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24B1 -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24B1
KR101440524B1 KR1020120103132A KR20120103132A KR101440524B1 KR 101440524 B1 KR101440524 B1 KR 101440524B1 KR 1020120103132 A KR1020120103132 A KR 1020120103132A KR 20120103132 A KR20120103132 A KR 20120103132A KR 101440524 B1 KR101440524 B1 KR 10144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fixing
fixed
angl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707A (ko
Inventor
이점식
Original Assignee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대의 양측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각기 힌지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제1고정축과 제2고정축을 각기 형성하여 상기의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가 이들 고정축에 힌지 결합되게 하되, 상기의 모니터는 동시에 같은 각도를 갖고 전개되어 고정되게 하거나 각각의 모니터가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민원인 혹은 고객을 현장에서 응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모니터에 출력된 결과를 민원인 혹은 고객에게 직접 보여주거나 진행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시켜주거나 확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 별도의 작업이나 과정없이도 양방향으로 배치된 모니터에 의해 동시에 화면상의 출력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것이고, 양방향으로 배치된 모니터에 대하여 동시에 같은 각도를 갖도록 조절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각기 개별적으로 모니터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갖는 양방향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Dual monitor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공서나 은행과 같이 현장에서 민원인이나 고객을 응대하는 경우 작업자 및 고객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시에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거의 모든 형태의 기록이나 출력 혹은 이들 데이터에 대한 저장 등은 컴퓨터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종이의 사용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컴퓨터는 빠르고 다양한 형태로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업무를 빠르게 처리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고, 이에 따라 관련된 정보의 이해 및 정보 전달력이 우수한 특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거의 모든 분야에서 컴퓨터의 적절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 중 대민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관공서나 고객응대를 하여야 하는 은행 혹은 증권사, 회사 및 단체 등의 안내데스크에서의 업무 역시 컴퓨터를 활용하여 정보를 습득하거나 저장 및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장에서 대민업무를 수행하여야 하거나 고객응대를 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혹은 종종 사용자의 모니터를 민원인 혹은 고객에 확인시켜 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사용자를 향하고 있던 모니터를 돌려 민원인이나 고객이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예컨데, 관공서에서 대민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민원인에게 특정 사실을 확인시켜 주거나 육안으로 확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전기와 같이 모니터를 돌려 이를 확인받거나 확인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고, 은행 등에서도 특정의 상품이나 내용 등을 고객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모니터를 고객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번거로운 행동들은 관공서나 은행 등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여행사나 각 회사의 안내데스크 혹은 각종 민원실과 같이 모니터 내의 화상 출력물을 상대방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되므로 이를 종합해보면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빈번하게 상기와 같이 번거로운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받침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대의 양측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각기 힌지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제1고정축과 제2고정축을 각기 형성하여 상기의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가 이들 고정축에 힌지 결합되게 하되, 상기의 모니터는 동시에 같은 각도를 갖고 전개되어 고정되게 하거나 각각의 모니터가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민원인 혹은 고객을 현장에서 응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모니터에 출력된 결과를 민원인 혹은 고객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배치된 모니터에 의해 별도의 작업 없이도 이를 간편하게 모두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개별적으로 원하는 모니터 각도로 조절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특징을 갖는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대의 상측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는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각기 힌지 결합 형성하며, 상기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는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고정대에 의해 각도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제1고정축과 제2고정축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모니터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제1고정축에 결합되는 힌지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2모니터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제2고정축에 삽입되는 고정기어체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축에는 제1모니터의 배면과 밀착되게 한 단속기어체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단속기어체가 고정기어체와 맞물림되어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가 제1고정축과 제2고정축을 통해 동시에 각도 조절되게 하고, 