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14A - 듀얼 모니터 - Google Patents

듀얼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14A
KR20090062214A KR1020070129339A KR20070129339A KR20090062214A KR 20090062214 A KR20090062214 A KR 20090062214A KR 1020070129339 A KR1020070129339 A KR 1020070129339A KR 20070129339 A KR20070129339 A KR 20070129339A KR 20090062214 A KR20090062214 A KR 2009006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upport
dual
rotated
dual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051B1 (ko
Inventor
김성규
박세훈
홍순욱
연제성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701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0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대(22)가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베이스(20); 상기 지지대(2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22)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모니터(30)와; 상기 제 1모니터(30)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22)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모니터(30)의 전후방을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모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모니터의 회전궤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 2모니터가 회전된 상태에서도 듀얼 모니터의 후방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듀얼 모니터, 지지대, 컴퓨터

Description

듀얼 모니터{Dual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작업시에 두 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듀얼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작업창을 띄워 놓은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컴퓨터의 모니터 자체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의 작업창을 일일이 열고 닫아야 작업수행이 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모니터가 출시되었고, 현재는 듀얼 모니터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듀얼 모니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듀얼 모니터에서 제 2모니터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듀얼 모니터에는 지지대(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는 듀얼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2)의 정면에는 제 1모니터(4)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모니터(4)는 컴퓨터의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대(2)의 일측에는 제 1힌지(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힌지(6)에는 연결부재(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8)는 상기 제 1힌지(6)와 일체로 구비되어 제 1힌지(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모니터(10)의 중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8)에는 제 2모니터(1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8)가 회전되는 것을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 2모니터(10)는 배면에 구비된 제 2힌지(12)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모니터(10)는 상기 제 1모니터(4)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 2모니터(10)는 상기 제 1모니터(4)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듀얼 모니터는 은행, 보험회사, 증권회사 등에서 직원이 고객과 상담 중에 많이 사용된다. 즉, 직원은 상기 제 1모니터(4)를 보고 고객은 상기 제 2모니터(10)를 본 상태에서 다양한 상품정보를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직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모니터(10)를 고객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객과 함께 같은 정보가 표시된 제 1모니터(4)를 보고 상담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2모니터(10)를 고객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때, 상기 제 2모니터(10)가 회전되는 궤적에 의해 상기 모니터(4,10) 사이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 2모니터(10)가 연결부재(8)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듀얼 모니터가 설치되는 테이블의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2모니터(10)가 고객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4,10) 사이에 사공간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듀얼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해 보다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모니터가 회전되는 궤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2모니터가 회전된 상태에서 제 1,2모니터 사이의 사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듀얼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대가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모니터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모니터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축에 형성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모니터는 180°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 1,2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듀얼 모니터에서 주로 고객이 보는 제 2모니터가 지지대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2모니터는 보다 작은 회전궤적을 가지고 회전되므로 회전시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모니터가 회전된 상태에서도 듀얼 모니터의 후방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서도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듀얼 모니터에는 베이스(2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20)는 듀얼 모니터의 무게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베이스(20)는 듀얼 모니터가 책상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모니터(30,40)의 자중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는 지지대(2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2)에는 제 1모니터(3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2)는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2)의 내부에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어 듀얼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대(22) 자체가 컴퓨터 본체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2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2)는 듀얼 모니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2)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버튼(24)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24)은 온/오프, 볼륨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22)의 일측면에는 힌지부(26)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모니터(40)의 회전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힌지부(26)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제 2모니터(40)는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부(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부재(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26)는 바람직하게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제 2모니터(40)가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26)는 제 2모니터(40)가 전방에 위 치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대략 180°만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6)의 구성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26)에는 상기 지지대(2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축(2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돌기(28')가 삽입되는 고정홈(2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27)의 내측에는 회전축(2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8)은 회전부재(32)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8)에는 상기 고정홈(2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28')는 상기 회전축(28)의 외주면 일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8)에는 상기 회전축(28)의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28')는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27')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힌지부(26)의 구성은 힌지부(26)의 일실시예를 예로 든 것이고 상기 힌지부(26)가 상술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힌지부(26)는 상기 회전부재(32)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의 전방에는 제 1모니터(30)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모니터(3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지대(22)의 대부분을 덮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모니터(30)는 컴퓨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힌지부(26)에는 회전부재(32)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듀얼 모니터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2)가 회전되는 것을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고 정의한다. 이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에서 연결부재(8)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는 다른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2)에는 제 2모니터(4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는 상기 제 2모니터(40)의 중량 및 상기 제 2모니터(40)의 회전모멘트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제 2모니터(40)는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26)는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는 상기 힌지부(26)에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제 2모니터(40)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2)는 상기 지지대(22)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32)는 상기 지지대(22)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회전부재(32)는 힌지부(26)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대(22)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모니터(40)는 외관의 통일성을 위해 상기 제 1모니터(30)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32)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모니터(40)는 정면 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모니터(40)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모니터(40)는 상기 힌 지부(26)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모니터(40)는 상기 제 1모니터(30)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 2모니터(40)는 고객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모니터(40)의 표시화면이 상하로 바뀌도록 상기 지지대(22)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에서 제 2모니터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평소에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모니터(30,40)를 배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작업창을 각각의 모니터(30,40)에 띄운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듀얼 모니터는 가정, 직장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은행 등과 같은 직장에서 직원이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30,40)를 고객과 같이 보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직원과 고객이 각각의 모니터(30,40)를 보는 상태에서 직원이 고객에게 다양한 상품정보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술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30,40) 중에 제 2모니터(40)를 고객이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직원은 상기 제 2모니터(40)의 표시화면이 고객을 향하도록 제 2모니터(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직원이 상기 제 2모니터(40)의 하단을 잡고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직원이 상기 제 2모니터(40)의 하단을 잡고 90°만큼 회전시킨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모니터(40)가 90°만큼 더 회전되면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 제 2모니터(40)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모니터(40)는 상기 힌지부(26)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제 1모니터(30)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 1모니터(30)는 직원이 보고 상기 제 2모니터(40)는 고객이 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서로 모니터(30,40)를 통해 다양한 상품정보를 확인하며 상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고객이 주로 보는 제 2모니터(40)는 상기 지지대(22)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략 180°만큼 회전시키면 직원과 고객이 상기 모니터(30,40)를 같이 보는 상태에서 편하게 상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모니터(40)의 회전궤적이 작고, 상기 제 2모니터(40)가 고객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거의 없으므로 공간활용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듀얼 모니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듀얼 모니터에서 제 2모니터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에서 제 2모니터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부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베이스 22 : 지지대
24 : 버튼 26 : 힌지부
27 : 고정축 27' : 고정홈
28 : 회전축 28' : 고정돌기
29 : 탄성부재 30 : 제 1모니터
32 : 회전부재 40 : 제 2모니터

