상에 위치한 스크레이퍼(도시되지 않으나, 도 2b의 14-2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짐)가 위치한다.
회전하는 턴 테이블(230) 상에 적재된 화물(B-1)이 스크레이퍼와 접촉하면, 화물(B-1)은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배출구(241)를 통하여 후술할 붐 컨베이어 장치(300) 상으로 낙하한다(낙하하는 화물은 "B-2"로 도시됨).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에는 프레임(210-1; 도면의 편의상 점선으로 도시하였음)이 설치된다. 프레임(210-1)은 일측에서 전방, 즉 크레인 유니트를 향하여 연장된 2개의 연장 프레임(210-2; 도 3에서는 단일의 연장 프레임만이 도시됨)을 포함하며, 이 연장 프레임(210-2)은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프레임(210-1)의 연장 프레임(210-2) 사이에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가 설치되며, 이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는 가이드 프레임(240)에 형성된 배출구(241)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배출구(241)를 통하여 배출된 화물(B-2)은 먼저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 상으로 낙하한다.
여기서,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는 프레임(210-1)의 연장 프레임(210-2)에 고정된 브라켓트(283), 브라켓트(28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종동 풀리(281) 및 브라켓트(28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V)를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282)를 포함한다.
한편,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의 하부에는 크레인 유니트의 붐 구조물 내에 설치된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종동 풀리(301; 또 다른 종동 풀리는 파일런 구조물의 연결 통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됨)가 위치한다. 즉,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종동 풀리(301)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에 설치된 프레임(210-1)의 연장 프레임(210-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에 의하여 이송된 화물(B-2)은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로 이송된다. 이후, 화물은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에 의하여 이송된 후, 파일런 구조물에 형성된 연결 통로 및 겐트리 컨베이어를 통하여 도크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된다 (도 2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배출구(241)와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 사이에 보조 컨베이어 장치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구(241)에서 배출된 모든 화물(B-2)은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를 통하여 붐 컨베이어 장치(300)로 이송되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에는 특정 부재에 화물(B-2)이 쌓여 층을 형성하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의 벨트와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벨트는 단일의 벨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의 모든 종동 풀리(281)와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종동 풀리(301)에는 단일의 벨트(V)가 감겨 있으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와 붐 컨베이어 장치(300)는 동일한 속도로 화물을 이송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와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 중 어느 한 위치에서 화물이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하 지 않는다.
한편, 미설명 부호 "260"은 배출구(241-1)를 제외한, 가이드 프레임(240) 하단부 전체 외주면에 걸쳐 형성된 클리너 챔버이다. 이 클리너 챔버(260)는 링형 가이드 프레임(240)과 턴 테이블(230)과의 사이에서 비산된 화물을 저장하게 된다. 클리너 챔버(260) 내부에서 턴 테이블(230)의 가장자리 하단면에 장착된 로터리 클리너(260-1)가 회전하며 클리너 챔버(260)내에 쌓이는 화물은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로 이송된다.
도 4는 도 3의 대응 도면으로서, 화물의 높이 변화에 따른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도 편의상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구성 부재인 프레임(210-1)을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단일의 연장 프레임(210-2)만을 도시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물의 하역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선박의 홀드 내의 화물 높이가 변화(도 1 참조)되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의 높이 역시 조절된 상태에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의 높이 변화에 맞추어 크레인 유니트의 붐 구조물이 회전함으로써 붐 컨베이어 장치(300)는 파일런 구조물(도 1의 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도,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제 1 종단부(즉, 종동 풀리(301))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의 하부, 즉,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프레임(201-1)의 연장 프레임과 붐 구조물(붐 컨베이어 장치(310))이 연결되는 힌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 치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에 장착된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의 높이 변화에 따른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회전에 의한 위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화물의 하역 작업 초기, 즉, 선박의 홀드 내에서의 화물의 높이가 최대일 때,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 역시 최대 높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제 1 종단부(종동 풀리(301)로서,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와 붐 구조물의 연결 힌지점)은 크레인 유니트의 파일런 구조물의 회전 중심점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a" 의 상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선박의 홀드 내에서의 화물의 높이가 변화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의 높이 및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제 1 종단부(종동 풀리(301))의 위치 역시 변화한다("b"의 상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종료되는 시점, 즉 선박의 홀드 내의 화물의 높이가 최소일 때,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 역시 최소 높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크레인 유니트의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제 1 종단부(종동 풀리(301))는 크레인 유니트의 파일런 구조물의 회전 중심점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c" 의 상태).
위와 같이,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수직 포스트(2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제 1 종단부(종동 풀리(301))의 위치(높이)가 변화할지라 도 제 1 종단부(종동 풀리(301))는 엘리베이터 유니트(200)의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 하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이송되는 화물(B-2)이 보조 컨베이어 장치(280) 및 붐 컨베이어 장치(3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벌크 화물 하역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2b는 도 2a의 선 B-B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하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대응 도면으로서, 화물의 높이 변화에 따른 붐 컨베이어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3)

