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95A -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95A
KR20090062295A KR1020070129452A KR20070129452A KR20090062295A KR 20090062295 A KR20090062295 A KR 20090062295A KR 1020070129452 A KR1020070129452 A KR 1020070129452A KR 20070129452 A KR20070129452 A KR 20070129452A KR 20090062295 A KR20090062295 A KR 2009006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anger bracket
muffler
mounting por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295B1 (ko
Inventor
조재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2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의 바닥패널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형성된 장착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와, 상기 행거로드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행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행거브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고 행거 작업시 작업자의 손과의 간섭을 제거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행거, 행거로드, 행거브라켓, 장착부, 지지부, 몸체부

Description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Joint structure of the muffler hanger bracke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바닥패널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형성된 장착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와, 상기 행거로드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행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행거브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고 행거 작업시 작업자의 손과의 간섭을 제거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소정용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배관되 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안내하며 소음을 감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는 차량의 언더 패널의 하측에 장착되는데,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의 고정측과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행거를 매개로 장착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는 차체의 바닥패널(미도시)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1)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2)와, 상기 행거(2)에 형성된 장착공(미도시)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3)와, 상기 행거로드(3)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행거브라켓(4)으로 구성된다.
상기 행거브라켓(4)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mm높이의 비드(5)를 2개 적용하고 내측에는 홀(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머플러(7)를 포함한 차량의 배기계를 차체에 매다는 과정에서 행거(2)가 개재되므로서 배기계와 차체간의 진동전달이 어느 정도는 억제되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는 단순한 직각형태의 행거브라켓(4)을 용접만으로 강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행거브라켓(4) 형상이 두꺼워 행거 작업시에 손 과의 간섭부위가 커서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행거브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고 행거 작업시 작업자의 손과의 간섭을 제거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는 차체의 바닥패널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형성된 장착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와, 상기 행거로드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행거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상기 장착부 방향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개구부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브라켓은 장착부의 양측면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몸체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단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의 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는 행거브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고 행거 작업시 작업자의 손과의 간섭을 제거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체의 바닥패널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형성된 장착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와, 상기 행거로드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행거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는 차체의 바닥패널(미도시)에 연결되고 차량의 머플러(70)와 연통되는 배기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20)와, 상기 행거(20)에 형성된 장착공(미도시)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30)와, 상기 행거로드(30)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41)와, 상기 배기파이프(10)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44)와, 상기 장착부(41)와 상기 지지부(4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41)에서 상기 지지부(44)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42)를 구비한 행거브라켓(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행거브라켓(40)을 형성함으로써 행거브라켓(4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몸체부(42)는 내부에 상기 장착부(41) 방향에서 상기 지지부(44) 방향으로 개구부(43)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브라켓(40)은 종래의 행거브라켓과 원가 및 중량을 동등 수준으로 맞추면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행거브라켓의 비드부위가 강성확보에 큰 영향을 못 미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행거브라켓(40)은 비드 부위를 축소하고 개구부(43)를 사다리꼴로 하여 최대화 하였다.
상기 행거브라켓(40)은 장착부(41)의 양측면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몸체부(42)는 상기 장착부(41)의 양측단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2)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42)의 개구부(43)의 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행거브라켓은 양면이 평행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행거브라켓(40)은 양면 또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하여 차량 전후방의 유동을 잡을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의 행거브라켓을 차체모델에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의 행거브라켓을 차체모델에 연결하여 얻은 고유진동수 값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교해석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행거브라켓은 양측단이 평행하였으나 본발명에 따른 행거브라켓(40)은 양면 또한 사다리꼴 형태를 주어 차량 전후방의 유동을 잡아줄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행거브라켓(4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 상기 행거브라켓(40)의 장착부(41)의 폭을 최소화하여 행거 작업시에 작업자의 손과의 간섭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행거브라켓을 차체모델에 연결하여 얻은 고유진동수 값은 388Hz인 종래 기술에 따른 행거브라켓에 비하여 503Hz로 개선효과가 있음이 해석적으로 증명되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b는 도 1a의 A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3b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의 행거브라켓을 차체모델에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의 행거브라켓을 차체모델에 연결하여 얻은 고유진동수 값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교해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배기파이프 20: 행거
30: 행거로드 40: 행거브라켓
41: 장착부 42: 몸체부
43:개구부 44: 지지부
70: 머플러

Claims (5)

  1. 차체의 바닥패널에 연결되고 배기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열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형성된 장착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행거로드와;
    상기 행거로드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증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행거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상기 장착부 방향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개구부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브라켓은 장착부의 양측면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몸체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단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의 형상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20070129452A 2007-12-12 2007-12-12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95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52A KR100957295B1 (ko) 2007-12-12 2007-12-12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52A KR100957295B1 (ko) 2007-12-12 2007-12-12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95A true KR20090062295A (ko) 2009-06-17
KR100957295B1 KR100957295B1 (ko) 2010-05-12

Family

ID=409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452A KR100957295B1 (ko) 2007-12-12 2007-12-12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204A (zh) * 2018-03-01 2018-09-14 无锡威孚力达催化净化器有限责任公司 支架连接结构
CN111434505A (zh) * 2019-01-11 2020-07-21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7992B (zh) * 2016-10-12 2018-09-25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排气管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206A (ko) * 1997-07-22 1999-02-18 박병재 머플러 고정용 행거 시스템
KR19990025903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구조
KR100358599B1 (ko) 2000-10-31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머플러 행거장치
KR100622384B1 (ko) * 2004-08-3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플러 행거 로드의 브라켓 장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204A (zh) * 2018-03-01 2018-09-14 无锡威孚力达催化净化器有限责任公司 支架连接结构
CN111434505A (zh) * 2019-01-11 2020-07-21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CN111434505B (zh) * 2019-01-11 2023-03-14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295B1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837B2 (ja) 車両の下部構造
JP5007348B2 (ja) 車体フロア構造
JP429217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5470103B2 (ja) 自動二輪車
JP3869825B2 (ja) 自動車用マフラーの固定機構
JP2007283972A (ja)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及び自動車組立て方法
JP7028009B2 (ja) 車体下面構造
JP5361688B2 (ja) 排気浄化装置
KR100957295B1 (ko) 자동차용 머플러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622384B1 (ko) 머플러 행거 로드의 브라켓 장착구조
JP5454312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5889178B2 (ja) 作業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6732377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011121452A (ja) リアエンジンバスの車体後部構造
JP2012066622A (ja) 排気管の支持装置
KR100802920B1 (ko) 차량의 배기계 센터 행거 마운팅부의 구조
JP2006015810A (ja) 車体前部構造
CN209987737U (zh) 农机及其连接支架
CN209921050U (zh) 农机及其连接支架
JP2011173542A (ja) 車室フロアパネル
JP2012046009A (ja) 車体フロア構造
JP2020104636A (ja) 車体構造
KR20110051830A (ko) 차량용 배기 어셈블리 마운팅 유닛
KR100580030B1 (ko) 자동차용 배기계통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KR20120000637A (ko) 차량의 머플러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