상기 단속기어체의 유동에 의해 고정기어체로부터 이탈되면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가 제1고정축 및 제2고정축으로부터 각기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민원인 혹은 고객을 현장에서 응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모니터에 출력된 결과를 민원인 혹은 고객에게 직접 보여주거나 진행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시켜주거나 확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 별도의 작업이나 과정없이도 양방향으로 배치된 모니터에 의해 동시에 화면상의 출력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것이고, 양방향으로 배치된 모니터에 대하여 동시에 같은 각도를 갖도록 조절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각기 개별적으로 모니터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갖는 양방향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또 다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동시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고정수단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개별 각도 조절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의한 일측 모니터 각도 조절 상태도
도 10은 도 8에 의한 타측 모니터 각도 조절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고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의 또 다른 측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듀얼 모니터는 일반적인 형태의 엘시디 혹은 엘이디 모니터를 구비하여 이를 별도의 지지수단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결합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지지수단은 수평상의 받침대(10)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대(20)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는 제1고정축(21)과 제2고정축(22)이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노출 형태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대(20)의 양측면에는 각기 일측부에 수직 장공 형태의 끼움홈(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대(20)의 양측 끝단면에는 상기의 끼움홈(23)과 연통되어 있는 상,하 방향으로의 장공으로 된 승강공(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지지대(20)의 양측 선단부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를 각기 구비하되, 상기 제1모니터(30)의 선단 배면으로는 돌출 형태의 힌지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힌지부(31)가 지지대(20)의 선단과 제1고정축(21)을 통해 상호 힌지 결합되게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제2모니터(40)의 배면 선단에는 외측면에 기어 치형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기어체(4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고정기어체(41)로 제2고정축(22)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2모니터(40)는 제2고정축(22)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고정축(21)에는 별도의 단속기어체(60)가 제1고정축(21)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단속기어체(60)는 외측부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제1모니터(30)의 배면에 밀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의 배면 일측에는 각기 별도의 고정대(50) 일측단이 각기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고정대(50)의 타측단은 지지대(20)에 형성된 끼움홈(23)으로 삽입되어 지지대(20)의 외측부로부터 삽입된 고정노브(70)의 나사부(71)가 상기 고정대(50)의 타측단에 형성된 나사공(51)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양방향 듀얼 모니터는 상기와 같은 단속기어체(60)의 위치에 따라 양측의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가 동시에 같은 각도를 갖고 회전되거나 이들 각각의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가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1고정축(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단속기어체(60)를 유동시켜 제2고정축(22)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기어체(41)와 서로 기어 맞물림되게 한 상태에서, 제1모니터(30) 혹은 제2모니터(40)의 하부를 파지하여 들어올리면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가 동시에 상향 회전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데, 제1모니터(30)의 하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의 제1모니터(30)는 선단의 힌지부(31)를 축점으로 하여 상향 회전력을 갖게 될 것이고, 상기 제1모니터(30)의 상향 회전력은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단속기어체(60)를 제1고정축(21)으로부터 회전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단속기어체(60)에 대한 회전력은 기어 맞물림 상태인 제2모니터(40)의 고정기어체(41)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전달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고정기어체(41)의 회전에 의해 상기의 제2모니터(4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시 상향 회전 작용은 제1모니터(30)를 들어올리면 제2모니터(40)가 동시에 회전될 수도 있고, 제2모니터(40)를 들어올리면 제1모니터(30)가 동시에 들어 올려질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편의 혹은 방향성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를 들어올려 각도 조절을 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여전히 모니터를 들어올리고 다른 손으로는 지지대(20)의 측부에 노출된 고정노브(70)를 회전시켜 고정대(50)와 견고히 나사 결합되게 하면 상기의 모니터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대(50)가 유동하지 않고 결합 고정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절된 상태의 모니터는 그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고정대(50)는 일측이 제1모니터(30) 및 제2모니터(40)가 각기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고정대(50)의 타단은 지지대(20)의 끼움홈(23)으로 삽입되어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고정노브(7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고정노브(70)를 느슨하게 풀면 상기의 고정노브(70)는 승강공(2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고정노브(70)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를 