Claims (7)

  1. 지지대가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모니터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니터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 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축에 형성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니터는 180°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 1,2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KR1020070129339A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니터 KR10142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39A KR101428051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39A KR101428051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14A true KR20090062214A (ko) 2009-06-17
KR101428051B1 KR101428051B1 (ko) 2014-08-08

Family

ID=4099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39A KR101428051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18A1 (ko) * 2012-11-29 2014-06-05 Lee Eun-Suk 일체형 컴퓨터에서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컴퓨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0524B1 (ko) * 2012-09-18 2014-09-17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808A (ko) 2015-11-04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340782B1 (ko) 2020-12-29 2021-12-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263B2 (ja) * 1998-12-23 2010-08-25 モスコヴィッチ,ジェリー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KR200208003Y1 (ko) * 2000-04-18 2000-12-15 이덕재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17564B1 (ko) * 2001-01-02 2004-02-05 김용준 복수 모니터를 구비한 컴퓨터
KR20070078168A (ko) * 2006-01-26 2007-07-31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24B1 (ko) * 2012-09-18 2014-09-17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WO2014084418A1 (ko) * 2012-11-29 2014-06-05 Lee Eun-Suk 일체형 컴퓨터에서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컴퓨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051B1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768B2 (ja) 液晶表示装置
US5590021A (en) Secondary display system for computer
US7061472B1 (en) Presentation device
US6912122B2 (en) Rotatable display fixing module
CN103677115B (zh) 便携式设备
US20140014790A1 (en) Kiosks for Electronic Devices
US20040139578A1 (en) Swivel hinge with angular fixing structure
US20120061542A1 (en) Secure computer tablet enclosure
TW201426095A (zh) 用於支撐顯示面板的相框式支撐裝置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20122A (ko) 휴대용 전자기기
WO2001035197A1 (en) Horizontal three screen lcd display system
WO2019227980A1 (zh) 一种电脑
KR20090062214A (ko) 듀얼 모니터
US20020027533A1 (e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364688B2 (ja) 情報処理装置
US20230021732A1 (en) Control panel display with rotatable mount
JP2005316867A (ja) 情報処理装置
KR20070069663A (ko) 멀티 모니터장치
KR101459761B1 (ko) 듀얼 모니터
JP3116392U (ja) ノートパソコンの液晶画面のデュアル化
CN219655080U (zh) 一种支撑装置及电子设备
TWI832215B (zh) 螢幕旋轉結構
US20230203734A1 (en) Console HMI Interface Mechanism
KR200234485Y1 (ko) 양화면 회전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