  1. 벌크 화물을 하역하는 장치에 있어서,
    화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포스트;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의 궤적 이동하는 다수의 버켓; 수직 포스트에 장착되며, 하강하는 버켓에서 쏟아진 화물이 얹혀진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 및 턴 테이블에 형성된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유니트; 및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수직 포스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붐 구조물, 붐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이송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붐 컨베이어 장치, 붐 컨베이어 장치와 연결된 연결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붐 구조물의 제 1 종단부가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파일런 구조물을 포함하는 크레인 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벌크 화물 하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유니트는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연장된 2개의 연장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은 붐 구조물의 제 2 종단부에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컨베이어 장치는 연장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 브라켓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풀리 및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벌크 화물 하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와 붐 컨베이어 장치의 종동 풀리는 단일의 벨트가 감겨져 있어 보조 컨베이어 장치와 붐 컨베이어 장치는 동일한 속도로 화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 하역 장치.
KR1020070130080A 2007-12-13 2007-12-13 벌크 화물 하역 장치 KR20090062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80A KR20090062687A (ko) 2007-12-13 2007-12-13 벌크 화물 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80A KR20090062687A (ko) 2007-12-13 2007-12-13 벌크 화물 하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687A true KR20090062687A (ko) 2009-06-17

Family

ID=4099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080A KR20090062687A (ko) 2007-12-13 2007-12-13 벌크 화물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6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0816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海洋学院 散货船卸料装置
CN103600815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海洋学院 一种自卸式散货船
CN107235343A (zh) * 2017-07-17 2017-10-10 卢越 一种基于连体趸船的散状物料水上装卸方法及装置
KR20210119163A (ko) * 2020-03-24 2021-10-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0816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海洋学院 散货船卸料装置
CN103600815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海洋学院 一种自卸式散货船
CN107235343A (zh) * 2017-07-17 2017-10-10 卢越 一种基于连体趸船的散状物料水上装卸方法及装置
KR20210119163A (ko) * 2020-03-24 2021-10-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828B2 (ja) 粉粒体貯留サイロ用移動式搬出装置と粉粒体貯留サイロ
CN105836483B (zh) 流动式尾部供料链式散货堆装机
KR20090062687A (ko) 벌크 화물 하역 장치
US20010050210A1 (en) Bucket conveyor
US6237745B1 (en) Bucket conveyor
JP5371516B2 (ja) 積付・払出し装置
CA1173005A (en) Device for dispensing goods through annular dispensing port
CN206750757U (zh) 一种饲料输送提升装置
CN208856299U (zh) 一种带式斗提机振动卸料装置
JP3574760B2 (ja) 持ち上げ排出型コンベア装置
JP7050508B2 (ja) アンローダ
JPH0318433Y2 (ko)
KR100930273B1 (ko) 제품 언로더
JPS6316665Y2 (ko)
CN214086200U (zh) 一种绿色节能矿渣微粉生产用防漏料的斗式提升机
JP2524772B2 (ja) 2重ベルトコンベアを備えたアンロ―ダ
JPH03284531A (ja) 長物野菜の選別用搬出装置
JP4288536B2 (ja) ばら物用荷降ろし装置
JPH07172536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
KR20090093580A (ko) 하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429333A (zh) 一种垃圾输送用皮带提升输送装置
KR19990072898A (ko) 언로더
CN116654655A (zh) 一种折返式定量给料链斗式连续卸船机
RU2041854C1 (ru) Кран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ой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штучных грузов
CN114633988A (zh) 一种用于氧化钙生产的斗式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