들어올려 각도 조절이 되게 하면 상기의 고정대(50)는 모니터의 각도에 따라 끼움홈(23)을 따라 승강하면서 고정노브(70)를 함께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을 통해 모니터의 각도 조절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노브(70)를 회전시켜 도 7의 도시와 같이 고정노브(70)의 나사부(71)가 고정대(50)에 형성된 나사공(51)으로 삽입되게 하면 상기의 고정노브(70)는 지지대(20)의 측단면과 간섭하면서 상호 간의 견고한 나사 결합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의 고정노브(70)는 지지대(20)의 측단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모니터는 각도 조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고정대(50)는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에 각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들 고정대(50)의 결합 위치는 지지대(20)의 양측면에서 서로 반대편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는 상기의 고정노브(70)가 지지대(20)의 양측단에 각기 돌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속기어체(60)와 고정기어체(41)의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는 어느 하나의 모니터에 대한 각도 조절을 수행하면 다른 하나의 모니터도 같은 각도를 갖고 회전되는 것이고, 일측의 고정노브(70)를 우선 조여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고정노브 역시 조여 고정하게 되면 두 개의 모니터는 같은 각도를 갖고 조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양방향 듀얼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각각의 모니터에 대한 각도를 각기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고정기어체(41)이 치형 맞물림된 상태의 단속기어체(60)를 제1고정축(21)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의 고정기어체(4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하면 상기의 제1모니터(30)는 힌지부(31) 및 제1고정축(21)에 의해 단독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의 제2모니터(40)는 제2고정축(22)에 삽입된 고정기어체(41)를 통해 역시 단독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속기어체(60)를 고정기어체(41)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1모니터(30)의 하단을 들어올리면 힌지부(31)와 제1고정축(21)을 축점으로 하여 상향 회전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이르게 되면 고정대(50)의 고정노브(70)를 회전시켜 고정대(50)가 결합 고정되게 하면 상기의 제1모니터(30)는 단독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2모니터(40)에 대한 각도 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역시 제2모니터(40)의 하단을 들어올려 고정기어체(41)가 제2고정축(22)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2모니터(40)의 각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각도 조절을 수행한 상태에서 역시 해당의 고정대(50)에 결합된 고정노브(70)를 견고하게 나사 결합함에 따라 제2모니터(40) 역시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제1모니터(30) 및 제2모니터(40)는 개별적인 각도 조절은 물론 이들 제1모니터(30) 및 제2모니터(40)를 사용자 혹은 고객이나 민원인이 원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에서 모두 만족스러운 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지지대(20) 측단면에 형성된 승강공(24)은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대(50)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고정노브(70)의 안내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승강공(24)이 관통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못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승강공(24)의 내측에 도 11의 도시와 같이 수직의 절개선(81)을 갖는 틈새메움재(80)를 삽입 형성함에 따라 고정노브(70)의 나사부(71)는 절개선(81)을 통해 승강공(2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나사부(71) 이외의 부분은 절개선(81)을 통해 틈새메움재(80)가 맞닿아 있어 내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고정노브(70)가 승강하더라도 실리콘과 같이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진 틈새메움재(80) 및 절개선(81)에 의해 상기의 승강공(24)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미관상 좋지 못한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노브(70)는 모니터의 각도 조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나사부(71)가 형성된 고정노브(70)의 일측면이 지지대(20)의 측면과 맞닿으면서 서로 밀착되는 힘에 의해 고정대(50)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고정노브(70)가 풀려 고정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는 각도 조절된 상태의 모니터가 하중에 의해 수직 상태로 풀려버릴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고정노브(70)의 일측면에 연질 탄력재 혹은 스펀지 등으로 된 완충패드(72)를 부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완충패드(72)에 의해 지지대(20)의 측면에 고정노브(70)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고정노브(70)에 의한 고정대(50)의 결합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모니터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화면을 조절한 상태에서 이를 더욱 들어올리거나 내려 새로운 형태로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양측의 고정노브(70)를 풀어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해당의 모니터를 들어올린 후 고정노브(70)를 다시 나사 결합하거나 고정노브(70)를 서서히 풀어주면 고정노브(70)와 지지대(20)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면서 모니터 자체의 중량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서서히 하강 회전하게 될 것이므로 이를 통해 더욱 편리하게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양방향 듀얼 모니터장치는 사용자와 고객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같은 화면을 응시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사용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사용자 및 고객이 원하는 모니터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받침대
20 : 지지대 21 : 제1고정축
22 : 제2고정축 23 : 끼움홈
24 : 승강공
30 : 제1모니터 31 : 힌지부
