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962A -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962A
KR20090061962A KR1020070129002A KR20070129002A KR20090061962A KR 20090061962 A KR20090061962 A KR 20090061962A KR 1020070129002 A KR1020070129002 A KR 1020070129002A KR 20070129002 A KR20070129002 A KR 20070129002A KR 20090061962 A KR20090061962 A KR 2009006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식
카즈히코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962A/ko
Publication of KR2009006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와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촬영 시 역광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로부터 태양의 입사각을 도출하는 태양 입사각 도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방향정보로부터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는 역광 영역 계산부; 및 상기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광 판단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the function for automatically detecting back ligh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와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촬영 시 역광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 디지털 캠코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 시키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실외에서 촬영 시,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 외에 피사체의 뒤에서 직접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 들어오는 태양 광에 의한 역광(逆光, back light)은 물체의 상을 흐리게 하므로 가능한 역광을 피하여 촬영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촬영 시의 태양 광의 역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촬영 시 실시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복수 개의 역광 패턴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역광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복수 개의 역광 패턴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실패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와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역광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 역광 판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로부터 태양의 입사각을 도출하는 태양 입사각 도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방향정보로부터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는 역광 영역 계산부; 및 상기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광 판단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방향정보는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역광 판단부는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식 1]
C - 90°〈 A〈 C + 90°, 여기서 C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 을, A는 태양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 경우,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 경우, 노출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자동노출 보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GPS 수신부에 수신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로부터 태양의 입사각을 도출하는 단계; (b) 전자 나침반에 수신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방향정보로부터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GPS 수신기 및 전자 나침반에 수신된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 실시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복수 개의 역광 패턴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실패와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 계산되는 태양의 입사각 및 카메라의 방향정보 데이터로부터 카메라의 노출량을 자동으로 예측할 수 있어 정교하고 객관적인 자동노출 보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써 설명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도 도면에 도시된 콤펙트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일안반사식(Single Lense Reflex: SLR) 카메라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 버튼(12), 플래시(13), 마이크로폰(MIC), 뷰파인더(14), 렌즈부(15), 플래쉬-광량 센서(16) 및 LED 램프(17) 등을 구비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영상을 기록한다.
전원버튼(12)은 전원을 공급하여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 력된다.
플래시(13)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플래시-광량 센서(16)는 플래시(13)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제어기(미도시)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시킨다.
렌즈부(15)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피사체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부(15)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뒤쪽에는 뷰파인더(17b), 광각-줌(wide angle-zoom) 버튼(21w), 망원-줌(telephoto-zoom) 버튼(21t), 모드 다이얼(22), 기능 버튼(23), 재생 모드 버튼(24), 스피커(SP)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되어 있다.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21w)을 누르면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을 누르면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모드 다이얼(22)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컨대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기능 버튼(23)은, 상향 키(23U), 하향 키(23D), 좌향 키(23L), 우향 키(23R) 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 상에서의 이미지 재생 시 이미지의 이동 등에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5) 상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뉴 버튼(26M)을 포함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재생 모드 버튼(24)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을 위하여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5)는, 통상적으로 LCD 패널이 사용되며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패널을 통하여 촬영 전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촬영 후 즉시 촬영된 결과물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LCD 패널을 통해서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전원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촬영부(130), 영상 처리부(140), 저장부(150), 표시부(160), GPS 수신부(170), 전자 나침반(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91),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 역광 영역 계산부(193) 및 역광 판단부(194)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를 동작시키거나,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전원을 차단하여 이를 정지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1, 이하 도 1 참조), 전원버튼(13), 광각-줌 버튼(15w) 또는 망원-줌 버튼(15t) 및 기능 버튼(17) 등을 포함한다.
촬영부(130)는 피사체의 이미지에 대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렌즈부(15) 및 필터부(미도시)로 이루어진 광학계와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렌즈부(15)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렌즈부(15)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15)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진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는 A/D 변환부(Anolog-to-Digtal Converter, 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원본(RAW) 데이터가 된다.
영상 처리부(140)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 호 처리하는 곳으로, 온도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 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또한,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고,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 하는 CFA 보간을 행한다. 또한 보간 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 및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 등과 같은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된 영상 파일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등급 분류에 따라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부(150)에 저장되거나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된다.