40 : 제2모니터 41 : 고정기어체
50 : 고정대 51 : 나사공
60 : 단속기어체
70 : 고정노브 71 : 나사부
72 : 완충패드
80 : 틈새메움재 81 : 절개선

Claims (4)

  1. 받침대(10)의 상측에 지지대(20)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0)의 양측에는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를 각기 힌지 결합 형성하며, 상기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는 상기 지지대(20)와 연결되는 고정대(50)에 의해 각도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20)의 선단에는 제1고정축(21)과 제2고정축(22)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모니터(3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제1고정축(21)에 결합되는 힌지부(3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2모니터(4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제2고정축(22)에 삽입되는 고정기어체(4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축(21)에는 제1모니터(30)의 배면과 밀착되게 한 단속기어체(6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단속기어체(60)가 고정기어체(41)와 맞물림되어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가 제1고정축(21)과 제2고정축(22)을 통해 동시에 각도 조절되게 하고, 상기 단속기어체(60)의 유동에 의해 고정기어체(41)로부터 이탈되면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가 제1고정축(21) 및 제2고정축(2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20)는 양면 일측에 각기 상,하 장공의 끼움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0) 측단면에는 상기 끼움홈(23)과 연통되게 한 상,하 장공의 승강공(24)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로부터 각기 힌지 결합된 고정대(50)의 끝단이 상기 끼움홈(23)으로 삽입되게 구성하되,
    상기 승강공(24)의 외측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노브(7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노브(70)의 나사부(71)가 고정대(50)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공(51)에 결합됨에 따라 지지대(20)와 고정대(50) 및 고정노브(70)가 서로 결합되며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에 대한 각도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승강공(24)의 내측에는 중간부에 절개선(81)이 형성된 연질 탄력재인 틈새메움재(80)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고정노브(70)의 나사부(71)에는 별도의 완충패드(72)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완충패드(72)에 의해 고정노브(70)와 지지대(20) 간의 마모 감소 및 상호 표면 간의 접지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KR1020120103132A 2012-09-18 2012-09-18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KR10144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32A KR101440524B1 (ko) 2012-09-18 2012-09-18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32A KR101440524B1 (ko) 2012-09-18 2012-09-18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07A KR20140036707A (ko) 2014-03-26
KR101440524B1 true KR101440524B1 (ko) 2014-09-17

Family

ID=5064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132A KR101440524B1 (ko) 2012-09-18 2012-09-18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88B1 (ko) * 2015-03-26 2019-04-17 전덕규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GB201708710D0 (en) * 2017-05-31 2017-07-19 Clements Robert James A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168A (ko) * 2006-01-26 2007-07-31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080063705A (ko) * 2007-11-12 2008-07-07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090012935A (ko) * 2007-07-31 2009-02-04 주식회사 에이텍 듀얼 모니터
KR20090062214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엔시스(주) 듀얼 모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168A (ko) * 2006-01-26 2007-07-31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090012935A (ko) * 2007-07-31 2009-02-04 주식회사 에이텍 듀얼 모니터
KR20080063705A (ko) * 2007-11-12 2008-07-07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090062214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엔시스(주) 듀얼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07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US7047890B2 (en) Integrated flat panel workstation system
CA2644950C (en) Control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9103488B2 (en) Multi-position articulated display support system
US8356779B2 (en) Fixed flat panel monitor mounting system
JP6126017B2 (ja) 電子拡大装置のための保持装置
US9883737B2 (en) Height-adjustable table and method of assembly
AU2012214183B2 (en) Bifocal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4502431A (ja) 電子拡大装置
US8794161B2 (en) Lifting and rotating device
AU2013240206A1 (en) Counterbalancing lift mechanisms and methods
KR102047386B1 (ko) 접이식 탁상형 전자 확대기
KR101440524B1 (ko) 양방향 듀얼 모니터 장치
CN102192390A (zh) 台式电脑一体整合支架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US20120104194A1 (en)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211181359U (zh) 一种物理实验用组合光镜装置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KR20060068992A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05822872A (zh) 一种升降力调整机构
CN219515615U (zh) 一种讲桌显示屏调节结构及其升降讲桌
CN202075669U (zh) 台式电脑一体整合支架
KR200412970Y1 (ko) 강대용 독서대
CN213040142U (zh) 一种计算机显示器升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