저장부는(150)는 이미지 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스마트 카드,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CF)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전술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최근에는 GPS 수신기(170)를 이용하여 지구 상공을 운행하는 GPS 위성(미도시)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위도·경도·고도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속도정보 및 시간정보까지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항법 장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GPS 수신부(17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켜지면, DSP(191)의 제어하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약 20,000km 고도의 지구 상공을 운행하는 적어도 4대의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치 측정용 전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계산한 후, 디지털 카메라(100)의 시간정보 및 위도, 경도, 고도 등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GPS 수신부(170)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내장된 경우뿐만 아니라 외장으로 장착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최근에는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칩(chip)형 지자기 센서 모듈이 개발되어 여러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 나침반(180)은 이와 같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자극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 및/또는 복각을 감지하여 높은 분해능으로 더욱 정밀해진 방향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나침반(180)은 DSP(191)의 제어하에 지자기 센서로부터 지자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카메라(100)가 향하는 방향을 계산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 나침반(180)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내장된 경우를 포함하여 외장 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190)의 DSP(191)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제어부(190)는 태양의 입사각 및 계산된 역광 영역 범위로부터, 현재 디지털 카메라(100)가 가리키는 방향에 역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DSP(191)를 비롯하여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 역광 영 역 계산부(193) 및 역광 판단부(194)를 포함한다.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는 GPS 수신부(170)에 수신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지털 카메라(100)가 존재하는 위치 및 시간에서의 태양의 입사각(A)을 계산한다.
지구는 공전궤도면을 따라 태양 주위를 지축이 23.5도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의 공전 위치에 따라 태양의 입사각(A)은 차이가 난다. 또한, 지구는 태양 주위를 24시간을 주기로 자전하기 때문에 관찰자의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태양의 입사각(A)은 차이가 난다.
이와 같이 위치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의 입사각(A)은, GPS 수신기(170)에 수신된 디지털 카메라(100)의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부(190)의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때, 태양 입사각(A)은 위치 및 시간의 함수로 직접 프로그래밍 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GPS 수신부(170)가 수신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거나, 또는 위치 및 시간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태양 입사각(A)에 대한 경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도출 가능하다.
역광 영역 계산부(193)는 전자 나침반(180)에 수신된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지털 카메라(100)가 가리키는 방향에서의 역광 영역의 범위(BLR;back light range)를 계산한다.
도 4a는 3차원 공간에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향하는 방향(C)과 역광 영역의 범위(BLR)와의 관계를 알기 쉽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 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면(前面), 즉 디지털 카메라(100)의 렌즈부(15)가 향하는 방향(C)을 기준으로 ±90°보다 작은 범위의 공간에 역광 영역(BLR)이 형성되고,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背面), 즉 디지털 카메라(100)의 렌즈부(15)가 향하는 방향(C)을 기준으로 ±90°보다 큰 범위에 순광 영역(FLR:front light range; 비역광 영역)이 형성된다.
역광 판단부(194)는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로부터 획득한 태양 입사각(A)과 역광 영역 계산부(193)로부터 계산된 역광 영역의 범위(BLR)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방향(C)에 역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현재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방향(C)이 역광 영역의 범위(BLR)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5는 태양의 다양한 입사각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방향(C)에 대한 역광의 존재 유무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소정 위치 및 시간에서 태양의 위치가 S1인 경우 태양의 입사각은 A1이고, 동일 위치의 또 다른 시간에서의 태양의 위치가 S2인 경우 태양의 입사각은 A2이다.
여기서 태양의 입사각(A1, A2)이 카메라의 방향(C)과의 관계에서 하기 식(1)을 만족할 경우에는, 역광 판단부(194)는 촬영 방향에 역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하기 식(1)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촬영 방향에 역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C - 90°〈 A〈 C + 90° ‥‥‥ 식 (1), 여기서 C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을, A는 태양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식 (1)은 하기 식 (2)로도 기술될 수 있다.
│A - C│< 90° ‥‥‥ 식 (2)
다시 말해, 카메라의 방향(C)과 태양의 입사각(A)과의 차이가 90°보다 작다면, 카메라의 방향(C)은 현재 역광 영역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태양이 S1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방향(C)과 태양의 입사각(A1) 사이의 각(θ1)이 상기 식 (2)를 만족하므로, 역광 판단부(194)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C)에 역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다. 한편, 태양이 S2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방향(C)과 태양의 입사각(A2) 사이의 각(θ2)가 상기 식 (2)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역광 판단부(194)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C)에 역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전술한 역광 판단부(194)가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역광임을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촬영자가 알 수 있도록, 음성 마스크(SP)와 같은 경보장치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전술한 역광 판단부(194)가 역광임을 판단하였을 경우에 태양의 입사각(A)과 카메라의 방향(C)에서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노출량을 자동 계산하고 이를 자동으로 보정 할 수 있는 자동노출 보정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역광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 털 카메라의 동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의 도움을 받아 제어부(19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GPS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카메라(100)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태양 입사각 도출부(19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의 태양의 입사각(A)을 도출하고(210단계), 전자 나침반(180)이 획득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역광 영역 계산부(193)는 현재 디지털 카메라(100)가 가리키는 방향에서의 역광 영역의 범위(BLR)를 계산한다(220단계). 여기서 상기 태양 입사각(A) 및 역광 영역의 범위(BLR)를 계산하는 단계(210 및 220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역광 판단부(193)는 카메라의 방향(C) 및 태양 입사각(A)의 관계가 상기 식(1)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역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30단계).
다음으로, 역광 판단부(194)가 역광임을 판단하였을 경우에 태양의 입사각(A)과 카메라의 방향(C)에서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서, 자동노출 보정수단(미도시) 디지털 카메라(100)의 노출량을 자동 계산하고 이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240단계).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 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3차원 공간에서 디지털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과 역광 영역의 범위R)와의 관계를 알기 쉽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태양의 다양한 입사각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대한 역광의 존재 유무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역광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7)

  1. 자동 역광 판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로부터 태양의 입사각을 도출하는 태양 입사각 도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방향정보로부터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는 역광 영역 계산부; 및
    상기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광 판단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방향정보는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광 판단부는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식 1]
    C - 90°〈 A〈 C + 90°, 여기서 C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을, A는 태양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 경우,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 경우, 노출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자동노출 보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a) GPS 수신부에 수신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로부터 태양의 입사각을 도출하는 단계;
    (b) 전자 나침반에 수신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방향정보로부터 역광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태양의 입사각 및 역광 영역의 범위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향이 역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70129002A 2007-12-12 2007-12-12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90061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02A KR20090061962A (ko) 2007-12-12 2007-12-12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02A KR20090061962A (ko) 2007-12-12 2007-12-12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962A true KR20090061962A (ko) 2009-06-17

Family

ID=4099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002A KR20090061962A (ko) 2007-12-12 2007-12-12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9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014A1 (en) * 2009-09-10 2011-03-1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measurements employed to affect photographic parameters
FR2983295A1 (fr) * 2011-11-29 2013-05-31 Renault Sa Systeme de detection de l'eblouissement, par les rayons du soleil, d'une camera equipant 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correspondant
EP3712696A1 (de) * 2019-03-19 2020-09-23 Meinhardt, Barbar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optimieren von eigenschaften einer fotografischen aufnahme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014A1 (en) * 2009-09-10 2011-03-1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measurements employed to affect photographic parameters
US8121472B2 (en) 2009-09-10 2012-02-21 Babak Forutanpour Signal measurements employed to affect photographic parameters
FR2983295A1 (fr) * 2011-11-29 2013-05-31 Renault Sa Systeme de detection de l'eblouissement, par les rayons du soleil, d'une camera equipant 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correspondant
EP3712696A1 (de) * 2019-03-19 2020-09-23 Meinhardt, Barbar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optimieren von eigenschaften einer fotografischen aufnahme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059B2 (en)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8200075B1 (en) Camera-ba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light thereof
US20100171858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7778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ing device
JP2012182625A (ja) 撮像装置
JP2007174124A (ja) 撮像装置及び補正方法
CN102244792A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KR20090061962A (ko)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10288169A (ja) 撮像装置
WO201403402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6054698A (ja) 手振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630056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41800A (ja) 撮影装置
JP2006033519A (ja) 撮像装置
WO2013156660A1 (en) Optimized image stabilization
CN112104796A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006932A (ja) 逆光判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KR101390099B1 (ko)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0141581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99411B2 (ja) 焦点検出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JP5609673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1396334B1 (ko) 이미지 파일에 gps 정보를 입력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23165B2 (ja) 撮影装置
KR101385962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재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800688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